"Once in a LIVEtime"은 드림 시어터의 1998년 발매된 라이브 앨범이다. 두 개의 CD로 구성되어 있으며, "A Change of Seasons"를 포함한 드림 시어터의 다양한 곡들을 담고 있다. 앨범에는 각 멤버들의 솔로 연주와 다양한 커버 곡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차트에서도 순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98년 라이브 음반 - Classics Live I and II Classics Live I and II는 에어로스미스의 라이브 음반으로, 1977년부터 1986년 사이의 공연 실황을 담아 1986년과 1987년에 각각 발매되었으며, 1998년에는 두 앨범을 합본한 Classics Live! Complete가 발매되었다.
1998년 라이브 음반 - Visions of Europe 스트라토바리우스의 라이브 앨범인 Visions of Europe는 1998년 Visions 투어 실황을 담아 핀란드 차트 6위를 기록했으며, 음악을 통해 유럽의 통합과 다양성을 상징한다.
드림 시어터의 음반 - 5 Years in a LIVEtime 드림 시어터의 라이브 비디오 앨범인 5 Years in a LIVEtime은 Burning My Soul, Cover My Eyes, Lie를 포함한 다양한 곡들의 라이브 공연 실황을 담고 있으며, 스톰 소거슨이 앨범 커버 디자인을 맡았다.
드림 시어터의 음반 - Images and Words: Live in Tokyo 《Images and Words: Live in Tokyo》는 드림 시어터가 1992년 앨범 발매 후 월드 투어 중 일본 도쿄 공연 실황을 담아 1993년에 발매한 라이브 앨범으로, 팬들의 열렬한 환대에 감동받아 발매를 결정했으며 대표곡 라이브 버전과 투어 에피소드를 담아 평론가와 팬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1998년 음반 - The Love Movement A Tribe Called Quest의 1998년 앨범 《더 러브 무브먼트》는 미니멀한 R&B와 재즈 사운드를 기반으로 사랑을 테마로 하며, 여러 아티스트의 피처링 참여, 발매 전 그룹 해체 발표, 상업적 성공, 골드 인증, 그래미상 후보 지명, 한국 힙합 영향, 표절 논란 등의 특징을 가진다.
1998년 음반 - 메구리아우 세카이 메구리아우 세카이는 1998년에 발매된 음반으로, 일본 데뷔 싱글 발매 쇼케이스에서 공개되었으며, 오리콘 주간 차트 최고 37위를 기록했다.
이 앨범은 총 2개의 디스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드림 시어터의 여러 앨범에 수록된 곡들과 멤버들의 솔로 연주 등을 라이브 버전으로 담고 있다. 디스크 1에는 12곡, 디스크 2에는 11곡이 수록되어 있다.
앨범의 수록곡은 실제 파리에서 열린 콘서트의 세트리스트를 기반으로 하지만, 일부 차이가 있다. 마이크 포트노이의 콘서트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4], 실제 공연에서는 앨범에 포함되지 않은 'A Clockwork Orange (Intro Tape)', 'Under a Glass Moon', 'The Way It Used to Be', 'Anna Lee', 'Speak to Me', 'Cover My Eyes' 등이 연주되었다. 또한, 'Burning My Soul'은 ''5 Years in a Livetime'' VHS/DVD에만 수록되었다.
콘서트에서는 레너드 스키너드의 'Freebird', 핑크 플로이드의 'Hey You', 'Have a Cigar', 엘튼 존의 'Goodbye Yellow Brick Road', 메탈리카의 'Enter Sandman' 등 다른 아티스트의 곡을 커버하거나 일부 삽입하여 연주하기도 했다.[4] 예를 들어, 'Take the Time' 연주 후 'Freebird' 커버로 이어졌고, 'Peruvian Skies' 중에는 'Have a Cigar'와 'Enter Sandman'의 일부가 연주되었다. 존 페트루치의 기타 솔로에는 Paradigm Shift와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왕벌의 비행 일부가 포함되기도 했다.[4]
이 라이브 앨범은 드림 시어터의 대표적인 곡 중 하나인 "A Change of Seasons"의 여러 부분으로 시작하고 마무리된다. 앨범의 첫 디스크는 "A Change of Seasons I: The Crimson Sunrise"와 "A Change of Seasons II: Innocence"로 시작하며, "A Change of Seasons IV: The Darkest of Winters"도 디스크 1에 포함되어 있다. 앨범은 디스크 2의 마지막 트랙인 "A Change of Seasons VII: The Crimson Sunset"으로 마무리된다. 이 곡들은 모두 동명의 EP ''A Change of Seasons''에 수록된 곡들의 일부이다.
3. 1. 2. Puppies on Acid
"Puppies on Acid"는 드림 시어터가 작곡한 연주곡이다.[1] 이 곡은 라이브 앨범 ''Once in a LIVEtime''의 첫 번째 디스크 세 번째 트랙으로 수록되었으며, 재생 시간은 1분 24초로 비교적 짧다.[1] 특정 정규 앨범에는 포함되지 않은 곡이다.[1] 실제 콘서트에서는 "A Change of Seasons II: Innocence" 다음에 연주되었다.[4]
3. 1. 3. Just Let Me Breathe
드림 시어터의 라이브 앨범 ''Once in a LIVEtime''의 디스크 1 네 번째 트랙이다. 원곡은 정규 앨범 ''Falling into Infinity''에 수록되어 있으며, 작사는 드러머 마이크 포트노이가 담당했다. 라이브 앨범에 수록된 버전의 길이는 5분 53초이다. 실제 파리 공연에서는 'Puppies on Acid' 다음에 연주되었다.[4]
3. 1. 4. Voices
'Voices'는 드림 시어터의 라이브 앨범 ''Once in a LIVEtime''의 첫 번째 디스크 5번 트랙으로 수록된 곡이다.[4] 이 곡의 원곡은 1994년 발매된 정규 앨범 ''Awake''에 실려 있으며, 기타리스트 존 페트루치가 작사를 담당했다. 라이브 앨범에 수록된 버전의 연주 시간은 10분 34초로, 원곡의 복잡한 구성과 긴 호흡을 라이브로 선보인다.
3. 1. 5. Take the Time
Images and Words 앨범에 수록된 곡으로, 드림 시어터의 초기 대표곡 중 하나로 꼽힌다. 라이브 앨범 ''Once in a LIVEtime''에서는 디스크 1의 6번 트랙으로 수록되었으며, 재생 시간은 12분 20초이다. 가사는 드림 시어터 멤버들이 공동으로 작사했다.
실제 콘서트에서는 이 곡 연주 후 레너드 스키너드(Lynyrd Skynyrd)의 'Freebird' 커버 곡으로 이어지는 형태로 연주되었다.[4]
3. 1. 6. 데릭 셰리니언 피아노 솔로
앨범 《Once in a LIVEtime》의 디스크 1에 수록된 7번째 트랙이다. 데릭 셰리니언이 작곡하고 연주한 키보드 솔로 연주곡으로[4], 연주 시간은 1분 54초이다. 이 곡은 드림 시어터의 정규 앨범에는 수록되지 않았으며, 이 라이브 앨범을 위해 연주되었다. 실제 콘서트에서는 'Piano Solo'라는 이름으로 연주되었으나[4], 앨범에는 '데릭 셰리니언 피아노 솔로'라는 제목으로 실렸다. 셰리니언의 뛰어난 키보드 연주 실력을 감상할 수 있는 트랙이다.
3. 1. 7. Lines in the Sand
드림 시어터의 라이브 앨범 ''Once in a LIVEtime''의 디스크 1 여덟 번째 트랙으로 수록된 곡이다. 원곡은 정규 앨범 ''Falling into Infinity''에 수록되어 있으며, 기타리스트 존 페트루치가 작사를 맡았다. 라이브 앨범에서의 곡 길이는 13분 13초이다. 실제 파리 공연 세트리스트에서는 데릭 셰리니언의 피아노 솔로 이후에 연주되었다.[4]
3. 1. 8. Scarred
'Scarred'는 드림 시어터의 라이브 앨범 ''Once in a LIVEtime''의 디스크 1에 수록된 9번째 트랙이다. 이 곡의 작사가는 기타리스트 존 페트루치이며, 원곡은 1994년에 발매된 앨범 ''Awake''에 수록되어 있다. 라이브 앨범에서의 곡 길이는 9분 27초이다.
3. 1. 9. Ytse Jam
'Ytse Jam'은 드림 시어터의 연주곡으로, 라이브 앨범 'Once in a LIVEtime'의 첫 번째 디스크 11번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곡의 길이는 4분 9초이다.
마이크 포트노이가 직접 작곡하고 연주한 드럼 솔로 곡이다. 이 연주곡은 Once in a LIVEtime 앨범의 첫 번째 디스크 12번 트랙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길이는 6분 59초이다. 마이크 포트노이의 뛰어난 드럼 연주 기량을 감상할 수 있는 트랙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 콘서트에서는 Ytse Jam 연주에 이어서 드럼 솔로가 포함된 형태로 연주되기도 했다.[4]
'Trial of Tears'는 드림 시어터의 라이브 앨범 ''Once in a LIVEtime''의 두 번째 디스크 첫 번째 트랙으로 수록된 곡이다.[4] 원곡은 정규 앨범 ''Falling into Infinity''에 포함되어 있으며, 작사는 베이시스트인 존 명이 맡았다. 라이브 앨범에서의 연주 시간은 14분 11초이다.
3. 2. 2. Hollow Years
''Once in a LIVEtime'' 앨범의 디스크 2 두 번째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원곡은 드림 시어터의 1997년 정규 앨범 ''Falling into Infinity''에 실려 있으며, 작사는 기타리스트 존 페트루치가 담당했다. 라이브 앨범에 수록된 버전의 길이는 7분 1초이다.
실제 파리 공연에서는 앨범 미수록곡인 'Anna Lee' 다음에 연주되었다.[4]
3. 2. 3. Take Away My Pain
라이브 앨범 ''Once in a LIVEtime''의 디스크 2 세 번째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원곡은 드림 시어터의 1997년 정규 앨범 ''Falling into Infinity''에 실린 곡이다. 작사는 기타리스트 존 페트루치가 담당했으며, 라이브 앨범에서의 곡 길이는 6분 16초이다. 이 곡은 앨범 녹음의 기반이 된 파리 콘서트의 실제 세트리스트에도 포함되었다.[4]
3. 2. 4. Caught in a Web
''Once in a LIVEtime'' 앨범의 디스크 2 네 번째 트랙으로 수록된 곡이다. 원곡은 드림 시어터의 1994년 앨범 ''Awake''에 수록되었다. 라이브 앨범에서의 재생 시간은 5분 16초이다. 작사는 보컬리스트 제임스 라브리에와 기타리스트 존 페트루치가 공동으로 담당했다. 이 곡은 앨범 발매 기념 투어의 실제 콘서트 세트리스트에도 포함되었다.[4]
3. 2. 5. Lie
드림 시어터의 라이브 앨범 ''Once in a LIVEtime''의 두 번째 디스크 5번 트랙으로 수록된 곡이다. 작사는 케빈 무어(Kevin Moore)가 맡았으며, 곡의 길이는 6분 45초이다. 원곡은 드림 시어터의 정규 앨범 ''Awake''에 실려 있다.
실제 파리 공연에서는 'Caught in a Web' 다음에, 'Peruvian Skies' 전에 연주되었다.[4]
3. 2. 6. Peruvian Skies
드림 시어터의 라이브 앨범 ''Once in a LIVEtime'' 디스크 2에 수록된 곡이다. 이 곡은 정규 앨범 ''Falling into Infinity''에 처음 수록되었으며, 기타리스트 존 페트루치가 작사를 담당했다. 라이브 앨범에 실린 버전의 길이는 7분 50초이다.
이 앨범의 디스크 2에 수록된 연주곡으로, 존 페트루치가 작곡하였다. 곡의 길이는 8분 6초이다. 이 솔로 연주는 존 페트루치의 뛰어난 기타 연주 실력을 감상할 수 있는 트랙으로 평가받는다. 실제 콘서트에서는 이 솔로 연주 중에 Paradigm Shift와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왕벌의 비행 일부를 연주하기도 했다.[4]
3. 2. 8. Pull Me Under
드림 시어터의 대표곡 중 하나로 꼽히는 곡이다.[4] 원곡은 1992년 발매된 앨범 ''Images and Words''에 수록되었으며, 이 라이브 앨범 ''Once in a LIVEtime''에서는 디스크 2의 8번째 트랙으로 실렸다. 라이브 버전의 길이는 8분 15초이며, 가사는 당시 키보디스트였던 케빈 무어가 작성했다. 실제 파리 공연에서는 본 공연의 마지막 곡으로 연주되었다.[4]
3. 2. 9. Metropolis—Part I: "The Miracle and the Sleeper"
라이브 앨범 ''Once in a LIVEtime''의 두 번째 디스크 아홉 번째 트랙으로 수록된 곡이다. 원곡은 드림 시어터의 1992년 정규 앨범 ''Images and Words''에 담겨 있다. 기타리스트 존 페트루치가 가사를 썼으며, 라이브 앨범에 실린 버전의 연주 시간은 6분 16초이다.
드림 시어터(Dream Theater)의 정규 2집 앨범 ''Images and Words''에 수록된 곡이다. 라이브 앨범 ''Once in a LIVEtime''의 디스크 2에서는 10번째 트랙으로 수록되었으며, 길이는 4분 13초이다. 가사는 베이시스트 존 명(John Myung)이 썼다. ''Once in a LIVEtime'' 앨범 녹음 당시 파리 공연의 실제 세트리스트에서는 앙코르 곡으로 연주되었다.[4]
4. 커버 및 트리뷰트
이 라이브 앨범에는 드림 시어터 멤버들이 다른 아티스트들의 음악을 연주하며 경의를 표하는 여러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4] 앨범 전반에 걸쳐 다양한 곡에서 커버 및 트리뷰트 연주를 들을 수 있는데,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John Petrucci Guitar Solo"에는 포트노이와 페트루치가 멤버로 있는 프로그레시브 록슈퍼그룹인 Liquid Tension Experiment의 곡 "Paradigm Shift" 일부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페트루치 자신의 곡인 "Gemini"(이후 솔로 앨범 Terminal Velocity에 수록됨)와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Flight of the Bumblebee" 일부도 연주되었다.[4]
4. 9. Gemini (John Petrucci)
라이브 앨범 ''Once in a LIVEtime''에 수록된 "John Petrucci Guitar Solo"에는 기타리스트 존 페트루치가 작곡한 곡 "Gemini"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다. 이 곡은 당시에는 미발매 상태였으나, 이후 존 페트루치의 두 번째 솔로 앨범인 Terminal Velocity에 정식으로 수록되었다. 해당 기타 솔로에는 "Gemini" 외에도 Liquid Tension Experiment의 "Paradigm Shift"와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클래식 곡 "Flight of the Bumblebee"의 일부 연주도 포함되어 있다.
4. 10. Flight of the Bumblebee (Nikolai Rimsky-Korsak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