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토 색소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토 색소폰은 대부분 B♭₃에서 F₆(또는 F♯₆) 음역을 가지는 조옮김 악기로, 실제 음높이는 표기된 음보다 장6도 낮게 들린다. 재즈, 클래식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사용되며, 찰리 파커, 캐넌볼 애덜리, 클로드 드랑글 등이 대표적인 연주자이다. 알토 색소폰은 오케스트라, 피아노, 관악 합주단과 함께 연주되는 곡들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클래식 독주 레퍼토리를 가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연주자들이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토 색소폰 | |
|---|---|
| 악기 정보 | |
![]() | |
| 종류 | 색소폰 |
| 조 | 내림 마(E♭)조 |
| 음역 | 내림 마(E♭)조로 기보 (실제 음은 장6도 아래) |
| 특징 | 대부분의 전문가용 모델은 높은 바장조(F♯) 키를 가지고 있음. 알티시모 운지법을 사용하여 더 높은 음을 낼 수 있음. |
2. 음역
알토 색소폰의 표준적인 음역은 B♭₃부터 F₆(혹은 F♯₆)까지이다.[6] 그보다 높은 Altissimo|알티시모영어 음역은 F♯₆(혹은 G₆)부터 시작한다.
2. 1. 음높이
대부분의 색소폰과 마찬가지로 알토 색소폰의 표기 음역은 B♭₃에서 F₆(또는 F♯₆)이며,[1] 고음(알티시모) 음역은 F♯₆(또는 G₆)에서 시작된다. 색소폰의 고음 음역은 다른 목관악기보다 조절하기 어렵고 보통 상급 연주자에게만 기대된다. 고음 음역의 명확한 상한선은 없다.알토 색소폰은 조옮김 악기로, 실제로 들리는 음높이는 표기된 음보다 장6도 낮다. 실제 음높이로는 알토 색소폰의 음역은 D♭₃(중앙 C 바로 아래의 D♭ — 과학적 음높이 표기법 참조)에서 A♭₅(또는 높은 F♯ 키가 있는 알토 색소폰의 경우 A₅)이다. 필요에 따라 벨에 발을 덮어 음역을 C₃까지 확장할 수도 있다.[5]
일부 희귀한 알토 색소폰, 예를 들어 일부 셀머 마크 VI 모델은 바리톤 색소폰과 유사하게 한 음 낮은 A까지 음역을 확장하도록 키가 설계되었다.[2][3]
2. 2. 알티시모 음역
대부분의 색소폰과 마찬가지로 알토 색소폰의 표기 음역은 B♭₃에서 F₆(또는 F♯₆)이며,[1] 고음(Altissimo|알티시모영어) 음역은 F♯₆(또는 G₆)에서 시작된다. 색소폰의 고음 음역은 다른 목관악기보다 조절하기 어렵고 보통 상급 연주자에게만 기대된다. 고음 음역의 명확한 상한선은 없다.3. 알토 색소폰 연주자
색소폰 연주자 목록 문서 참고.
| 재즈 | 클래식 | 카르나틱 음악 |
|---|---|---|
| 찰리 파커, 캐넌볼 애덜리, 조니 호지스, 소니 스티트, 폴 데스몬드, 베니 카터, 오넷 콜먼, 리 코니츠, 바비 왓슨, 에릭 돌피, 마셜 앨런, 아트 페퍼, 줄리어스 햄필, 올리버 레이크, 앤서니 브랙스턴, 헨리 스레드길, 칼로스 워드, 데이비드 샌본, 데이브 코즈, 톰 스콧, 파키토 디리베라, 존 존, 팀 번, 스티브 윌슨, 스티브 콜먼, 그렉 오즈비, 빈센트 헤링, 마크 그로스, 케니 개럿, 제프 코핀 등 | 팀 맥앨리스터, 장이브 푸르모, 로렌스 그워즈드, 도널드 신타, 하비 피텔, 래리 틸, 케네스 츠, 아르노 본캄프, 해리 화이트, 오티스 머피, 클로드 델랑글 등 | 카드리 고팔나트, 루드레시 마한탑파[4] |
- 변경 사항
- 카르나틱 음악 연주자 목록에 루드레시 마한탑파를 추가하고, 각주를 이동했습니다. (하위 섹션 '재즈'에 이미 포함되어 있지만, 카르나틱 음악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중복 기재)
- 하위섹션과 겹치는 연주자 목록을 간결하게 수정하였습니다.
3. 1. 재즈

주목할 만한 재즈 알토 색소폰 연주자로는 찰리 파커, 캐넌볼 애덜리, 조니 호지스, 소니 스티트, 폴 데스몬드, 베니 카터, 오넷 콜먼, 리 코니츠, 바비 왓슨, 에릭 돌피, 마셜 앨런, 아트 페퍼, 줄리어스 햄필, 올리버 레이크, 앤서니 브랙스턴, 헨리 스레드길, 칼로스 워드, 데이비드 샌본, 데이브 코즈, 톰 스콧, 파키토 디리베라, 존 존, 팀 번, 스티브 윌슨, 스티브 콜먼, 그렉 오즈비, 빈센트 헤링, 마크 그로스, 케니 개럿, 제프 코핀 등이 있다.
루드레시 마한탑파는 알토 색소폰을 통해 재즈와 카르나틱 음악의 요소들을 결합한다.[4]
3. 2. 클래식
팀 맥앨리스터(Tim McAllister), 장이브 푸르모(Jean-Yves Fourmeau), 로렌스 그워즈드(Lawrence Gwozdz), 도널드 신타(Donald Sinta), 하비 피텔(Harvey Pittel), 래리 틸(Larry Teal), 케네스 츠(Kenneth Tse), 아르노 본캄프(Arno Bornkamp), 해리 화이트(Harry White (saxophonist)), 오티스 머피(Otis Murphy), 클로드 델랑글(Claude Delangle) 등이 주목할 만한 클래식 알토 색소폰 연주자이다.3. 3. 한국의 연주자
제공된 소스 문서에는 한국의 알토 색소폰 연주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으므로, '한국의 연주자' 섹션에 작성할 내용은 없습니다.4. 제조사
뷔페 크람퐁(Buffet Crampon), KHS/주피터, 콘-젤머(Conn-Selmer), 젤머 파리, 야마하, 르블랑(Leblanc)/비토, 카일베르트(Keilwerth), 캐논볼, P. 모리아, 야나기사와가 현재 알토 색소폰을 생산하고 있다.
새 알토 색소폰의 가격대는 저품질 학생용 모델의 경우 3만엔대부터 전문가용 악기는 80만엔을 넘는 것까지 있다.
5. 클래식 음악 레퍼토리
알토 색소폰은 클래식 음악에서 독주 악기뿐만 아니라 관악 합주단, 색소폰 4중주단, 오케스트라 등 다양한 편성에서 활용된다.
알렉산더 글라주노프는 1932년에 B♭장조 색소폰 4중주곡을 작곡하여 색소폰 4중주 편성의 발전에 기여했다.
이 외에도 마이클 티펫은 1989년 오페라 《새해》에서, 토니 뱅크스는 2012년 앨범 《오케스트라를 위한 여섯 개의 작품》의 첫 번째 트랙에서 알토 색소폰을 위한 특징적인 부분을 작곡했다. 이고르 스트라빈스키는 《에보니 협주곡》에서 두 대의 알토 색소폰을 사용했다.
5. 1. 주요 독주곡
알토 색소폰은 오케스트라, 피아노, 관악 합주단과 함께 연주되는 곡들을 포함하여 방대한 클래식 독주 레퍼토리를 가지고 있다. 주요 독주곡으로는 자크 이베르의 《실내 협주곡》과 알렉산더 글라주노프의 《E♭장조 색소폰 협주곡》이 있다.알토 색소폰은 관악 합주단과 색소폰 4중주단의 표준 편성에 포함된다. 알렉산더 글라주노프는 1932년에 B♭장조 색소폰 4중주곡을 작곡했다.
알토 색소폰은 때때로 오케스트라 음악에도 사용된다. 알토 색소폰이 등장하는 곡은 다음과 같다.
- 조르주 비제 - 《아를르의 여인》 제2 모음곡의 "간주곡"과 "미뉴에트"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 《가정 교향곡》 (알토 색소폰(F조)을 포함한 네 대의 색소폰 파트)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다양한 오케스트라를 위한 모음곡》 ("왈츠 2번"에서 중요한 독주), 《재즈 오케스트라를 위한 모음곡 제1번》, 《재즈 오케스트라를 위한 모음곡 제2번》
- 모리스 라벨 - 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의 《전람회의 그림》 관현악 편곡 ("늙은 성"에서 독주)
- 알반 베르크 - "포도주", 《룰루》, 《바이올린 협주곡》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교향적 무곡》 제1악장 (독주)
- 조지 거슈윈 - 《랩소디 인 블루》, 《파리의 미국인》
- 피에르 불레즈 - 《겹겹이》 (2대의 알토 색소폰)
- 벤자민 브리튼 - 《진혼 교향곡》, 《파고다의 왕자》
- 레너드 번스타인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의 교향적 무곡
- 뱅상 댕디 - 《페르발》 (두 대의 알토 색소폰)
- 다리우스 밀호 - 《세계의 창조》 (비올라 자리에 배치)
- 앨런 페테르손 - 16번 교향곡
-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 - 《루앙의 악마들》 (두 대의 알토 색소폰)
- 아람 하차투리안 - 《가야네》
- 폴 루더스 - 《조각으로 이루어진 협주곡》 (중요한 독주 부분)
- 에릭 코츠 - 《색소폰 랩소디》 (1936년)
- 클로드 드뷔시 - 《색소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랩소디》
- 폴 크레스톤 - 알토 색소폰을 위한 협주곡, 피아노와 함께하는 소나타, 오르간과 함께하는 랩소디, 색소폰 4중주를 위한 모음곡
- 로널드 빙 - E♭장조 알토 색소폰 협주곡 (1956)
- 앨런 호바네시안 - 《생존이 있을까?》(《바하켄 왕》), 《꽃피는 복숭아》
- 벨라 바르토크 - 《나무 왕자》 (테너와 바리톤 색소폰도 함께)
- 마이클 티펫 - 《새해》 (1989년, 소프라노, 테너, 바리톤 색소폰도 함께)
- 토니 뱅크스 - 《오케스트라를 위한 여섯 개의 작품》 (2012년) 첫 번째 트랙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에보니 협주곡》 (두 대의 알토 색소폰, 두 대의 테너 색소폰과 한 대의 바리톤 색소폰)
5. 2. 오케스트라 작품
알토 색소폰은 오케스트라 음악에서 종종 사용된다. 알토 색소폰이 사용된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작곡가 | 작품명 | 비고 |
|---|---|---|
| 조르주 비제 | 《아를르의 여인》 제2 모음곡 | "간주곡", "미뉴에트" |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 《가정 교향곡》 | F조 알토 색소폰 포함 4대의 색소폰 파트 |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다양한 오케스트라를 위한 모음곡》, 《재즈 오케스트라를 위한 모음곡 제1번》, 《재즈 오케스트라를 위한 모음곡 제2번》 | "왈츠 2번"에서 독주 |
| 모리스 라벨 | 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의 《전람회의 그림》 관현악 편곡 | "늙은 성"에서 독주 |
| 알반 베르크 | 《포도주》, 《룰루》, 《바이올린 협주곡》 | |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교향적 무곡》 | 제1악장에서 독주 |
| 조지 거슈윈 | 《랩소디 인 블루》, 《파리의 미국인》 | |
| 피에르 불레즈 | 《겹겹이》 | 2대의 알토 색소폰 |
| 벤자민 브리튼 | 《진혼 교향곡》, 《파고다의 왕자》 | |
| 레너드 번스타인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교향적 무곡 | |
| 뱅상 댕디 | 《페르발》 | 2대의 알토 색소폰 |
| 다리우스 미요 | 《세계의 창조》 | 비올라 자리에 배치 |
| 앨런 페테르손 | 16번 교향곡 | |
|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 | 《루앙의 악마들》 | 2대의 알토 색소폰 |
| 아람 하차투리안 | 《가야네》 | |
| 폴 루더스 | 《조각으로 이루어진 협주곡》 | 독주 부분 |
| 에릭 코츠 | 《색소폰 랩소디》 (1936) | |
| 클로드 드뷔시 | 《색소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랩소디》 | |
| 폴 크레스톤 | 알토 색소폰을 위한 협주곡, 소나타, 랩소디, 색소폰 4중주를 위한 모음곡 | |
| 로널드 빙 | E♭장조 알토 색소폰 협주곡 (1956) | |
| 앨런 호바네시안 | 《생존이 있을까?》(《바하켄 왕》), 《꽃피는 복숭아》 | |
| 벨라 바르토크 | 《나무 왕자》 | 테너, 바리톤 색소폰과 함께 |
| 마이클 티펫 | 《새해》 (1989) | 소프라노, 테너, 바리톤 색소폰과 함께 |
| 토니 뱅크스 | 《오케스트라를 위한 여섯 개의 작품》 (2012) | 첫 번째 트랙 |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에보니 협주곡》 | 2대의 알토 색소폰, 2대의 테너 색소폰, 1대의 바리톤 색소폰 |
5. 3. 색소폰 4중주
알렉산더 글라주노프는 1932년에 B♭장조 색소폰 4중주곡을 작곡했다. 이는 색소폰 4중주를 위한 표준 편성이 되었다.참조
[1]
웹사이트
Range of the Alto Saxophone
http://library.think[...]
Library.thinkquest.org
2011-01-18
[2]
웹사이트
The Selmer Mark VI
http://saxpics.com/m[...]
USA Vintage Horn Corp
2023-03-06
[3]
웹사이트
Couesnon Low A alto, the OTHER low A alto
https://www.stohrerm[...]
2023-03-06
[4]
웹사이트
Rudresh Mahanthappa: Getting To Know Who I Am
https://newmusicusa.[...]
2024-01-06
[5]
웹사이트
Playing Notes Lower Than Low Bb
https://www.saxonthe[...]
2022-04-03
[6]
웹사이트
Range of the Alto Saxophone
http://library.think[...]
Library.thinkquest.org
2011-0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