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Z-45 자주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LZ-45 자주포는 1980년대 후반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개발되어 1990년대 중반 실전 배치된 155mm 궤도형 자주포이다. 중국은 83식 152mm 자주포의 한계를 극복하고 서방의 기술을 도입하려 했으나 실패하여 자체 개발을 추진, PLL-01 155mm 곡사포를 기반으로 PLZ-45를 개발했다. PLZ-45는 다양한 포탄 운용과 레이저 유도 발사체 사용으로 정밀 타격 능력을 갖추었으며, 3km에서 최대 20km의 사거리를 가진다. 사격 통제 장치, 525마력 디젤 엔진, 방호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3개 포병 대대로 구성된 대대급 운용이 가능하다. 155mm 45구경 주포, 부무장, 연막탄 발사기 등을 탑재하며, 파키스탄, 모로코, 쿠웨이트 등에서 운용 중이며, 사우디 아라비아의 예멘 내전 개입에 실전 투입된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자주포 - PLZ-05 자주포
PLZ-05 자주포는 중국이 개발하여 인민해방군 포병의 주력으로 운용되는 155mm 자주포로, 자동 장전 시스템과 사거리 연장탄, 정밀 유도 포탄을 사용하여 사거리를 늘릴 수 있으며 다양한 개량형이 존재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자주포 - 웨이스 로켓
웨이스 로켓은 중국에서 개발된 다양한 사거리와 탄두의 다연장 로켓 시스템으로, 지상군 화력 지원, 대함 및 대잠 공격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여러 국가에 수출되고 지속적으로 개량되고 있다.
PLZ-45 자주포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자주포 |
원산지 | 중국 |
사용 | 운용국 참고 |
사용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알제리 |
전쟁 | 예멘 내전 (2014년~현재) |
설계 | 노린코 |
설계 시기 | 1980년대 ~ 1990년대 초 |
제작사 | 노린코 |
생산 시기 | 1997년 |
대당 가격 | 미화 710만 달러 |
제원 | |
중량 | 33톤 |
길이 | 10.5m |
폭 | 3.3m |
높이 | 2.6m (대공 기관총 포함) |
승무원 | 5명 |
구경 | 155mm |
포신 | PLL-01 곡사포 |
최대 발사 속도 | 분당 5발 |
지속 발사 속도 | 분당 2발 |
사거리 | (고폭탄) 24km, (ERFB) 30km, (ERFB-HB-BB) 39km |
포탑 회전 각도 | 360° |
장갑 | 소화기 사격 및 포탄 파편 방호 |
부무장 | 12.7mm 중기관총, 4연장 수류탄 발사기 2세트 |
엔진 | Deutz 터보차저 공랭식 디젤 엔진 |
마력 대 중량비 | 15 마력/톤 |
현가 장치 | 비틀림 막대 |
항속 거리 | 550km |
최고 속도 | 55km/h (도로) |
2. 역사
오스트리아 푀스트알피네의 자회사인 노리쿰은 우주연구공사로부터 GC-45 곡사포의 설계 권리를 구매하여 이를 개량한 '''GHN-45'''(Gun, Howitzer, Noricum)를 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 캐나다의 포병 공학자 제럴드 불이 중국 측과 접촉하게 되었다.[3]
중국 인민해방군(PLA)은 노리쿰의 기술을 도입하여 1987년에 PLL-01 견인포를 개발하고 실전 배치하였다.[4][5] 이후 중국은 이 PLL-01의 포신과 자체적으로 설계한 궤도형 차체를 결합하여 PLZ-45(Type 88 자주포라고도 알려짐)를 개발하였으며, 동일한 차체를 기반으로 하는 탄약 운반차도 함께 생산했다.
PLZ-45는 155mm 구경을 사용하여 기존 중국 포병의 표준인 152mm 탄약과 호환되지 않았기 때문에, 중국 인민해방군 내부에서 주력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지는 않았다. 대신 PLZ-45는 쿠웨이트와 사우디아라비아 등 해외 국가에 수출되었다.
2. 1. 개발 배경
오스트리아 푀스트알피네의 자회사인 노리쿰은 우주연구공사가 브뤼셀로 이전한 후 GC-45 곡사포의 설계 권리를 구매했다. 노리쿰은 대량 생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계를 일부 수정하고, APU 및 사격 통제 장치와 같은 다양한 옵션을 추가하여 '''GHN-45'''(Gun, Howitzer, Noricum) 곡사포를 개발했다. 캐나다의 포병 공학자 제럴드 불은 이 과정에서 중국과 접촉하게 되었다.[3]중국 인민해방군(PLA)은 노리쿰 버전의 기술을 도입하여 1987년에 PLL-01 견인포를 개발하고 실전 배치했다.[4][5] 이후 중국은 PLL-01의 포신과 자체적으로 설계한 궤도형 차체를 결합하여 PLZ-45(Type 88 자주포라고도 알려짐)를 개발했다. 또한 PLZ-45와 동일한 차체를 기반으로 하는 탄약 운반차도 함께 생산했다. PLZ-45는 155mm 구경을 사용하여 기존 중국 포병의 표준인 152mm 탄약과 호환되지 않았기 때문에, 중국 인민해방군 내부에서 주력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지는 않았다. 대신 PLZ-45는 쿠웨이트와 사우디아라비아에 수출되었다.
2. 2. PLL-01 개발
푀스트알피네의 자회사인 노리쿰은 우주연구공사로부터 GC-45 곡사포의 설계 권리를 획득했다. 노리쿰은 이를 바탕으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일부 설계를 변경하여 '''GHN-45'''(Gun, Howitzer, Noricum)를 개발했다. GHN-45는 APU나 사격 통제 장치 등 다양한 선택 사양을 갖추고 있었다. 한편, GC-45 개발에 관여했던 제럴드 불은 출소 후 중국과 접촉하였다.[3]중국 인민해방군(PLA)은 노리쿰의 GHN-45 설계를 이용하여 PLL-01 155mm 견인 곡사포를 개발했으며, 1987년부터 실전 배치하기 시작했다.[4][5] 중국은 또한 PLL-01을 기반으로 자체 설계한 궤도형 차체에 포를 탑재하여 PLZ-45(Type 88로도 알려짐) 자주포와 관련 탄약 운반차를 개발했다.
2. 3. PLZ-45 개발
중국 인민해방군(PLA)은 노리쿰이 GC-45 곡사포 설계를 기반으로 개량한 버전을 활용하여 1987년에 PLL-01 견인포를 생산하고 실전 배치했다.[4][5] 이후 중국은 이 PLL-01을 기반으로 하여 자체적으로 설계한 궤도형 섀시에 포를 탑재한 형태의 PLZ-45(88식 자주포라고도 불림)를 개발했다. 또한, PLZ-45와 동일한 섀시를 기반으로 하는 탄약 운반차도 함께 생산되었다.PLZ-45는 개발되었으나, 당시 중국군 포병 부대가 주로 소련 표준의 152mm 포탄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인민해방군 내에서 주력 장비로 널리 배치되지는 않았다. 대신 PLZ-45는 해외 수출에 중점을 두어 쿠웨이트와 사우디 아라비아에 판매되었다.
3. 설계
PLZ-45는 중국의 노린코(Norinco)가 개발한 155mm 자주포 시스템이다. 수출 시장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으며, 서방의 155mm 포탄과 호환되는 45구경장 주포를 채택했다. 이 자주포는 반자동 장전 시스템을 갖추어 다양한 각도에서 포탄 장전이 가능하며, 포탑은 360도 회전 및 넓은 고각 범위를 가진다.[2] 부무장으로는 W85 중기관총과 연막탄 발사기를 장착하고 있다.
PLZ-45는 고폭탄, 베이스 블리드탄, 조명탄, 연막탄 등 다양한 종류의 장사정 포탄(ERFB)을 운용할 수 있으며, 특히 러시아의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한 레이저 유도 포탄을 사용하여 정밀 타격 능력을 갖추었다.[2][14] 사격 통제 시스템에는 자동 포신 방위각 설정, 광학 조준기, 항법 장치, GPS 수신기 등이 포함되어 작전 효율성을 높였다.[2][14]
차체는 85식 장갑차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소화기 사격과 포탄 파편으로부터 승무원을 보호할 수 있는 기본적인 장갑 방호력을 갖추고 있다. 또한 NBC 방호 시스템과 자동 소화 장치가 탑재되어 생존성을 향상시켰다.[2] 도이츠 사의 터보차저 디젤 엔진을 사용하여 기동성을 확보했으며, 포병대대 단위로 운용될 때는 탄약 보급 차량, 지휘 차량, 정찰 차량 등 다양한 지원 차량과 함께 편성된다.[6][14]
3. 1. 무장
PLZ-45는 155mm 45구경 주포를 장착하고 있다. 이 주포는 반자동 장전 장치와 전동식 및 유압식 램을 갖추고 있으며, 포탄을 수동으로 장전하는 방식으로 어떤 각도에서도 장전이 가능하다. 포탑은 위로는 +72도, 아래로는 -3도까지 고각 조절이 가능하며 360도 회전한다.[2]부무장으로는 포탑 상부에 W85 중기관총 1정이 장착되어 있고, 포탑 측면에는 2개의 4연장 연막탄 발사기가 있다.
탄약은 포탑 후면에 보관하며, 곡사포탄 30발과 기관총탄 480발을 탑재한다. 곡사포탄 30발 중 24발은 탄약 적재 장치에, 나머지 6발은 탄약 적재 장치 아래 오른쪽에 적재된다.
사격 통제 장치에는 자동 포신 방위각 설정 시스템, 광학 조준 시스템, 포신 방향 설정 장치, 항법 장치, 그리고 GPS 수신기가 포함되어 있다.[2][14]
3. 2. 탄약

PLZ-45 자주포는 고폭탄(ERFB/HE), 베이스 블리드 고폭탄(ERFB-BB/HE), ERFB-BB/RA, ERFB/WP, ERFB/조명탄, ERFB/연막탄, ERFB-BB/카고 등 다양한 장사정 완전구경(ERFB, Extended Range Full Bore) 탄약을 발사할 수 있다.[2][14]
중국은 1990년대에 러시아의 크라스노폴 레이저 유도 발사체 기술을 획득하여, 이를 바탕으로 자체적인 155mm 레이저 유도 탄약을 성공적으로 개발했다. 이 탄약은 장갑차량이나 견고한 무기 진지를 파괴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관성 중간 유도 방식과 반능동 레이저 호밍 방식을 사용하여 목표물을 정밀하게 타격한다. 발사체의 유효 사거리는 3km에서 20km에 이르며, 첫 발사로 목표물을 명중시킬 수 있는 높은 정확도를 가진다.[2][14]
3. 3. 전투
표준 PLZ-45 대대는 3개의 포병대대로 구성된다. 각 포병대대는 6문의 PLZ-45 자주포(SPH)와 6대의 PCZ-45 탄약 지원 차량(ASV)을 갖춘다. 또한, 각 포대는 포대 지휘소 1대와 포대 정찰 차량(BRV) 3대를 보유하며, 이 차량들은 모두 85식 장갑차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이들 전투 부대는 W653A 장갑 구난 차량, 704-1 포병 위치 탐지 및 사격 보정 레이더, 702-D 기상 레이더, 화력 지원 정비 차량 등의 지원을 받는다.[14]3. 4. 추진
PLZ-45 자주포는 525마력의 도이츠 터보차저 공랭식 디젤 엔진으로 구동되며, 최대 55km/h의 속도를 낼 수 있다.[6]3. 5. 장갑 및 방호
PLZ-45 자주포의 장갑은 소화기 사격과 포탄 파편으로부터 방호 능력을 제공한다. NBC 방호 및 자동 소화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2]4. 실전 역사
PLZ-45 자주포는 2015년 예멘 내전에서 처음으로 실전에 사용되었다. 사우디 아라비아군은 사우디 아라비아 주도 예멘 군사 개입 작전 중 후티 반군을 공격하기 위해 이 자주포를 운용했으며[7][8], 이후 쿠웨이트도 사우디아라비아를 지원하기 위해 포병 대대를 파견했다.[9]
4. 1. 사우디 아라비아의 예멘 내전 개입
2015년 4월, 사우디 아라비아군은 예멘 내전 중 사우디 아라비아 주도 예멘 군사 개입 작전의 일환으로 사우디 아라비아-예멘 국경을 따라 후티 반군을 공격하기 위해 PLZ-45를 사용했다.[7] 이는 PLZ-45 자주포가 실제 전투에서 사용된 첫 번째 기록이다.[8] 2015년 말, 쿠웨이트는 후티 반군에 맞서는 사우디 동맹군을 지원하기 위해 포병 대대를 사우디 아라비아로 보냈다.[9]4. 2. 쿠웨이트의 사우디 아라비아 지원
2015년 말, 쿠웨이트는 사우디 아라비아 동맹국이 후티 반군에 대항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포병 대대를 사우디 아라비아에 파견했다.[9]5. 운용 국가
PLZ-45 자주포는 개발국인 중국 외에도 여러 국가에 수출되어 운용되고 있다. 주요 운용 국가는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5. 1. 현재 운용 국가

- 알제리: 50대가 인도되었다.[7] 2014년에 처음으로 확인되었다.[10]
- 중국: 중국 인민해방군에서 운용한다.[11]
- 에티오피아: 1999년에 18대가 인도되었다.[12]
- 쿠웨이트: 총 51문을 운용한다. 1998년에 27문(훈련 소대 및 제1대대용)을 주문하여 2000년에서 2001년 사이에 인도받았고,[13][18] 2001년에 추가로 24문(제2대대용)을 주문하여 2002년에서 2003년 사이에 인도받았다.[13][18]
- 사우디아라비아: 총 54문을 운용한다. 2007년 사우디아라비아 육군이 2개 대대 분량(54문) 도입을 결정했다는 보도가 있었다.[14] 2008년 8월, 중국은 사우디아라비아와 1개 대대(27문) 분량의 PLZ-45 공급 계약을 체결했고,[15][16] 한 달 뒤 추가로 1개 대대(27문)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17] 도입은 2008년에서 2009년 사이에 이루어졌다.[18]
5. 2. 잠재 운용 국가
참조
[1]
웹사이트
China Upgrades Self-Propelled Artillery
http://www.strategyp[...]
2010-07-25
[2]
웹사이트
PLZ45 155-mm Self-Propelled Howitzer
http://www.military-[...]
null
[3]
뉴스
THE GUNS OF SADDAM
https://www.washingt[...]
1991-02-10
[4]
간행물
A general survey of recent artillery developments; refurbishment is the order of the day
http://www.thefreeli[...]
1989-08-01
[5]
웹사이트
PLL01 155mm Gun-Howitzer
http://www.sinodefen[...]
2008-03-28
[6]
웹사이트
PLZ-45 self-propelled artillery
https://man.fas.org/[...]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1999-08-21
[7]
웹사이트
Saudi Arabia armed forces use Chinese-made PLZ45 155mm howitzer to fight rebels in Yemen 2604152
https://www.armyreco[...]
2015-04-26
[8]
간행물
Saudis Use Chinese-made Cannons in Yemen
http://www.popsci.co[...]
2015-04-21
[9]
뉴스
Kuwait to send troops to Saudi Arabia to fight Yemen rebels - newspaper
https://www.reuters.[...]
Reuters
2015-12-29
[10]
웹사이트
Algeria acquires Chinese artillery; evaluating UAVs
https://www.defencew[...]
2014-01-27
[11]
간행물
China details latest PLZ52 155 mm self-propelled artillery system
http://www.janes.com[...]
2012-10-18
[12]
웹사이트
arms
http://armstrade.sip[...]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null
[13]
웹사이트
Artillery Article Index - November 24, 2001
http://www.strategyp[...]
2001-11-24
[14]
웹사이트
PLZ45 155mm Self-Propelled Gun-Howitzer
http://www.sinodefen[...]
2008-10-01
[15]
뉴스
China to export guns to Saudi Arabia
http://www.kanwa.com[...]
2008-08-11
[16]
뉴스
China wins key Saudi artillery contract
http://www.upi.com/B[...]
United Press International
2008-08-07
[17]
웹사이트
Chinese Guns Conquer Arabia
http://www.strategyp[...]
2008-08-15
[18]
웹사이트
Trade Registers
http://armstrade.sip[...]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null
[19]
서적
China and the Middle East: From Silk Road to Arab Spring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