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I (투자지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RSI(Relative Strength Index, 상대 강도 지수)는 주가 변동의 강도를 나타내는 기술적 분석 지표이다. 일정 기간 동안 주가 상승분과 하락분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과매수 또는 과매도 여부를 판단한다. RSI는 0에서 100 사이의 백분율 값으로 표시되며, 일반적으로 70 이상은 과매수, 30 이하는 과매도 국면으로 해석한다. RSI는 계산 방법, 활용 방법, 다이버전스 분석, 실패 스윙, 지지/저항선, 다른 지표와의 관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주식 시장에서 보조 지표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자 - 신흥 시장
신흥 시장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 과도기 국가들의 시장을 지칭하는 복합적 개념으로, 빠른 경제 성장과 산업화를 특징으로 하지만 불균형, 환경 문제, 정치적 불안정 등의 과제도 안고 있어 투자 및 무역 관점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용어 정의와 적용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투자 - 투자 전략
투자 전략은 투자 목표 달성을 위해 개인의 위험 감수 수준, 투자 기간, 자본 규모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체계적인 계획으로, 소극적 투자와 적극적 투자 등 다양한 전략이 존재하며, 신중한 결정과 장기적인 계획 및 위험 관리가 필요하다.
RSI (투자지표) | |
---|---|
기술적 분석 지표 | |
유형 | 모멘텀 오실레이터 |
개발자 | J. 웰스 와일더 주니어 |
발표 시기 | 1978년 |
기간 | 14 (일반적) |
범위 | 0에서 100까지 |
과매수 | 70 이상 (일반적) |
과매도 | 30 이하 (일반적) |
사용법 | 과매수 및 과매도 조건 식별 다이버전스 식별 추세 강도 확인 |
관련 지표 | 상대 강도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 MACD |
2. 개념
RSI(Relative Strength Index|상대강도지수영어)는 기술적 분석에서 가격 변동의 속도와 변화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모멘텀 지표이다. 일정 기간 동안 주가가 전일 가격에 비해 상승한 변화량과 하락한 변화량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그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낸다. 이를 통해 상승 변화량이 크면 과매수 가능성을, 하락 변화량이 크면 과매도 가능성을 판단하는 데 활용된다.
이 지표는 J. 웰스 와일더 주니어(J. Welles Wilder Jr.)가 개발했으며[1], 일반적으로 14일을 기준으로 계산할 것을 권장했다. RSI는 스토캐스틱과 유사한 지표로 분류되기도 한다.
2. 1. 계산 방법
RSI는 일정 기간 동안 주가가 전일 가격에 비해 상승한 변화량과 하락한 변화량의 평균값을 구하여, 상승한 변화량이 크면 과매수로, 하락한 변화량이 크면 과매도로 판단하는 방식이다.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주어진 기간(n) 동안 매일의 가격 변화를 계산한다.
# 상승분(U)과 하락분(D) 계산각 거래 기간마다 가격이 전일 종가보다 상승했는지 하락했는지에 따라 상승분(U, Up) 또는 하락분(D, Down)을 계산한다.
- 가격이 상승한 경우:
:
:
- 가격이 하락한 경우:
:
:
- 가격 변동이 없는 경우: U와 D 모두 0이다. U와 D는 항상 0 또는 양수 값을 가진다.
# U와 D의 평균 계산 (AU, AD)계산된 U값과 D값 각각의 평균을 구한다. 이때 주로 기간 n의 스무딩 이동 평균(SMMA 또는 MMA)을 사용한다. 이는 지수 평활법 이동 평균의 한 형태로, 평활 계수 α는 1/n이다.
- 와일더(Wilder)가 제시한 스무딩 이동 평균 계산식:
:
이는 새 데이터에 가중치 α (1/n)를, 이전 평균값에 가중치 (1 - α)를 주는 지수 이동 평균(EMA)과 동일하다. 일부 프로그램에서는 표준 EMA를 사용하기도 한다.
- 스무딩 이동 평균은 계산 시작 시점의 처음 n개 데이터에 대해서는 단순 이동 평균으로 초기값을 설정해야 한다.
# 상대 강도(RS) 계산U의 평균값(AU)을 D의 평균값(AD)으로 나누어 상대 강도(RS, Relative Strength)를 구한다.
:
RS 값이 크다는 것은 일정 기간 동안 하락한 폭보다 상승한 폭이 더 크다는 의미이다.
# RSI 계산RS 값을 이용하여 0에서 100 사이의 값을 갖는 RSI를 계산한다. 주로 백분율로 나타낸다.
- RSI 계산 공식 1:
:
- RSI 계산 공식 2 (위 공식과 동일한 결과):
:
:
RSI 값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만약 모든 기간 동안 가격이 하락하여 AU가 0이면, RS는 0이고 RSI도 0이다.
- 만약 AU와 AD가 같다면, RS는 1이고 RSI는 50이다.
- 만약 모든 기간 동안 가격이 상승하여 AD가 0이면, RS는 무한대에 가까워지고 RSI는 100에 수렴한다.
파라미터 설정RSI 계산에서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는 기간(n) 설정이다. RSI를 개발한 웰스 와일더(Welles Wilder)는 14일을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 일반적으로 9일, 14~15일, 25~28일 등이 자주 사용된다.
RSI 그래프는 이동평균선과 함께 표시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이동평균선의 기간 역시 파라미터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14일 RSI와 5일 이동평균선을 함께 표시하는 경우 차트에 (14, 5)와 같이 표기하기도 한다.
RSI와 유사한 지표로는 스토캐스틱이 있으며, RSI 그래프는 스토캐스틱의 Fast %K 선과 비슷한 형태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2. 2. RSI 값의 의미
RSI는 특정 기간 동안 주가가 전날 가격과 비교하여 상승한 변화량과 하락한 변화량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값을 통해 상승 변화량이 크면 과매수 상태로, 하락 변화량이 크면 과매도 상태로 해석하는 방식이다. RSI 값은 0에서 1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백분율(%)로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RSI 값이 70 이상이면 과매수 상태로, 30 이하이면 과매도 상태로 판단하며, 50을 기준으로 상승 또는 하락 추세를 가늠하기도 한다.RSI를 계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정해진 기간 동안의 모든 거래일에 대해:
# 주가가 전날보다 오른 날의 상승폭을 U(up) 값으로 정한다.
# 주가가 전날보다 내린 날의 하락폭을 D(down) 값으로 정한다.
# U 값들의 평균값(AU, average ups)과 D 값들의 평균값(AD, average downs)을 구한다.
# AU를 AD로 나눈 값을 RS(relative strength, 상대 강도) 값이라고 한다. RS 값이 크다는 것은 해당 기간 동안 하락한 폭보다 상승한 폭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 최종적으로 RSI 값은 다음 공식을 통해 계산한다.
RSI 계산 공식:RSI = RS / (1 + RS)
또는, 아래 공식으로 계산해도 결과는 같다.
RSI = AU / (AU + AD)
RSI 지표를 사용할 때는 분석 기간을 며칠로 설정할지가 중요한 파라미터가 된다. 개발자인 Welles Wilder는 14일을 기본값으로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 실제로는 9일, 14~15일, 25~28일 등 다양한 기간이 활용된다.
RSI 그래프는 이동평균선과 함께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이동평균선을 며칠 기준으로 할 것인지도 파라미터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RSI를 15일 기간으로 계산하고 5일 이동평균선을 함께 표시할 경우, 그래프에 (15, 5)와 같이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토캐스틱 지표는 RSI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다. 특히 RSI 그래프의 형태는 fast stochastic과 비슷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3. RSI 활용 방법
RSI는 주식, 암호화폐 등 다양한 금융 상품의 기술적 분석에 널리 활용되는 지표로, 여러 가지 방식으로 매매 전략에 적용될 수 있다. 주요 활용 방법으로는 과매수 및 과매도 수준을 이용한 매매 시점 포착, 50%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 추세 판단 및 돌파 전략, 가격 움직임과 RSI 지표 간의 다이버전스 분석을 통한 추세 전환 예측 등이 있다. 또한, 시장의 전체적인 추세(상승 또는 하락)에 따라 RSI 신호를 선별적으로 해석하여 적용하는 방법도 사용된다. 각 활용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3. 1. 과매수/과매도 판단


RSI 지표를 개발한 Welles Wilder는 RSI 값이 특정 수준에 도달하면 시장이 과열되거나 침체된 상태, 즉 과매수(Overbought) 또는 과매도(Oversold) 상태라고 판단했다.[1] 그는 RSI 값이 70% 이상이면 과매수 국면, 30% 이하이면 과매도 국면으로 규정했다.[5] 일반적으로 30과 70 사이는 중립적인 상태로 보며, 50은 뚜렷한 추세가 없음을 나타낸다고 해석한다.[5]
Wilder는 가격이 매우 빠르게 상승하면 어느 시점에는 과매수 상태가 되고, 반대로 가격이 매우 빠르게 하락하면 과매도 상태가 된다고 가정했다.[1] 이러한 상태에서는 추세의 반전이나 조정이 임박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RSI의 수준은 해당 자산의 최근 거래 강도를 나타내며, RSI 그래프의 기울기는 추세 변화의 속도와 비례하고, RSI가 움직인 거리는 가격 변동폭의 크기와 비례한다.
가장 기본적인 활용 전략은 RSI가 70%를 넘어서면 과매수 상태로 보고 매도하고, 30% 밑으로 떨어지면 과매도 상태로 보고 매수하는 것이다. 하지만 다른 오실레이터형 지표들처럼 RSI도 과매수 또는 과매도 상태에서 오랫동안 머무르며 기존 추세가 연장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전략만으로는 안정적인 수익을 내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들이 사용된다.
- 재돌파 전략: RSI가 70%를 넘어선 후 다시 70% 아래로 내려올 때 매도하고, 30% 아래로 내려간 후 다시 30% 위로 올라올 때 매수하는 방식이다.
- 중심선(50) 돌파 전략: RSI가 50% 선을 위로 돌파하면 상승 추세의 시작으로 보고 매수하고, 50% 선을 아래로 돌파하면 하락 추세의 시작으로 보고 매도하는 방식이다.
다이버전스(Divergence)는 주가 움직임과 RSI 지표의 움직임이 반대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추세 전환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 약세 다이버전스(Bearish Divergence): 주가는 계속 상승하여 고점을 높이지만, RSI는 이전 고점보다 낮은 고점을 형성하는 경우이다. 이는 상승 추세의 힘이 약해지고 있음을 시사하며, 곧 하락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을 나타낸다.
- 강세 다이버전스(Bullish Divergence): 주가는 계속 하락하여 저점을 낮추지만, RSI는 이전 저점보다 높은 저점을 형성하는 경우이다. 이는 하락 추세의 힘이 약해지고 있음을 시사하며, 곧 상승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을 나타낸다.
추세가 뚜렷한 시장에서는 RSI 신호를 선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 유용할 수 있다.
- 상승 추세: 과매수 신호(70 이상)는 자주 나타나므로 무시하고, 과매도 신호(30 이하)가 나타날 때만 매수 시점으로 고려한다.
- 하락 추세: 과매도 신호(30 이하)는 자주 나타나므로 무시하고, 과매수 신호(70 이상)가 나타날 때만 매도 시점으로 고려한다.
RSI는 보통 가격 차트의 위나 아래에 별도의 그래프로 표시된다. 이 그래프에는 일반적으로 상단선(70)과 하단선(30)이 표시되며, 중간선(50)은 점선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Wilder는 RSI 계산 시 14일 기간의 지수 이동 평균(EMA) 사용을 권장했다 (이는 평활 계수 ''α'' = 1/14 또는 기간 ''N'' = 14에 해당한다).
3. 2. 다이버전스 분석
다이버전스는 가격 추세와 RSI 지표의 추세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현상을 말한다.[1] 가격은 상승하여 신고가를 갱신하였지만 RSI 지표는 이전 고점을 갱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며, 이는 현재 추세가 약화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이버전스는 크게 일반 다이버전스와 히든 다이버전스로 나눌 수 있다.
와일더(Wilder)는 가격과 RSI 사이의 다이버전스가 시장 전환점이 임박했음을 나타내는 매우 강력한 지표라고 보았다.[1] 특히 오실레이터 계열의 다른 지표들에 비해 RSI의 다이버전스는 속임수가 적어 강력한 매매신호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파라미터 값을 길게 설정한 RSI는 다이버전스 판단에 더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다이버전스는 시장의 바닥과 천장을 예측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다이버전스를 이용한 매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다이버전스 발생을 미리 예측하여 매매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다이버전스가 확인된 후에 매매 결정을 내려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다이버전스는 종종 Failure Swing 현상을 동반한다.
3. 3. 추세 판단
RSI 값이 50%를 기준으로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따라 추세를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 RSI가 50% 선을 위로 돌파하면 상승 추세로, 아래로 돌파하면 하락 추세로 해석할 수 있다.와일더의 RSI 해석 외에도, 앤드루 카드웰은 추세를 결정하고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되는 RSI의 몇 가지 새로운 해석을 개발했다. 카드웰은 상승 추세일 때는 RSI가 보통 40에서 80 사이에서 움직이고, 하락 추세일 때는 20에서 60 사이에서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고 보았다. 그는 증권이 상승 추세에서 하락 추세로, 또는 그 반대로 변경될 때 RSI가 움직이는 범위 자체가 변하는 "범위 이동" 현상을 관찰했다.
또한, 추세에 따라 과매수/과매도 신호를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전략도 있다. 예를 들어, 상승 추세에서는 과매수 신호(예: 70% 이상)가 자주 나타나므로 과매도 신호(예: 30% 이하)가 나타날 때를 매수 시점으로 고려하고, 하락 추세에서는 과매도 신호가 자주 나타나므로 과매수 신호가 나타날 때를 매도 시점으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주가와 RSI의 움직임이 반대로 나타나는 다이버전스 현상도 추세 판단에 활용될 수 있다. 주가는 상승하고 있지만 RSI는 하락하는 약세 다이버전스가 나타나면 상승 추세가 약화되거나 곧 하락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반대로 주가는 하락하는데 RSI는 상승하는 강세 다이버전스는 하락 추세가 마무리되고 상승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다.
카드웰은 약세 다이버전스가 주로 상승 추세 중에 나타나며, 이는 추세의 완전한 반전보다는 단기적인 조정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고 보았다. 따라서 약세 다이버전스는 오히려 상승 추세를 확인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마찬가지로, 강세 다이버전스는 하락 추세를 확인하는 신호로 보았다.
3. 4. 실패 스윙 (Failure Swing)
RSI를 응용하는 기법 중 하나로 실패 스윙(Failure Swing|페일리어 스윙eng)이 자주 사용된다. 실패 스윙은 다이버전스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와일더(Wilder)는 RSI 값이 50을 기준으로 등락하는 실패 스윙이 시장 반전의 강력한 신호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6]실패 스윙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 탑 실패 스윙 (Top Failure Swing): RSI가 70 이상인 과매수 구간에서 고점을 형성한 뒤 하락했다가 다시 상승하지만, 이전 고점을 넘지 못하고 다시 하락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전에 형성된 고점 이후 만들어진 저점을 하향 돌파할 때 매도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SI가 76까지 상승했다가 72로 하락한 후 다시 77까지 상승했다고 가정해보자. 만약 RSI가 이전 저점인 72 아래로 떨어진다면, 와일더는 이를 70 이상에서의 "실패 스윙"으로 간주했다.[6]
- 바텀 실패 스윙 (Bottom Failure Swing): RSI가 30 이하인 과매도 구간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지만, 이전 저점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다시 상승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전에 형성된 저점 이후 만들어진 고점을 상향 돌파할 때 매수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3. 5. 지지/저항선
RSI 지표에서 50% 선은 중요한 지지선 또는 저항선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를 활용한 매매 전략으로, RSI 값이 50%를 위로 돌파할 때 매수 신호로 보고, 반대로 50%를 아래로 돌파할 때 매도 신호로 해석하는 방법이 있다.4. 유의점
RSI는 일반적으로 70% 이상을 과매수 국면, 30% 이하를 과매도 국면으로 본다. 단순히 RSI가 70%를 넘으면 매도하고 30% 아래로 떨어지면 매수하는 전략을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오실레이터형 지표들처럼, RSI 역시 과매수 또는 과매도 상태에 오래 머무르면서 추세가 연장되는 경우가 많아 이 전략만으로는 수익을 내기 어려울 수 있다. 특히 강한 상승 추세에서는 RSI 값이 70%를 넘어도 계속 상승하거나, 강한 하락 추세에서는 30% 미만에서도 계속 하락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과매수 신호가 반드시 하락 반전을, 과매도 신호가 상승 반전을 의미하지는 않음을 보여준다.
또한, RSI는 가격의 상승폭과 하락폭을 기반으로 계산되므로, 뚜렷한 상승이나 하락 추세 없이 가격이 작은 범위에서 오르내리는 횡보장에서는 유용성이 떨어진다. 이런 상황에서는 RSI 값이 50%를 중심으로 작은 등락만 반복하게 되어 투자 지표로 활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RSI 지표는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다른 기술적 분석 지표들과 함께 보조적인 판단 근거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승 추세가 예상되는 주식을 보유하고 있을 때 RSI가 70% 이상으로 진입하면 단기적인 조정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분할매도를 고려하는 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5. 다른 지표와의 관계
RSI는 다른 여러 기술적 지표와 함께 사용되거나 비교되곤 한다. 대표적으로 스토캐스틱 지표와 유사한 특성을 보이며, 계산 방식을 변형한 커틀러의 RSI(Cutler's RSI)와 같은 파생 지표도 존재한다. 이러한 지표들과의 관계는 RSI를 더 깊이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5. 1. 스토캐스틱
RSI와 유사한 지표로는 스토캐스틱이 있다. RSI 그래프는 특히 fast stochastic과 비슷한 형태를 보인다. RSI는 개념과 계산 방식 면에서 스토캐스틱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이러한 유사성 때문에 RSI의 해석 및 활용 방법을 스토캐스틱 분석에 적용하여 매매 전략을 세우는 경우가 많다.5. 2. 커틀러의 RSI (Cutler's RSI)
커틀러의 RSI(Cutler's RSI)는 웰스 와일더가 개발한 기존 RSI 계산 방식의 변형 중 하나이다. 가장 큰 차이점은 상승분(U)과 하락분(D)의 평균을 계산할 때 평활 이동 평균(SMMA)이나 지수 이동 평균(EMA) 대신 단순 이동 평균(SMA)을 사용한다는 점이다.[7]커틀러는 와일더가 RSI 계산에 평활 이동 평균을 사용함으로써 RSI 값이 분석 대상 데이터가 어디서부터 시작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그는 이를 '데이터 길이 의존성'(data length dependency)이라고 불렀다. 반면, 커틀러의 RSI는 단순 이동 평균을 사용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길이나 시작점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관된 값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커틀러 RSI의 상대 강도(RS)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여기서 SMA(U, n)는 n기간 동안의 상승분(U)의 단순 이동 평균이고, SMA(D, n)는 n기간 동안의 하락분(D)의 단순 이동 평균이다.
커틀러의 RSI 값은 일반적으로 와일더의 RSI 값과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단순 이동 평균(SMA)과 평활 이동 평균(SMMA) 자체가 유사한 개념이므로 두 지표의 결과는 대체로 비슷하게 나타난다.
참조
[1]
서적
New Concepts in Technical Trading Systems
[2]
서적
The Visual Investor: How to Spot Market Trend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3]
서적
2013 2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Information Networking and Applications Workshops
2013-03-01
[4]
간행물
Optimization and Testing of RSI
https://www.research[...]
2017
[5]
웹사이트
Relative Strength Index
https://www.investor[...]
Day Trading Encyclopedia
2016-06-29
[6]
웹사이트
RSI
http://stockcharts.c[...]
StockCharts.com
2016-06-29
[7]
웹사이트
Cutler's RSI page
http://www.aspenres.[...]
Aspen Graphics Technical Analysis Softwa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