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라피트 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K 라피트 빈은 1898년 창단된 오스트리아의 축구 클럽으로, 오스트리아 챔피언십에서 32회 우승하며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1938년 나치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 이후에는 독일 축구 대회에 참가하여 우승했으며, 미트로파컵, UEFA 컵 위너스컵, UEFA 인터토토컵 등 유럽 클럽 대항전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현재 알리안츠 슈타디온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지역 라이벌 FK 오스트리아 빈과의 빈 더비는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K 라피트 빈 -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은 오스트리아 빈에 위치한 축구 경기장으로,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구장이며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등 주요 국제 경기 개최, 다양한 스포츠 및 문화 행사가 열리는 다목적 경기장이다. - SK 라피트 빈 - 알리안츠 슈타디온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구단 - LASK
LASK는 오스트리아 린츠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와 컵에서 우승한 역사를 가지며, 부침을 겪었으나 재정비 후 유럽 클럽 대항전에도 참가하고 있다.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구단 - FK 아우스트리아 빈
FK 아우스트리아 빈은 1911년 창단되어 마티아스 신델라를 중심으로 미트로파컵을 제패하고, 나치 독일 합병 시련과 재건을 거쳐 리그를 지배한 황금기를 누렸으며, SK 라피트 빈과의 빈 더비로 유명한 오스트리아 빈 연고의 축구 클럽이다. - 1899년 설립된 축구단 - 비킹 FK
비킹 FK는 1899년에 창단된 노르웨이 축구 클럽으로, 엘리테세리엔에서 8회, 노르웨이컵에서 6회 우승을 기록하며 1970년대 리그 4연패를 통해 전성기를 맞았다. - 1899년 설립된 축구단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는 독일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을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으로, 분데스리가 원년 멤버이자 DFB-포칼 우승 5회와 UEFA 유로파리그 우승 2회를 기록한 오랜 역사를 가진 클럽이다.
SK 라피트 빈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Sportklub Rapid Wien |
약칭 | 라피트 |
별칭 | "디 그륀-바이센" (Die Grün-Weißen, 초록-하양) 휘텔도르퍼 라피틀러 |
창단일 | 1899년 1월 8일 |
홈구장 | 알리안츠 슈타디온 |
수용 인원 | 28,345명 |
회장 | 알렉산더 브라베츠 |
감독 | 로베르트 클라우스 |
리그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시즌 | 2023-24 |
리그 순위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4위 (12팀 중)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녹색 상의, 녹색 하의, 녹색 양말 |
원정 유니폼 | 흰색 상의, 흰색 하의, 흰색 양말 |
유럽 홈 유니폼 (이전) | 흰색 상의, 흰색 하의, 흰색 양말 |
2. 역사
SK 라피트 빈은 1898년 ''Erster Wiener Arbeiter-Fußball-Club''(제1 빈 노동자 축구 클럽)이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1] 초기 팀 색깔은 빨강과 파랑이었으며, 이는 현재 원정 경기 유니폼에도 사용되고 있다. 1899년 1월 8일, 라피드 베를린을 따라 현재의 이름인 '''Sportklub Rapid'''로 변경되었고, 1904년에는 팀 색상이 녹색과 흰색으로 변경되었다.
라피트 빈은 오스트리아가 유럽 축구 강국이었던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사이 시기에 강력한 팀이었다. 1919년부터 1921년까지 3회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4] 1938년 오스트리아의 독일 병합 이후, 독일 축구 시스템에 합류하여 가울리가 오스트마르크에서 활동했다. 1938년 차머포칼에서 FSV 프랑크푸르트를 꺾고 우승했으며, 1941년 독일 챔피언십에서는 샬케 04를 4-3으로 꺾고 우승했다.
1954-55 시즌 우승팀 자격으로, 다음 시즌 초대 유러피언 컵에 오스트리아 대표로 참가했다. PSV를 꺾고 8강에 진출했으나, 밀란에 패배했다.[5] 1960-61 시즌에는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벤피카에 패했다.[6]
1984년 유럽 컵 위너스 컵 16강에서 셀틱을 탈락시키는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다. 셀틱이 앞서고 있는 상황에서 라피트 빈 선수 루돌프 바인호퍼가 관중석에서 던진 병에 맞았다고 주장했지만, 텔레비전 화면에는 병이 바인호퍼를 맞히지 않은 것이 나타났다. 결국 재경기가 열렸고, 라피트 빈이 승리했다.[7]
라피트 빈은 1985년 컵 위너스 컵 결승전에서 에버턴에 패했고,[8] 1996년 같은 대회 결승전에서도 파리 생제르맹에 패했다.[8] 2005-06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에 진출했지만, 바이에른 뮌헨, 유벤투스, 클럽 브뤼헤에 패하며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9]
2. 1. 창단 초기 (1897-1911)
1898년 ''Erster Wiener Arbeiter-Fußball-Club''(First Workers' Football Club of Vienna|제1 빈 노동자 축구 클럽영어)이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 팀의 초기 색깔은 빨강과 파랑으로, 현재 원정 경기 유니폼에도 사용되고 있다.
1897년 '''Erster Wiener Arbeiter-Fußball-Club'''(제1 빈 노동자 축구 클럽)으로 창단되었으며,[1] 당시에는 합스부르크 제국 군의 부지에서 연습과 경기가 열렸다. 1899년 1월 8일, 클럽은 빌헬름 골드슈미트[1]의 제안으로 라피드 베를린을 따라 현재의 이름인 '''Sportklub Rapid'''로 변경되었다. 클럽을 지칭할 때 'Wien' 또는 'Vienna'가 일반적으로 추가되지만, 공식 명칭은 아니다. 현재는 1899년 1월 8일이 클럽의 창립일로 여겨지고 있다.
1904년 팀 색상은 녹색과 흰색으로 변경되었다. 1905년에 현재와 같은 녹색·흰색으로 결정되었으며, 1907년에는 최초의 클럽 하우스가 건설되었다.
1911년, 현재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는 빈 14구 퓌텔도르프에 경기장(당시 수용 인원 4000명)이 완공되었다.
2. 2. 성장기 (1911-1930)
라피트는 오스트리아가 유럽 대륙에서 주요 축구 강국 중 하나였던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사이의 시대에 지배적인 세력이었다. 1919년부터 1921년까지 첫 번째 3연속 우승을 차지했다.[4]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1부가 창설된 첫 시즌인 1911-12 시즌에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이후 오늘날까지 해당 리그 최다 우승 횟수를 다른 클럽에게 넘겨주지 않고 있다. 1918-19 시즌부터 개최된 오스트리아 컵에서도 첫 해에 우승했다.
강호팀으로서 인기가 높아지면서 1921년에는 홈 경기장의 수용 인원이 2만 명으로 확대되었다. 국제 경기는 수용 인원 4만 명의 슈타디온 호에 바르테(빈 제19구 되블링)에서 개최되었다.
1930년까지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1부에서 10번 우승했으며, 특히 독일어권과 동유럽에서 UEFA 챔피언스 리그의 전신으로 여겨지는 미트로파 컵에서 1번 우승과 2번 준우승을 차지했다. 그 외에도 여러 차례 열린 국제 친선 경기에서 네덜란드 챔피언 아약스 암스테르담을 16-2로 꺾는 등 좋은 결과를 남겨 당시 유럽 축구계를 대표하는 클럽 중 하나가 되었다.
2. 3. 오스트리아 병합과 나치 독일 시대 (1930-1945)
1938년 오스트리아의 독일 병합 이후 라피트는 독일 축구 시스템에 합류하여 지역 1부 리그인 가울리가 오스트마르크에서 활동했다. 라피트는 오늘날의 DFB-포칼의 전신인 차머포칼에서 1938년 FSV 프랑크푸르트를 3-1로 꺾고 우승했으며, 1941년 독일 챔피언십에서는 당시 가장 지배적인 독일 클럽이었던 샬케 04를 꺾고 우승했다. 라피트는 샬케에 3-0으로 끌려가다가 4-3으로 경기를 뒤집어 승리했다.[4]1941년 독일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을 결정짓는 경기는 10만 명이 넘는 관중이 지켜보는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샬케 04에게 3점을 먼저 내줬지만 4점을 만회하며 역전승을 거두었다. 공교롭게도 이 경기가 열린 1941년 6월 22일은 바르바로사 작전(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이 소련을 기습 공격한 작전)이 실행된 날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많은 선수들이 독일 국방군의 일원으로서 전선에 투입되었지만, 라피트는 종전 직전까지 치러진 리그전에 참가했다.
2. 4. 전후 시기 (1945-1955)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몇 달 뒤,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가 다시 개최되었고, '''SK 라피트 빈'''은 전후 첫 시즌을 우승으로 마쳤다.1949년, 클럽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브라질 원정을 떠났다. 브라질 도착 직후 CR 바스쿠 다 가마와의 경기에서는 0-5로 패했지만, 이후 상파울루 FC (4-2)와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7-2)를 상대로 승리했고, SC 코린치안스 파울리스타와는 2-2로 비겼다.
1951년에는 '''"첸트로파 컵"'''이라는 이름으로 부활한 미트로파 컵 준결승에서 이탈리아 세리에 A의 SS 라치오를 5-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오스트리아 팀 간의 대결이 된 결승전에서는 당시 존재했던 SC 바커 빈을 3-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결승골을 넣은 선수는 훗날 감독으로서 UEFA 챔피언스 리그를 두 번 제패하게 되는 에른스트 하펠이었다.
UEFA 챔피언스 리그가 개최되기 전인 1955년까지 수많은 국제 친선 경기가 열렸으며, 1953년에는 잉글랜드 챔피언 아스널 FC를 6-1로 꺾는 등 좋은 결과를 남겼다.
2. 5. 유럽 대회에서의 성공과 국내 무관 시기 (1955-1982)
라피트는 1955-56 시즌 초대 유러피언 컵(1955–56 유러피언 컵)에 오스트리아 대표로 참가하여 PSV을 꺾고 8강에 진출했으나, 밀란에 패배했다.[5] 1960-61 시즌에는 해당 대회 준결승까지 진출하며 클럽 역사상 최고의 성적을 기록했지만, 결국 우승팀이 된 벤피카에 패했다.[6]이후 1967년 UEFA 컵 위너스 컵 8강, 1969년 UEFA 챔피언스 리그 8강에 진출하는 등 유럽 대회에서 꾸준한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1969년에는 레알 마드리드를 꺾고 8강에 진출하기도 했다.
오스트리아 국내에서는 1955-56 시즌부터 1967-68 시즌까지 6번의 리그 우승을 차지했지만, 이후 1981-82 시즌까지 13년 동안 우승하지 못했다. 이 시기에는 FC 바커 인스부르크와 FK 오스트리아 빈이 주로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1970년대에는 한스 크랑클이라는 뛰어난 공격수를 배출했다. 크랑클은 1977-78 시즌 41골을 기록하며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득점왕과 유러피언 골든슈를 수상했고, 1978년 여름 FC 바르셀로나로 이적했다.
2. 6. 두 번의 유럽 대회 준우승 (1982-1996)
라피트 빈은 1980년대 초반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와 오스트리아 컵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84-85 시즌 UEFA 컵위너스컵 결승에 진출했으나 에버턴 FC에 패해 준우승을 차지했다.[1] 1995-96 시즌에도 다시 UEFA 컵위너스컵 결승에 진출했지만, 파리 생제르맹 FC에 패하며 또다시 준우승에 머물렀다.[2] 이 시즌 후 카르스텐 얀커, 미하엘 콘젤, 디트마어 퀴바우어 등 주요 선수들이 해외로 이적했다.[3]2. 7. 32번째 우승과 UEFA 유로파리그 (1996년 이후)
1996-97 시즌 이후 SK 라피트 빈은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우승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2004-05 시즌 우승 후, 2007-08 시즌에 국내 리그 최다 우승 횟수인 32번째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UEFA 유로파리그에서는 2009-10, 2010-11 시즌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소속 애스턴 빌라 FC를 꺾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최근 몇 년 동안 SK 라피트 빈은 유망주 육성 및 이적을 통한 클럽 운영 방식에 변화를 꾀하고 있다.3. 클럽 문화
라피트 빈은 오랜 역사와 함께 독특한 클럽 문화를 가지고 있다. 경기 마지막 15분 동안 "라피트 비어텔슈툰데"라는 리듬감 있는 박수로 응원하는 전통과, 울트라스 라피트를 비롯한 다양한 팬 클럽, 그리고 다른 나라 클럽 서포터들과의 우호적인 관계 등이 대표적이다.
3. 1. 라피트 비어텔슈툰데 (Rapid Viertelstunde)
클럽 창단 직후부터, 라피트 팬들은 홈 경기나 원정 경기에 관계없이 경기 마지막 15분 동안 "라피트 비어텔슈툰데"(Rapid-Viertelstunde)라는 리듬감 있는 박수를 통해 팀을 응원하는 전통을 이어왔다.[1] 이 전통은 1913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1] 1918년 4월 21일 한 신문에서는 팬들이 "라피트 비어텔슈툰데" 시작과 함께 박수를 쳤다고 보도했다.[1] 라피트 빈은 수십 년 동안 팬들의 끊임없는 응원에 힘입어 경기 종료 직전 극적인 승리를 거두거나 패배 위기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여러 차례 보여주었다.[1]3. 2. 팬 (Fans)

가장 큰 팬 클럽은 1988년에 창단된 울트라스 라피트이다. 다른 주요 팬 클럽으로는 울트라 그룹 Tornados Rapid와 Spirits Rapid, 그리고 훌리건 단체 Alte Garde Dritte Halbzeit가 있다.
활동적인 서포터들은 8,500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는 Block West 스탠드에 위치해 있다. 현재 철거된 게르하르트 하나피 슈타디온의 이전 Block West는 약 2,700석 규모였다.
라피트의 팬들은 독일 클럽 뉘른베르크, 크로아티아 클럽 디나모 자그레브, 이탈리아 클럽 베네치아, 헝가리 클럽 페렌츠바로시, 그리스 클럽 파나티나이코스의 서포터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라피트, 페렌츠바로시, 파나티나이코스도 녹색 유니폼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 연합은 "그린 브라더스"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4. 경기장
라피트는 2013-14 시즌까지 게르하르트 하나피 슈타디온에서 경기를 치렀다. 이 경기장은 1977년 5월 10일 오스트리아 빈과의 빈 더비 경기로 개장했으며, 1950년부터 1965년까지 라피트에서 선수로도 활약한 건축가 게르하르트 하나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80년 그의 이름을 기리기 전에는 도시의 지리적 위치 때문에 '베스트슈타디온'(서부 경기장)으로 알려져 있었다.
2014년 6월, 낡은 게르하르트 하나피 슈타디온을 대신하여 새로운 경기장인 알리안츠 슈타디온 건설이 발표되었다. 건설 기간 동안 라피트는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이 경기장은 2016년 7월 16일 라피트 빈이 첼시 FC를 상대로 친선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하면서 공식적으로 개장했다.[13][14]
현재 홈 구장은 2016년에 완공된 알리안츠 슈타디온으로, 빈의 14구 퓌텔도르프에 있다. 과거에는 게르하르트 하나피 슈타디온(수용 인원 18,422명)과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50,865명)을 사용했다. FC 바이에른 뮌헨이 사용하는 알리안츠 아레나나 유벤투스 FC의 알리안츠 스타디움(유벤투스)과 마찬가지로, 대형 금융 그룹인 알리안츠사가 명명권을 획득하여 "알리안츠 슈타디온"(Allianz Stadion)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5. 라이벌 관계
라피트 빈은 오스트리아 빈과 빈 더비라는 지역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다. 두 팀은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는 팀이자, 강등된 적이 없는 유이한 팀이다. 원래 두 팀 모두 빈 서부 히칭에서 시작했지만, 이후 다른 구역으로 연고지를 옮겼다. 오스트리아 빈은 중산층, 라피트 빈은 노동 계층의 지지를 받는다는 차이가 있다.[15] 1911년 9월 8일 첫 빈 더비 경기에서는 라피트 빈이 4-1로 승리했다.[15] 이 더비는 레인저스와 셀틱의 올드 펌에 이어 유럽에서 가장 많이 치러진 더비 경기이다.
5. 1. 빈 더비 (Wiener Derby)
오스트리아 빈과의 빈 더비는 지역 라이벌전으로,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는 두 팀 간의 경기이다. 두 팀은 오스트리아에서 유일하게 강등된 적이 없는 팀들이기도 하다. 원래 두 팀 모두 빈 서부의 히칭이라는 13구역에서 시작되었지만, 이후 다른 구역으로 연고지를 옮겼다. 오스트리아 빈이 중산층 클럽으로 여겨지는 반면, 라피트 빈은 전통적으로 수도 노동 계층의 지지를 받는다.[15]두 팀은 1911년 9월 8일 리그 챔피언십 경기에서 처음 만났으며, 라피트 빈이 4-1로 승리했다.[15] 이 더비는 레인저스와 셀틱 간의 글래스고 올드 펌 더비에 이어 유럽 축구에서 가장 많이 치러진 더비 경기이다.
다음은 1993-94 시즌부터 2021-22 시즌까지의 빈 더비 리그 전적 및 오스트리아 컵 기록이다.
시즌 | 리그전 | 오스트리아 컵 | ||||||||
---|---|---|---|---|---|---|---|---|---|---|
디비전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93-94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5위 | 36 | 12 | 11 | 13 | 38 | 42 | 35 | 16강 |
1994-95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3위 | 36 | 19 | 8 | 9 | 63 | 50 | 46 | 우승 |
1995-96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1위 | 36 | 22 | 7 | 7 | 68 | 38 | 73 | 3라운드 탈락 |
1996-97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2위 | 36 | 18 | 12 | 6 | 69 | 36 | 66 | 3라운드 탈락 |
1997-98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2위 | 36 | 18 | 8 | 10 | 42 | 36 | 62 | 8강 탈락 |
1998-99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2위 | 36 | 19 | 13 | 4 | 50 | 25 | 70 | 준결승 탈락 |
1999-00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3위 | 36 | 20 | 6 | 10 | 59 | 29 | 66 | 1라운드 탈락 |
2000-01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2위 | 36 | 16 | 12 | 8 | 62 | 36 | 60 | 준결승 탈락 |
2001-02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8위 | 36 | 11 | 10 | 15 | 37 | 49 | 43 | 16강 |
2002-03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4위 | 36 | 13 | 12 | 11 | 40 | 38 | 51 | 2라운드 탈락 |
2003-04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4위 | 36 | 16 | 9 | 11 | 50 | 47 | 57 | 8강 탈락 |
2004-05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1위 | 36 | 21 | 8 | 7 | 67 | 31 | 71 | 준우승 |
2005-06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5위 | 36 | 13 | 10 | 13 | 51 | 41 | 49 | 8강 탈락 |
2006-07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4위 | 36 | 14 | 10 | 12 | 55 | 49 | 52 | 1라운드 탈락 |
2007-08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1위 | 36 | 21 | 6 | 9 | 69 | 36 | 69 | |
2008-09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2위 | 36 | 21 | 7 | 8 | 89 | 43 | 70 | 16강 |
2009-10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3위 | 36 | 21 | 10 | 5 | 80 | 38 | 73 | 8강 탈락 |
2010-11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5위 | 36 | 14 | 11 | 11 | 52 | 42 | 53 | 준결승 탈락 |
2011-12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2위 | 36 | 16 | 14 | 6 | 52 | 30 | 62 | 16강 |
2012-13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3위 | 36 | 16 | 9 | 11 | 57 | 39 | 57 | 8강 탈락 |
2013-14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2위 | 36 | 17 | 11 | 8 | 63 | 40 | 62 | 1라운드 탈락 |
2014-15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2위 | 36 | 19 | 10 | 7 | 68 | 38 | 67 | 8강 탈락 |
2015-16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2위 | 36 | 20 | 5 | 11 | 66 | 42 | 65 | 8강 탈락 |
2016-17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5위 | 36 | 12 | 10 | 14 | 52 | 42 | 46 | 준우승 |
2017-18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3위 | 36 | 17 | 11 | 8 | 68 | 43 | 62 | 준결승 탈락 |
2018-19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7위 | 32 | 13 | 7 | 12 | 48 | 44 | 32 | 준우승 |
2019-20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2위 | 32 | 17 | 7 | 8 | 64 | 43 | 38 | 2라운드 탈락 |
2020-21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2위 | 32 | 17 | 8 | 7 | 64 | 40 | 36 | 16강 |
2021-22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5위 | 32 | 10 | 11 | 11 | 48 | 45 | 25 | 8강 탈락 |
6. 역대 성적
SK 라피트 빈의 유럽 대회 통산 성적은 다음과 같다.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 팀 | 홈 | 원정 | 합계 | |
---|---|---|---|---|---|---|---|
2001-02 | UEFA컵 | 예선 라운드 | SS 코스모스|코스모스it | 2-0 | 1-0 | 3-0 | -- |
1라운드 | FK 파르티잔|파르티잔sr | 5-1 | 0-1 | 5-2 | -- | ||
2라운드 | 파리 생제르맹 FC|파리 생제르맹프랑스어 | 2-2 | 0-4 | 2-6 | -- | ||
2004-05 | UEFA컵 | 예선 2라운드 | FC 루빈 카잔|루빈 카잔ru | 0-2 | 3-0 | 3-2 | -- |
1라운드 | 스포르팅 CP|스포르팅 CPpt | 0-0 | 0-2 | 0-2 | -- | ||
2005-06 | UEFA 챔피언스리그 | 예선 2라운드 | F91 뒤들랑주|F91 뒤들랑주lb | 3-2 | 6-1 | 9-3 | -- |
예선 3라운드 |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로코모티프 모스크바ru | 1-1 | 1-0 | 2-1 | -- | ||
A조 | FC 바이에른 뮌헨|바이에른 뮌헨de | 0-1 | 0-4 | 4위 | -- | ||
유벤투스 FC|유벤투스it | 1-3 | 0-3 | |||||
클럽 브뤼헤|클럽 브뤼헤nl | 0-1 | 2-3 | |||||
2007 | UEFA 인터토토컵 | 2라운드 |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슬로반 브라티슬라바sk | 3-1 | 0-1 | 3-2 | -- |
3라운드 | FC 루빈 카잔|루빈 카잔ru | 3-1 | 0-0 | 3-1 | -- | ||
2007-08 | UEFA컵 | 예선 2라운드 | FC 디나모 트빌리시|디나모 트빌리시ka | 5-0 | 3-0 | 8-0 | -- |
1라운드 | RSC 안데를레흐트|안데를레흐트nl | 0-1 | 1-1 | 1-2 | -- | ||
2008-09 | UEFA 챔피언스리그 | 예선 2라운드 | 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el | 3-1 | 0-3 | 3-4 | -- |
2009-10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2라운드 | FK 블라즈니아|블라즈니아sq | 5-0 | 3-0 | 8-0 | -- |
예선 3라운드 | APOP 키니라스 페이야스|APOP 키니라스el | 2-1 | 2-2 (a.e.t.) | 4-3 | -- | ||
플레이오프 | 애스턴 빌라 FC|애스턴 빌라영어 | 1-0 | 1-2 | 2-2 (a) | -- | ||
C조 | 함부르크 SV|함부르크de | 3-0 | 0-2 | 4위 | -- | ||
셀틱 FC|셀틱sco | 3-3 | 1-1 | |||||
하포엘 텔아비브 FC|하포엘 텔아비브he | 0-3 | 1-5 | |||||
2010-11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2라운드 | FK 수두바 마리얌폴레|수두바 마리얌폴레lt | 4-2 | 2-0 | 6-2 | -- |
예선 3라운드 | PFC 베로에 스타라 자고라|베로에 스타라 자고라bg | 3-0 | 1-1 | 4-1 | -- | ||
플레이오프 | 애스턴 빌라 FC|애스턴 빌라영어 | 1-1 | 3-2 | 4-3 | -- | ||
L조 | FC 포르투|포르투pt | 1-3 | 0-3 | 3위 | -- | ||
베식타스 JK|베식타스tr | 1-2 | 0-2 | |||||
PFC CSKA 소피아|CSKA 소피아bg | 1-2 | 2-0 | |||||
2012-13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3라운드 | FK 보이보디나 노비사드|보이보디나 노비사드sr | 2-0 | 1-2 | 3-2 | -- |
플레이오프 | PAOK FC|PAOKel | 3-0 | 1-2 | 4-2 | -- | ||
K조 | 로젠보르그 BK|로젠보르그no | 1-2 | 2-3 | 4위 | -- | ||
FC 메탈리스트 하르키우|메탈리스트 하르키우uk | 1-0 | 0-2 | |||||
바이어 04 레버쿠젠|레버쿠젠de | 0-4 | 0-3 | |||||
2013-14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3라운드 | 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 FC|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el | 3-1 | 1-1 | 4-2 | -- |
플레이오프 | FC 딜라 고리|딜라 고리ka | 1-0 | 3-0 | 4-0 | -- | ||
G조 | FC 디나모 키이우|디나모 키이우uk | 2-2 | 1-3 | 3위 | -- | ||
KRC 헹크|헹크nl | 2-2 | 1-1 | |||||
FC 툰|툰de | 2-1 | 0-1 | |||||
2014-15 | UEFA 유로파리그 | 플레이오프 | HJK 헬싱키|HJKfi | 3-3 | 1-2 | 4-5 | -- |
2015-16 | UEFA 챔피언스리그 | 예선 3라운드 | AFC 아약스|아약스nl | 2-2 | 3-2 | 5-4 | -- |
플레이오프 | FC 샤흐타르 도네츠크|샤흐타르 도네츠크uk | 0-1 | 2-2 | 2-3 | -- | ||
UEFA 유로파리그 | E조 | 비야레알 CF|비야레알es | 2-1 | 0-1 | 2위 | -- | |
FC 빅토리아 플젠|빅토리아 플젠cs | 3-2 | 2-1 | |||||
FC 디나모 민스크|디나모 민스크be | 2-1 | 1-0 | |||||
32강 | 발렌시아 CF|발렌시아es | 0-4 | 0-6 | 0-10 | -- | ||
2016-17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3라운드 | FC 토르페도-벨라즈 조디노|토르페도-벨라즈 조디노be | 3-0 | 0-0 | 3-0 | -- |
플레이오프 | AS 트렌친|트렌친sk | 0-2 | 4-0 | 4-2 | -- | ||
F조 | 아틀레틱 빌바오|아틀레틱 빌바오es | 1-1 | 0-1 | 3위 | -- | ||
KRC 헹크|헹크nl | 3-2 | 0-1 | |||||
US 사수올로 칼초|사수올로it | 1-1 | 2-2 | |||||
2018-19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3라운드 |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슬로반 브라티슬라바sk | 4-0 | 1-2 | 5-2 | -- |
플레이오프 | FC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ro | 3-1 | 1-2 | 4-3 | -- | ||
G조 | 비야레알 CF|비야레알es | 0-0 | 0-5 | 2위 | -- | ||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스파르타크 모스크바ru | 2-0 | 2-1 | |||||
레인저스 FC|레인저스sco | 1-0 | 1-3 | |||||
32강 |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인테르it | 0-1 | 0-4 | 0-5 | -- | ||
2020-21 | UEFA 챔피언스리그 | 예선 2라운드 | NK 로코모티바 자그레브|로코모티바 자그레브hr | 1-0 | -- | ||
예선 3라운드 | KAA 헨트|헨트nl | 1-2 | -- | ||||
UEFA 유로파리그 | B조 | 아스널 FC|아스널영어 | 1-2 | 1-4 | 3위 | -- | |
몰데 FK|몰데no | 2-2 | 0-1 | |||||
던독 FC|던독ga | 4-3 | 3-1 | |||||
2021-22 | UEFA 챔피언스리그 | 예선 2라운드 | AC 스파르타 프라하|스파르타 프라하cs | 2-1 | 0-2 | 2-3 | --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3라운드 | 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el | 3-0 | 1-2 | 4-2 | -- | |
플레이오프 | FC 조랴 루한스크|조랴 루한스크uk | 3-0 | 3-2 | 5-2 | -- | ||
H조 | NK 디나모 자그레브|디나모 자그레브hr | 2-1 | 1-3 | 3위 | -- | ||
KRC 헹크|헹크nl | 0-1 | 1-0 | |||||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웨스트햄 유나이티드영어 | 0-2 | 0-2 |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플레이오프 | SBV 피테서|피테서nl | 2-1 | 0-2 | 2-3 | -- | |
2022-23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예선 2라운드 | 레히아 그단스크|레히아 그단스크pl | 0-0 | 2-1 | 2-1 | -- |
예선 3라운드 | 네프치 바쿠|네프치 바쿠az | 2-0 (a.e.t.) | 1-2 | 3-2 | -- | ||
플레이오프 | FC 파두츠|파두츠de | 0-1 | 1-1 | 1-2 | -- |
6. 1. 국내 대회
SK 라피트 빈은 오스트리아 리그에서 32번 우승하여 오스트리아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준우승 횟수 | 준우승 연도 |
---|---|---|---|---|
오스트리아 챔피언십 | 32 | 1912, 1913, 1916, 1917, 1919, 1920, 1921, 1923, 1929, 1930, 1935, 1938, 1940, 1941, 1946, 1948, 1951, 1952, 1954, 1956, 1957, 1960, 1964, 1967, 1968, 1982, 1983, 1987, 1988, 1996, 2005, 2008 | 26 | 1914, 1918, 1928, 1933, 1934, 1947, 1949, 1950, 1958, 1959, 1965, 1966, 1973, 1977, 1978, 1984, 1985, 1986, 1997, 1998, 1999, 2001, 2009, 2012, 2014, 2015, 2016 |
오스트리아 컵 | 14 | 1919, 1920, 1927, 1946, 1961, 1968, 1969, 1972, 1976, 1983, 1984, 1985, 1987, 1995 | 14 | 1929, 1934, 1959, 1960, 1966, 1971, 1973, 1986, 1990, 1991, 1993, 2005, 2017, 2019 |
오스트리아 슈퍼컵 | 3 | 1986, 1987, 1988 | 2 | 1995, 1996 |
독일 축구 선수권 대회 | 1 | 1941 | ||
DFB-포칼 | 1 | 1938 |
6. 2. 유럽 대회
SK 라피트 빈은 미트로파컵에서 2회 우승(1930, 1951)을 차지했다. UEFA 컵 위너스컵에서는 2회 준우승(1984-85, 1995-96)을 기록했다. UEFA 인터토토컵에서는 2007년에 우승을 차지한 기록이 있다.7. 선수
SK 라피트 빈은 오스트리아 최다 우승팀으로, 오스트리아 선수권 대회에서 32회, 오스트리아 컵에서 14회, 오스트리아 슈퍼컵에서 3회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1938년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 이후 독일 리그에 참가하여 독일 선수권 대회(1941)와 독일 컵(1938)에서도 우승했다.
현재 선수 명단과 과거 주요 선수 정보는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SK 라피트 빈의 역대 최다 출전 선수와 최다 득점 선수는 다음과 같다.
선수 | 기록 | 비고 |
---|---|---|
페터 쇠텔 | 436경기 | 최다 출전 |
슈테펜 호프만 | 434경기 | |
미하엘 콘젤 | 395경기 | |
요제프 우리딜 | 1.198 (득점률) | |
프란츠 빈더 | 1.103 (득점률) | |
로베르트 디엔스트 | 1.080 (득점률) |
7. 1. 현재 선수 명단
기준 선수 명단.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9 | FW | 귀도 부르크슈탈러 | |
24 | MF | 데니스 케이긴 | |
3 | DF | 벤자민 뵈클레 | |
4 | DF | 야코프 쇠러 | |
5 | MF | 로만 케르슈바움 | |
6 | DF | 세르주-필리프 로-야오 | |
7 | FW | 디온 드레나 벨요 | |
8 | MF | 루카스 그르기치 | |
10 | FW | 크리스토프 랑 | |
14 | FW | 라이언 마마에 | |
16 | MF | 토비아스 보르키에이트 | |
17 | MF | 마마두 상가레 | |
18 | MF | 마티아스 자이들 | |
19 | FW | 티에리 게일 | |
20 | DF | 막시밀리안 호프만 | |
21 | MF | 루이스 샤우브 | |
22 | FW | 이사크 얀손 | |
23 | DF | 요나스 아우어 | |
25 | GK | 파울 가르틀러 | |
27 | FW | 노아 비쇼프 | |
28 | MF | 모리츠 오스발트 | |
30 | MF | 니콜라스 바즐리치 | |
37 | FW | 요반 지브코비치 | |
38 | FW | 페르디 드루이프 | |
41 | FW | 베른하르트 짐머만 | |
45 | GK | 니클라스 헤들 | |
48 | FW | 니콜라우스 부름브란트 | |
49 | FW | 토비아스 헤들 | |
50 | GK | 라우렌츠 오르글러 | |
51 | GK | 벤자민 괴슐 | |
53 | DF | 도미니크 빈체 | |
55 | DF | 네나드 츠베트코비치 | |
66 | FW | 푸르칸 두르순 | |
70 | FW | 이스마일 세이디 | |
77 | DF | 벤데구스 볼라 |
7. 2. 과거 주요 선수
SK 라피트 빈은 오랜 역사 동안 많은 뛰어난 선수들을 배출했다. 특히 오스트리아 출신 선수들이 큰 활약을 펼쳤다.국적 | 이름 | 포지션 | 활동 기간 | 출전 | 득점 | 득점률 |
---|---|---|---|---|---|---|
AUT | 리하르트 쿠탄 | 스트라이커 | 1911–1926, 1927-1929 | 244 | 164 | 0.672 |
AUT | 요제프 우리딜 | 스트라이커 | 1918–1925, 1926-1927 | 106 | 127 | 1.198 |
AUT | 에디 바우어 | 스트라이커 | 1911–1926 | 188 | 133 | 0.707 |
AUT | 페르디난트 베슬리 | 스트라이커 | 1920–1931 | 206 | 121 | 0.587 |
AUT | 로베르트 디엔스트 | 스트라이커 | 1948–1962 | 284 | 307 | 1.080 |
AUT | 프란츠 베셀리크 | 스트라이커 | 1923–1934 | 175 | 160 | 0.914 |
AUT | 루돌프 플뢰겔 | 스트라이커 | 1958–1972 | 332 | 145 | 0.436 |
AUT | 마티아스 카부레크 | 스트라이커 | 1928–1936, 1939-1945 | 158 | 138 | 0.873 |
AUT | 요한 리글러 | 스트라이커 | 1948–1961 | 272 | 160 | 0.588 |
AUT | 페터 쇠텔 | 수비수 | 1986–2002 | 436 | 4 | 0.009 |
AUT | 미하엘 콘젤 | 골키퍼 | 1985–1997 | 395 | | | |
AUT | 한스 크란클 | 스트라이커 | 1970–1978, 1981–1986 | 350 | 267 | 0.763 |
AUT | 게르하르트 하나피 | 미드필더 | 1950–1965 | 333 | 114 | 0.342 |
AUT | 라인하르트 키에나스트 | 미드필더 | 1978–1992 | 393 | 61 | 0.155 |
AUT | 헤리베르트 베버 | 수비수 | 1978–1989 | 315 | 39 | 0.124 |
AUT | 헬게 파이어 | 골키퍼 | 2001–2012 | 298 | | | |
AUT | 프란츠 빈더 | 스트라이커 | 1938–1948 | 242 | 267 | 1.103 |
AUT | 에른스트 하펠 | 수비수 | 1942–1954, 1956–1959 | 240 | 25 | 0.104 |
AUT | 발터 제만 | 골키퍼 | 1945–1961 | 235 | | | |
AUT | 로베르트 쾨르너 | 스트라이커 | 1942–1958 | 212 | 80 | 0.377 |
AUT | 알프레트 쾨르너 | 스트라이커 | 1942–1959 | 286 | 157 | 0.548 |
AUT | 루이 샤우브 | 공격형 미드필더 | 2011–2018 | 189 | 30 | 0.159 |
AUT | 안디 헤어초크 | 공격형 미드필더 | 1986–1992, 2002–2003 | 174 | 37 | 0.213 |
AUT | 안드레아스 이반시츠 | 공격형 미드필더 | 2000–2005 | 147 | 25 | 0.170 |
AUT | 레오폴트 그라우잠 | 공격수 | 1963–1970 | 142 | 58 | 0.408 |
AUT | 로만 발너 | 공격수 | 1999–2004 | 134 | 42 | 0.313 |
AUT | 플로리안 카인츠 | 미드필더 | 2014–2016 | 98 | 15 | 0.153 |
AUT | 죄르지 가리치 | 풀백 | 2001–2006 | 99 | 3 | 0.030 |
AUT | 에르빈 호퍼 | 공격수 | 2006–2009 | 85 | 41 | 0.482 |
ALB | 함디 살리히 | 공격수 | 2009–2012 | 67 | 36 | 0.537 |
BEL | 볼리 볼링골리-음봄보 | 레프트백 | 2017–2019 | 56 | 3 | 0.054 |
BLR | 알략산드르 마챨리츠키 | 수비수 | 1991–1993 | 58 | 9 | 0.155 |
BRA | 조엘린톤 | 미드필더 | 2016–2018 | 60 | 15 | 0.250 |
BUL | 트리폰 이바노프 | 수비수 | 1995–1997 | 53 | 7 | 0.132 |
CAN | 안테 야지치 | 레프트백 | 2001–2004 | 107 | 1 | 0.009 |
CRO | 즐라트코 크란차르 | 스트라이커 | 1983–1990 | 210 | 106 | 0.505 |
CRO | 마리오 바지나 | 미드필더 | 2006–2008 | 72 | 18 | 0.250 |
CRO | 니키차 옐라비치 | 공격수 | 2008–2010 | 71 | 27 | 0.380 |
CZE | 르네 바그너 | 공격수 | 1996–2004 | 220 | 75 | 0.341 |
CZE | 라디슬라프 마이에르 | 골키퍼 | 1998–2005 | 161 | | | |
CZE | 안토닌 파넨카 | 공격형 미드필더 | 1981–1985 | 127 | 63 | 0.496 |
CZE | 마레크 킨클 | 스트라이커 | 2004–2007 | 92 | 27 | 0.278 |
CZE | 라데크 베이플 | 수비형 미드필더 | 2005–2007 | 59 | 3 | 0.051 |
DEN | 조니 비에레고르 | 스트라이커 | 1966–1972 | 151 | 96 | 0.636 |
FIN | 마코 헤이키넨 | 센터백 | 2007–2013 | 173 | 4 | 0.023 |
GEO | 기오르기 크빌리타이아 | 스트라이커 | 2016–2018 | 55 | 17 | 0.309 |
GER | 슈테펜 호프만 | 미드필더 | 2002–2005, 2006–2018 | 434 | 98 | 0.226 |
GER | 올리버 프로인트 | 미드필더 | 1997–2002 | 126 | 6 | 0.048 |
GER | 옌스 도베 | 공격형 미드필더 | 1999–2001 | 60 | 7 | 0.117 |
GRE | 타노스 페초스 | 수비형 미드필더 | 2013–2016, 2017–2018 | 92 | 5 | 0.054 |
GRE | 탁시알히스 푼타스 | 공격수 | 2019–2022 | 68 | 35 | 0.515 |
KOS | 아르트헤 누히우 | 공격수 | 2010–2013 | 59 | 13 | 0.220 |
MNE | 브랑코 보슈코비치 | 공격형 미드필더 | 2007–2010 | 104 | 19 | 0.183 |
NED | 가스톤 타우먼트 | 윙어 | 2005–2008 | 61 | 4 | 0.066 |
NOR | 얀 오게 피외르토프트 | 센터 포워드 | 1989–1993 | 129 | 63 | 0.488 |
POL | 크시슈토프 라타이치크 | 수비수 | 1996–2001 | 142 | 1 | 0.007 |
POL | 마체이 시리보프스키 | 공격수 | 1993–1996 | 71 | 21 | 0.296 |
SVK | 마레크 펜크사 | 미드필더 | 1996–2000 | 110 | 18 | 0.164 |
SVK | 얀 노보타 | 골키퍼 | 2011–2017 | 96 | | | |
SVK | 페테르 흘린카 | 미드필더 | 2004–2007 | 93 | 11 | 0.118 |
SVK | 요제프 발라호비치 | 수비수 | 2004–2007 | 71 | 7 | 0.099 |
TJK | 세르게이 만드레코 | 미드필더 | 1992–1997 | 107 | 16 | 0.150 |
USA | 테렌스 보이드 | 공격수 | 2012–2014 | 59 | 28 | 0.475 |
YUG | 페타르 브루치치 | 미드필더 | 1982–1987 | 118 | 6 | 0.051 |
페터 쇠텔은 436경기로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슈테펜 호프만(434경기)과 미하엘 콘젤(395경기)이 그 뒤를 잇고 있다.[1] 득점 부문에서는 요제프 우리딜(득점률 1.198), 프란츠 빈더(1.103), 로베르트 디엔스트(1.080)가 높은 득점률을 기록했다.[1]
8. 클럽 스태프
직책 | 이름 |
---|---|
회장 | 알렉산더 브라베츠 |
부회장 | 니콜라우스 로젠아우어 |
스포츠 코디네이터 | 슈테펜 호프만 |
스포츠 디렉터 | 마르쿠스 카처 |
감독 | 로베르트 클라우스 |
수석 코치 | 토마스 크라우스 |
골키퍼 코치 | 위르겐 마초 |
피트니스 코치 | 마르틴 히덴 |
운동 코치 | 토니 프륀스터 율리안 헬믈 알렉산더 슈타인비흘러 |
경기 분석가 | 다니엘 세퍼 |
구단 의무팀 | 토마스 발처 파트리크 비칭거 보이테크 부르제츠 루카스 브란트너 마누엘 로젠탈러 볼프강 스칼스키 |
물리치료사 | 게랄트 켐머 |
장비 담당 | 드라기사 부카디노비치 |
9.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막스 메르켈 | 1956~1958 |
요제프 히커스베르거 | 2002~2005 |
조란 바리시치 | 2013~2016, 2022~2023 |
로베르트 클라우스 | 2023~ |
감독 | 임기 |
---|---|
디오니시 쇼네커 | 1910~1925 |
Stanley Willmott|스탠리 윌모트영어 | 1925~1926 |
Edi Bauer|에디 바우어de | 1926~1936 |
Leopold Nitsch|레오폴트 니치de | 1936~1945 |
Hans Pesser|한스 페서de | 1945년 7월 1일~1953년 2월 28일 |
Josef Uridil|요제프 우리딜de | 1953~1954 |
Viktor Hierländer|빅토르 히어랜더de | 1954~1955 |
Leopold Gernhardt|레오폴트 게른하르트de | 1955 |
Franz Wagner|프란츠 바그너de | 1955, 1956 |
Alois Beranek|알로이스 베라넥de | 1956 |
막스 메르켈 | 1956년 7월 1일~1958년 6월 30일 |
Rudolf Kumhofer|루돌프 쿰호퍼de | 1958~1959 |
로베르트 쾨르너 | 1959년 7월 1일~1966년 6월 30일, 1972, 1977 |
루돌프 비틀라칠 | 1966년 7월 1일~1968, 1968~1969년 4월 30일 |
카를 데커 | 1968~1970 |
Karl Rappan|카를 라판de | 1969~1970 |
Gerd Springer|게르트 슈프링어de | 1970~1972 |
Ernst Hlozek|에른스트 흘로제크de | 1972년 4월 1일~1975년 4월 22일 |
Josef Pekanka|요제프 페칸카de | 1975 |
Franz Binder|프란츠 빈더de / 로베르트 쾨르너 | 1975년 9월 1일~1976년 6월 30일 |
Antoni Brzeżańczyk|안토니 브제잔치크pl | 1976~1977 |
Karl Schlechta|카를 슐레흐타de | 1978~1979 |
Walter Skocik|발터 스코치크de | 1979년 7월 1일~1982년 4월 1일 |
Rudolf Nuske|루돌프 누스케de | 1982 |
오토 바리치 | 1982년 7월 1일~1985년 6월 30일, 1986년 7월 1일~1988년 9월 11일 |
블라트코 마르코비치 | 1985년 7월 1일~1986년 6월 30일, 1988년 9월 19일~1989년 6월 30일 |
Wilhelm Kaipel|빌헬름 카이펠de (임시) | 1988년 9월 12일~1988년 9월 19일 |
한스 크랑클 | 1989년 7월 1일~1992년 6월 30일 |
아우구스트 스타레크 | 1992년 7월 1일~1993년 5월 31일 |
Hubert Baumgartner|후베르트 바움가르트너de | 1993년 7월 1일~1994년 5월 22일 |
에른스트 도쿠필 | 1994년 5월 23일~1998년 4월 1일, 2000년 7월 1일~2001년 8월 18일 |
헤리베르트 베버 | 1998년 4월 1일~2000년 5월 1일 |
Peter Persidis|페터 페르시디스de (임시) | 2001년 8월 18일~2001년 9월 5일 |
로타어 마테우스 | 2001년 9월 6일~2002년 5월 10일 |
요제프 히커스베르거 | 2002년 7월 1일~2005년 12월 31일 |
Georg Zellhofer|게오르크 첼호퍼de | 2006년 1월 1일~2006년 8월 27일 |
페터 파쿨트 | 2006년 9월 5일~2011년 4월 11일 |
조란 바리시치 (임시) | 2011년 4월 11일~2011년 5월 30일 |
Peter Schöttel|페터 쇨텔de | 2011년 6월 1일~2013년 4월 17일 |
Mike Büskens|마이크 뷔스켄스de | 2016년 6월 7일~2016년 11월 7일 |
Damir Canadi|다미르 카나디de | 2016년 11월 11일~2017년 4월 8일 |
Goran Djuricin|고란 주리친de | 2017년 4월 9일~2018년 9월 29일 |
Dietmar Kühbauer|디트마어 큉바우어de | 2018년 10월 1일~2021년 11월 10일 |
Steffen Hofmann|슈테펜 호프만de (임시) | 2021년 11월 11일~2021년 11월 28일 |
Ferdinand Feldhofer|페르디난트 펠트호퍼de | 2021년 11월 29일~2022년 10월 15일 |
로베르트 클라우스 | 2023년 11월 20일~ |
참조
[1]
웹사이트
Memory Stone for Wilhelm Goldschmidt
https://www.skrapid.[...]
[2]
웹사이트
Austria 1911/12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com
2005-02-02
[3]
웹사이트
Austria 1912/13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com
2005-02-09
[4]
웹사이트
Austria – List of Champions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com
2013-07-25
[5]
웹사이트
UEFA Champions League 1955/56 – History – Rapid Wien –
http://www.uefa.com/[...]
UEFA
[6]
웹사이트
UEFA Champions League 1960/61 – History – Rapid Wien –
http://www.uefa.com/[...]
UEFA
[7]
웹사이트
Erinnerungen an Hassduell
https://sportv1.orf.[...]
2022-07-14
[8]
웹사이트
European Cup Winners' Cup Finals 1961–99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com
1999-05-31
[9]
웹사이트
UEFA Champions League 2005/06 – History – Rapid Wien –
http://www.uefa.com/[...]
UEFA
[10]
웹사이트
Junge Fußballspieler aus 24 Ländern Europas und Asiens trafen sich zum Dritten Internationalen Kinderforum Football for Friendship
https://www.prnewswi[...]
The International Children's Social FOOTBALL FOR FRIENDSHIP project press center
2020-11-15
[11]
웹사이트
Champions League-weekend Berlijn onvergetelijk voor Merel Hulst uit Assen
https://assercourant[...]
2015-06-07
[12]
웹사이트
SK Rapid Wien - Eckdaten / Das grün-weiße Jahrhundertprojekt: Unser neues Stadion
http://www.skrapid.a[...]
2014-07-08
[13]
웹사이트
Eröffnung des Allianz Stadions am 16. Juli gegen Chelsea
https://www.skrapid.[...]
SK Rapid Wien
2016-07-09
[14]
웹사이트
Zurück in Hütteldorf: Show, Unterhaltung, Sieg vs. Chelsea
https://www.skrapid.[...]
SK Rapid Wien
2023-08-17
[15]
웹사이트
https://www.fifa.com[...]
[16]
웹사이트
Europe's Club of the Century
http://www.iffhs.de/[...]
2010-06-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