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075 안중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S-075 안중근함은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된 손원일급 잠수함으로, 533mm 어뢰발사관 8기를 탑재하고 있으며, 천룡 순항 미사일 운용이 가능하다. 2008년 진수되어 2009년 취역했으며, 진해 제9전단에 배치되었다. 운항 중 볼트 문제, 프로펠러 균열, 연료 전지 문제 등이 발생하여 운항 중단 및 기술 지원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선박 - DDG-992 율곡이이
DDG-992 율곡이이는 율곡 이이의 이름을 딴 대한민국 해군 KDX-III 이지스 구축함으로, 2010년 취역하여 림팩 훈련 참가, 북한 미사일 발사 실험 대응 등의 활동을 했으며 SPY-1D(V) 레이더 등 최첨단 이지스 전투 체계와 다양한 무장을 갖추고 있다. - 2008년 선박 - 네르파함
네르파함은 러시아의 아쿨라급 핵추진 공격 잠수함으로, 건조 지연 후 인도에 임대되어 INS 차크라로 취역했으나 시험 운행 중 사고와 동력 시스템 문제로 러시아에 반환되었다. - 손원일급 잠수함 - SS-079 홍범도
대한민국 해군의 손원일급 잠수함 3번함인 홍범도함은 독립군 총사령관 홍범도 장군의 이름을 딴 잠수함으로, 해성-3, 현무-3 순항 미사일 등으로 무장하고 있다. - 손원일급 잠수함 - SS-078 유관순
유관순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손원일급 잠수함 6번함으로, 2017년 취역하여 전력에 합류했으며 8개의 어뢰 발사관과 현무-3 순항 미사일 등을 탑재할 예정이다. - 안중근 - 이범윤
이범윤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로, 간도 관리사, 연추 의병부대 지도자, 13도 의군 창의군 총재, 권업회 총재, 의군부 및 대한독립군단 총재 등을 역임하며 북간도와 연해주에서 무장 독립운동을 전개했고,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 안중근 - 안정근
안정근은 안중근의 동생이자 독립운동가로서, 형 안중근, 동생 안공근과 함께 독립운동에 헌신했고 김구의 아들 김인의 장인이며,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SS-075 안중근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함명 | 안중근 |
함명 유래 | 안중근 |
함번 | SS-075 |
함정 정보 | |
함종 | 잠수함 |
함급 | 손원일급 잠수함(214형 잠수함) |
건조 |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
진수 | 2008년 6월 4일 |
취역 | 2009년 12월 1일 |
상태 | 현역 |
제원 | |
배수량 | 수상 1,690톤, 수중 1,860톤 |
전장 | 65 미터 |
전폭 | 6.3 미터 |
흘수 | 6 미터 |
추진 방식 | 디젤-전기, 연료 전지 AIP, 저소음 스큐 백 프로펠러, 1축 추진 |
디젤 엔진 | MTU 16V 396 디젤 엔진 × 1기 (3.12 MW) |
연료 전지 | HDW PEM 연료 전지 × 9기 (306kW) |
전기 모터 | 지멘스 Permasyn 전동기 × 1기 (2.85MW) |
속력 | 수상 12 노트, 수중 20 노트 |
항속 거리 | 수상 12,000 해리, 수중 420 해리 (8노트), 수중 연료 전지 1,248 해리 (4노트) |
잠항 심도 | 400 미터 (시험) |
승조원 | 27명 (사관 5명, 승조원 22명) |
무장 | |
어뢰 발사관 | 533mm 어뢰 발사관 × 8문 |
미사일 | 하푼 SSM (4문은 하푼 발사 가능), 천룡 순항 미사일 |
어뢰 | 16문 |
센서 및 전자 장비 | |
전자전 장비 | 대어뢰 기만기 |
2. 무장
손원일급 잠수함인 안중근함은 주요 무장으로 8개의 533mm 어뢰발사관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어뢰뿐만 아니라 함대지 순항 미사일 발사 능력도 보유하고 있다.[9][1]
2. 1. 미사일
손원일급 잠수함인 안중근함은 533mm 어뢰발사관 8개를 갖추고 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사거리 500km인 한국형 순항 미사일 천룡을 이 잠수함에 탑재하여 실전 배치 및 운용 중이다.[1][9] 또한 사거리 1000km 및 1500km 버전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 버전들이 533mm 어뢰발사관에 장착 가능한지는 확인되지 않았다.[9] 미국의 토마호크 미사일 역시 원래 533mm 어뢰발사관에서 발사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대한민국은 최근 이와 유사한 미사일의 국산화에 성공했다.[9]3. 건조 및 운용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에서 건조된 안중근함은 2008년 6월 4일 진수되었으며, 당시 진수식에는 합동참모의장과 해군참모총장 등이 참석했다. 이후 2009년 12월 1일 부산 작전기지에서 취역하여 초대 함장 이영운 중령의 지휘 아래[4] 진해에 위치한 제9전단에 배치되었다.[2]
그러나 취역 초기부터 운용 과정에서 여러 기술적 문제들이 발생했다. 2010년 봄에는 잠수함 내부의 볼트가 풀리거나 부러지는 문제가 반복되어 운항이 중단되었으며, 이 문제는 손원일급 잠수함의 원 설계사인 독일 호발츠베르케-도이체 베르프트(HDW)의 기술 지원을 받고 나서야 해결될 수 있었다.[5] 이후 2014년에는 야전 정비 중 국내에서 제작된 프로펠러에서 다수의 균열이 발견되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6] 또한, 잠수함의 핵심 성능인 잠항 능력과 관련된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도 잦은 고장이 발생하여 수 주간 작전이 가능해야 할 잠수함이 실제로는 며칠밖에 연속 잠항을 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SBS 보도를 통해 제기되었다.[7] 이러한 일련의 문제들은 안중근함의 초기 운용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3. 1. 안중근함
안중근함(SS-075)은 2008년 6월 4일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에서 진수되었다. 당시 진수식에는 합동참모의장과 해군참모총장 등이 참석했다. 이후 2009년 12월 1일 부산 작전기지에서 취역했으며, 초대 함장으로는 이영운 중령이 임명되었다.[4] 취역 후 진해에 위치한 제9전단에 배치되었다.[2]그러나 취역 초기부터 여러 문제가 발생했다. 2010년 봄에는 운항이 중단되었는데, 이는 잠수함 내부의 볼트가 부러지거나 풀리는 문제가 2년 동안 3차례나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조선일보 등이 보도했다. 이 문제는 국내 기술력만으로는 해결하지 못하여, 손원일급 잠수함의 원 설계사인 독일 호발츠베르케-도이체 베르프트(HDW)의 기술진이 직접 조사하고 보강 작업을 실시한 후에야 해결될 수 있었다.[5] 이는 건조 및 유지보수 과정에서의 기술적 문제점을 드러낸 사례로 지적된다.
이후에도 문제는 계속되었다. 2014년 8월 2일에는 야전 정비 중 프로펠러에서 7곳의 균열이 발견되었고, 현대중공업에서 정밀 검사를 실시한 결과 총 151곳의 균열이 추가로 확인되었다. 당시 함께 점검했던 독일제 프로펠러에서는 균열이 전혀 발견되지 않아, 국내에서 제작된 프로펠러의 품질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 사실은 2015년 9월 22일, 당시 대한민국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이었던 김관진 의원이 해군본부 및 국방기술품질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통해 공개되었다.[6]
또한 2014년 10월, SBS는 손원일급 잠수함이 원래 수 주간의 연속 작전 능력을 갖도록 설계되었으나, 실제로는 연료 전지의 잦은 고장으로 인해 며칠밖에 연속 잠항을 하지 못한다고 보도했다.[7] 보도에 따르면, 해군은 손원일급 3척에 탑재된 연료 전지에 이미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구매를 강행했으며, 이후에도 연료 전지가 102차례나 작동을 멈추는 문제가 발생했다. 방위사업청은 진수한 지 6년이 지난 2013년에야 연료 전지 냉각 시스템의 결함을 발견했고, 2014년 상반기에 수리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또한 같은 해 10월부터 심해에서 10일 이상 정상 작동하는지 재검증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7] 이러한 일련의 문제는 잠수함의 핵심 성능과 직결되는 부분에서 발생하여 운용 능력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3. 2. 연료 전지 문제
2014년 10월, SBS는 손원일급 잠수함이 원래 수 주간 해상 작전이 가능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연료 전지 고장 때문에 연속 잠항 가능 기간이 며칠에 불과하다고 보도했다.[7] 이 보도에서는 해군이 손원일급 3척의 연료 전지가 이미 고장 난 상태임을 알고도 구매했으며, 이후에도 연료 전지는 102번이나 멈추는 문제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7] 방위사업청은 진수한 지 6년이 지난 2013년에야 연료 전지의 냉각 시스템 문제를 발견했고, 2014년 상반기에 수리를 마쳤다고 밝혔다. 또한, 같은 해 10월부터 심해에서 연료 전지가 10일 이상 제대로 작동하는지 다시 검증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7]참조
[1]
웹사이트
"[단독] 국산 잠대지 미사일 서해 배치...사거리 300km"
https://news.naver.c[...]
2021-07-11
[2]
웹사이트
South Korea to Order 5 More U-214 AIP Submarines to Bridge to Indigenous Boats
http://www.defensein[...]
2021-07-11
[3]
뉴스
국산 잠대지 미사일 서해 배치...사거리 300km
http://www.ytn.co.kr[...]
YTN
2010-12-10
[4]
뉴스
「安重根艦」、ディーゼル潜水艦では世界最高水準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9-12-01
[5]
뉴스
韓国の“救いがたき”潜水艦事情…粗製濫造で出撃できず、海軍兵は任務を敬遠
https://web.archive.[...]
イザ!(産経デジタル)
2015-01-29
[6]
뉴스
해군 잠수함 '안중근함' 불량 프로펠러 장착됐다
http://www.segye.com[...]
世界日報|SEGYE.com
2015-09-22
[7]
뉴스
軍 최신예 잠수함 '잠항 능력 낙제'…알고도 인수
http://news.naver.co[...]
韓国SBS
2014-10-09
[8]
웹인용
Fuel Cell Propulsion of Submarines
https://web.archive.[...]
2010-02-02
[9]
뉴스
軍, 사거리 1000km 순항 미사일 개발
https://web.archive.[...]
국민일보
2006-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