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078 유관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S-078 유관순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손원일급(214급) 잠수함의 6번함이다. 2010년 대우조선해양에서 기공하여 2015년 5월 7일 진수되었으며, 2017년 7월 11일 취역했다. 8개의 533mm 어뢰 발사관을 갖추고 있으며, 한국형 토마호크 미사일인 현무-3을 탑재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5년 선박 - SS-079 홍범도
대한민국 해군의 손원일급 잠수함 3번함인 홍범도함은 독립군 총사령관 홍범도 장군의 이름을 딴 잠수함으로, 해성-3, 현무-3 순항 미사일 등으로 무장하고 있다. - 2015년 선박 - FFG-817 광주
FFG-817 광주는 대한민국 해군의 광주급 호위함 1번함으로, 노후화된 함정 대체 목적으로 FFX 계획에 따라 건조되어 2016년 취역했다. - 손원일급 잠수함 - SS-079 홍범도
대한민국 해군의 손원일급 잠수함 3번함인 홍범도함은 독립군 총사령관 홍범도 장군의 이름을 딴 잠수함으로, 해성-3, 현무-3 순항 미사일 등으로 무장하고 있다. - 손원일급 잠수함 - SS-072 손원일
손원일함(SS-072)은 대한민국 해군의 214급 잠수함 1번함으로, 손원일 제독의 이름을 사용하며, AIP 시스템을 탑재하여 장기간 잠수 작전이 가능하고,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되어 2007년 취역했으며, 다양한 무기를 탑재한 공격 능력을 갖추고 있다.
SS-078 유관순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함 정보 | |
![]() | |
함 종류 | 손원일급 잠수함(214형 잠수함) 잠수함 |
함명 | 유관순 (유관순) |
함명 유래 | 유관순 |
함번 | SS-078 |
별칭 | 해당사항 없음 |
상태 | 현역 |
건조 정보 | |
발주처 | 해당사항 없음 |
수상 | 해당사항 없음 |
건조 | 대우조선해양 |
원가 | 해당사항 없음 |
야드 번호 | 해당사항 없음 |
거치 | 2010년 |
진수 | 2015년 5월 7일 |
명명 | 해당사항 없음 |
완공 | 해당사항 없음 |
인수 | 2017년 7월 10일 |
취역 | 2017년 7월 11일 |
재취역 | 해당사항 없음 |
퇴역 | 해당사항 없음 |
제적 | 해당사항 없음 |
최초 항해 | 해당사항 없음 |
모항 | 해당사항 없음 |
제원 | |
배수량 | 수상: 1,690톤 (LT) 수중: 1,860톤 (LT) |
길이 | 65미터 |
폭 | 6.3미터 |
흘수 | 6미터 |
동력 | 디젤-전기, 연료 전지 AIP, 저소음 스큐 백 프로펠러 |
속력 | 수상: 12노트 수중: 20노트 |
항속 거리 | 수상: 12,000해리 수중: 420해리 (8노트) 수중: 1,248해리 (4노트) |
내구 | 84일 |
시험 심도 | 약 400미터 |
승조원 | 장교 5명 + 승무원 22명 |
센서 | 해당사항 없음 |
전자전 | 해당사항 없음 |
장갑 | HY100 고장력강 |
무장 | |
어뢰 발사관 | 8 × 533mm 어뢰 발사관 |
미사일 | 4 × Sub-Harpoon 미사일 해성-3 순항 미사일 |
기타 | 기뢰 |
2. 역사
2015년 5월 7일, 경남 거제 대우조선해양에서 214급 잠수함 6번함인 유관순함이 진수되었다. 당시 진수식에는 한민구 국방부 장관, 정호섭 해군참모총장, 그리고 유관순 열사의 친척들이 참석했다.[5] 이후 2017년 7월 11일, 유관순함은 정식으로 취역하여 대한민국 해군의 전력에 합류했다.
2. 1. 건조
2010년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기공되었다.[5]2. 2. 진수
2015년 5월 7일, 대우조선해양(DSME)에서 진수되었으며, 한민구 국방부 장관, 정호섭 해군참모총장, 유관순 열사의 친척 등이 참석했다.[5] 2017년 7월 11일에 취역했다.2. 3. 취역
ROKS ''유관순''은 2015년 5월 7일 대우조선해양(DSME)에서 진수되었고, 2017년 7월 11일에 취역했다.[5]3. 특징
유관순함은 8개의 533mm 어뢰 발사관을 갖추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사거리 500km의 한국형 토마호크 미사일인 현무-3을 탑재할 예정이다. 사거리 1000km 및 1500km 버전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의 토마호크 미사일은 원래 533mm 어뢰 발사관에서 발사되도록 설계되었으며, 한국 역시 최근 국산화에 성공했다.
사거리 500km의 천룡 미사일이 손원일급 잠수함에 탑재되어 실전 배치 및 운용 중이다.[1]
손원일급(214형)을 수출한 독일은 동일한 배수량에 동일한 AIP 시스템을 사용하는 212형 잠수함을 운용하고 있다. 212형 잠수함은 사거리 20km, 4개의 533mm 어뢰 발사관을 갖추고 있으며, 대공, 수상, 수중 표적에 대응할 수 있다.
3. 1. 설계
손원일급 잠수함(214급)은 독일의 214형 잠수함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손원일함은 8개의 533mm 어뢰 발사관을 갖추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사거리 500km의 한국형 토마호크 미사일인 현무-3을 탑재할 예정이다. 사거리 1000km 및 1500km 버전도 개발 중이라고 알려져 있다. 원래 미국의 토마호크 미사일은 533mm 어뢰 발사관에서 발사되도록 설계되었으며, 한국 역시 최근 이를 국산화에 성공했다.
사거리 500km의 천룡 미사일이 손원일급 잠수함에 탑재되어 실전 배치 및 운용 중이다.[1]
독일은 손원일급(214형)과 동일한 배수량에 동일한 AIP 시스템을 사용하는 212형 잠수함을 운용하고 있다. 212형 잠수함의 사거리는 20km이며, 4개의 533mm 어뢰 발사관을 갖추고 있으며, 대공, 수상, 수중 표적에 대응할 수 있다.
3. 2. 무장
손원일함은 8개의 533mm 어뢰 발사관을 갖추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사거리 500km의 한국형 토마호크 미사일인 현무-3을 탑재할 예정이다. 사거리 1000km 및 1500km 버전도 개발 중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이 버전이 533mm 어뢰 발사관에 탑재 가능한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원래 미국의 토마호크 미사일은 533mm 어뢰 발사관에서 발사되도록 개념적으로 설계되었으며, 한국 역시 최근 이를 국산화에 성공했다.사거리 500km의 천룡 미사일이 손원일급 잠수함에 탑재되어 실전 배치 및 운용 중이다.[1]
손원일급(214형)을 수출한 독일은 동일한 배수량에 동일한 AIP 시스템을 사용하는 212형 잠수함을 운용하고 있다. 사거리는 20km이며, 4개의 533mm 어뢰 발사관을 갖추고 있으며, 대공, 수상, 수중 표적에 대응할 수 있다.
3. 3. 공기불요추진 시스템 (AIP)
손원일급(214형)을 수출한 독일은 동일한 배수량에 동일한 AIP 시스템을 사용하는 212형 잠수함을 운용하고 있다. 사거리는 20km이며, 4개의 533mm 어뢰 발사관을 갖추고 있으며, 대공, 수상, 수중 표적에 대응할 수 있다.4. 대한민국 해군 장비 현황
대한민국 해군은 다양한 종류의 장비를 운용하고 있다.
해군 잠수함 전력으로는 도산안창호급, 손원일급, 장보고급, 돌고래급 등이 있다. 유관순함은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2010년 기공하여 2015년 5월 7일에 진수되었으며[5], 2016년 11월에 취역했다.
4. 1. 수상함 전력
대한민국 해군은 다양한 종류의 수상함 전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대한민국의 해양 주권 수호와 해상 안보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대형수송함
- 독도급 대형수송함: 독도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주력 상륙함으로, 해병대의 상륙 작전 능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독도함은 유사시 재외국민 철수, 국제 평화 유지 활동 등 다양한 임무 수행이 가능하다.
구축함
- 이지스 구축함: 대한민국 해군은 세종대왕급 이지스 구축함을 운용하며, 이는 뛰어난 대공 방어 능력과 광역 해상 감시 능력을 제공한다. 이지스 시스템은 북한의 탄도 미사일 위협에 대한 방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주력 구축함으로, 대공, 대함, 대잠 능력을 고루 갖추고 있다.
호위함
- 대구급 호위함: 대구급 호위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연안 방어 및 초계 임무를 수행하며, 디젤-전기 추진 체계를 통해 뛰어난 연료 효율성을 제공한다.
초계함
- 포항급 초계함: 포항급 초계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연안 경비 및 초계 임무를 담당하며, 다양한 함포와 미사일을 탑재하여 화력 지원 능력도 갖추고 있다.
고속함
- 윤영하급 고속함: 윤영하급 고속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연안 경비 및 대북 억제 임무를 수행하며, 빠른 속도와 기동성을 바탕으로 북한 해군에 대한 감시 및 대응 능력을 강화한다.
상륙함
- 고준봉급 상륙함: 고준봉급 상륙함은 대한민국 해병대의 상륙 작전 지원을 위해 운용되며, 전차 및 상륙 병력 수송 능력을 제공한다.
전투지원함
- 소양급 군수지원함: 소양급 군수지원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작전 지속 능력 향상에 기여하며, 해상에서 함정에 연료, 탄약, 식량 등을 보급하여 장기간 작전 수행을 가능하게 한다.
- 천지급 군수지원함: 천지급 군수지원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군수 지원 능력을 강화하며, 해상 작전 부대에 필수적인 물자를 보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4. 2. 잠수함 전력
대한민국의 잠수함 전력은 다음과 같다.유관순함은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2010년에 기공하여 2015년 5월 7일에 한민구 국방부 장관, 정호섭 해군참모총장, 유관순의 친척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수되었다[5]. 2016년 11월에 취역했다.
4. 3. 기타 전력
해당 정보는 유관순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요청하신 내용에 대한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참조
[1]
웹사이트
"[단독] 국산 잠대지 미사일 서해 배치...사거리 300km"
https://news.naver.c[...]
2021-07-11
[2]
웹사이트
Navy Takes Delivery of 1,800-Ton Submarine
http://english.chosu[...]
2021-07-11
[3]
웹사이트
KBS NEWS
http://news.kbs.co.k[...]
2012-02-29
[4]
YTN
국산 잠대지 미사일 서해 배치...사거리 300km
http://www.ytn.co.kr[...]
2010-12-10
[5]
뉴스
韓国の最新鋭潜水艦「柳寛順」が進水 女性独立運動家から命名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5-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