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SSL 시리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SL 시리즈는 2015년 스타크래프트 II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개편에 따라 신설된 스타크래프트 II e스포츠 리그로, GSL과 병행하여 진행되었다. 2017년에는 SSL 프리미어, SSL 챌린지, SSL 클래식(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으로 재편되었고, 리그 명칭도 SSL 시리즈로 변경되었다. SSL은 메인 이벤트인 프리미어와 챌린지로 구성되며, 2017년에는 프리미어는 정규 시즌과 포스트 시즌으로, 챌린지는 예선 역할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SSL 시리즈 우승자에게는 우승 반지와 함께 '영광의 손'이 수여 및 전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6 시즌 1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6 시즌 1은 SPO TV 게임즈가 주최하고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후원하여 스타크래프트 II: 공허의 유산으로 진행되었으며, 박령우가 우승을 차지한 대회이다.
  •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6 시즌 2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6 시즌 2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후원, SPO TV 게임즈 주최의 개인 리그로 "MY PRIDE" 부제 하에 2016년 5월부터 7월까지 진행되었으며 강민수가 박령우를 꺾고 우승했다.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 II
    스타크래프트 II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개발한 실시간 전략 게임으로, 3개의 확장팩으로 출시되었으며, 3D 그래픽, 다양한 게임 모드, 종족별 신규 유닛, 활성화된 e스포츠, 인공지능 연구 플랫폼으로의 활용, 그리고 일본어판이 없다는 특징을 갖는다.
  • 스타크래프트 - 한규종
    한규종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자 전 KT 롤스터 코치로, 선수 시절 KeSPA Cup 아마추어 입상 및 KPGA TOUR 3위 등의 경력이 있으며, 코치로서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에서 팀을 3위로 이끌었다.
  • E스포츠에 관한 -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1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1은 2001년에 개최된 e스포츠 대회이며,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등 여러 게임이 정식 종목으로 진행되었고, 임요환이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E스포츠에 관한 - 한규종
    한규종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자 전 KT 롤스터 코치로, 선수 시절 KeSPA Cup 아마추어 입상 및 KPGA TOUR 3위 등의 경력이 있으며, 코치로서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에서 팀을 3위로 이끌었다.
SSL 시리즈
기본 정보
2015 시즌 로고
2015 시즌 로고
종목스타크래프트 II
창립2014년 12월
해체2018년
국가대한민국
대륙아시아
최근 우승자김"Stats"대엽
웹사이트SPOTV 게임즈 공식 페이지 (한국어)
SSL 시리즈 정보
리그 이름SSL 시리즈 (SSL Series)
현재 시즌진에어 SSL 시리즈 2017
종목스타크래프트 II: 군단의 심장 (네이버 SSL 2015 시즌 1 ~ 스베누 SSL 2015 시즌 3)
스타크래프트 II: 공허의 유산 (SSL 2016 시즌 1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진에어 SSL 시리즈 2017 클래식 시즌 1 ~)
주관SPO TV 게임즈
리그 개시2015년
참가자 수16명
최근 우승자강민수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6 시즌 2)

2. 역사

2015년 이전에는 한국에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GSL)만이 유일한 스타크래프트 II 개인 리그였다. 2014년 10월 31일,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월드 챔피언십 시리즈(WCS) 시스템 변경을 발표하며 SPOTV GAMES가 주최하는 두 번째 개인 리그 개최를 알렸다.[2] 2015년 1월 15일, 네이버가 첫 번째 SSL 토너먼트 후원사로 결정되었다.[3] 그 해의 다음 두 토너먼트는 SBENU가 후원했다.[4]

2016 시즌 이후 SPOTV GAMES가 2017년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진행을 포기하면서 대회가 폐지되었다.

2017년 2월 28일, SPOTV GAMES는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를 '''SSL 프리미어''', '''SSL 챌린지'''로 재개최하고,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리그인 '''SSL 클래식'''을 신설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와 함께 리그 명칭 또한 '''SSL 시리즈'''로 변경하였다.

3. 대회 방식

SSL은 2017년에 '''프리미어'''로 이름이 변경된 '''메인 이벤트'''와 '''챌린지''' 두 가지 이벤트로 구성된다. 챌린지는 프리미어의 예선 역할을 한다. SSL은 3년 동안 두 리그 모두에서 여러 번 형식이 크게 변경되었다.[1]

3. 1. 2015년 시즌 1 ~ 시즌 3

SSL은 예선, 챌린지, 본선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 예선

: 참가 인원을 조별로 나누어 조별 토너먼트를 진행한 뒤, 각 조에 4명이 남으면 듀얼 토너먼트 방식으로 2명을 선발해 총 24명이 챌린지에 진출한다.

  • 챌린지

: 예선 통과자 24명과 전 시즌 8강 진출자 4명을 합한 28명이 1:1 Best-of-five|베스트 오브 파이브영어(5판 3선승제) 경기를 치러 승자가 본선으로 진출한다.

  • 본선

: 전 시즌 4강 진출자 4명과 챌린지 통과자 12명을 합해 16강부터 진행한다. 16강에서는 4조로 나누어 듀얼 토너먼트 방식 조별 리그를 진행하고, 8강부터 싱글 토너먼트로 진행한다. 8강 진출자는 다음 시즌 챌린지 진출이, 4강 진출자는 본선 진출이 보장된다.

2015년 세 시즌 모두, 메인 이벤트에 참가하는 16명의 선수는 4명씩 4개 조로 나뉘어 시작한다. 조별 예선 경기는 Best-of-three|베스트 오브 쓰리영어(3전 2선승제)로 진행되며, 각 조 상위 2명의 선수는 플레이오프 라운드로 진출하고, 각 조 하위 2명의 선수는 다음 시즌 챌린지 리그로 강등된다.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선수는 다음 시즌에도 메인 이벤트에 잔류한다. 8강 경기는 Best-of-five|베스트 오브 파이브영어(5판 3선승제), 준결승 및 결승 경기는 Best-of-seven|베스트 오브 세븐영어(7전 4선승제)로 진행된다.[1]

SSL 챌린지는 메인 이벤트의 사실상 예선 역할을 하는 이벤트이다. 리그 진출 자격을 얻은 선수와 메인 이벤트에서 초기에 탈락한 선수들이 Best-of-five|베스트 오브 파이브영어(5판 3선승제)로 맞붙는다. 각 경기에서 승리한 선수는 메인 이벤트에 진출하고, 패배한 선수는 리그에서 탈락하여 일반 예선에 다시 참가해야 한다.

3. 2. 2016년 시즌 1

예선은 참가 인원을 조별로 나누어 조별 토너먼트를 진행한 뒤, 각 조에 4명이 남으면 듀얼 토너먼트 방식으로 2명을 선발해 총 16명이 본선에 직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

본선은 16강부터 8강까지 싱글 토너먼트, 4강은 듀얼 토너먼트 방식이었으나, 1월 13일부로 16강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 2016년 시즌 1에는 SSL 챌린지가 없었고, 예선 통과자들이 바로 메인 이벤트에 진출했다.[1] 메인 이벤트는 16명의 선수가 참가하는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승자조와 패자조의 첫 라운드는 3전 2선승제, 다음 두 라운드는 5전 3선승제, 그리고 상위 4명의 순위를 결정하는 나머지 4경기는 7전 4선승제로 진행되었다.[1]

3. 3. 2016년 시즌 2

2016년 SSL 시리즈 시즌 2는 예선, 챌린지, 본선의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 예선: 듀얼 토너먼트 방식으로 24명을 선발하여 챌린지에 진출시켰다. 참가 인원을 조별로 나누어 조별 토너먼트를 진행한 뒤, 각 조에 4명이 남으면 듀얼 토너먼트 방식으로 2명을 선발하는 방식이었다.

  • 챌린지: 예선 통과자 24명이 6인 1조, 4개 조로 단판 풀 리그를 두 번 치러 각 조 1, 2, 3위가 본선에 진출했다. 각 경기는 2게임으로, 각 선수에게 '홈' 게임과 '어웨이' 게임으로 구성되었다. '홈' 선수가 플레이할 맵을 선택했으며, 그룹 내 두 선수의 전체 맵 승수가 같은 경우, 어웨이 승리가 순위 결정에 더 큰 비중을 차지했다.

  • 본선: 전 시즌 4강 진출자 4명과 챌린지 통과자 12명으로 16강부터 진행했다. 16강은 4개 조 듀얼 토너먼트, 8강부터는 싱글 토너먼트 방식이었다.

3. 4. 2017년 (SSL 프리미어, 챌린지, Fast Lane)

2017년, SSL 메인 이벤트는 SSL 프리미어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리그에 대규모 형식 변화가 있었다. 2016년과 달리, 이 형식은 시즌 간에 변동 없이 유지되었다.[1]

  • '''SSL 프리미어'''


10명의 선수가 정규 시즌인 '페넌트 레이스'에 참가하여 대규모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진행한다. 페넌트 레이스 종료 후, 하위 2명은 SSL 챌린지로 강등되고, 6위와 7위는 패스트 레인 1일차, 8위는 패스트 레인 2일차에 진출하며, 5위는 다음 시즌 프리미어에 직행한다. 상위 4명은 포스트 시즌에 진출한다. 포스트 시즌에서는 3위와 4위가 5판 3선승제로 경기를 치르고, 여기서 승리한 선수가 2위와 5판 3선승제로 대결한다. 이 경기에서 승리한 선수는 페넌트 레이스 1위와 결승전을 치른다. 이러한 대규모 형식 변경으로 인해, 상금 구조 또한 수정되어 모든 경기에서 상금이 지급되며, 최종 순위는 이벤트 전체 상금 풀에서 작은 부분만을 차지하게 되었다.

  • '''SSL 챌린지'''


10명의 선수가 5명씩 2개 조로 나뉘어 3판 2선승제 경기를 치르는 1단계에 참가한다. 각 조 상위 3명이 2단계로 진출하고, 하위 4명은 탈락한다. 2단계에서는 6명이 5판 3선승제 풀 리그를 진행한다. 2단계 1위는 다음 시즌 프리미어에 직행한다. 2위와 3위는 Fast Lane의 첫째 날에 진출하고, 4위는 Fast Lane의 둘째 날에 진출하며, 5위와 6위는 탈락한다. 챌린지는 전체 순위 대신 각 경기별 상금을 수여한다.

  • '''Fast Lane'''


Fast Lane은 2017년에 추가되었으며, 프리미어 하위권 (최하위 제외) 선수와 챌린지 상위권 (최상위 제외) 선수가 대결한다. 이틀 동안 진행되는 행사로, 4명씩 두 그룹으로 진행된다.
1일차: 프리미어 6위, 7위 선수와 챌린지 2위, 3위 선수가 대결한다. 상위 2명은 다음 시즌 프리미어로 진출하고, 하위 2명은 2일차 경기를 진행한다.
2일차: 1일차 하위 2명과 프리미어 8위, 챌린지 4위 선수가 대결한다. 상위 2명은 프리미어로 진출하고, 하위 2명은 다음 시즌 챌린지로 강등된다.

4. 역대 결승전

회차연도리그 명칭우승자경기 결과승패 현황준우승자
12015네이버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5 시즌 1조성주4 : 1승승패승승조중혁
22015스베누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5 시즌 2김도우4 : 1승패승승승조중혁
32015스베누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5 시즌 3김준호4 : 2승승패승패승한지원
42016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6 시즌 1박령우4 : 2승승패승패승김대엽
52016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6 시즌 2강민수4 : 3패승패승승패승박령우
62017진에어 SSL 시리즈 2017 프리미어 시즌 1이신형4 : 1패승승승승강민수


4. 1. 스타크래프트 II

연도토너먼트 이름우승자결승 결과준우승자
20152015 네이버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시즌 1조성주 (Maru)4–1조중혁 (Dream)
20152015 SBENU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시즌 2김도우 (Classic)4–1조중혁 (Dream)
20152015 SBENU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시즌 3김준호 (herO)4–2한지원 (ByuL)
20162016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시즌 1박령우 (Dark)4–2김대엽 (Stats)
20162016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시즌 2강민수 (Solar)4–3박령우 (Dark)
20172017 진에어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시즌 1이신형 (INnoVation)4–1강민수 (Solar)
20172017 진에어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시즌 2김대엽 (Stats)4–3박령우 (Dark)


4. 2. 스타크래프트 (SSL 클래식)

회차연도리그 명칭우승자경기 결과승패 현황준우승자
12015네이버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5 시즌 1조성주4 : 1승승패승승조중혁
22015스베누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5 시즌 2김도우4 : 1승패승승승조중혁
32015스베누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5 시즌 3김준호4 : 2승승패승패승한지원
42016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6 시즌 1박령우4 : 2승승패승패승김대엽
52016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6 시즌 2강민수4 : 3패승패승승패승박령우
62017진에어 SSL 시리즈 2017 프리미어 시즌 1이신형4 : 1패승승승승강민수


5. 상금

2015년 각 토너먼트의 총 상금은 메인 이벤트에 7500만이 수여되었고, 챌린지 리그 탈락 선수에게는 각각 20만가 수여되었다. 2016년 각 시즌 총 상금은 메인 이벤트에 1.34억이었다. 2017년에는 토너먼트 형식과 상금에 큰 변화가 있었다.

5. 1. 2015년

2015년 SSL 시즌별 총 상금은 7500만였다.

순위상금 (KRW)
1위4000만
2위1000만
3–4위450만
5–8위200만
9–16위100만


5. 2. 2016년

2016년 SSL 시즌별 총 상금은 1.34억였다.

순위상금 (KRW)
1위4000만
2위2000만
3-4위900만
5-8위600만
9-16위400만


5. 3. 2017년

진에어 SSL 시리즈 2017 클래식 시즌 1에서 '''김정우'''가 윤용태를 3:1로 꺾고 우승했다.[1]

순위상금 (KRW)
1위1000만
2위500만
3위200만
2017년 시즌별 총 상금은 7550만였다. SSL 프리미어 페넌트 레이스 각 경기에는 참가자에게 100만 (2:0 승리 시 우승자에게 80만, 2:1 승리 시 70만)가 지급되었다. SSL 챌린지 1단계 각 경기에는 30만 (우승자에게 20만), SSL 챌린지 2단계 각 경기에는 50만 (우승자에게 30만)가 지급되었다.


6.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기록

기록내용
첫 경기하재상 (P) vs 정명훈 (T) [6]
첫 우승자조성주
첫 8강 진출이동녕
첫 4강 진출조성주
첫 결승 진출조성주
첫 2회 연속 결승 진출조중혁
첫 테테전 결승조성주 vs 조중혁
첫 테프전 결승조중혁 vs 김도우 [7]
첫 프저전 결승한지원 vs 김준호
첫 저저전 결승박령우 vs 강민수
첫 팀킬전 결승조중혁 vs 김도우 [7]
첫 테란 우승조성주
첫 프로토스 우승김도우
첫 저그 우승박령우
첫 2회 연속 준우승조중혁
첫 야외 결승전스베누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5 시즌 3 (세빛섬→ 어린이 대공원 숲속의 무대)
최장 경기 시간전태양 (T) vs 박령우 (Z) 44분 7초
최단 경기 시간조지현 (P) vs 주성욱 (P) 1분 47초


7. 우승자 상징

우승자에게는 우승 반지가 수여되며, 추첨을 통해 팬 1명에게도 우승 반지가 증정된다. 우승자의 오른손을 본떠 만든 환조 형식의 '영광의 손'은 넥슨아레나 '스타리그 챔피언스존'에 전시된다.

참조

[1] 웹사이트 2015년 스타2 e스포츠, 기존 GSL에 더해 새로운 SPOTV 개인리그 출범! http://www.playxp.co[...] 2014-10-31
[2] 웹사이트 2015 StarCraft II World Championship Series http://wcs.battle.ne[...] 2014-10-31
[3] 웹사이트 Naver sponsorise la StarLeague http://www.team-aaa.[...] 2015-01-15
[4] 웹사이트 SBENU sponsors Starcraft2 Starleague Season 2 http://www.teamliqui[...] 2015-04-23
[5] 웹사이트 About the StarCraft II World Championship Series (WCS) http://wcs.battle.ne[...]
[6] 문서 챌린지 포함 시 이병렬 대 김민철의 경기가 첫번째 경기였다.
[7] 문서 (SKT T1 소속)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