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aptain & the Kid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he Captain & the Kid》는 1975년 발매된 《Captain Fantastic and the Brown Dirt Cowboy》의 속편으로 기획되어 2006년에 발매된 엘튼 존의 스튜디오 앨범이다.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이 함께 앨범 표지에 등장한 첫 번째 사례이며, 키보드 연주자 가이 바빌론과 베이시스트 밥 버치가 참여한 마지막 엘튼 존 스튜디오 앨범이다. 앨범에는 〈Postcards from Richard Nixon〉, 〈The Bridge〉, 〈The Captain and the Kid〉 등의 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영국에서 실버 인증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엘튼 존의 음반 - Empty Sky
1969년에 발매된 엘튼 존의 두 번째 정규 음반 《Empty Sky》는 거스 더전이 프로듀싱하지 않은 유일한 앨범으로, Skyline Pigeon과 같은 초기 대표곡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발매 당시에는 주목받지 못했지만 1975년 재발매 이후 빌보드 200 차트에서 6위까지 오르며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 엘튼 존의 음반 - Don't Shoot Me I'm Only the Piano Player
1973년 발매된 엘튼 존의 여섯 번째 정규 앨범 《Don't Shoot Me I'm Only the Piano Player》는 그루초 마르크스와의 일화에서 제목을 따왔으며, 〈크로커다일 록〉을 비롯한 다양한 스타일의 곡들과 올디스 로큰롤, 오케스트라 편곡 등 다양한 음악적 시도가 돋보이는 작품으로 영국과 미국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며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 머큐리 레코드 음반 - U218 Singles
U218 Singles는 U2의 컴필레이션 앨범으로, 18곡의 싱글을 담고 있으며,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 머큐리 레코드 음반 - No Line on the Horizon
U2의 12번째 정규 음반 《노 라인 온 더 호라이즌》은 브라이언 이노, 다니엘 라누아와 협업하여 모로코, 더블린 등지에서 녹음되었고 "미래의 찬송가" 콘셉트의 11곡이 수록, 호불호가 갈리는 평가 속에서 높은 차트 순위를 기록했으며 U2 360° 투어 레퍼토리로 활용, 앤톤 코르바인 감독의 뮤직 비디오 영화 《리니어》로도 제작되었다. - 인터스코프 레코드 음반 - U218 Singles
U218 Singles는 U2의 컴필레이션 앨범으로, 18곡의 싱글을 담고 있으며,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 인터스코프 레코드 음반 - No Line on the Horizon
U2의 12번째 정규 음반 《노 라인 온 더 호라이즌》은 브라이언 이노, 다니엘 라누아와 협업하여 모로코, 더블린 등지에서 녹음되었고 "미래의 찬송가" 콘셉트의 11곡이 수록, 호불호가 갈리는 평가 속에서 높은 차트 순위를 기록했으며 U2 360° 투어 레퍼토리로 활용, 앤톤 코르바인 감독의 뮤직 비디오 영화 《리니어》로도 제작되었다.
The Captain & the Kid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음반 이름 | The Captain & the Kid |
종류 | 스튜디오 음반 |
아티스트 | 엘튼 존 |
![]() | |
발매일 | 2006년 9월 18일 |
녹음 시기 | 2006년 봄 |
녹음 장소 | 센터 스테이징, 애틀랜타 |
장르 | 록 |
길이 | 45분 59초 |
레이블 | 인터스코프 머큐리 |
프로듀서 | 엘튼 존 맷 스틸 |
이전 음반 | Peachtree Road |
이전 음반 발매 연도 | 2004년 |
다음 음반 | Rocket Man: The Definitive Hits |
다음 음반 발매 연도 | 2007년 |
리뷰 점수 | |
Metacritic | 69/100 |
AllMusic | 3.5/5 |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 3/5 |
Entertainment Weekly | A− |
The Independent | 4/5 |
Los Angeles Times | 3/4 |
PopMatters | 4/10 |
Rolling Stone | 4/5 |
This Is London | 4/5 |
일본어 음반 정보 | |
음반 명칭 (일본어) | キャプテン・アンド・ザ・キッド |
종류 (일본어) | 앨범 |
아티스트 (일본어) | 엘튼・존 |
발매일 (일본어) | 2006년9월18일 |
발매일 (일본, 일본어) | 2006년10월4일 |
녹음 연도 (일본어) | 2006년 |
장르 (일본어) | 록 |
레이블 (일본어) | 유니버설 뮤직 |
프로듀서 (일본어) | 엘튼・존, 맷・스티르 |
차트 순위 (일본어) | 영국 6위, 미국 18위 |
이전 음반 (일본어) | 피치・트리・로드 |
이전 음반 발매 연도 (일본어) | 2004년 |
다음 음반 (일본어) | 더・베스트〜나의 노래는 너의 노래 |
다음 음반 발매 연도 (일본어) | 2007년 |
한국어 음반 정보 | |
음반명 (한국어) | 《The Captain & the Kid》 |
가수명 (한국어) | 엘튼 존 |
발매년월일 (한국어) | 2006년 9월 18일 |
음반 종류 (한국어) | 정규 음반 |
녹음 (한국어) | 2006년 봄 |
장르 (한국어) | 록 |
언어 (한국어) | 영어 |
레이블 (한국어) | 인터스코프, 머큐리 |
프로듀서 (한국어) | 엘튼 존, 맷 스틸 |
이전 앨범 (한국어) | 《Peachtree Road》 |
이전 앨범 발매 년도 (한국어) | (2004) |
다음 앨범 (한국어) | 《Rocket Man: The Definitive Hits》 |
다음 앨범 발매 년도 (한국어) | (2007) |
리뷰 점수 (한국어) | |
Metacritic (한국어) | 69/100 |
AllMusic (한국어) | 3.5/5 |
Entertainment Weekly (한국어) | (A-) |
The Independent (한국어) | 4/5 |
Los Angeles Times (한국어) | 3/4 |
Music Box (한국어) | 4.5/5 |
PopMatters (한국어) | (4/10) |
Rolling Stone (한국어) | 4/5 |
This Is London (한국어) | 4/5 |
2. 배경
《The Captain & the Kid》는 1975년에 발매된 《Captain Fantastic and the Brown Dirt Cowboy》의 속편으로 기획되었다.[10] 2005년 엘튼 존의 매니저였던 머크 머큐리아디스가 엘튼 존과 버니 토핀에게 속편 제작을 제안했다.[10]
wikitext
앨범 발매 당시 인터스코프 레코드는 실물 싱글을 발매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는데, 이는 앨범을 하나의 개념 앨범으로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둔 결정이었다.[11][12] 하지만 〈The Bridge〉는 라디오 싱글로 발매되었다.
앨범 재킷에는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이 함께 등장하는데, 이는 두 사람이 앨범 표지에 함께 등장한 첫 번째 사례이다. 앨범 책자에는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전 생애 사진이 수록되어 있으며, 가사 부분에는 앨범에 수록되지 않은 두 곡인 〈Across the River Thames〉와 〈12〉가 수록되어 있다. 〈Across the River Thames〉는 CD를 컴퓨터로 재생하는 모든 사람에게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었다.
이 앨범은 키보드 연주자 가이 바빌론과 베이시스트 밥 버치가 참여한 마지막 엘튼 존 스튜디오 앨범이다. 가이 바빌론은 2009년에 심근 경색으로 사망하였고,[10] 밥 버치는 2012년 8월에 사망했다.
3. 곡 목록
모든 곡들은 엘튼 존과 버니 토핀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Side one Side two
3. 1. 정규 앨범
모든 곡들은 엘튼 존과 버니 토핀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Side one |
---|
Side two |
---|
3. 2. 보너스 트랙
영국 보너스 트랙 및 다운로드에는 "Across the River Thames"가 포함되었다. 베스트 바이 (CD에 다운로드 링크 포함)와 아이튠즈에서는 "오늘 밤 누군가 내 생명을 구했네(Someone Saved My Life Tonight)" (라이브)와 "우리는 가끔 사랑에 빠지네/커튼" (라이브) 음원을 제공했다. 아이튠즈에서는 "Tell Me When the Whistle Blows" (라이브), "(Gotta Get a) Meal Ticket" (라이브), "Better Off Dead" (라이브) 음원을 제공했다. 모든 곡은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이 작사/작곡하였다.곡 | 이용 가능처 |
---|---|
"오늘 밤 누군가 내 생명을 구했네(Someone Saved My Life Tonight)" (라이브) | 베스트 바이 (CD에 다운로드 링크 포함)/아이튠즈 |
"[우리는 가끔 사랑에 빠지네/커튼" (라이브) || 베스트 바이 (CD에 다운로드 링크 포함) | |
"Tell Me When the Whistle Blows" (라이브) | 아이튠즈 |
"(Gotta Get a) Meal Ticket" (라이브) | 아이튠즈 |
"Better Off Dead" (라이브) | 아이튠즈 |
4. 참여진
- 엘튼 존 - 피아노, 보컬
- 데이비 존스톤(Davey Johnstone) - 음악 감독, 기타, 밴조, 만돌린, 하모니카, 백 보컬
- 나이젤 올슨(Nigel Olsson) - 드럼, 백 보컬
- 가이 바빌론(Guy Babylon) - 편곡, 키보드
- 밥 버치(Bob Birch) - 베이스, 백 보컬
- 존 마혼(John Mahon) - 퍼커션, 백 보컬
- 매트 스틸 - 백 보컬
- 아서 - 우프 벨
4. 1. 뮤지션
엘튼 존은 리드 보컬과 어쿠스틱 피아노를 연주했다. 가이 바빌론은 키보드를 담당했다. 데이비 존스톤은 기타, 밴조, 만돌린, 하모니카와 백 보컬을 맡았다. 밥 버치는 베이스와 백 보컬을 담당했고, 나이젤 올슨은 드럼과 백 보컬을 연주했다. 존 마혼은 퍼커션과 백 보컬을, 맷 스틸은 백 보컬을 맡았다.아서는 "우프-벨"을 담당했는데, 이는 "Just Like Noah's Ark"에서 존 마혼의 카우벨 연주에 짖은 엘튼 존의 반려견 아서의 소리를 샘플링한 것이다.4. 2. 프로덕션
프로듀서는 엘튼 존과 맷 스틸(Matt Still)이다. 녹음 및 믹싱은 맷 스틸이 담당했다. 녹음 보조는 톰 리커트(Tom Rickert)가, 믹싱 보조는 댄 포터(Dan Porter)가 맡았다. 녹음은 애틀랜타 조지아의 센터 스테이지에서, 믹싱은 런던의 타운하우스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마스터링은 밥 루드비히가 포틀랜드 메인의 게이트웨이 마스터링에서 담당했다.5. 차트 성적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