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EFA 풋살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EFA 풋살 선수권 대회는 유럽 축구 연맹(UEFA)이 주관하는 풋살 국가대항전으로, 1996년 스페인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다. 스페인은 7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탈리아, 포르투갈, 러시아가 각각 2회, 2회, 1회 우승을 차지했다. 2010년 이후 참가국이 확대되었고, FIFA 풋살 월드컵 개최 연도를 피해 4년마다 개최된다. 2026년 대회는 라트비아와 리투아니아에서 공동 개최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풋살 국가대항전 - OFC 풋살 선수권 대회
OFC 풋살 선수권 대회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이 참가하는 풋살 국가대항전으로, FIFA 풋살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을 겸하며, 오스트레일리아, 솔로몬 제도, 뉴질랜드, 말레이시아가 우승을 차지했다. - 풋살 국가대항전 - 팬아메리칸 게임 풋살
팬아메리칸 게임 풋살은 팬아메리칸 게임의 풋살 종목으로, 2007년과 2023년 대회에서 브라질이 금메달, 아르헨티나가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2023년에는 파라과이가, 2007년에는 쿠바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 UEFA 주관 대회 - UEFA U-17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U-17 축구 선수권 대회는 UEFA가 주관하는 17세 이하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의 국제 대회이며, 1982년부터 2001년까지는 U-16 대회로 개최되다가 2002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스페인이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UEFA 주관 대회 - CONMEBOL-UEFA 컵 오브 챔피언스
CONMEBOL-UEFA 컵 오브 챔피언스는 코파 아메리카 우승팀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팀 간의 맞대결로, 인터컨티넨탈컵의 국가대표팀 버전이자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의 전신으로 여겨지며, 아르헨티나가 2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국이고 다음 대회는 2026년 3월에 개최될 예정이다. - 1996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더 럭비 챔피언십
더 럭비 챔피언십은 매년 7월부터 9월까지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르헨티나 4개국이 참가하는 국제 럭비 유니온 대회로,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총 6경기를 치러 최종 우승팀을 가리며 다양한 트로피 경쟁이 펼쳐진다. - 1996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인디카 시리즈
인디카 시리즈는 1996년 인디 레이싱 리그로 시작하여 2003년부터 현재 명칭을 사용하는 북미 오픈휠 자동차 경주 시리즈로, 규격 섀시와 2.2리터 V6 트윈터보 엔진을 사용하는 원메이크 시리즈이며, 오벌 트랙 외에 로드/스트리트 코스에서도 경주가 진행된다.
| UEFA 풋살 선수권 대회 | |
|---|---|
| 대회 정보 | |
| 현재 대회 | UEFA 풋살 유로 2026 |
![]() | |
| 주관 | UEFA |
| 창립 | 1996년 |
| 참가 팀 수 | 예선: 46개 팀 본선: 16개 팀 |
| 지역 | 유럽 |
| 웹사이트 | https://www.uefa.com/futsaleuro/ |
| 다음 대회 진출권 | 풋살 파이널리시마 |
2. 역사
1996년 스페인에서 첫 대회가 열렸으며 6개국이 참가했다. 1999년 대회부터 참가국이 8개국으로 늘어났고, 2년 주기로 개최되었다. 2010년에는 참가국이 12개국으로 확대되었다.
2018년부터 FIFA 풋살 월드컵이 열리는 해를 피하기 위해 대회 주기가 4년으로 변경되었고, 참가국도 16개국으로 확대되었다. 2022년 네덜란드에서 첫 16개국 대회가 열렸다.
2. 1. 초기 대회 (1996-2007)
1996년 스페인에서 첫 대회가 열렸으며, 6개국이 참가했다. 결승전에서 스페인이 러시아를 5:3으로 꺾고 초대 챔피언에 올랐다.1999년 대회부터 참가국이 8개국으로 늘어났고, 2년 주기로 개최되기 시작했다. 러시아가 결승전에서 스페인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
2001년 러시아 대회에서는 스페인이 우크라이나를 연장전 끝에 2:1로 꺾고 두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2003년 이탈리아 대회에서는 개최국 이탈리아가 우크라이나를 1:0으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
2005년 체코 대회와 2007년 포르투갈 대회에서는 스페인이 각각 러시아와 이탈리아를 꺾고 2연패를 달성하며 강세를 이어갔다.
2. 2. 참가국 확대 및 주기 변경 (2010-현재)
2010년 헝가리 대회부터 참가국이 12개국으로 확대되었다. 이 대회 결승에서 스페인이 포르투갈을 4-2로 꺾고 통산 5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12년 크로아티아 대회에서는 스페인이 러시아를 연장전 끝에 3-1로 꺾고 우승하며 대회 3연패를 달성했다.2014년 벨기에 대회에서는 이탈리아가 러시아를 3-1로 꺾고 통산 2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16년 세르비아 대회에서는 스페인이 러시아를 7-3으로 꺾고 통산 7번째 우승을 달성하며 최다 우승국의 지위를 굳혔다.
2018년 슬로베니아 대회에서는 포르투갈이 스페인을 연장 접전 끝에 3-2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대회는 FIFA 풋살 월드컵이 열리는 해를 피하기 위해 4년 주기로 변경되었고, 참가국도 16개국으로 확대되었다.
2022년 네덜란드에서 열린 첫 16개국 대회에서는 포르투갈이 결승에서 러시아를 4-2로 꺾고 2연패를 달성했다.
3. 역대 대회 결과
UEFA 풋살 선수권 대회의 역대 대회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연도 | 개최국 | 우승 | 득점 | 준우승 | 3위 | 득점 | 4위 |
|---|---|---|---|---|---|---|---|
| 1996년 | 스페인 | 스페인 | 5 : 3 | 러시아 | 벨기에 | 3 : 2 (연장) | 이탈리아 |
| 1999년 | 스페인 | 러시아 | 3 : 3 (연장) 4 : 2 (승부차기) | 스페인 | 이탈리아 | 3 : 0 | 네덜란드 |
| 2001년 | 러시아 | 스페인 | 2 : 1 (연장) | 우크라이나 | 러시아 | 2 : 1 (연장) | 이탈리아 |
| 2003년 | 이탈리아 | 이탈리아 | 1 : 0 | 우크라이나 | 스페인, 체코 | ||
| 2005년 | 체코 | 스페인 | 2 : 1 | 러시아 | 이탈리아 | 3 : 1 | 우크라이나 |
| 2007년 | 포르투갈 | 스페인 | 3 : 1 | 이탈리아 | 러시아 | 3 : 2 | 포르투갈 |
| 2010년 | 헝가리 | 스페인 | 4 : 2 | 포르투갈 | 체코 | 5 : 3 | 아제르바이잔 |
| 2012년 | 크로아티아 | 스페인 | 3 : 1 (연장) | 러시아 | 이탈리아 | 3 : 1 | 크로아티아 |
| 2014년 | 벨기에 | 이탈리아 | 3 : 1 | 러시아 | 스페인 | 8 : 4 | 포르투갈 |
| 2016년 | 세르비아 | 스페인 | 7 : 3 | 러시아 | 카자흐스탄 | 5 : 2 | 세르비아 |
| 2018년 | 슬로베니아 | 포르투갈 | 3 : 2 (연장) | 스페인 | 러시아 | 1 : 0 | 카자흐스탄 |
| 2022년 | 네덜란드 | 포르투갈 | 4 : 2 | 러시아 | 스페인 | 4 : 1 | 우크라이나 |
| 2026년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 : ? | ? : ? |
스페인이 7회 우승으로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탈리아와 포르투갈이 각각 2회, 러시아가 1회 우승했다.
3. 1. 요약
| 팀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준결승 진출 | 합계 |
|---|---|---|---|---|---|---|
| 7 (1996*, 2001, 2005, 2007, 2010, 2012, 2016) | 2 (1999*, 2018) | 2 (2014, 2022) | – | 1 (2003) | 12 | |
| 2 (2003*, 2014) | 1 (2007) | 3 (1999, 2005, 2012) | 2 (1996, 2001) | – | 8 | |
| 2 (2018, 2022) | 1 (2010) | – | 2 (2007*, 2014) | – | 5 | |
| 1 (1999) | 6 (1996, 2005, 2012, 2014, 2016, 2022) | 3 (2001*, 2007, 2018) | – | – | 10 | |
| – | 2 (2001, 2003) | – | 2 (2005, 2022) | – | 4 | |
| – | – | 1 (2016) | 1 (2018) | – | 2 | |
| – | – | 1 (2010) | – | 1 (2003) | 2 | |
| – | – | 1 (1996) | – | – | 1 | |
| – | – | – | 1 (1999) | – | 1 | |
| – | – | – | 1 (2010) | – | 1 | |
| – | – | – | 1 (2012*) | – | 1 | |
| – | – | – | 1 (2016*) | – | 1 |
- '''개최국'''
| 순위 | 팀 | 참가 횟수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 1 | align=left | | 12 | 59 | 43 | 11 | 5 | 227 | 94 | +133 | 140 |
| 2 | align=left | | 12 | 56 | 34 | 7 | 15 | 178 | 114 | +64 | 109 |
| 3 | align=left | | 12 | 50 | 29 | 9 | 12 | 146 | 87 | +59 | 96 |
| 4 | align=left | | 10 | 41 | 21 | 7 | 13 | 124 | 104 | +20 | 70 |
| 5 | align=left | | 11 | 42 | 14 | 6 | 22 | 111 | 109 | +2 | 48 |
| 6 | align=left | | 7 | 23 | 8 | 5 | 10 | 54 | 66 | –12 | 29 |
| 7 | align=left | | 3 | 14 | 7 | 3 | 4 | 49 | 34 | +15 | 24 |
| 8 | align=left | | 6 | 18 | 6 | 3 | 9 | 56 | 72 | –16 | 21 |
| 9 | align=left | | 6 | 18 | 5 | 4 | 9 | 37 | 57 | –20 | 19 |
| 10 | align=left | | 8 | 24 | 5 | 3 | 16 | 64 | 110 | –46 | 18 |
| 11 | align=left | | 6 | 19 | 3 | 3 | 13 | 39 | 71 | –32 | 12 |
| 12 | align=left | | 4 | 11 | 3 | 0 | 8 | 25 | 40 | –15 | 9 |
| 13 | align=left | | 5 | 14 | 2 | 3 | 9 | 17 | 42 | –25 | 9 |
| 14 | align=left | | 7 | 18 | 2 | 3 | 13 | 36 | 68 | –32 | 9 |
| 15 | align=left | | 1 | 4 | 2 | 0 | 2 | 6 | 14 | –8 | 6 |
| 16 | align=left | | 1 | 4 | 1 | 1 | 2 | 9 | 13 | –4 | 4 |
| 17 | align=left | | 1 | 4 | 1 | 1 | 2 | 9 | 17 | –8 | 4 |
| 18 | align=left | | 3 | 8 | 0 | 2 | 6 | 12 | 34 | –22 | 2 |
| 19 | align=left | | 1 | 2 | 0 | 1 | 1 | 7 | 9 | –2 | 1 |
| 20 | align=left | | 1 | 2 | 0 | 1 | 1 | 6 | 14 | –8 | 1 |
| 21 | align=left | | 1 | 3 | 0 | 0 | 3 | 4 | 11 | –7 | 0 |
| 22 | align=left | | 1 | 2 | 0 | 0 | 2 | 1 | 8 | –7 | 0 |
| 23 | align=left | | 3 | 7 | 0 | 0 | 7 | 16 | 34 | –18 | 0 |
3. 2. 국가별 성적
| 팀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준결승 진출 | 합계 |
|---|---|---|---|---|---|---|
| 7 (1996*, 2001, 2005, 2007, 2010, 2012, 2016) | 2 (1999*, 2018) | 2 (2014, 2022) | – | 1 (2003) | 12 | |
| 2 (2003*, 2014) | 1 (2007) | 3 (1999, 2005, 2012) | 2 (1996, 2001) | – | 8 | |
| 2 (2018, 2022) | 1 (2010) | – | 2 (2007*, 2014) | – | 5 | |
| 1 (1999) | 6 (1996, 2005, 2012, 2014, 2016, 2022) | 3 (2001*, 2007, 2018) | – | – | 10 | |
| – | 2 (2001, 2003) | – | 2 (2005, 2022) | – | 4 | |
| – | – | 1 (2016) | 1 (2018) | – | 2 | |
| – | – | 1 (2010) | – | 1 (2003) | 2 | |
| – | – | 1 (1996) | – | – | 1 | |
| – | – | – | 1 (1999) | – | 1 | |
| – | – | – | 1 (2010) | – | 1 | |
| – | – | – | 1 (2012*) | – | 1 | |
| – | – | – | 1 (2016*) | – | 1 |
: ''* = 개최국''
4. 참가국
1996년부터 2022년 대회까지 총 23개국이 UEFA 풋살 유로 본선에 진출했다. 스페인과 러시아는 12번 모두 본선에 진출하여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이탈리아(12회), 포르투갈(10회), 우크라이나(11회) 등이 꾸준히 본선에 진출하고 있다.
| 연도 | 첫 출전 팀 | 승계 팀 | ||
|---|---|---|---|---|
| 팀 | ||||
| 1996 | BEL|벨기에영어, ITA|이탈리아it, NED|네덜란드nl, RUS|러시아ru, ESP|스페인es, UKR|우크라이나uk | 6 | 6 | align=left| |
| 1999 | CRO|크로아티아hr, POR|포르투갈pt, FRY|유고슬라비아sh | 3 | 9 | align=left| |
| 2001 | CZE|체코cs, POL|폴란드pl | 2 | 11 | align=left| |
| 2003 | SLO|슬로베니아sl | 1 | 12 | align=left| |
| 2005 | HUN|헝가리hu | 1 | 13 | align=left| |
| 2007 | ROU|루마니아ro | 1 | 14 | SRB|세르비아sr |
| 2010 | Azerbaijan|아제르바이잔az, Belarus|벨라루스be | 2 | 16 | align=left| |
| 2012 | Turkey|튀르키예tr | 1 | 17 | align=left| |
| 2014 | – | 0 | 17 | align=left| |
| 2016 | KAZ|카자흐스탄kk | 1 | 18 | align=left| |
| 2018 | FRA|프랑스프랑스어 | 1 | 19 | align=left| |
| 2022 | BIH|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bs, FIN|핀란드fi, GEO|조지아ka, SVK|슬로바키아sk | 4 | 23 | align=left| |
| 2026 | LAT|라트비아lv, LTU|리투아니아lt | 2 | 25 | align=left| |
5. 예선
UEFA 풋살 유로는 예선을 거쳐 본선 진출팀을 가린다. 예선 방식은 대회마다 조금씩 변경되었으나, 일반적으로 조별 리그를 통해 상위 팀들이 본선에 진출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2026년 대회 예선은 현재 진행 중이다.
- 1996년 UEFA 풋살 선수권 대회 예선
- 1999년 UEFA 풋살 선수권 대회 예선
- 2001년 UEFA 풋살 선수권 대회 예선
- 2003년 UEFA 풋살 선수권 대회 예선
- 2005년 UEFA 풋살 선수권 대회 예선
- 2007년 UEFA 풋살 선수권 대회 예선
- 2010년 UEFA 풋살 선수권 대회 예선
- 2012년 UEFA 풋살 선수권 대회 예선
- 2014년 UEFA 풋살 선수권 대회 예선
- 2016년 UEFA 풋살 선수권 대회 예선
- 2018년 UEFA 풋살 선수권 대회 예선
- 2022년 UEFA 풋살 선수권 대회 예선
- 2026년 UEFA 풋살 선수권 대회 예선
6. 기타
2026년 대회는 라트비아와 리투아니아가 공동 개최한다. UEFA 풋살 유로는 FIFA 풋살 월드컵의 유럽 지역 예선을 겸한다.
| 연도 | 첫 출전 팀 | 승계 팀 | ||
|---|---|---|---|---|
| 팀 | No. | CT | ||
| 2026 | , | 2 | 25 | align=left| |
참조
[1]
웹사이트
Regulations of the UEFA European Futsal Championship 2020-22
https://www.uefa.com[...]
UEFA.com
[2]
웹사이트
UEFA to revamp and expand futsal competitions
http://www.uefa.com/[...]
UEFA.com
2017-04-04
[3]
문서
The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broke up
[4]
웹사이트
UEFA to revamp and expand futsal competitions
http://www.uefa.com/[...]
UEFA.com
2017-04-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