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USNS 하워드 O. 로렌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SNS 하워드 O. 로렌젠은 미국 해군 연구소의 전기 기술자 하워드 O. 로렌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함선이다. 코브라 쥬디 레이더 시스템을 개량한 코브라 킹 레이더 시스템을 장착하고 있으며, 탄도 미사일 방어 능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2006년 건조가 시작되어 2012년 1월에 취역했으며, 옵저베이션 아일랜드의 후계함으로 미국 해군 해상 수송 사령부 소속으로 운용되며, 미국 공군의 지원을 받아 임무를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USNS 하워드 O. 로렌젠 - [배(Ship)]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T-AGM-25 하워드 O. 로렌젠
T-AGM-25 하워드 O. 로렌젠
함명하워드 O. 로렌젠
명명 유래하워드 O. 로렌젠
기공2008년 8월 13일
진수2010년 6월 26일
취역2012년 1월 10일
상태운용 중
식별 부호IMO 번호: 9416680
MMSI 번호: 369998000
호출 부호: NLOR
제원
함 종류미사일 추적함
배수량경하: 9,543 톤
만재: 12,642 톤
길이534 ft (163 m)
89 ft (27 m)
흘수21 ft (6.4 m)
추진20 노트
승조원88명
기타 정보
발주2006년 9월 26일
건조 조선소VT Halter Marine, Pascagoula, Mississippi, 미국
명명자Susan Lorenzen Black

2. 역사

USNS 하워드 O. 로렌젠은 미국 해군 연구소(NRL)의 전기 기술자이자 미국의 전자 정보(ELINT) 능력 개발에 기여한 고 하워드 O. 로렌젠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6][16] 이 함선은 50년 이상 운용되어 노후화된 옵저베이션 아일랜드(T-AGM-23)를 대체하기 위해 건조되었으며,[16][19] 기존의 코브라 주디 레이더를 대체하는 신형 코브라 킹 레이더 시스템을 탑재했다.[17][13]

함선 건조는 2006년 9월 시작되어 2008년 8월 기공식을 가졌으나,[16] 건조 및 시험 과정에서 일부 지연이 발생하여 당초 계획보다 늦어졌다.[5][7] 이후 수리를 거쳐 2012년 1월 10일 미국 해군에 정식으로 인도되었고,[8][16] 2014년 8월 코브라 킹 레이더 시스템과 함께 최종적으로 작전 가능 상태로 선언되어 실전 배치되었다.[11][12] 이 함선은 미국 해군 해상 수송 사령부(MSC) 소속으로 운용되며, 미국 공군이 임무 수행 및 유지 보수를 지원한다.[16][19][10]

2. 1. 건조 및 명명

함선 이름은 미국 해군 연구소(NRL)의 전기 기술자였으며 미국의 전자 정보(ELINT) 수집 능력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고 하워드 O. 로렌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6][16]

이 함선에 탑재될 신형 레이더 시스템, 즉 코브라 킹(Cobra King) 시스템 개발은 2003년에 1.33억달러의 예산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기존의 코브라 주디(Cobra Judy) 레이더[17]를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레이시온이 주 계약사, 노스롭 그러먼이 협력 업체로 선정되어 함선 건조와 병행하여 개발이 진행되었다.[13]

함선 건조는 2006년 9월 미시시피주 파스카굴라에 위치한 VT 할터 마린(VT Halter Marine)사가 건조사로 선정되면서 시작되었고, 2008년 8월에 기공식이 거행되었다.[16] 당초 2010년에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었으나,[5] 2011년 5월 검사 및 조사 위원회(INSURV)의 검사에서 전기 시스템, 손상 통제 능력, 항공 관련 설비 등 여러 항목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또한 닻, 조향 장치, 추력 베어링의 온도 문제 등도 지적되어 수리를 위해 조선소로 반환되었다.[7]

수리 완료 후, 미국 해군은 2012년 1월 10일에 ''하워드 O. 로렌젠''을 정식으로 인도받았다.[8][16] 이후 최종 계약 시험이 2013년 12월 5일에 완료되었다.[9]

''하워드 O. 로렌젠''은 50년 이상 운용되어 노후화된 옵저베이션 아일랜드(USNS Observation Island, T-AGM-23)를 대체하는 후계함이다.[16][19] 2014년 3월 31일, 코브라 킹 레이더 시스템은 초기 작전 능력(IOC)을 획득했으며,[10] 같은 해 8월 함선과 레이더 시스템 전체가 작전 가능 상태로 선언되었다. 이로써 2014년 초에 퇴역한 옵저베이션 아일랜드의 임무를 공식적으로 승계하게 되었다.[11][12]

이 함선은 미국 해군 해상 수송 사령부(MSC) 소속으로 운용되며, 해군 군인과 민간 기술자들의 지원을 받아 미국 공군이 주도하는 임무를 수행한다.[16][19] 미국 공군은 함선의 작전 및 유지 보수 책임을 맡아, 강력한 코브라 킹 레이더를 이용하여 저궤도 위성 추적 및 탄도 미사일 발사 탐지 등 미사일 방어 관련 임무를 수행한다.[10]

2. 2. 초기 시험 및 인도

2003년, 기존의 코브라 주디 레이더[17]를 대체할 신형 레이더 시스템 개발이 1.33억달러 예산으로 결정되었다. 레이시온이 주 계약사, 노스롭 그러먼이 협력 업체로 선정되어 함선 건조와 병행하여 개발이 진행되었다.[13] 이 신형 레이더 시스템은 이후 코브라 킹으로 명명되었다.

함선 건조는 2006년 9월 미시시피주 파스카굴라에 있는 VT 할터 마린사가 선정되었고, 2008년 8월에 기공식을 가졌다.[16] 같은 해 10월, 함명은 미국의 전자 정찰(ELINT) 능력 향상에 기여한 미국 해군 연구소(NRL)의 전기 기술자였던 고 하워드 O. 로렌젠을 기리기 위해 'USNS 하워드 O. 로렌젠'으로 명명되었다.[6][16]

당초 함선은 2010년에 인도될 예정이었으나[5], 2011년 5월 검사 및 조사 위원회(INSURV)의 검사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았다. 전기 시스템, 손상 통제, 항공 관련 검사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았으며, 닻, 조향 장치, 추력 베어링 온도 등에서도 문제가 발견되어 해군 인수가 지연되고 수리를 위해 반환되었다.[7]

수리 완료 후, 미국 해군은 2012년 1월 10일에 '하워드 O. 로렌젠'을 정식으로 인도받아 취역했다.[8][16] 이후 2013년 12월 5일에 최종 계약 시험을 완료했으며,[9] 50년 이상 운용되어 노후화된 옵저베이션 아일랜드(T-AGM-23)를 대체하게 되었다.[16]

2014년 3월 31일, 코브라 주디 대체 프로그램인 코브라 킹 레이더 시스템이 초기 작전 능력(IOC)을 획득했다. 해군 해양 시스템 사령부(NAVSEA)에 따르면, 이 함선의 운영 및 유지 보수 책임의 일부는 미국 공군으로 이전될 예정이었다. 공군은 강력한 코브라 킹 레이더를 이용하여 탄도 미사일의 최종 단계 분리 전에 전자 장치를 교란시켜 근접 신관을 무력화함으로써 미사일 방어 능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0]

'하워드 O. 로렌젠'과 코브라 킹 레이더 시스템은 2014년 8월에 최종적으로 작전 가능 상태로 선언되었다.[11][12] 이 함선은 옵저베이션 아일랜드와 마찬가지로 미국 해군의 해상 수송 사령부(MSC) 소속이며, 해군 군인과 민간 기술자들의 지원을 받아 미국 공군이 주도하는 임무를 수행한다.[16][19]

2. 3. 실전 배치 및 운용

함명은 미국 해군 연구소(NRL)의 전기 기술자이자 미국의 전자 정보(ELINT) 능력 개발에 기여한 고 하워드 O. 로렌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6][16]

2003년, 기존 코브라 주디 레이더[17]를 대체할 신형 레이더 개발이 1.33억달러 예산으로 결정되었다. 레이시온이 주 계약사, 노스롭 그러먼이 협력 업체로 선정되어 함선 건조와 병행하여 '코브라 킹' 레이더 시스템 개발이 진행되었다.[13]

함선 건조는 2006년 9월 미시시피주 파스카굴라의 VT 할터 마린사가 맡아 2008년 8월에 기공했다.[16] 당초 2010년 인도될 예정이었으나,[5] 2011년 5월 검사 및 조사 위원회(INSURV) 검사에서 전기, 손상 통제, 항공 시스템 및 닻, 조향 장치, 추력 베어링 온도 문제 등으로 불합격 판정을 받아 수리를 위해 반환되었다.[7]

수리 후 2012년 1월 10일 미국 해군에 인도되어 취역했다.[8][16] 이 함선은 50년 이상 운용되어 노후화된 USNS 옵저베이션 아일랜드 (T-AGM-23)를 대체하기 위해 건조되었으며,[16][19] 옵저베이션 아일랜드는 2014년 초에 해체되었다.[11][12]

2013년 12월 5일 최종 계약 시험을 완료했으며,[9] 2014년 3월 31일 코브라 주디 대체 프로그램(코브라 킹)이 초기 작전 능력(IOC)에 도달했다.[10] ''하워드 O. 로렌젠''과 코브라 킹 레이더 시스템은 2014년 8월에 최종적으로 작전 가능 상태로 선언되었다.[11][12]

이 함선은 미국 해군의 해상 수송 사령부(MSC) 소속으로,[16][19] 해군 군인과 민간 기술자의 지원을 받아 미국 공군의 임무를 수행한다. 미국 공군은 이 함선의 작전 및 유지 보수 책임을 맡아, 강력한 코브라 킹 레이더를 이용해 저지구 궤도에 사각지대를 만들고 탄도 미사일의 전자 장치를 교란하여 근접 신관을 무력화하는 등 미사일 방어 능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0]

3. 특징

USNS ''하워드 O. 로렌젠''은 만재 배수량 약 12844866.17kg[2], 길이 약 162.76m, 선폭 약 27.13m의 제원을 가진 미사일 탐지 및 추적 함선이다. 총 88명의 선원과 민간 선원이 승선하며, 필요에 따라 다른 미국 정부 기관 소속의 군 및 민간 기술자도 수용할 수 있다. 이 함선은 군사해운사령부(Military Sealift Command)가 운영하며, 미국 공군(U.S. Air Force)의 지원을 받아 임무를 수행한다.[6]

이 함선의 가장 큰 특징은 강력한 탐지 능력을 제공하는 코브라 킹(Cobra King) 레이더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다는 점이다.[18] 이 시스템은 함선의 핵심적인 임무 수행 능력을 뒷받침한다.

3. 1. 코브라 킹 레이다 시스템

코브라 킹 레이다 시스템은 2개의 AESA 레이다로 구성된다.

  • S 밴드 AESA 레이다: 광범위한 공중 목표물을 탐색하는 역할을 한다.
  • X 밴드 AESA 레이다: 작은 목표물을 정밀하게 탐지하며, 실제 탄두와 기만체를 식별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미국 해군의 완성 예상도에 따르면, 이들 주요 관측용 레이더는 선체 중앙부에 위치한다. 거대한 평면형 안테나 2기가 회전식 받침대에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으며, 앞쪽에는 X 밴드 레이더가, 뒤쪽에는 S 밴드 레이더가 자리 잡고 있다. 함교 위에는 원격 측정 데이터 수신용 구형 레돔 2개가 앞뒤로 배치되어 있다.[18]

2014년 3월 31일, 코브라 킹 시스템(기존 코브라 주디 시스템 대체)은 초기 작전 능력(IOC)을 확보했다. 해군 해양 시스템 사령부(NAVSEA)에 따르면, 미국 공군도 이 함선의 운영 및 유지보수에 참여하며, 강력한 레이더 성능을 활용하여 미사일 방어 능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10] ''하워드 O. 로렌젠''과 코브라 킹 레이더 시스템은 2014년 8월에 완전한 작전 가능 상태를 선언받았으며, 같은 해 초 퇴역한 USNS 옵서베이션 아일랜드를 공식적으로 대체하게 되었다.[11][12]

3. 2. 선체 및 구조

포트 카나베럴에 정박한 ''로렌젠''


USNS ''하워드 O. 로렌젠''(USNS ''Howard O. Lorenzen'')은 약 12844866.17kg[2], 길이 약 162.76m, 선폭 약 27.13m이다. 88명의 선원과 민간 선원으로 구성된 승무원이 탑승하며, 다른 미국 정부 기관의 군 및 민간 기술자도 수용한다. 이 배는 군사해운사령부(Military Sealift Command)에서 운영하며 미국 공군(U.S. Air Force)의 지원을 받아 임무를 수행한다.[6]

선체 중앙의 건현이 낮아 가냘픈 인상을 주는 반면, 선체 길이의 약 4분의 1을 차지하는 후부의 상부 구조물은 선실 6층과 브릿지 2층으로 이루어져 크기가 두드러진다.[19]

미국 해군의 완성 예상도에 따르면, 주요 관측용 레이더 장치는 다음과 같다. 함교 부분에는 원격 측정 전파 수신용 안테나의 구형 레돔이 앞뒤로 2개 설치되어 있다. 선체 중앙부에는 거대한 평면형 안테나 2기가 회전식 받침대에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으며, 약간의 간격을 두고 앞뒤로 배치되어 있다. 중앙 레이더 중 앞쪽은 X 밴드, 뒤쪽은 S 밴드이다. 앞에 위치한 약간 작은 X 밴드 안테나는 상하 방향의 앙각 조절이 가능해 보여 위상 배열 방식이 아닐 가능성이 높고, 평면식이 아닌 포물선식일 가능성도 있다.[18]

참조

[1] 간행물 Navy To Christen USNS Howard O. Lorenzen http://www.defense.g[...] U.S. Department of Defense 2010-06-24
[2] 웹사이트 USNS Howard O Lorenzen (T-AGM 25) "{{Naval Vessel Regi[...] Naval Vessel Register 2010-06-24
[3] 웹사이트 Ship Inventory: Missile Range Instrumentation Ships http://www.msc.navy.[...] U.S. Military Sealift Command 2013-12-31
[4] 웹사이트 USNS Howard O. Lorenzen (T-AGM-25) http://www.navsource[...] 2009-04-04
[5] 간행물 Keel Laid for New Missile Range Instrumentation Ship http://www.navsea.na[...] Naval Sea Systems Command 2012-02-02
[6] 간행물 Navy Names Ship After Howard O. Lorenzen 'Father Of Electronic Warfare' http://www.defense.g[...] U.S. Department of Defense 2012-02-02
[7] 뉴스 U.S. Navy Rejects New Radar Ship https://archive.toda[...] 2012-02-02
[8] 뉴스 Navy Accepts Delivery of USNS Howard O. Lorenzen http://www.navy.mil/[...] 2012-02-02
[9] 뉴스 Howard O. Lorenzen completes Final Contract Trials http://www.navy.mil/[...] 2013-12-08
[10] 뉴스 Cobra Judy Replacement Achieves Initial Operational Capability http://www.navy.mil/[...] 2014-05-08
[11] 뉴스 Cobra King begins at-sea ballistic missile launch-detection mission http://www.janes.com[...] 2014-08-19
[12] 뉴스 AFTAC's maritime radar becomes operational http://www.afisr.af.[...] U.S. Air Force 2014-08-19
[13] 웹사이트 SIU - Keel laid for future USNS Observation Island replacement (8/25) http://www.seafarers[...] Sea Farers 2009-06-22
[14] 간행물 Navy To Christen USNS Howard O. Lorenzen http://www.defense.g[...] U.S. Department of Defense 2010-06-24
[15] 웹사이트 USNS Howard O Lorenzen (T-AGM 25) "{{Naval Vessel Regi[...] Naval Vessel Register 2010-06-24
[16] 웹사이트 Navy Names Ship After Howard O. Lorenzen 'Father Of Electronic Warfare' http://www.defenseli[...] Defenselink.mil press release 863-08 2009-06-22
[17] 문서 コブラ・ジュディ・レーダー(AN/SPQ-11)は直径約7mの[[フェーズドアレイレーダー|Sバンド・フェーズド・アレイ・レーダー]]であり、1辺が4m弱から2m弱程のSPY-1レーダーと比べればかなり大きな面積を持ち、その1面だけのレーダー面を巨大なアンテナ建屋ごと旋回させるようになっている。
[18] 문서 オブザヴェーション・アイランドでもコブラ・ジェミニと呼ばれるXバンドの巨大なパラボラ・アンテナを、船体中央の上構後端、煙突直後にレドーム無しの暴露状態で搭載していた。
[19] 서적 アメリカのミサイル防衛部隊 (株)ジャパン・ミリタリー・レビュー 20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