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SA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ESA(능동 전자 주사 배열)는 여러 개의 송수신기 모듈(TRM)을 배열하여 구성된 레이더 시스템이다. 각 모듈은 독립적인 신호를 생성하고 방사하며, 다수의 빔을 동시에 생성하고 여러 주파수에서 작동할 수 있다. AESA는 낮은 피탐지성, 높은 재밍 저항성, 다중 빔 형성, 높은 신뢰성, 빠른 빔 조향, 다기능 등의 장점을 가지며, 항공기, 지상 및 해상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하지만 높은 가격, 발열, 소비 전력 등의 한계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이더 - 레이더 반사 면적
레이더 반사 면적(RCS)은 레이더 전파가 목표물에 부딪혀 산란되는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가상적인 면적으로, 물체의 재질, 형태, 방향 등에 따라 달라지며 스텔스 기술은 이를 최소화하여 레이더 탐지를 회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레이더 - 레이더 흡수 물질
레이더 흡수 물질(RAM)은 레이더 신호 반사를 줄여 탐지를 어렵게 하는 물질로, 다양한 종류와 형태가 존재하며 나노 기술 발전으로 성능이 향상되었지만, 비용, 유지보수, 환경 요인 등의 문제점과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 극복 과제를 안고 스텔스 성능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 AESA | |
|---|---|
| 개요 | |
| 유형 | 능동 위상 배열 레이다 |
| 기술적 세부 사항 | |
| 영어 명칭 | 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AESA) |
| 작동 방식 | 각각의 방사 소자에 송신기와 수신기가 부착되어 능동적으로 빔을 조향함 |
| 장점 | 더 빠른 빔 조향 속도 더 높은 신뢰성 다중 목표 추적 능력 향상 재밍에 대한 저항력 강화 |
| 사용 분야 | 군용기 레이다 미사일 유도 시스템 해상 감시 레이다 |
| 역사 | |
| 개발 배경 | 기존의 기계식 레이다의 한계를 극복하고 성능 향상을 위해 개발됨 |
| 초기 개발 | 1980년대부터 본격적인 개발 시작 |
| 상용화 | 1990년대 후반부터 군용기를 중심으로 상용화되기 시작함 |
| 작동 원리 | |
| 위상 배열 | 다수의 안테나 소자를 배열하여 각각의 소자에서 방사되는 전파의 위상을 조절하여 빔을 형성함 |
| 능동 소자 | 각 안테나 소자에 송신기와 수신기가 통합되어 있어 능동적으로 신호를 생성하고 수신함 |
| 빔 조향 | 각 소자의 위상을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빔의 방향을 빠르게 변경할 수 있음 |
| 적용 사례 | |
| 군용기 | F-22 랩터 F-35 라이트닝 II 유로파이터 타이푼 라팔 |
| 기타 | 미사일 방어 시스템 해상 감시 시스템 |
| 참고 문헌 | |
| 서적 | 西本, 山岸, 篠原 (1995). フェイズドアレイ. 吉田 (1996). 最新レーダ技術. |
2. 역사
벨 연구소는 1960년에 나이키 제우스 레이더를 위상 배열 시스템으로 대체할 것을 제안했으며, 1961년 6월에 개발 승인을 받았다. 그 결과는 능동형 전자 주사 배열 레이더(AESA) 시스템의 초기 모델인 제우스 다기능 배열 레이더(ZMAR)였다.[1] ZMAR은 1963년에 제우스 프로그램이 나이키-X 시스템을 선호하게 되면서 MAR(다기능 배열 레이더)이 되었다. MAR은 각각 별도의 컴퓨터 제어 송신기 또는 수신기에 연결된 소수의 작은 안테나로 구성되어, 장거리 감지, 추적 생성, 미끼로부터 탄두 식별, 발사되는 요격 미사일 추적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다.[1]
MAR은 넓은 공간에서 전체 전투를 단일 사이트에서 제어할 수 있게 했다. 각 MAR과 관련 전투 센터는 수백 개의 표적에 대한 추적을 처리했다. 그런 다음 시스템은 각 표적에 가장 적합한 포대를 선택하고 공격할 특정 표적을 넘겨주었다. 하나의 포대는 일반적으로 MAR과 연관되어 있는 반면, 다른 포대는 그 주변에 분산되어 있었다. 원격 포대에는 잠재적으로 멀리 떨어진 MAR에 보이기 전에 발사되는 스프린트 미사일을 추적하는 것이 주된 목적인 훨씬 더 단순한 레이더가 장착되었다. 이러한 더 작은 미사일 기지 레이더(MSR)는 수동적으로 스캔되어 MAR의 여러 빔 대신 단일 빔만 형성했다.[1]
MAR은 궁극적으로 성공했지만 시스템 비용은 엄청났다. ABM 문제가 너무 복잡해져 MAR과 같은 시스템조차 현실적인 공격 시나리오를 처리할 수 없게 되자 나이키-X 개념은 MAR을 사용하지 않는 센티넬 프로그램과 같은 훨씬 더 단순한 개념을 선호하여 폐기되었다. 두 번째 예인 MAR-II는 콰잘린 환초에 그대로 폐기되었다.[1]
소련의 첫 번째 APAR인 5N65는 S-225 ABM 시스템의 일부로 1963–1965년에 개발되었다. 1967년 시스템 개념에 대한 몇 가지 수정 후 1970–1971년에 사리 샤간 시험장에서 건설되었으며 서방에서는 플랫 트윈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4년 후, 이 설계의 또 다른 레이더가 쿠라 시험장에 건설되었지만 S-225 시스템은 결코 가동되지 않았다.
이후 AESA 레이더는 다음과 같은 역사를 가진다.
| 연도 | 국가 | 내용 |
|---|---|---|
| 1995년 | 일본 자위대 | 최초의 군용 지상 기반 AESA인 J/FPS-3를 실전 배치하였다. |
| 1988년 | 일본 | 최초의 양산형 함정 기반 AESA인 OPS-24를 아사기리급 구축함 DD-155 하마기리에 도입하였다.[2] |
| 1994년 | 칠레 공군 | 최초의 항공기 탑재형 양산 AESA인 EL/M-2075 팔콘을 보잉 707에 장착하여 운용하였다. |
| 1995년 | 일본 | 최초의 전투기 탑재형 AESA인 J/APG-1을 미쓰비시 F-2에 도입하였다.[3] |
AESA 레이더는 다수의 소형 송수신기 모듈(TRM)을 배열하여 구성된다. 각 TRM은 송신기, 수신기, 안테나 소자, 위상 천이 장치 등을 포함한다. 각 TRM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위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빔의 방향을 조절한다.[51] AESA는 수동 전자식 주사 배열(PESA)와 달리 각 모듈이 독립적인 신호를 생성하고 방사하여, 다수의 빔을 동시에 생성하고 여러 주파수에서 작동할 수 있다.
AESA는 PESA의 기능에 여러 장점을 추가한다. AESA의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다:
3. 기본 개념

일본에서 개발된 AESA는 PIN 다이오드 형 반도체 위상 천이 장치를 사용하여 빠른 동작 시간을 확보하였다. 이는 패시브 방식에서 일반적인 페라이트 위상 천이 장치에 비해 허용 전력이 작지만(첨두 출력 1킬로와트 정도) 동작 시간이 빠르다는 장점을 가진다.
4. 장점
AESA는 소자 안테나와 위상 천이 장치 사이에 증폭 회로(송신용 증폭기, 수신용 저잡음 증폭기)를 삽입하는 액티브 방식을 사용한다. 액티브 방식에서는 안테나 소자마다 또는 수 개 단위로 송수신 모듈(T/R 모듈)을 배열하여 빔 지향 제어를 수행하고, 공간적으로 전력 합성하여 큰 송신 출력을 얻는다. 개별 안테나 소자의 송신 전력은 적어도 되므로 증폭 회로도 반도체화가 가능하여 안테나 전체의 반도체화 및 신뢰성 향상이 가능하다.[51]
5. 한계
AESA 레이더는 요소 간 거리가 반 파장일 때 최대 빔 각도가 대략 ±45°로 제한된다. 평면 위상 배열 안테나에서 요소 간 거리가 더 짧으면 최대 시야각(FOV)은 120°(±60°)까지 가능하다.[15] 이 한계는 기계적 조향을 통해 극복할 수 있다.[16][17]
6. 응용 분야
AESA(능동 전자 주사 배열) 레이더는 지상 기반 방공 시스템, 함정 탑재 레이더, 대포병 레이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벨 연구소는 1960년에 나이키 제우스 레이더를 위상 배열 시스템으로 대체할 것을 제안했으며, 1961년 6월에 개발 승인을 받았다. 그 결과 능동형 전자 주사 배열 레이더 시스템의 초기 예인 제우스 다기능 배열 레이더(ZMAR)가 탄생했다.[1] ZMAR은 1963년에 MAR(다기능 배열 레이더)로 이름이 바뀌었다. MAR은 넓은 공간에서 전체 전투를 단일 사이트에서 제어할 수 있게 했다. 각 MAR과 관련 전투 센터는 수백 개의 표적에 대한 추적을 처리했으며, 각 표적에 가장 적합한 포대를 선택하고 공격할 특정 표적을 넘겨주었다. MAR은 궁극적으로 성공했지만 시스템 비용은 엄청났다. 이후 MAR을 사용하지 않는 센티넬 프로그램과 같은 더 단순한 개념이 선호되면서 MAR은 폐기되었다.
소련의 첫 번째 APAR(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인 5N65는 S-225 ABM 시스템의 일부로 1963–1965년에 개발되었다. 1970–1971년에 사리 샤간 시험장에 건설되었으며 서방에서는 플랫 트윈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최초의 군용 지상 기반 AESA는 1995년 일본 자위대에서 완전히 가동된 J/FPS-3였다. 최초의 양산형 함정 기반 AESA는 1988년에 진수된 일본 아사기리급 구축함에 도입된 OPS-24였다.[2]
6. 1. 항공기 탑재 시스템
AESA(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능동 전자 주사 배열) 레이더는 전투기, 조기경보기, 초계기, 무인기 등 다양한 항공기에 탑재되어 표적 탐지, 추적, 식별, 미사일 유도 등 여러 임무를 수행한다. AESA 레이더는 전자적으로 레이더 안테나를 제어하여 기존 기계식 레이더보다 표적 탐지, 추적, 식별 능력이 뛰어나다.[3]최초의 항공기 탑재형 양산 AESA는 1994년 칠레 공군의 보잉 707에 장착된 EL/M-2075 팔콘이었다. 전투기용 AESA는 1995년 미쓰비시 F-2에 도입된 J/APG-1이 최초이다.[3] 미사일에 탑재된 최초의 AESA는 미쓰비시 F-2와 미쓰비시 F-15가 운용하는 AAM-4B 공대공 미사일 탐색기에 탑재되었다.[3]
F-22, 수퍼 호넷 등 AESA 레이더의 미국 기반 제조업체는 노스롭 그러먼(Northrop Grumman)[4], 레이시온(Raytheon)[5] 등이 있다.
6. 1. 1. 주요 항공기 탑재 AESA 레이더
| 국가 | 제조사 | 모델명 | 비고 |
|---|---|---|---|
| 미국 | 노스롭 그러먼 | AN/APG-77 | F-22 랩터용 |
| AN/APG-80 | 제너럴 다이내믹스 F-16 파이팅 팔콘용 | ||
| AN/APG-81 | F-35 라이트닝 II용 | ||
| AN/APG-83 | F-16V 바이퍼 및 B-1B 랜서 업그레이드용 | ||
| AN/APG-85 | F-35 라이트닝 II (블록 4)용 | ||
| AN/APY-9 | 노스롭 그러먼 E-2 호크아이용 | ||
| 다중 역할 전자 주사 배열(Multi-rol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MESA) | 보잉 E-7 웨지테일용 | ||
| AN/ASQ-236 | 포드형 AESA 레이더 | ||
| AN/ZPY-1 STARLite | 소형 전술 레이더 - 유인 및 무인 항공기용 경량. | ||
| AN/ZPY-2 | 다중 플랫폼 레이더 기술 삽입 프로그램(Multi-Platform Radar Technology Insertion Program, MP-RTIP) | ||
| AN/ZPY-3 | MQ-4C Triton용 다기능 액티브 센서 (MFAS) | ||
| 미국 | 레이시온 | AN/APG-63(V)2 및 AN/APG-63(V)3 | F-15C 이글, 싱가포르 공화국(Republic of Singapore)의 F-15SG용 |
| AN/APG-79 | F/A-18E/F 슈퍼 호넷(F/A-18E/F Super Hornet) 및 EA-18G 그라울러(EA-18G Growler)용 | ||
| AN/APG-82(V)1 | F-15E 스트라이크 이글(F-15E Strike Eagle) & F-15EX 이글 II용 | ||
| AN/APG-84 RACR | (Raytheon 첨단 전투 레이더) F-16 및 F/A-18 업그레이드용. | ||
| AN/APQ-181 | PESA에서 AESA로 업그레이드, 노스롭 그러먼 B-2 스피릿(Northrop Grumman B-2 Spirit) 폭격기용 | ||
| AN/APS-154 | AAS (첨단 공중 센서), LSRS (연안 감시 레이더 시스템), AN/APS-149 후속 AESA. 또한 보잉 P-8 포세이돈(Boeing P-8 Poseidon)용 | ||
| 미국 | 레이시온 | 팬텀스트라이크 | 공랭식 AESA 레이더, FA-50 블록 20용. |
| 일본 | 미쓰비시 전기 | J/APG-1 / J/APG-2 | 미쓰비시 F-2 전투기용 AESA |
| HPS-104 | 미쓰비시 SH-60용 | ||
| 다기능 RF 센서 | 미쓰비시 ATD-X용 | ||
| 일본 | 도시바 | HPS-106 | 항공 및 표면 수색 레이더, 가와사키 P-1 해상 초계기용, 3개의 안테나 배열. |
| 유럽 | 유로레이더 | Captor-E CAESAR | (CAPTOR 능동 전자 주사 배열 레이더) 유로파이터 타이푼(Eurofighter Typhoon)용 |
| 탈레스 그룹 | RBE2-AESA | 라팔(Rafale) 전투기용 | |
| 사브 그룹 | 글로벌아이(GlobalEye) | AEW&C, 에리예(Erieye)의 고급 버전으로 확장된 범위를 가짐. | |
| 셀렉스 ES | 피코사르(PicoSAR) | ||
| 레이븐 ES-05 | JAS-39E 그리펜 NG용 | ||
| 씨스프레이 5000E | |||
| 씨스프레이 7000E | 헬리콥터(helicopter)용 | ||
| 씨스프레이 7500E | 제너럴 아토믹스 MQ-9 리퍼(General Atomics MQ-9 Reaper)용 | ||
| 유럽 | 셀렉스 ES | 빅센 500E | |
| 유럽 | 셀렉스 ES | 빅센 1000E | |
| 이스라엘 | 엘타 시스템즈 | EL/M-2083 | 열기구(aerostat) 장착 공중 수색 레이더 |
| EL/M-2052 | 전투기용. 할 테자스(HAL Tejas)의 임시 후보. F-15, MiG-29, 미라지 2000, FA-50 블록 20에 적합. | ||
| EL/M-2075 | 이스라엘 항공 산업(Israel Aircraft Industries, IAI) 팔콘 AEW&C 시스템용 | ||
| EL/W-2085 | EL/M-2075 레이더의 고급 버전, 걸프스트림 G550(Gulfstream G550)에 사용. | ||
| 이스라엘 | 엘타 시스템즈 | EL/W-2090 | EL/W-2085와 유사하며, 일리우신 Il-76(Ilyushin Il-76)에만 사용. |
| 대한민국 | 한화 그룹 | APY-016K | KAI KF-21 보라매(KAI KF-21 Boramae)용 |
| 대한민국 | LIG 넥스원 | ESR-500A | 공랭식 레이더, 레이시온 팬텀스트라이크와 대략 동급, KAI FA-50 블록 20 옵션. |
6. 2. 지상 및 해상 시스템
AESA(능동 전자 주사 배열) 레이더는 지상 기반 방공 시스템, 함정 탑재 레이더, 대포병 레이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벨 연구소는 1960년에 나이키 제우스 레이더를 위상 배열 시스템으로 대체할 것을 제안했으며, 1961년 6월에 개발 승인을 받았다. 그 결과 능동형 전자 주사 배열 레이더 시스템의 초기 예인 제우스 다기능 배열 레이더(ZMAR)가 탄생했다.[1] ZMAR은 1963년에 MAR(다기능 배열 레이더)로 이름이 바뀌었다. MAR은 넓은 공간에서 전체 전투를 단일 사이트에서 제어할 수 있게 했다. 각 MAR과 관련 전투 센터는 수백 개의 표적에 대한 추적을 처리했으며, 각 표적에 가장 적합한 포대를 선택하고 공격할 특정 표적을 넘겨주었다.
MAR은 궁극적으로 성공했지만 시스템 비용은 엄청났다. 이후 MAR을 사용하지 않는 센티넬 프로그램과 같은 더 단순한 개념이 선호되면서 MAR은 폐기되었다.
소련의 첫 번째 APAR(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인 5N65는 S-225 ABM 시스템의 일부로 1963–1965년에 개발되었다. 1970–1971년에 사리 샤간 시험장에 건설되었으며 서방에서는 플랫 트윈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최초의 군용 지상 기반 AESA는 1995년 일본 자위대에서 완전히 가동된 J/FPS-3였다. 최초의 양산형 함정 기반 AESA는 1988년에 진수된 일본 아사기리급 구축함에 도입된 OPS-24였다.[2]
6. 2. 1. 주요 지상 및 해상 AESA 레이더
| 국가 | 제조사 | 모델명 | 비고 |
|---|---|---|---|
| 일본 | 미쓰비시 전기 | OPS-24일본어 | 세계 최초의 해군 능동 전자 주사 배열 레이더.[2] 아사기리급 구축함, 무라사메급 구축함, 타카나미급 구축함에 탑재. 1988년 JDS 하마기리 (DD-155)에 최초 배치. |
| 일본 | 미쓰비시 전기 | J/FPS-3영어 | 1995년 일본 자위대에 배치된 최초의 군용 지상 기반 AESA. |
| 일본 | 미쓰비시 전기 | OPS-50영어 (FCS-3영어) | 휴가급 헬기 호위함, 이즈모급 헬기 호위함, 아키즈키급 구축함에 탑재. |
| 일본 | 미쓰비시 전기 | J/FPS-5영어 | 일본 지상 기반 차세대 미사일 방어 레이더. |
| 일본 | JTPS-P14영어 | 이동형 대공 방어 레이더. | |
| 일본 | JTPS-P16영어 | 대포병 레이더. | |
| 일본 | NEC | J/TPS-102영어 | 자력 추진 지상 기반 레이더, 원통형 배열 안테나 사용. |
| 일본 | 미쓰비시 전기 | 3형 추-SAM일본어 |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Chu-SAM, SAM-4) 다기능 레이더. |
| 일본 | 도시바 | JMPQ-P13영어 | 대포병 레이더. |
| 일본 | 도시바 | J/FPS-4영어 | J/FPS-3보다 저렴. |
| 대한민국 | LIG 넥스원 | SPS-550K한국어 | 인천급 호위함 및 대구급 호위함용 중거리 대공 및 대함 감시 레이더. |
| 대한민국 | LIG넥스원 | ESR-500A영어 | AESA 레이더. |
| 대한민국 | 한화 시스템 | APY-016K | KF-21 보라매 다목적 전투기용 AESA 레이더 세트. |
| 인도 | 바라트 일렉트로닉스 | RAWL-03영어 | 다기능 능동 위상 배열 공중 감시 레이더.[31] |
| 인도 | 바라트 일렉트로닉스 | NMDR영어 | S-밴드 다기능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31] |
| 인도 | 국방 연구 개발 기구 | Ashwini LLTR영어 | 4D AESA 레이더 (인도 공군 사용).[35] |
| 인도 | 국방 연구 개발 기구 | Arudhra영어 | 다기능 AESA 레이더 (인도 공군 사용).[36] |
| 인도 | 국방 연구 개발 기구 | Swordfish영어 장거리 추적 레이더 | 인도 탄도 미사일 방어 시스템용 표적 획득 및 사격 통제 레이더. |
| 인도 | 국방 연구 개발 기구 | ADTCR영어 | 전술 통제 레이더.[37] |
| 인도 | 국방 연구 개발 기구 | Atulya영어 공중 방어 사격 통제 레이더 (ADFCR) | X-밴드, 3D 사격 통제 레이더.[38] |
| 인도 | 라르센 & 투브로 | ADFCRS영어 | 3D 감시 레이더.[42] |
| 미국 | 노스롭 그러먼 | AN/TPS-80 | 지상/공중 임무 지향 레이더 (G/ATOR). |
| 미국 | 노스롭 그러먼 | HAMMR영어 | 고도로 적응 가능한 다중 임무 레이더. |
| 미국 | 록히드 마틴 | AN/TPQ-53 | 대화력전 표적 획득 레이더. |
| 미국 | 록히드 마틴 | AN/SPY-7 | 장거리 식별 레이더. |
| 미국 | 록히드 마틴 | AN/MPQ-64A4 센티넬 | |
| 미국 | 록히드 마틴 | AN/TPY-4 3DELRR | 3차원 원정 장거리 레이더.[43] |
| 미국 | 레이시온 | FlexDAR영어 | 유연 분산 배열 레이더. |
| 미국 | 레이시온 | 해상 기반 X-밴드 레이더 (XBR) | 미국 국립 미사일 방어용. |
| 미국 | 레이시온 | AN/TPY-2 | THAAD ABM 시스템의 일부 또는 독립형으로 사용 가능한 탄도 미사일 방어 레이더. |
| 미국 | 레이시온 | AN/SPY-3 | 미국 DD(X) 및 CVN-21 차세대 수상함용 다기능 레이더. |
| 미국 | 레이시온 | AN/SPY-6 공중 및 미사일 방어 레이더 (AMDR) | 미국 알레이 버크 구축함용 다기능 레이더. |
| 미국 | 레이시온 | 코브라 주디 대체 (CJR)/코브라 킹 | 에 탑재. |
| 미국 | 레이시온 | AN/FPS-132 업그레이드된 조기 경보 레이더 (UEWR) | PESA에서 AESA로의 PAVE PAWS 업그레이드. |
| 미국 | 레이시온 | KuRFS[46] | |
| 유럽 | MEADS의 사격 통제 레이더 | ||
| 네덜란드 | 탈레스 네덜란드 | APAR(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 | 다기능 레이더. 데 제븐 프로빈시엔급 호위함, 작센급 호위함, 이바 후이트펠트급 호위함의 주요 센서. 실전 배치된 군함에 사용된 최초의 능동 전자 주사 배열 다기능 레이더.[30] |
| 영국 | BAE 시스템즈 | SAMPSON | 영국 45형 구축함용 다기능 레이더. |
| 영국 | BAE 시스템즈 | ARTISAN 997형 | 영국 23형 호위함, 26형 호위함,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용 다기능 레이더. |
| 카시디안 | 보덴위버르바중스레이더 (BÜR) | 분데스베어용. | |
| 카시디안 | COBRA | 대포병 레이더. | |
| CEA 테크놀로지스 | CEAFAR | 4세대 S-밴드 다기능 디지털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 모든 RAN ANZAC급 호위함에 설치. | |
| 이스라엘 | 엘타 시스템즈 | EL/M-2080 그린 파인 | 지상 기반 조기 경보 AESA 레이더. |
| 이스라엘 | 엘타 시스템즈 | EL/M-2106 ATAR | 대공 방어 사격 통제 레이더. |
| 이스라엘 | 엘타 시스템즈 | EL/M-2180 | WatchR Guard 다중 모드 주시 지상 감시 레이더. |
| 이스라엘 | 엘타 시스템즈 | EL/M-2248 MF-STAR | 다기능 해군 레이더. |
| 이스라엘 | 엘타 시스템즈 | EL/M-2258 | 첨단 경량 위상 배열 ALPHA 다기능 해군 레이더. |
| 이스라엘 | 엘타 시스템즈 | EL/M-2084 | 다중 임무 레이더(포병 무기 위치 확인, 대공 방어 및 사격 통제). |
| 이스라엘 | 엘타 시스템즈 | EL/M-2133 WindGuard | 트로피 능동 방어 시스템 레이더. |
| 헨솔트 | TRML-4D[39][40][41] | ||
| 헨솔트 | TRS-4D | ||
| RADA 전자 산업[45] | RPS-10 | ||
| RADA 전자 산업 | RPS-15 | ||
| RADA 전자 산업 | RPS-40 | ||
| RADA 전자 산업 | RPS-42 | ||
| RADA 전자 산업 | RHS-44 | ||
| 스웨덴 | 사브 그룹 | GIRAFFE영어 | GIRAFFE 1X영어, GIRAFFE 4A영어, GIRAFFE 8A영어.[47] |
| 셀렉스 ES | KRONOS영어 Land[48] & Naval[49] | 3D 다기능 레이더. | |
| 셀렉스 ES | RAN-40L 3D EWR | ||
| 셀렉스 ES | RAT-31DL | ||
| 셀렉스 ES | RAT-31DL/M | ||
| 탈레스 그룹 | Ground Master 200영어 | ||
| 탈레스 그룹 | Ground Master 400영어 | ||
| 탈레스 그룹 | Ground Master 200 MM영어 | ||
| 탈레스 그룹 | SMART-L영어 MM[50] | ||
| 탈레스 그룹 | Sea Fire 500영어 | FREMM-ER 호위함에 탑재. | |
| 탈레스 그룹 | Sea Master 400영어 | ||
| 탈레스 그룹 | Sea Watcher 100영어 | ||
| 탈레스레이시온시스템즈 | M3R | ||
| VNIIRT Gamma DE영어 | 이동형 3차원 고체 AESA 감시 레이더. | ||
| 50N6A | 비탸즈 미사일 시스템 및 42S6 "Морфейru"("모르페우스")의 다기능 레이더. | ||
| 중국 | JY-26 "스카이워치-U" | 이동형 "스텔스 방지" 3차원 장거리 공중 감시 레이더.[32] | |
| 중국 | H/LJG-346(8) | 중국 항공모함 랴오닝에 탑재. | |
| 중국 | H/LJG-346 | 052C형 구축함에 탑재. | |
| 중국 | H/LJG-346A | 052D형 구축함에 탑재. | |
| 중국 | H/LJG-346B | 055형 구축함에 탑재. | |
| 중국 | 305A형 레이더 | HQ-9 미사일 시스템용 획득 레이더.[33] | |
| 중국 | YLC-2 레이더[34] | ||
| 중화민국 | 국립 중산 과학 기술원 | 시 이글 아이 | 다기능 AESA 레이더.[44] |
| NNIIRT 1L119 네보 SVU | 이동형 AESA 3차원 감시 레이더. | ||
| 튀르키예 | 아셀산 | AKREP | 해상 플랫폼용. |
| 튀르키예 | 아셀산 | CENK | 해상 플랫폼용. |
참조
[1]
Youtube
The Insane Engineering of the F-35B
https://www.youtube.[...]
2023-01-28
[2]
간행물
4. Radar/ECM/ESM (Shipboard weapons of JMSDF 1952-2010)
Kaijin-sha
2010-03
[3]
웹사이트
Japan Upgrading 60 F-2s With AAM-4, J/APG-2
http://aviationweek.[...]
2015-06-17
[4]
웹사이트
Northrop Grumman Successfully Completes F-22 Radar Flight-Test Certification (NYSE:NOC)
http://www.irconnect[...]
2015-06-17
[5]
웹사이트
Raytheon
http://www.raytheon.[...]
2015-06-17
[6]
웹사이트
A DARPA Perspective on the Future of Electronics
http://www.csmantech[...]
[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ll.mit.ed[...]
2007-08-18
[8]
뉴스
Concerned about Industrial Base: Senate Appropriators Call For Broader F-16 AESA Radar Upgrade
https://www.jstor.or[...]
Inside Washington Publishers
[9]
웹사이트
IEEE TEMS Home - IEEE Technology and Engineering Management Society
http://ieeetmc.net/r[...]
[10]
웹사이트
tech_conf_papers/A14
http://www.emrsdtc.c[...]
2015-06-17
[11]
뉴스
F-22 superjets could act as flying Wi-Fi hotspots.
https://www.theregis[...]
The Register
2007-06-19
[12]
웹사이트
Eurofighter Radar Captor-E 01awENG
https://www.airbus.c[...]
Airbus
[13]
웹사이트
RADAR LOVE
https://www.baesyste[...]
BAE Systems
2024-07-31
[14]
뉴스
SAAB's Gripen NG Fighter Has An Awesome Way To Make Its Radar More Capable
http://foxtrotalpha.[...]
Kinja
2015-11-21
[15]
서적
Introduction to Electronic Warfare Modeling
https://books.google[...]
Artech House
[16]
서적
Introduction to Electronic Warfare Modeling
https://books.google[...]
Artech House
2018-03-26
[17]
웹사이트
Error 308
http://www.radartuto[...]
2015-06-17
[18]
문서
PLA-AF Airborne Early Warning & Control Programs
http://www.ausairpow[...]
[19]
웹사이트
Chinese Military Aviation | China Air Force
http://cnair.top81.c[...]
2011-12-10
[20]
웹사이트
China's New J-16D Aircraft Might Have a Terrifying New Military Capability
https://nationalinte[...]
2017-11-30
[21]
웹사이트
Saab launches GlobalEye multi-role airborne surveillance system
http://www.airforce-[...]
2016-02-17
[22]
웹사이트
PICOSAR - DETAIL - Leonardo
http://www.leonardoc[...]
2016-07-27
[23]
웹사이트
RAVEN ES-05
http://www.leonardoc[...]
2016-07-27
[24]
웹사이트
The Gripen Solution - AESA radar
http://www.saabgroup[...]
2013-12-19
[25]
웹사이트
SeaSpray 5000E - DETAIL - Leonardo
http://www.leonardoc[...]
2016-07-27
[26]
웹사이트
SeaSpray 7000E - DETAIL - Leonardo
http://www.leonardoc[...]
2016-07-27
[27]
웹사이트
SeaSpray 7500E - DETAIL - Leonardo
http://www.leonardoc[...]
2016-07-27
[28]
웹사이트
VIXEN 500E - DETAIL - Leonardo
http://www.leonardoc[...]
2016-07-27
[29]
웹사이트
VIXEN 1000E - DETAIL - Leonardo
http://www.leonardoc[...]
2016-07-27
[30]
간행물
Expanding coverage from sea to sky
2010-08
[31]
웹사이트
BEL | Products
http://www.bel-india[...]
2016-11-01
[32]
뉴스
China's Anti-Stealth Radar Comes to Fruition
http://www.defensene[...]
Gannett
2014-11-22
[33]
문서
HQ-9 and HQ-12 SAM system battery radars
http://www.ausairpow[...]
[34]
웹사이트
PLA Air Defence Radars
http://www.ausairpow[...]
2009-01-13
[35]
문서
Low Level Transportable Radar (LLTR) - Ashwini
https://www.drdo.gov[...]
[36]
웹사이트
DRDO Radar List
http://www.drdo.gov.[...]
2016-07-25
[37]
웹사이트
Air Defence Tactical Control Radar (ADTCR)
https://www.drdo.gov[...]
2021-10-07
[38]
웹사이트
Air Defence Fire Control Radar
https://www.drdo.gov[...]
2021-10-07
[39]
웹사이트
TRML-4D - Multi-Functional Air Surveillance and Target Acquisition Radar System ! HENSOLDT
https://www.hensoldt[...]
[40]
웹사이트
Hensoldt presenting TRML- 4D multi-function air surveillance and target acquisition radar ! Defense News May 2021 Global Security army industry ! Defense Security global news industry army year 2021 ! Archive News year
https://www.armyreco[...]
2022-05-17
[41]
웹사이트
HENSOLDT presents new ground-based Air Defence Radar
https://www.armadain[...]
2018-06-19
[42]
웹사이트
Defexpo 2016: Larsen & Toubro highlights new Air Defence Fire Control Radar system
https://www.armyreco[...]
2016-03-28
[43]
웹사이트
Lockheed Martin completes first AN/TPY-4 radar production
https://www.airforce[...]
2022-05-05
[44]
웹사이트
中科院研製「海鷹眼」主動相列雷達 海軍正進行效能審核 -- 上報 / 要聞
https://www.upmedia.[...]
2023-05-02
[45]
Webarchive
RADA Tactical Land Radars
https://www.rada.com[...]
2020-05-13
[46]
웹사이트
The Swiss Army knife of radars - For soldiers, the KuRFS radar does it all and all at once ! Raytheon Missiles & Defense
https://www.raytheon[...]
[47]
문서
Saab expands surface radar portfolio
http://www.janes.com[...]
[48]
웹사이트
KRONOS LAND - DETAIL - Selex ES
http://www.selex-es.[...]
2015-06-17
[49]
웹사이트
KRONOS NAVAL - DETAIL - Selex ES
http://www.selex-es.[...]
2015-06-17
[50]
웹사이트
SMART-L MM ! Thales Group
https://www.thalesgr[...]
[51]
간행물
レーダ技術の変遷
https://doi.org/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