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S 파이크 (SS-6)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SS 파이크 (SS-6)는 1900년 12월 10일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의 유니온 아이언 웍스에서 기공되어 1903년 5월 28일 취역한 플런저급 잠수함이다. 샌프란시스코 지진 당시 구호 활동을 펼쳤으며, 1906년 퇴역 후 재취역하여 태평양 수뢰 소함대에 배속되었다. A-5로 함명이 변경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침몰했다가 인양되어 수리 후 정찰 임무를 수행했다. 1921년 퇴역 후 표적함으로 사용되다 1922년 제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3년 선박 - 닛신 (장갑순양함)
닛신은 아르헨티나 해군에서 구입한 주세페 가리발디급 장갑순양함으로,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등에 참전했으며, 1935년 폐함으로 지정되어 포탄 실험 중 침몰했다. - 1903년 선박 - 오토와 (방호순양함)
오토와는 1904년 취역한 일본 제국 해군의 3등 순양함으로, 러일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나 1917년 좌초되어 침몰했다. - 플런저급 잠수함 - USS 플런저 (SS-2)
미국 해군의 플런저급 잠수함 선도함인 USS 플런저 (SS-2)는 1903년 취역하여 초기 잠수함 전력 발전에 기여했으며, 어뢰 실험, 승조원 훈련, 대통령의 잠수 시험 참관 후 실험 표적으로 사용되다 1922년 매각되었다. - 플런저급 잠수함 - USS 모카신 (SS-5)
USS 모카신(SS-5)은 플런저급 잠수함으로 미국 해군에서 운용되었으며, 가솔린 엔진과 전기 모터를 사용하고 18인치 어뢰 발사관 2기를 장착한 채 제1차 세계 대전 중 선단을 호위하다 퇴역 후 침몰했다. - 침몰한 표적함 - 나가토 (전함)
나가토는 일본 해군 최초의 41cm 주포 탑재 전함이자 세계 최대급 전함 중 하나였으며, 태평양 전쟁 당시 연합함대 기함으로 활동하다 미군의 핵 실험으로 침몰했다. - 침몰한 표적함 - U-234
U-234는 제2차 세계 대전 말 독일 해군이 운용한 U-보트로, 기뢰 부설 잠수함에서 일본으로 향하는 화물 수송 잠수함으로 개조되어 군사 물자 수송 임무를 수행하려다 종전 후 미 해군에 나포, 조사 후 격침되었다.
| USS 파이크 (SS-6)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함명 | USS 파이크 |
| 함 종류 | 잠수함 |
| 함번 | SS-6 |
| 소속 국가 | 미국 |
| 제작자 | 유니온 제철소 |
| 제작 위치 |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주 |
| 함급 | 플런저급 잠수함 |
| 건조 및 배치 | |
| 기공 | 1900년 12월 10일 |
| 진수 | 1903년 1월 14일 |
| 취역 | 1903년 5월 28일 |
| 퇴역 | 1921년 7월 25일 |
| 제적 | 1922년 1월 16일 |
| 최후 | 표적으로 침몰 |
| 제원 | |
| 배수량 | 107 톤 |
| 길이 | 20 m |
| 폭 | 3.7 m |
| 흘수 | 3.4 m |
| 속력 (수면) | 15 km/h |
| 속력 (수중) | 13 km/h |
| 탑승 인원 | 승무원 7명 |
| 무장 | 450 mm 어뢰 발사관 1문 |
2. 함력
파이크는 1900년 12월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기공되어 1903년 5월 메어 아일랜드 해군 조선소에서 취역했다. 초기에는 실험 및 훈련 임무를 수행했으며, 1906년 샌프란시스코 지진 당시 구호 활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1906년 11월 퇴역했다가 1908년 6월 재취역하여 태평양 연안에서 활동했다. 1911년 11월 17일에는 함명이 '''A-5'''로 변경되었다. 1912년 6월 퓨젯 사운드 해군 공창에서 다시 예비역 상태가 되었고, 1915년 2월 필리핀으로 운반되어 4월에 재취역, 아시아 함대에 배속되었다.
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직후인 1917년 4월 15일, A-5는 정박 중이던 카비테 해군 공창에서 주 발라스트 탱크 누수로 침몰했으나, 4일 뒤 인양되어 수리 후 현역에 복귀했다. 이후 마닐라만 입구 정찰 임무를 수행했다.
A-5는 1920년 7월 17일 선체 번호 '''SS-6'''를 부여받았으며, 1921년 7월 25일 최종 퇴역했다. 이후 표적함으로 사용되다가 1922년 1월 16일 미국 해군 함선 목록에서 제적되었다.
2. 1. 건조 및 초기 활동
파이크 (SS-6)는 1900년 12월 10일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의 유니온 아이언 웍스에서 기공했다. 1903년 1월 14일에 진수했으며, 1903년 5월 28일 아서 맥아더 3세 대위(후일 미국 육군 원수 더글러스 맥아더의 형)의 지휘 아래, 자매함인 그랜퍼스와 함께 메어 아일랜드 해군 조선소에서 취역했다.파이크는 메어 아일랜드 해군 공창에서 3년 이상을 실험 및 훈련 임무에 투입했다. 1906년 4월 18일 샌프란시스코 지진이 발생하자, 파이크의 승무원은 피해자에 대한 구호 활동을 펼쳤다.
2. 2. 퇴역 및 재취역
파이크는 1906년 11월 28일에 퇴역하여 불활성화 상태로 보관되었다. 1908년 6월 8일에 다시 취역하여 태평양 수뢰 소함대에 배속되었고, 연안 작전 활동에 투입되었다. 파이크는 1912년 6월까지 이 부대 소속으로 활동했다.1911년 11월 17일, 파이크는 '''A-5'''로 함명이 변경되었다. 이후 1912년 6월 26일 퓨젯 사운드 해군 공창에 도착하여 이틀 뒤 예비역으로 전환되었다. A-5는 2년 반 동안 불활성 상태로 보관되다가, 1915년 2월 15일 급탄함 헥터 (AC-7)에 실려 필리핀으로 운반되었다. 다음 날에는 자매함 A-3도 함께 실렸다.
A-5는 1915년 3월 26일 필리핀 올롱가포에 도착했으며, 4월 13일에 진수되었다. 나흘 뒤인 4월 17일에 재취역하여 아시아 함대에 배속되었다.
2. 3.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직후인 1917년 4월 15일, A-5는 계류되어 있던 카비테 해군 공창에서 침몰했다. 침몰 원인은 주 발라스트 탱크의 누수 때문이었다. 4월 19일에 인양되어, 수리를 거친 후 현역 임무에 복귀했다. A-5는 자매함과 마찬가지로 마닐라만 입구의 정찰 임무에 종사했다.2. 4. 퇴역 및 최후
A-5는 1920년 7월 17일에 선체 번호 '''SS-6'''를 부여받았으며, 1921년 7월 25일에 퇴역했다. 그 후 표적함으로 지정되어, 1922년 1월 16일에 제적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