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닐라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닐라만은 서쪽으로 열린 필리핀 루손 섬의 만으로, 과거 라구나 데 바위와 연결되었으나 지각 변동으로 분리되었다. 1898년 마닐라 만 해전의 무대가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코레히도르 섬이 일본군에 점령되기도 했다. 다양한 해양 생태계를 포함하며, 어업과 상업 활동의 중심지이지만,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수질 오염과 해양 생태계 파괴가 심각하다. 현재 간척 사업, 해안 개발, 환경 정화 노력이 진행 중이며, 해수면 상승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만 - 오르모크만
  • 필리핀의 만 - 레이테만
    레이테 만은 필리핀 사마르 섬, 레이테 섬, 민다나오 섬으로 둘러싸인 만으로, 마젤란의 상륙지인 호몬혼 섬을 포함하며 레이테 만 해전의 역사적 장소이자 주요 어장이지만, 현재 어획량 감소 및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마닐라만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위치루손, 필리핀
면적1994 km²
길이19 km
48 km
지리
최대 길이190 km
표면적17000 km²
평균 깊이17 m
최대 길이19 km
최대 폭48 km
최소 폭22 km
최대 폭60 km
카발로
카라바오
코레히도르
엘 프라일레
라 모냐
림보네스
이무스 강
자포테 강
산후안 강
말리망고 강
카냐스 강
티말란 강
라박 강
마라곤돈 강
파시그 강
툴라한 강
앙가트 강
팜팡가 강
도시아부카이
바코오르
발랑가
불라칸
카비테 시티
하고노이
에르모사
카위트
라스피냐스
리마이
루바오
마카베베
말로로스
마닐라
마라곤돈
마리벨레스
나이크
나보타스
노벨레타
오반도
오라니
오리온
파옴봉
파라냐케
파사이
필라르
로사리오
사말
사스무안
탄자
테르나테

2. 역사

마닐라만은 정부, 경제, 산업의 필리핀 중심지이자 해양 관문으로, 자랑스러운 역사적 과거와 풍부한 해양 생물을 가지고 있다.[5]

이 만은 어업을 포함한 상업과 산업에 여전히 중요하지만, 급격한 도시 성장과 산업화로 인해 수질 저하와 해양 서식지 악화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메트로 마닐라의 레크리에이션 중심지 역할을 하며 산책과 일몰 감상을 위한 인기 있는 장소이다. 메트로 마닐라를 따라 만을 마주한 많은 지역은 간척된 토지로, 현재 필리핀 상원과 몰 오브 아시아와 같은 중요한 장소를 포함한다.

마닐라만 일몰


2011년 9월 27일, 태풍 페드링으로 인한 폭풍 해일에 의해 마닐라만의 방파제가 파괴되었다. 미국 대사관, 무세오 팜바타, 소피텔 필리핀 플라자 등이 침수되었다. 피해 복구에는 3000만필리핀 페소가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2012년 4월, 방파제는 강력한 폭풍 해일을 견딜 수 있도록 재설계되어 다시 일반에 공개되었다.

2. 1. 고대 및 스페인 식민지 시대

마닐라만은 약 3,000년 전 라구나 데 바위와 연결되어 있었다. 서부 마리키나 계곡 단층을 따라 반복적으로 발생한 융기로 인해 두 곳은 분리되었다. 오늘날 마닐라만과 라구나 데 바위 사이의 상호 작용은 파시그 강을 통해서만 이루어진다.[5] 1646년에는 네덜란드의 필리핀 점령 시도를 최종적으로 종식시킨 마닐라 해전이 벌어졌다.

2. 2. 미국 식민지 시대와 러일 전쟁

1898년 마닐라만 해전이 벌어졌다. 이 전투는 코모도어 조지 듀이가 이끄는 미국 군대가 이 지역을 점령하면서 미국의 해군력을 과시했고, 주요 스페인 선박들이 파괴되거나 나포되었다.[5] 러일 전쟁쓰시마 해전에서 살아남은 러시아 방호순양함 3척 (''아우로라'', ''젬추크'', ''올레그'')은 수리를 위해 당시 미국의 통제를 받던 마닐라 항구에 입항했다. 그러나 미국이 이 분쟁에서 중립을 유지했기 때문에, 이들 군함과 승무원들은 1905년 9월 전쟁이 공식적으로 종결될 때까지 미국에 의해 억류되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코레히도르 섬은 마닐라만에 주둔한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었다.[5] 1646년 마닐라 해전에서는 네덜란드의 필리핀 점령 시도를 최종적으로 종식시키기도 했다.

3. 지리 및 생태

마닐라만은 고산림, 맹그로브, 갯벌, 모래 해변, 잘피, 산호초 등 다양한 해안 및 해양 서식지를 포함하고 있다.

마닐라만 해안의 맹그로브 지역에 있는 백로


마닐라만 주변의 맹그로브 나무들

3. 1. 지리적 특징

마닐라만은 서쪽으로 열려 있으며, 남중국해와 연결되어 있다. 만 입구는 바탄 반도가 뻗어 있어 좁아져 있으며, 코레히도르섬 등이 존재한다. 만 내부는 양호한 항만이 되어 있으며, 주요 항만으로 동부에 마닐라항, 남부에 카비테항 등이 있다.

이 만은 석양이 아름다운 것으로 유명하다. 동쪽에 있는 바에호와는 파시그강으로 연결되어 있다.

3. 2. 생태계

마닐라만은 고산림, 맹그로브, 갯벌, 모래 해변, 잘피, 산호초 등 다양한 해안 및 해양 서식지를 포함하고 있다.

3. 2. 1. 생물 다양성



마닐라만 주변의 다양한 관찰 지점에서는 총 330개 과, 99종에 속하는 19,139마리의 새가 관찰되었다.[13] 이 지역에서는 멸종 위기에 처한 중국백로와 검은날개뻐꾸기사촌이 발견되었다. 한때 마닐라만에는 철새, 메기, 고등어[7]가 풍부했으나, 이들이 감소하면서 오징어, 새우, 청어, 멸치와 같은 작은 부유성 어종이 많아졌다.[1]

3. 2. 2. 맹그로브



마닐라만 주변의 맹그로브 생태계는 독특한 식물과 동물 종과 관련하여 생태학적, 사회 경제적 용도를 모두 가지고 있다.

20세기 초 54,000 헥타르였던 맹그로브는 1995년에 794 헥타르만 남았다.[8] 팜팡가만에 남아 있는 맹그로브 습지 몇 곳은 연구 및 보존 교육에 상당한 가치가 있다.[9] 맹그로브는 자연 서식지로서 사이클론과 폭풍에 대한 보호 완충 역할을 한다.

마닐라만 지역에는 회색 또는 흰색 맹그로브가 우세하며, 9개 과에 속하는 15종의 맹그로브가 함께 자란다. 바탄 지역에서 번성하는 맹그로브 습지 종은 다음과 같다.

  • ''Rhizophora apiculata'' (필리핀어로 ''bakhaw lalaki'')
  • ''Rhizophora mucronata'' (아시아 맹그로브)
  • ''Avicennia marina'' (회색 또는 흰색 맹그로브)
  • ''Nypa fruticans'' (니파 야자)
  • ''Sonneratia alba'' (일반적인 이름 없음)
  • ''Scyphiphora hydrophyllacea'' (필리핀어로 ''nilad'')
  • ''Sonneratia acida'' (필리핀어로 ''pagatpat'')
  • ''Acanthus ilicifolius'' (호랑가시나무 잎 아칸투스)
  • ''Excoecaria agallocha'' (밀키 맹그로브)


''코코넛 야자'' 농장은 이 지역에서 발견되는 맹그로브와 공존한다.

3. 2. 3. 습지

마닐라만 주변의 약 4,600헥타르에 달하는 습지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다.[8][10]

  • 어류, 해안 조류 및 야생동물에게 먹이와 서식지를 제공한다.
  • 강, 호수 및 하구의 수질을 유지 및 개선한다.
  • 유역의 저수지 역할을 수행한다.
  • 잠재적인 홍수 피해로부터 인접 및 하류 지역의 재산을 보호한다.


갯벌, 모래 평원, , 해변 및 암석 해안은 마닐라만의 습지를 구성한다. 주로 바탄 주와 팜팡가 주의 해안을 따라 위치한 갯벌은 조개류의 서식지로 적합하다.

3. 2. 4. 산호초

이 지역의 산호초는 물고기들의 서식지를 제공하며, 마닐라만 주변 생태계의 균형 잡힌 기능에 기여한다. 수년간 산호초가 감소하면서 어획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11]

3. 2. 5. 잘피밭(Seagrass beds)

잘피는 물고기 및 기타 해양 생물에게 서식지를 제공한다. 마닐라만의 대부분의 잘피는 입구 근처, 특히 말롤로스, 오리온, 마리벨레스, 코레히도르 섬에서 발견된다.

3. 2. 6. 고산림

마닐라만 유역에는 고산림이 풍부하며, 이는 식량, 목재, 땔감 및 기타 생산물의 공급원이자 야생 동물의 서식지이다. 이러한 숲은 토양 침식을 방지하고 강과 하천의 수위와 수질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마킬링 산, 앙갓 댐 유역, 라 메사 댐 유역, 팔라이-팔라이/마타아스 나 굴로드 산, 아라얏 산 및 바탄, 불라칸, 리잘, 타를락에 위치한 국립 공원의 기타 부분은 이러한 고산림 생태계의 일부를 형성한다.

4. 주요 개발 사업

로하스 대로가 마닐라만을 향하고 있다


베이워크


마닐라만에서 바라본 마닐라 스카이라인


2002년 리토 아티엔자 시장의 "부하인 앙 마닐라"(마닐라 부활) 프로그램으로 마닐라 지방 정부는 해변 산책로 개선 사업을 시작했는데, 이는 이후 베이워크로 알려졌다. 이 사업은 2km 길이의 중심 공공 공간을 개선하여 사회적 교류와 휴식을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4]

마닐라 해안가는 베이워크를 운동, 낚시, 사교 활동에 사용하는 지배 계급을 통해 권력을 보여준다.[15] 토지 이용과 사회 활동을 결합하여 대중에게 바다를 개방하고, 부랑자와 걸인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왔다.[14] 베이워크를 통해 마닐라 해안가를 되살리면서 아르세니오 락손, 니노이 아키노, 에벨리오 하비에르의 조각상을 주요 지점에 배치하여 공공 공간에 활력과 역사적 가치를 더했다.

4. 1. 간척 사업

주로 인간 정착과 산업 발전을 위해 고안된 간척 사업은 해당 지역 주변의 맹그로브 감소에 기여했으며, 메트로 마닐라의 해안선도 크게 줄였다.[2] 1944년부터 1991년까지 북부 지역에서 약 600m의 해안선이 간척되었다.[1] 2009년, 필리핀 어민 전국 연합(Pambansang Lakas ng Kilusang Mamamalakaya ng Pilipinas, Pamalakaya)은 간척 사업의 일환으로 카비테에 상레이 포인트 해군 기지를 확장하기 위해 7000ha의 해안 지역과 5000ha의 얕은 연안 해역이 있으며, 이는 대부분 외국 투자자들의 자금 지원을 받는다고 밝혔다.[12]

4. 2. 토지 전환

맹그로브와 갯벌 지역의 전환으로 1944년에 불규칙했던 해안선이 1977년에는 더 직선화되었다.[2] 어업 시설과 같은 인공 구조물이 해안 지역을 차지하면서 해안선 후퇴가 계속되었고, 1977년부터 1991년까지는 전진이 우세했다.[2]

1990년부터 약 1,200 헥타르의 맹그로브가 개간되어 양식업이나 염전으로 사용되었다.[13] 1993년에는 과도한 어획과 수확으로 인해 어업 자원이 꾸준히 감소했다.

4. 3. 해안 개발

2002년 리토 아티엔자 시장의 "부하인 앙 마닐라"(마닐라 부활) 프로그램으로 마닐라 지방 정부는 도시 재개발, 유지 및 개선을 통해 해변 산책로 개선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베이워크로 알려진 이 사업은 2km 길이의 중심 공공 공간을 개선하여 사회적 교류와 휴식을 위한 장소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다.[14]

식민지 역사를 참고하여,[14] 마닐라의 해안가는 베이워크를 운동, 낚시 또는 사교 활동에 사용하는 지배 계급을 통해 권력을 표현한다.[15] 토지 이용과 사회 활동의 조화는 대중에게 바다를 접근할 수 있게 하고, 부랑과 구걸을 억제한다.[14] 베이워크를 통한 마닐라 해안가 부활은 아르세니오 락손, 니노이 아키노, 에벨리오 하비에르의 조각상을 주요 지역에 배치하여 공공 공간에 활력과 역사적 가치를 부여했다.

5. 환경 문제 및 관리 노력

마닐라만은 개발도상국에서 흔히 발생하는 빈곤, 과잉 인구, 식량 안보 문제와 더불어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수생 시스템을 개선하며, 자연 생태계에 대한 추가적인 피해를 막기 위한 재활[18] 노력은 정부와 비정부기구 모두의 책임이다.

필리핀 대법원은 2011년 메트로 마닐라 개발청에 2015년까지 마닐라만과 연결된 강둑과 수로를 따라 불법 구조물과 주거지를 철거하라는 명령을 내려 수질 오염 발생을 줄이고자 했다.[19] "마닐라만 청소 달리기"와 같은 시민 참여 캠페인을 통해 마닐라만 재활을 위한 기금 마련과 인식 제고에 힘쓰고 있다.

2019년에는 환경 및 천연 자원부 주도로 여러 정부 기관이 참여하는 재활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20][21] 이로 인해 제10회 필리핀 국제 불꽃놀이 대회 장소가 SM 몰 오브 아시아 해안가에서 SM 시티 클락으로 변경되기도 했다.[22]

5. 1. 수질 오염

마닐라만은 지속적인 산업화, 인구 증가, 그리고 생계 및 거주를 위한 인간 활동으로 인해 수질이 악화되었다. 카비테바탄의 조선소 시설,[34][35] 중공업, 정유 공장, 발전소 등 메트로 마닐라 지역의 여러 산업체가 만을 따라 운영되고 있다.[34] 해운 항구와 페리 터미널에서는 연평균 30,000척의 선박이 입출항하며,[17] 산업 폐기물 배출[34]과 배수 및 하수구를 통해 처리되지 않은 생활 폐기물[36]이 배출되어 만의 수질과 퇴적물을 악화시키고 해양 서식지에 영향을 미친다.[2]

2011년 연구에 따르면 마닐라만의 평균 표면 염분은 32.6 psu이다.[37] 강물 유입으로 인해 해안 근처 지역, 특히 파시그강 하구 부근은 염도가 낮다.[2]

1995년에는 12건의 유류 유출 사고가 기록되었고, 1999년에는 마닐라 남부 항구와 바탄 주 리마이에서 가장 많은 양의 유류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1] 해상 항만 활동, 유류 터미널, 산업 폐기물 배출로 인해 유류와 그리스가 증가했다.[13] 구리, 카드뮴, 아연과 같은 미량 금속도 발견되었다.[38][1]

1996년에는 디클로로디페닐트리클로로에탄(DDT)를 포함한 16가지 농약의 농도가 측정되었다.[1]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AH)는 석유 및 연소원에서 기인한다.[39] 농약 잔류물은 강을 통해 만으로 유입되며,[40] 메타미도포스, 엔도설판, 클로르피리포스, 디아지논과 같은 오염 물질이 포함된다.[40] 폴리염화 바이페닐(PCB) 동족체도 퇴적물과 굴에서 확인되었다.[41] 1980년대부터 질산염, 암모니아, 인산염 등의 영양 염류 농도 증가는 농업 유출, 강 방류, 양식장 비료 때문이다.[2]

2024년 7월 25일에는 태풍 가에미 기간 중 유조선 MT ''테라 노바''가 전복되어 4km 길이의 유류 유출 사고를 일으켰다.[42]

5. 2. 법규 및 재활 노력

1987년 필리핀 헌법 제2조 제16항은 균형 있고 건강한 생태에 대한 국민의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16] 2001년 마닐라만 선언은 마닐라만을 식량, 고용, 소득의 원천이자 관광 및 레크리에이션의 관문으로 인정했다.[17]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에 관한 스톡홀름 협약은 2001년 채택되어 2004년 시행되었다.[41]

필리핀 대법원은 2011년 메트로 마닐라 개발청에 2015년까지 마닐라만과 연결된 강둑과 수로를 따라 불법 구조물과 주거지를 철거하라는 명령을 내렸다.[19] "마닐라만 청소 달리기"와 같은 시민 참여 캠페인을 통해 마닐라만 재활을 위한 기금 마련과 인식을 제고했다.

2019년에는 환경 및 천연 자원부 주도로 여러 정부 기관이 참여하는 재활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20][21]

5. 2. 1. 사빈(砂濱) 조성 (Beach nourishment)

2020년 9월 임시 개방 당시 해변


2020년 9월 초, 세계적으로 흔한 해변 조성 방법인 사빈(砂濱) 조성 과정을 통해 건설된 마닐라 베이 해변 공사가 시작되었다. 이 사업은 마닐라 베이 재활 사업의 일환으로, 통합 연안 구역 관리의 일부이며, 연안 방어를 목표로 한다.[23] 마닐라 베이 해변 사업은 환경 단체와 문화 유산 보존 단체로부터 비판을 받았는데, 코로나19 범유행 가운데 사업이 시행된 시점과 오염된 마닐라 베이에 백운암을 투기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유해한 환경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24][25]

광업 및 지구과학국에 따르면, 이 사업은 관광, 상업 및 환경에 도움이 될 것이며, 침식과 폭풍 해일로부터 연안 재산을 보호하고, 사빈 조성은 방파제사주와 같은 딱딱한 해변 안정화 구조물보다 선호된다고 밝혔다.[23] 필리핀 보건부는 백운암 사용이 알려진 건강 위험이 아니라는 성명을 발표했다.[26]

다른 사빈 조성 사업과 마찬가지로, 이 지역은 바다거북을 비롯한 다양한 종의 서식지, 바닷새, 해변 식물에 추가적인 서식지를 제공할 수 있다.[27][28] 해변이 처음 대중에게 공개되었을 때, 해변 지역에서 백로 무리가 발견되었다.[29]

수질은 크게 개선되었으며, 특히 해변 주변 지역에서 개선되었다. 환경천연자원부(DENR)는 2021년 1월 4일 2200000 mpn/100ml에서 2021년 2월 523000 mpn/100 ml로 해변 주변 해역의 분변성 대장균 수준이 크게 감소했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세 개의 관측소에서 측정한 평균 수치에 근거한 것이다.[30][31]

5. 3. 해수면 상승

지구 온난화는 보전 운동 측면에서 마닐라만과 주변 도시들에 큰 위협이 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2100년까지 해수면이 0.75~1.9미터 상승할 수 있으며,[43] 광대한 개발, 성장하는 산업, 과도하게 밀집된 인구를 고려할 때, 홍수 피해 지역에 노출된 자산의 기하급수적인 증가는 심각한 문제이다. 필리핀 기후 변화 대응 국가 연구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다루는 상세한 영향 평가를 통해 이 환경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접근 방식을 제시했다:[44]

'''물리적 환경'''

  • 조수 간만의 변화, 저조와 고조를 포함한 물의 순환
  • 고강우 및 저강우 기간을 나타내는 계절 구분


'''서식지 및 종'''

  • 산호 종, 맹그로브 숲, 해안선 내 생태계, 인근 농지 확인


'''취약성 분석'''

  •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에 따른 도시 경관을 나타내기 위해 취약성 지도가 작성되었다. 이러한 자료를 사용하여 지구 온난화의 결과로 침수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인구 밀집 지역과 자연 서식지를 정확히 찾아낼 수 있다.


2010년, 마닐라에서 열린 제1회 지방 자치 단체 간 조수 홍수 포럼에서 네덜란드 대사 로버트 브링크스(Robert Brinks)는 기후 변화의 결과로 예상되는 해수면 상승으로부터 마닐라와 주변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마닐라만을 폐쇄하고 제방을 건설할 것을 권고했다.[45] 그러나 그는 또한 제방으로 마닐라만을 폐쇄하려면 마닐라 항구를 대체할 새로운 항구 위치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6. 기타

마닐라만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사건들이 있었다.

사건명발생 시기내용
라 나발 데 마닐라 해전1646년80년 전쟁 중 스페인 제국 군대가 네덜란드 공화국 군대의 마닐라 침공 시도를 격퇴함.[5]
마닐라 만 해전1898년 5월 1일미국-스페인 전쟁 중 벌어진 해전으로, 필리핀 역사에서 스페인 식민지 시대의 종말을 알림.[5] 조지 듀이가 이끄는 미국 군대가 스페인 군대를 격파하고 마닐라만을 점령했으며, 주요 스페인 선박들이 파괴되거나 나포됨.
러일 전쟁 관련1905년쓰시마 해전에서 살아남은 러시아 방호순양함 3척 (아우로라, 젬추크, 올레그))이 수리를 위해 마닐라 항구에 입항했으나, 중립국이었던 미국에 의해 억류됨.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코레히도르 섬이 일본군에 점령됨.
루비 로즈 바라메다 살인 사건2007년 3월 14일 (실종)필리핀 배우 로셸 바라메다의 여동생 루비 로즈 바라메다-히메네스가 살해됨.[46] 시신은 실종 2년 후인 2009년 6월 10일에 발견됨.
태풍 페드링 피해2011년 9월 27일마닐라만의 방파제가 파괴되고, 미국 대사관, 무세오 팜바타 등이 침수됨. 복구 비용은 3000만필리핀 페소로 추정됨.


6. 1. 교통

바탄-카비테 인터링크 브리지(Bataan-Cavite Interlink Bridge)는 바탄 주와 카비테 주 사이의 영구적인 도로 연결을 제공할 것이다. 이 다리는 향후 연결을 위해 코레히도르 섬 근처에 유턴 지점을 가질 것이다.


1987년부터 마닐라만을 횡단하는 교량 또는 교량-터널(Bridge–tunnel) 건설 계획이 있었다. 2020년 1월, 국가 경제 개발청(National Economic and Development Authority)은 마닐라만을 가로질러 바탄카비테를 연결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탄-카비테 인터링크 브리지(Bataan–Cavite Interlink Bridge)(마닐라만 브리지) 건설 계획을 승인했다. 현재 이 다리에 대한 상세한 엔지니어링 설계와 해양 지구물리 조사가 완료되기 전에 건설이 시작될 예정이다.[32][33]

6. 2. 주요 사건


  • 라 나발 데 마닐라 해전 - 1646년 스페인령 동인도의 마닐라 만에서 벌어진 해전으로, 스페인 제국 군대가 네덜란드 공화국 군대의 마닐라 침공 시도를 80년 전쟁 중에 격퇴했다.[5]
  • 마닐라 만 해전 - 1898년 5월 1일 미국-스페인 전쟁 중 벌어진 해전으로, 필리핀 역사에서 스페인 식민지 시대의 종말을 알렸다.[5] 이 전투에서 코모도어 조지 듀이가 이끄는 미국 군대가 스페인 군대를 격파하고 마닐라만을 점령했다. 주요 스페인 선박들이 파괴되거나 나포되었다.
  • 러일 전쟁1905년 쓰시마 해전 종전 시, 살아남은 러시아 방호순양함 3척 (''아우로라'', ''젬추크'', ''올레그)''은 당시 미국의 통제를 받던 마닐라 항구에 수리를 위해 입항했다. 그러나 미국이 이 분쟁에서 중립을 유지했기 때문에, 3척의 군함과 승무원들은 1905년 9월 전쟁이 공식적으로 종결될 때까지 미국에 의해 억류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코레히도르 섬은 마닐라만에 주둔한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 루비 로즈 바라메다 살인 사건 - 2007년 3월 14일 메트로 마닐라나보타스에서 실종된 필리핀인 배우 로셸 바라메다의 여동생 루비 로즈 바라메다-히메네스가 살해된 사건이다.[46] 그녀의 시신은 실종된 지 2년이 넘은 2009년 6월 10일에 발견되었다.
  • 2011년 9월 27일, 마닐라만의 방파제가 태풍 페드링으로 인한 폭풍 해일에 의해 파괴되었다. 미국 대사관, 무세오 팜바타 및 소피텔 필리핀 플라자조차 침수되었다. 피해 복구에는 3000만필리핀 페소가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2012년 4월, 방파제는 강력한 폭풍 해일을 견딜 수 있도록 재설계되어 다시 일반에 공개되었다.

참조

[1] 논문 Manila Bay:Environment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Springer
[2] 논문 Biophysical Environment of Manila Bay - Then and Now Springer
[3] 논문 Multi-proxy reconstruction of Late Quaternary evolution of Laguna de Bai, Philippines
[4] 논문 Cleaning Up Manila Bay: Mandamus as a Tool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5] 판례 MMDA-Metro Manila Development Authority versus Concerned Residents of Manila Bay
[6] 뉴스 Manila cleans up after typhoon 'Pedring' https://www.gmanetwo[...] GMA News Online 2011-09-28
[7] 보고서 Estimation of fish biomas in Laguna de Bay based on primary productivity- A special study of the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8] 보고서 Fisheries Sector Program – Resources and Ecological Assessment of Manila Bay. Final Report BFAR- Department of Agriculture
[9] 보고서 Framework Plan: Pampanga River Basins
[10] 간행물 Status of Wetlands in Luzon
[11] 보고서 Resource and Ecological Assessment of Manila Bay Philippines: Results of Monitoring Activities (1995-1996)
[12] 웹사이트 Eco-lawyer presses Manila Bay cleanup http://www.worldjust[...] Inquirer Company 2011-09-22
[13] 보고서 Manila Bay: Refined Risk Assessment Global Environment Facility /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Regional Programme on Building Partnerships in Environmental Management for the Seas of East Asia (PEMSEA)
[14] 논문 Waterfront design without policy? The actual uses of Manila's Baywalk
[15] 논문 Order and place: in a Colonial city. Patterns of struggle and resistance in Georgetown, British Guiana, 1889–1924. Verandahs of power: colonialism and space in urban Africa
[16] 간행물 Legal Marketing of Environmental Law: The Philippine Experience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National Service Center for Environmental Publications (NSCEP)
[17] 보고서 Manila Bay Coastal Strategy Manila Bay Environmental Project (MBEMP)
[18] 논문 Ecosystem Rehabilitation
[19] 뉴스 SC wants concrete plan for Manila Bay cleanup https://news.abs-cbn[...] ABS-CBN News 2011-03-04
[20] 뉴스 DENR, 12 agencies to craft Manila Bay rehab plan https://businessmirr[...] BusinessMirror 2019-01-14
[21] 뉴스 Manila Bay Still Unsafe For Bathers https://newsinfo.inq[...] Inquirer.net 2019-02-01
[22] 웹사이트 The Biggest and Greatest Pyromusical Show Moves to SM City Clark! https://www.smsuperm[...] SM Supermalls 2019-03-19
[23] 뉴스 Impact of the Use of Dolomite in Beach Nourishment in Manila Bay https://mgb.gov.ph/2[...] BusinessMirror 2020-11-02
[24] 뉴스 Palace: P389-M Manila Bay 'white sand' project approved prior to pandemic https://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20-09-07
[25] 뉴스 Manila Bay sands project violates National Cultural Heritage Act, other laws - environmental groups https://news.abs-cbn[...] ABS-CBN News 2020-09-08
[26] 뉴스 Dolomite in Manila Bay 'white beach' won't cause health risks, DOH now says https://newsinfo.inq[...] Philippine Daily Inquirer 2020-09-09
[27] 논문 Environmentally Friendly Coastal Protection SpringerLink
[28] 웹사이트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ea Turtle-Deflecting Hopper Dredge Draghead - Storming Media http://www.stormingm[...] 2010-12-21
[29] 뉴스 Egrets drop by Manila Bay during 'White Sands' project opening https://www.gmanetwo[...] GMA News 2020-09-20
[30] 뉴스 DENR records significant drop in Manila Bay's coliform level https://cnnphilippin[...] CNN Philippines 2021-02-18
[31] 뉴스 DENR records further decrease in Manila Bay coliform level https://www.pna.gov.[...] Philippine News Agency 2021-02-18
[32] 뉴스 Bataan-Cavite bridge underway https://www.manilati[...] The Manila Times 2022-09-25
[33] 웹사이트 Engineering Design Contract Awarded for ADB-Supported Bataan–Cavite Bridge Project in the Philippines https://www.adb.org/[...] Asian Development Bank 2020-10-22
[34] 보고서 Manila Bay: Initial risk assessment Global Environment Facility/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Regional PEMSEA
[35] 논문 Ecotoxicology of pesticides in Philippine aquatic ecosystems Taylor & Francis/CRC Press
[36] 논문 Manila Bay Study EMB-DENR
[37] 논문 Hypoxia in Manila Bay, Philippines during the northeast monsoon
[38] 논문 The speciation of dissolved copper, cadmium and zinc in Manila Bay, Philippines
[39] 논문 The levels and distribu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 contamination in bottom sediment in Manila Bay
[40] 논문 Organic Contaminants in the Marine Environment of Manila Bay, Philippines
[41] 논문 PCBs in sediments and oysters of Manila Bay, the Philippines
[42] 웹사이트 Race to contain oil spill after ships capsize as typhoon hits Taiwan and Philippines https://www.bbc.co.u[...] 2024-07-25
[43] 논문 Climate Change and Asia's Coastal Urban Cities: Can They Meet the Challenge?
[44] 논문 Potential Impacts of Sea Level Rise on the Coastal Resrouces of Manila Bay: A Preliminary Vulnerability Assessment
[45] 웹사이트 Dutch advice: Close Manila Bay, build dikes https://www.philstar[...] 2010-10-11
[46] 웹사이트 Fishing magnate faces raps for body-in-box murder https://www.philstar[...] 2009-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