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V1 어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V1 어순은 독일어에서 주로 서법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지만, 의문문, 감탄문, 평서문, 부문장 등 다양한 문장 유형에서 나타난다. 의문문에서는 청자에게 시비대답을 요구하며, 감탄문은 요구, 소망, 감탄의 의미를 표현한다. 평서문은 생동감, 위트, 대조의 효과를 내며, 부문장에서는 조건, 양보, 원인, 비교의 의미를 갖는다. V1 어순은 스웨덴어와 영어와 같은 다른 게르만어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며, 어순 유형론적 관점에서 VSO 언어와의 연관성을 논의하기도 한다.

2. 의문문

V1 어순은 의문문을 표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청자로부터 시비대답문(Ja-/Nein-Antwort)을 요청한다. 화자가 하나의 질문만 고려하면서도 청자에게 단 하나의 답변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 동사제일어순이 되는 것이 아니라, 접속사 'ob'과 함께 부문장(Nebensatz) 혹은 종속문의 독립문장을 사용해야 한다.

2. 1. 의문문의 예시

동사제일어순은 독일어에서 주로 서법(敍法)의 특성 표시로 이용되지만, 명백한 것은 아니다. 한편 '''의문문'''이 표현될 수 있으며, 그를 통해 청자로부터 시비대답문(Ja-/Nein-Antwort)이 요청된다.

:'''Gibt''' es hier auch frische Milch? (여기에 신선한 우유도 있습니까?) (여기에서 ''''auch''''는 'hier'를 수식, '다른 집뿐만 아니라 hier도'라는 뜻)

참조 : '''Ob''' es hier '''wohl auch''' frische Milch gibt? (여기에 신선한 우유까지 있지요?) (여기에서 ''''wohl auch''''는 앞에 어떤 것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거기에 첨부되는 것으로서 지칭대상이 있다는 것을 말함, 즉 hier라는 공간에 국한시키는 것, auch는 Milsch와 연결)

만약 화자가 하나의 질문만을 고려하면서도 청자에게 단 하나만의 답변을 요구하지는 않는 경우, 동사제일어순이 되는 것이 아니라, 위의 예시처럼 접속사 'ob'과 함께 부문장(Nebensatz) 혹은 종속문의 독립문장을 사용해야 한다.

3. 감탄문

다른 한편, 다양한 역할을 갖는 감탄문 역시 V1 문장으로 나타난다. 특히 요구(명령문), 소망(원망문), 감탄의 뜻을 갖는 감탄문이 보인다.[1]

3. 1. 감탄문의 예시

다음은 V1 어순이 사용된 감탄문의 예시이다.[1]

  • '''Lass''' mich in Ruhe! (그만 좀 해!) (요청)
  • '''Hätte''' ich doch bloß nichts gesagt! (내가 아무런 말도 안 했었으면!) (비현실적 소망)
  • '''Möge''' die Macht mit dir sein! (포스가 그대와 함께 하길!) (소망)
  • '''Hat''' der aber große Ohren! (그 분은 큰 귀를 가지셨네요!) (경탄)

4. 평서문

특정 서술 효과를 내야 하는 경우, 특히 구어에서 동사제일위(V1) 어순은 독립 평서문으로 기능할 수 있다. V1 문장은 생동감 있는 열거, 대조, 위트 있는 문장의 특성을 보여주며, 상투어법(Wendung)이 아니라 다양한 것들이 첨부될 수 있는 문장이다.[2]

대명사 없이도 맥락을 통해 통일성이 파악되는 문장은 구분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 V1 문장이 자주 나타난다. 이런 문장에서는 결락된 대명사를 문장 중간에 첨부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동사제일위 어순은 동사제이위 문장으로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전역에 있는 대명사는 표현되지 않는다.

4. 1. 평서문의 예시

특정 서술 효과를 내야 하는 경우, 특히 구어에서 동사제일위문장은 독립 평서문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생동감 있는 열거나 대조''', '''위트''' 있는 문장의 특성을 보인다. V1 문장은 이 경우 상투어법(Wendung)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것들이 첨부될 수 있는 문장이다.[2]

'''예1)''' '''Kommt''' ein Pferd in die Kneipe und bestellt ein Bier. (…). (선술집에 말 한 마리가 와서 맥주 하나를 주문한다.)(독일식 말장난)

'''예2)''' (…) Tja, was soll ich machen? '''Pack''' ich also meine Sachen wieder zusammen und '''will''' schon zur Tür gehen, da … (이런, 난 뭘 해야 하지? 다시 물건들을 싸고, 문으로 나가려 하면서, 그때...) (감정이 실린 열거)

'''예3)''' '''Läuft''' mir doch da ein Fußgänger geradewegs vors Auto! (그런데 그때 한 보행자가 내 차 앞으로 곧장 달려온 거 있지!) (앞의 내용에 이어진 내용이면서도 돌발적이고 대조적인 사건 발생)

그럼에도 이에 관해서 '''대명사 없이도 맥락을 통해 통일성이 파악되는 문장'''은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때 V1 문장이 자주 나타난다. 이런 문장에서는 결락된 대명사를 문장 중간(Satzinneren)에 첨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우리는 페터를 불러야 했다.) …

'''Hab''' ich mir auch schon gedacht.((페터를 부르는 것에 대해) 나는 이미 생각해 보았다.)

'''(x)''' Hab ich mir '''das''' auch schon gedacht. (나는 이미 '''그것을''' 생각해 보았다.)

'''(o)''' '''Das''' hab ich mir auch schon gedacht. ('''그것을''' 나는 이미 생각해 보았다.)

동사제일위어순 종류는 동사제이위문장으로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그에 대해 전역에 있는 대명사는 표현되지 않는다.

5. 부문장(종속절) V1 어순

동사제일위문장(V1 어순)은 특정 문장 유형의 의미를 지닌 부문장(종속절)처럼 보이며, 이러한 해석은 해당 양태불변화사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3] 이런 문장들에서 동사는 '부문장유도접속사(nebensatzeinleitenden Konjunktion)'를 대신하여 문장 앞에 나타난다. 얼마나 넓게 이러한 부문장이 전체 문장 안으로 편입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불분명하다고 간주된다.[3]

조건문, 양보문, 원인문 외에 비교문(Vergleichssatz)도 동사제일위문장을 사용한다.

또한, 대안적으로 대명사 'so'가 전역에 있는 V2-문장으로 구성될 수 있는 동사제일위삽입문(Verb-Erst-Parenthese)이 있다.


  • Das Zitat stammt – '''(so) vermute ich''' – von Pascal. (격언 '''"나는 (그렇게) 추정한다"'''는 파스칼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스위스독일어(Schweizerdeutsch) 혹은 스위스 고지독일어(Schweizer Hochdeutsch)에서, V1문장은 부문장으로 존재하지만 의미상 표준독일어(Standarddeutsch)의 dass문장(dass-Satz)에 해당하는 구문이 있다.[4]

  • 스위스독일어 : Es freut mich, '''kommst du''' rechtzeitig nach Hause.(네가 때맞춰 집에 돌아왔으니 기쁘다!)
  • 독일표준어형 : Es freut mich, '''dass du''' rechtzeitig nach Hause '''kommst'''.[5]

5. 1. 조건문

동사제일위문장은 원인문, 조건문, 양보문 등 특정 문장 유형의 의미를 지닌 부문장처럼 보이며, 거기에서 이러한 해석은 해당 양태불변화사를 통해 지지될 수도 있다.[3] 이런 문장들에서 동사는 '부문장유도접속사'를 대신하여 문장 앞에 나타난다.

조건문(Bedingungssatz) 혹은 조건법(Konditionale)은 다음과 같다.

  • '''Hätte''' ich mehr Zeit gehabt, '''hätte''' ich einen längeren Brief geschrieben. (만약 내가 더 많은 시간이 있었더라면, 더 긴 편지를 썼을 것이다.)
  • '''참고''': 주문장의 'hätte ich'는 '독립절이 종속절 뒤에 오면 활용변화 동사는 주어 앞에 온다'는 원칙에 의거한 것이다.
  • 대안: '''wenn …''' (~한다면)

5. 2. 양보문

'''2. 양보문(Konzessivssatz)'''

'''War''' der Auftritt auch etwas misslungen, so hatte er immerhin Aufmerksamkeit erregt. (무대 등장이 다소 잘못되었지만, 그는 어쨌든 관심을 끌었다.)[3]

대안: '''wenn … auch''' (또한 ~하더라도)

5. 3. 원인문

동사제일위문장은 원인문(Kausalsatz)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해석은 해당 양태불변화사를 통해 지지될 수도 있다. 얼마나 넓게 이러한 부문장이 전체문장(Gesamtsatz) 내로 편입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불분명하다고 간주된다.[3] 이런 문장들에서 동사는 '부문장유도접속사(nebensatzeinleitenden Konjunktion)'를 대신하여 문장 앞에 나타난다.

원인문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Er gab die Hoffnung auf, '''hatte''' er doch seit einer Woche keine Nachricht erhalten. (어쨌든 그는 1주일 전부터 어떠한 소식도 받지 못하였기 때문에, 그는 희망을 저버렸다.)[3]


대안은 'wo … doch'(어쨌든 그래도 ~하기 때문에)이다.[3]

5. 4. 비교문

Es war, als '''hätte''' der Himmel die Erde still geküsst. (그것은 마치 요제프 폰 아이헨도르프의 시 '달밤(Mondnacht)'에서처럼 하늘이 땅에 조용히 입맞춤 한 것 같았다.)[3]

대안: '''als ob …''' (마치 ~한 듯)

6. 병렬 생략문

독일어 병렬 생략(Koordinationsellipse)에서[6] 동사제일위어순(Verberststellung)은 'und'와 함께 연결된 두 번째 문장에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 Karl kommt heute und besucht seinen Freund.(카를은 오늘 와서 친구를 방문한다.)


병렬 생략에서 독일어 주어 내부 생략(Subjektbinnenellipse)이 관여할 때, 이는 효력이 있다.

  • Heute kommt Karl und besucht seinen Freund.(오늘 카를이 와서 친구를 방문한다.)


마지막 구조의 분석은 전문서적에서 논쟁이 있으며, 동사제일위문장이 부문장인지 혹은 동일배열의 주문장인지는 명확히 말할 수 없다.

7. 비교언어학적 관점

V2 어순처럼 V1 어순 문장은 최소한 다른 게르만어에서도 위에서 언급한 기능과 관련되어 있다. 스웨덴어는 독일어처럼 시비의문문, 명령문, 원망문, V1 조건문 등에 V1 어순과 비슷한 것을 가지고 있다. 영어에도 V1 어순이 존재하지만, 영어에서의 동사 선행(Voranstellung von Verben) 혹은 도치는 다른 게르만어들에 비해 제한적으로 사용된다.[7] 어순유형학(Wortstellungstypologie)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게르만어 V1 어순과 VSO 언어권의 VSO 어순 간의 공통점에 대한 문제는 간단하게 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정확히 말하면 VSO 유형은 동사의 선행을 통해 성립되는 파생 어순으로, 언어들이 구분되는 바, 얼마나 많이 동사가 선행되고 파생 규칙이 정확한 것처럼 여겨지는가에 달려있다.[8]

7. 1. 스웨덴어

스웨덴어는 독일어처럼 시비의문문, 명령문, 원망문, V1 조건문 등에 V1 어순과 비슷한 것을 가지고 있다.[7]

스웨덴 문장독일어 직역독일어 의역
Måtte det gå dig väl!Möge es gehen dir gut!Möge es dir gut gehen!
Kommer du imorgon, kan du träffa henne.Kommst du morgen, kannst du treffen sie.Kommst du morgen (Wenn du morgen kommst), kannst du sie treffen.


7. 2. 영어

영어에도 V1 어순이 존재한다. 그러나 영어에서의 동사 선행(Voranstellung von Verben) 혹은 도치는 다른 게르만어들에 비해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영어 원문: Had I known this before going out, I wouldn’t have worn sandals! (나가기 전에 이를 알았더라면, 샌들을 신지 않았을 텐데!)

:독일어 문장: Hätte ich das gewusst, bevor ich rausgehe, hätte ich keine Sandalen angezogen.

어순유형학(Wortstellungstypologie)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게르만어 V1 어순과 VSO 언어권의 VSO 어순 간의 공통점에 대한 문제는 간단하게 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정확히 말하면 VSO 유형은 동사의 선행을 통해 성립되는 파생 어순으로, 언어들이 구분되는 바, 얼마나 많이 동사가 선행되고 파생 규칙이 정확한 것처럼 여겨지는가에 달려있다.[8]

참조

[1] 서적 Altmann 1987
[2] 서적 Reis & Wöllstein 2010
[3] 서적 Reis & Wöllstein 2010
[4] 서적 Sternefeld 2006
[5] 서적 Sternefeld 2006
[6] 웹인용 Sprachratgeber https://www.duden.de[...] 2023-04-15
[7] 서적 Holmes & Hinchliffe
[8] 서적 Carnie & Guilfoyle (e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