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의문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문문은 어떤 것이 사실인지 묻는 질문의 형식으로, 긍정/부정 답변을 요구하는 판정 의문문, '누구', '어디' 등 의문사를 사용하여 구체적인 정보를 묻는 의문사 의문문, 여러 선택지 중 하나를 고르는 선택 의문문, 그리고 문장 안에 긍정과 부정을 함께 제시하는 반복 의문문 등으로 나뉜다. 또한, 문장 끝에 질문을 덧붙여 확인하는 부가 의문문, 다른 문장 안에 포함된 간접 의문문, 답을 요구하지 않고 의미를 강조하는 수사 의문문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언어는 통사론적 변화, 억양 변화, 형태론적 특징, 조사 사용 등을 통해 의문문을 표현하며, 물음표와 같은 정서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의문문은 지식 획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과학적 방법과 소크라테스식 문답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법 - 명령법
    명령법은 특정 동사 활용을 통해 상대에게 행위를 명령하거나 요청하는 문장 형태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공손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고, 한국어에서는 격식 수준에 따라 표현이 달라지며, 다른 언어에서도 각기 다른 형태가 존재한다.
  • 서법 - 가정법
    가정법은 인도유럽어족 등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는 문법 범주로, 사실이 아닌 상황, 가능성, 바람, 소망 등을 표현하며, 각 언어별로 형태와 용법이 다양하여 시제와 함께 다양한 가정적 상황을 나타낸다.
의문문
개요
명칭의문문
영어 명칭Interrogative sentence
설명질문을 표현하는 문장
유형
구조에 따른 분류판정 의문문
설명 의문문
선택 의문문
가짜 의문문
기능에 따른 분류직접 의문문
간접 의문문
수사 의문문
문법적 특징
어순주어-동사 순서 변경 (예: 영어의 경우 조동사 위치 변경)
억양상승조 사용 (언어에 따라 다름)
의문사의문사 사용 (예: 누가, 무엇, 어디, 언제, 왜, 어떻게)
예시
한국어어디 가세요?
영어Where are you going?
일본어どこへ行きますか。(Doko e ikimasu ka.)

2. 의문문의 종류

한국어 및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는 의문문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판정 의문문
  • 설명 의문문
  • 긍정 의문문
  • 부정 의문문
  • 수사 의문문
  • 간접 의문문
  • 직접 의문문
  • 선택 의문문
  • 반복 의문문
  • 반어 의문문


의문문은 크게 문장의 긍정 또는 부정을 묻는 긍정/부정 의문문과, 문장의 특정 부분을 의문사로 나타내고 그에 대한 답을 묻는 의문사 의문문으로 나뉜다. 그 외에도 문장 안에 긍정·부정을 나타내어 어느 쪽을 묻는지 묻는 반복 의문문(주로 중국어에서 사용됨)과, 문장 안에 선택지를 제시하여 그중 어느 것을 묻는지 묻는 선택 의문문이 있다.

부가 의문문은 문장 끝에 질문을 덧붙여 확인을 요청하는 의문문이다. (예: "그녀는 일찍 떠났죠, '''그렇죠?'''")

2. 1. 판정 의문문

'예' 또는 '아니오'와 같은 긍정/부정 답변을 요구하는 의문문이다. 예를 들어 "밥 먹었니?"와 같은 질문이 이에 해당한다. 판정 의문문은 문장의 긍정 또는 부정을 묻는 기본적인 의문문 형식 중 하나이다. 긍정/부정 의문문에 대한 답변으로는 예스·노에 대응하는 단어를 사용하는 언어가 많지만, 한국어에서는 "예" 또는 "아니오"로 답한다.

2. 2. 설명 의문문

의문사를 사용하여 구체적인 정보를 묻는 의문문이다. (예: "어제 뭐 했어?") 의문사 의문문은 '어느', '누구', '어떻게' 등과 같은 단어를 사용하여 질문하려는 정보를 구체적으로 지정한다.[1]

2. 3. 긍정 의문문

긍정적인 내용으로 질문하는 일반적인 의문문이다. "숙제 다 했니?"와 같은 문장이 있다. 기본적인 의문문의 형식으로, 문장의 긍정을 묻는다. 긍정/부정 의문문에 대한 답변으로는, 예스·노에 대응하는 단어를 사용하는 언어가 많지만, 이들의 용법은 언어에 따라 다르며, 이러한 단어를 가지지 않고 구체적인 긍정문으로 답변하는 언어도 있다.

2. 4. 부정 의문문

부정적인 내용으로 질문하는 의문문이다. (예: "숙제 안 했니?")

부정 문장으로 구성된 '부정 의문문'은 "안 오세요?"와 "왜 그는 대답하지 않습니까?"와 같다.

예: 부정 의문문에 대한 긍정 답변

언어답변
영어Yes
한국어아니요
프랑스어Si (권유·제안의 부정 의문문에 대한 긍정은 Oui)


2. 5. 수사 의문문

수사 의문문은 답을 요구하기보다는 특정한 의도를 강조하거나, 감탄, 명령 등의 의미를 나타내는 의문문이다.[1]

수사 의문문은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긍정 강조 수사 의문문 (부정 의문문의 형태):
  • * 누가 활동하지 못하겠는가?
  • * 내가 과자 하나 못 사 줄까?
  • 부정 강조 수사 의문문 (긍정 의문문의 형태):
  • * 공든 탑이 무너지랴?
  • * 그 많은 곳에는 무엇이 있느냐?
  • * 우리가 그들과 싸워서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하느냐?
  • * 라면이야말로 조리법대로 끓여 보아도 무슨 이런 맛인가?
  • * 대관절 저 악당들을 어떻게 물리치어 주느냐?
  • * 하늘에서 장난감이 나오느냐, 빵이 나오느냐?
  • * 언제까지 영어만 사용할 것이냐?
  • * 그런 것이 어디에 있느냐?
  • 명령/권고 의문문 (부정 의문문의 형태):
  • * 빨리 출발하지 못하겠느냐?
  • 금지 명령 의문문 (긍정/부정 의문문의 형태):
  • * 민주당이 지금 감기에 걸린 이유를 질문하고 있는데 왜 군대들이 싫어하는 음식을 말하는가?
  • * 누가 감히 내게 항의하느냐?
  • * 옷을 몇 벌이나 입느냐?
  • 감탄 의문문 (긍정 의문문의 형태):
  • * 동물들이 풀을 먹고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2. 6. 간접 의문문

다른 문장 안에 포함되어 간접적으로 질문하는 의문문이다. (예: "나는 네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궁금하다.")[1] 간접 의문문 (또는 '의문 내용절')은 질문을 참조하기 위해 문장 내에서 사용되는 종속절이다 (의문문 자체인 '직접 의문문'과 반대).[1] 간접 의문문의 예는 "나는 잭이 어디 있는지 궁금하다."라는 문장에서 ''잭이 어디 있는지''이다.[1]

2. 7. 직접 의문문

직접 의문문은 간접 의문문과 대비되며, 직접적으로 질문하는 의문문이다.

의문문은 일반적으로 어떤 것이 사실인지 묻고 (예스/노 유형의 답변을 요구하는) 예/아니오 의문문과, '어느', '누구', '어떻게' 등과 같은 단어를 사용하여 질문하려는 정보를 구체적으로 지정하는 의문사 의문문으로 나뉜다.

중간 형태는 "차나 커피를 드시겠습니까?"와 같이 여러 대안적인 답변을 제시하는 '선택 의문문' 또는 '양자택일 의문문'이다.

부정 문장으로 구성된 '부정 의문문'은 "안 오세요?"와 "왜 그는 대답하지 않습니까?"와 같다.

부가 의문문은 문장 끝에 질문을 "태그"하여 확인을 요청하는 것으로, "그녀는 일찍 떠났죠, '''그렇죠?'''"와 같다.

간접 의문문(또는 '의문 내용절')은 질문을 참조하기 위해 문장 내에서 사용되는 종속절이다 (의문문 자체인 '직접 의문문'과 반대). 간접 의문문의 예는 "나는 잭이 어디 있는지 궁금하다."라는 문장에서 ''잭이 어디 있는지''이다. 영어와 다른 많은 언어는 해당 직접 의문문 ("잭은 어디 있습니까?")에서는 도치가 사용되지만, 간접 의문문에서는 도치를 사용하지 않는다.

2. 8. 선택 의문문

여러 가지 선택지를 제시하고 그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는 의문문이다. 예를 들어 "차 마실래, 커피 마실래?"와 같이 질문한다. "차나 커피를 드시겠습니까?" 와 같이 여러 대안적인 답변을 제시하는 '선택 의문문' 또는 '양자택일 의문문'이 중간 형태이다.

2. 9. 반복 의문문

문장 안에 긍정과 부정을 함께 제시하여 묻는 의문문으로, 중국어 등에서 자주 사용된다.

3. 의문문의 특징

언어는 의문문과 평서문을 구별하기 위해 통사론운율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통사론은 단어 순서 변경이나 의문사 추가와 같은 문법적 변화를 말하며, 운율은 말할 때 억양의 변화를 말한다. 일부 언어는 동사의 굴절과 같이 의문문을 형태론적으로 표시하기도 한다. 특정 언어는 이러한 방법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2]

문법에서 많은 언어는 통사론을 통해 명제를 나타내는 평서문과 의문문을 구별한다. 의문임을 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된다.[2]


  • 평서문과는 다른 억양(대부분 문말 상승조)
  • 유표 어순(wh 이동 참조)
  • 의문법 또는 접속법 등의 다른 동사 활용
  • 조사 (cf. 일본어의 "か", 베이징 관화의 "嗎")


로마자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에서는, 물음표 (또는 스페인어에서는 앞뒤로 한 쌍)로 정서법상 의문문을 지정한다.

3. 1. 형태론적 특징

일부 언어는 동사의 굴절을 통해 의문문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터키어와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가 이에 해당한다.[2]

터키어의 경우, 동사에 의문사 mı|므tr (단어의 마지막 모음에 따라 mi|미tr, mu|무tr, mü|뮈tr도 사용됨 – 모음 조화 참조)를 붙여 의문문을 만든다. 다른 인칭 또는 동사 접미사가 해당 입자 뒤에 온다.

  • Geliyorum.|겔리요룸tr ("나는 오고 있다.") → Geliyor muyum?|겔리요르 무윰tr ("내가 오고 있니?")
  • Evlisin.|에블리신tr ("너는 결혼했다.") → Evli misin?|에블리 미신tr ("너는 결혼했니?")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의 경우, 동사를 의문법으로 활용하여 내용 질문을 만든다.

  • Taiciquten.|타이치쿠텐esu ("너는 올 것이다.") → Qaku taiciqsit?|카쿠 타이치크시트esu ("언제 (미래) 너는 올 거니?")
  • Qimugta ner'uq neqmek.|키무그타 네르우크 네크메크esu ("그 개는 생선을 먹고 있다.") → Camek ner'a qimugta?|차메크 네라 키무그타esu ("그 개는 무엇을 먹고 있니?")


유픽어의 예/아니오 질문은 문장의 첫 번째 단어 끝에 첨가사 -qaa|-카esu를 붙여 형성한다.

  • Taiciquten-qaa?|타이치쿠텐카esu ("너는 올 거니?")
  • Qimugta-qaa ner'uq neqmek?|키무그타카 네르우크 네크메크esu ("그 개는 생선을 먹고 있니?")

3. 2. 통사론적 특징

어순의 변화와 의문사 또는 조사의 추가는 질문을 표시하기 위해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는 주요 구문 장치이다.[2]

일부 현대 서유럽 언어에서 질문은 동사와 주어의 전환(도치)으로 표시되어 일반적인 어순 패턴을 SVO에서 VSO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독일어에서 평서문은 "Er liebt mich." ("그는 나를 사랑한다")이지만, 의문문은 "Liebt er mich?" ("그는 나를 사랑하니?", 문자 그대로 "사랑하니 그가 나를?")와 같이 동사가 앞으로 나온다.[2] 현대 영어의 경우, 도치가 사용되지만 제한된 동사 그룹(조동사 또는 "특수 동사")에서만 발생할 수 있다.[2] 그러한 동사가 없는 문장에서는 보조 동사 ''do''(''does'', ''did'')가 도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입된다.[2]

질문을 표시하는 또 다른 일반적인 방법은 진술이 참인지 묻는 예/아니오 질문으로 전환하기 위해 문법적 조사 또는 후치사를 사용하는 것이다.[2] 조사는 문장의 시작 또는 끝에 배치되거나 문장 내의 요소에 첨부될 수 있다.[2] 일반적으로 문장의 시작 부분에 배치되는 의문 조사의 예로는 프랑스어 est-ce que|에스 크프랑스어가 있다.[2] 인공어 에스페란토는 폴란드어 czy|치pl처럼 작동하는 조사 ĉu|추eo를 사용한다.[2]

  • Vi estas blua.|너는 파랗다.eo
  • '''Ĉu''' vi estas blua?|너는 파랗니?eo


질문의 끝 부분에 일반적으로 배치되는 조사는 일본어 か|카일본어표준 중국어 吗|마중국어 가 있다.[2]

  • 彼は日本人です|카레와 니혼진데스.일본어 ("그는 일본인입니다.")
  • 彼は日本人です ("그는 일본인입니까?")
  • 他是中国人|타 스 쫑궈런.중국어 ("그는 중국인입니다.")
  • 他是中国人 ("그는 중국인입니까?")


인도네시아어말레이어에서 조사 -kah|카id는 문장의 마지막 단어 또는 확인이 필요한 단어 또는 구문(해당 단어 또는 구문이 문장의 시작 부분으로 옮겨짐)에 접미사로 추가된다.[2]

  • Kita tersesat lagi.|키타 터르사삿 라기.id ("우리는 다시 길을 잃었습니다.") → Kita tersesat lagi'''kah'''?|키타 터르사삿 라기'''카'''?id ("우리는 다시 길을 잃었습니까?")
  • Jawaban saya benar.|자와반 사야 브나르.id ("제 대답이 맞습니다.") → Benar'''kah''' jawaban saya?|브나르'''카''' 자와반 사야?id ("제 대답이 맞습니까?")


비극성 질문(''wh''-질문)은 일반적으로 ''what'', ''where'', ''how'' 등과 같은 의문사(''wh''-단어)를 사용하여 형성된다.[2] 이것은 일반적으로 구문 구조에서 구하는 정보를 차지한다.[2] 그러나 어순 측면에서 의문사(또는 그것의 일부인 구문)는 많은 언어에서 문장의 시작 부분으로 이동된다(''wh''-전치).[2]

3. 3. 운율적 특징

많은 언어에서 의문문은 상승조 억양으로 표현된다. 이것은 특히 네-아니오 질문에 적용되며, 네-아니오 질문에서 상승조 억양의 사용은 인간 언어의 언어 보편성 중 하나로 제시되어 왔다.[4][5] 그러나, ''wh''-질문에서는 상승조 억양이 그렇게 흔히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질문은 일반적으로 그러한 억양 패턴을 갖지 않는다.

4. 정서법

로마자, 키릴 문자 등을 사용하는 언어에서는 문장 끝에 물음표를 사용하여 의문문을 나타낸다. 스페인어에서는 역 물음표(¿)를 문장 앞에 추가하여 사용하기도 한다(예: ¿Cómo está usted?|꼬모 에스따 우스뗃?es). 물음표는 선언적 질문에서도 사용되는데, 이 경우 말할 때 사용되는 억양과 마찬가지로 문장이 질문으로 의도되었음을 나타내는 유일한 표시이다.[7]

5. 의문문과 지식 획득

의문문은 고유 연구 영역에서 초기 단계의 지식 획득에 사용된다. 과학적 방법에서 의문문 설정은 종종 탐구의 기초를 구성하며, 관찰에서 가설 형성 단계로의 이행으로 간주될 수 있다. 모든 세대의 학생들은 특정 과제에 대한 지식 획득에 의문문을 사용하며, 학생들에게 '탐구 가능한' 질문을 제기하도록 하는 능력은 연구자 양성의 핵심을 이룬다. 이처럼 학생에게 질문을 던지는 소크라테스식 문답법은 교사가 학생에게 직접 답을 가르치지 않고 진리에 도달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며, 학생이 논리적 결론을 도출하도록 돕는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interrogative mood? http://www.sil.org/l[...] SIL International 2009-12-28
[2] 서적 Negative and Positive Polar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A Latin Grammar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Alabama Press
[4] 서적 Intonation Penguin
[5] 서적 Inton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Intona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간행물 Introductio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
[8] 문서 Farkas and Roelofsen 2015
[9] 서적 Semantics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