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WASP-12b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ASP-12b는 지구에서 약 63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뜨거운 목성형 외계 행성이다. 목성 질량의 1.5배, 반지름은 1.76배이며, 모항성과 매우 가까워 공전 주기는 약 1.09일, 표면 온도는 2,250 켈빈에 달한다. WASP-12b는 탄소 함량이 높아 "다이아몬드 행성"으로 불리기도 하며, 조석력으로 인해 대기가 팽창하고 매년 대기를 잃고 있다.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 이 행성은 모항성에 의해 소멸될 것으로 예상되며, 궤도 붕괴로 인해 300만 년 이내에 모항성에 흡수될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발견한 외계 행성 - MOA-2007-BLG-192Lb
    궁수자리에 위치한 적색 왜성 MOA-2007-BLG-192L은 지구로부터 약 7040 광년 떨어져 있으며 태양 질량의 0.24배이다.
  • 2008년 발견한 외계 행성 - HR 8799 c
    HR 8799 c는 HR 8799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2008년에 발견되었으며, 궤도 긴반지름은 42.9 AU이고, 공전 주기는 약 231.7년이며, 목성보다 크고 표면 온도는 약 820℃이다.
  • 뜨거운 목성 - WASP-19b
    WASP-19b는 '뱅크시아'로 명명된 뜨거운 목성형 외계 행성으로, 모항성 '와틀'인 WASP-19를 공전하며, 목성과 비슷한 질량에 비해 큰 반경과 낮은 밀도를 가지고, 이산화 티타늄과 헤이즈가 있는 대기, 그리고 과거에 물이 감지되었으며, 조석력으로 인해 항성에 낙하할 것으로 예상된다.
  • 뜨거운 목성 - WASP-3b
  • 목성형 행성 - 해왕성
    해왕성은 태양계의 여덟 번째 행성이며, 1846년에 발견되었고, 질량이 지구의 약 17배인 거대 얼음 행성으로, 푸른색을 띠며 강력한 폭풍과 14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다.
  • 목성형 행성 - 토성
    토성은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진 거대 가스 행성이며, 아름다운 고리, 많은 위성, 물보다 낮은 밀도, 빠른 자전으로 인한 편구체 형태, 북극의 육각형 구름, 그리고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있는 타이탄과 엔켈라두스로 특징지어진다.
WASP-12b
기본 정보
WASP-12b와 목성 크기 비교
WASP-12b (오른쪽)와 목성의 크기 비교
발견자Cameron 외 (슈퍼WASP 프로젝트)
발견 장소남아프리카 천문대
발견일2008년 4월
발견 방법트랜짓
WASP-12
궤도 요소
궤도 긴반지름0.0234 ± 0.00056/0.00050 AU
궤도 이심률0.049 ± 0.015
공전 주기1.0914199 ± 0.0000002 일
궤도 경사81.92 ± 1.51°
근일점 인수-74 ± 13/10°
물리적 특성
평균 반지름1.819 ± 0.142 목성 반지름
질량1.47 ± 0.076/0.069 목성 질량
밀도266 kg/m³
표면 중력3.004 ± 0.015 g
평형 온도3128 ± 64/68 K (2885 ± 64/68 °C, 5225 ± 147/155 °F)
식별 정보
기타 명칭2MASS J06303279+2940202 b

2. 물리적 특징

WASP-12b는 목성보다 1.5배 무겁고[36] 반지름은 1.76배 더 크다.[36] 이는 어머니 항성과의 거리가 가까워 상층부 대기가 가열되어 팽창했기 때문이다. WASP-12b와 항성 사이 거리는 약 0.02 천문단위(340만 킬로미터)로,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의 50분의 1에 불과하며[34], 공전 주기는 1.09일이다. 극도로 가까운 거리 때문에 표면 온도는 2,250 켈빈에 달하며, 이는 질량 큰 갈색 왜성의 표면 온도와 맞먹을 정도로 뜨거운 것이다.[36]

2013년 12월 3일, 허블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에서 대기 바깥층에서 수증기가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 2014년 7월에는 WASP-12b를 포함한 3개의 외계 행성이 기존 예상보다 대기가 건조하다(수증기가 적다)는 관측 결과를 NASA가 발표했다.

2. 1. 조석력과 대기 팽창

WASP-12b는 목성보다 1.5배 무겁고[36] 반지름은 1.76배 더 크다. 이처럼 질량에 비해 반지름이 큰 이유는 어머니 항성과 가까이 붙어 있어 상층부 대기가 가열되어 팽창했기 때문이다. WASP-12b와 항성 사이 거리는 약 0.02 천문단위(340만 킬로미터)로,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의 50분의 1에 불과하며[34], 공전 주기는 1.09일이다. 이처럼 극도로 가까운 거리 때문에 WASP-12b의 표면 온도는 2,250 켈빈에 달하며, 이는 질량 큰 갈색 왜성의 표면 온도와 맞먹을 정도로 뜨거운 것이다.[36]

WASP-12b의 대기가 모항성에 의해 조석력으로 뜯겨 나가는 모습을 그린 상상도


뜨거운 목성형 외계행성은 조석 고정 상태이기 때문에(마치 달이 지구를 항상 같은 면으로 마주보는 것처럼), 강한 복사열을 받는 밝은 면에서 상대적으로 차가운 어두운 면으로 많은 열이 이동한다. 이는 행성 대기 주변에 강한 바람이 몰아치는 결과를 낳는 것으로 추정된다.

테일러 벨과 니콜라스 코완은 수소가 낮에는 이온화되는 경향이 있고, 바람에 의해 더 차가운 면으로 이동한 후에는 중성 원자로 재결합하여 열 전달을 촉진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WASP-12b는 모항성에 매우 가까이 있어 조석력 때문에 계란 모양으로 찌그러져 있으며, 매년 약 10−7 목성 질량(189경 톤)씩 대기를 잃고 있다.[9] 이른바 "조석 가열"과 행성이 모항성에 매우 가깝다는 점 때문에 표면 온도는 2,500,000 이상으로 상승한다.

2010년 5월 20일, 허블 우주 망원경은 WASP-12b가 모항성에 의해 "소멸"되는 현상을 관측했다. 이전에도 별이 행성을 삼킬 수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었지만, 이처럼 명확하게 관측된 것은 처음이었다. NASA는 WASP-12b의 수명이 1천만 년 남았다고 추정했다.[10]

허블 우주 망원경은 우주 기원 분광기(COS)를 사용하여 WASP-12b를 관측했는데, 이는 2009년 2월 베이징 대학교의 리수린 연구진이 ''네이처''에 발표한 예측과 일치한다. 관측 결과 행성의 대기는 목성의 거의 3배까지 팽창해 있었고, 행성 자체의 질량은 목성보다 40% 더 컸다.

WASP-12b는 조석력 때문에 타원형으로 늘어나고, 1년에 10-7 목성 질량(189경 톤)씩 대기가 주성으로 뜯겨나가고 있다.[27]

2. 2. 높은 탄소 함량

2010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WASP-12b는 탄소산소 비율(C/O비)이 태양보다 훨씬 높아 탄소 함량이 높은 가스 행성으로 나타났다. 관측 결과와 일치하는 C/O 비율은 약 1인 반면, 태양의 값은 0.54이다. 이러한 C/O 비율은 탄소 함량이 높은 행성이 이 별 시스템에서 형성되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16] 이 연구에 참여한 한 연구원은 "산소보다 탄소가 많으면 다이아몬드흑연과 같은 순수한 탄소로 된 암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17]

발표된 연구에서는 "WASP-12b와 같은 탄소 함량이 높은 거대 행성은 관측되지 않았지만, 이론적으로는 탄소 우세 고체 행성에 대한 무수한 조성이 예측된다. 예를 들어, 지구 크기의 탄소 행성은 지구의 규산염 조성과는 대조적으로 흑연이나 다이아몬드 내부로 구성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16] 이러한 언급으로 인해 언론은 이 이야기를 다루게 되었으며,[18] 일부는 WASP-12b를 "다이아몬드 행성"이라고 부르기도 했다.[19]

이 행성의 탄소 함량은 일산화 탄소와 메탄의 형태로 대기 중에 존재한다. 이 연구는 학술지 ''네이처''에 게재되었다.[20]

WASP-12b와 그 모항성, WASP-12 - 다양한 화학 분자의 존재를 나타내는 IR 스펙트럼.


최근 관측에 따르면, WASP-12b는 탄소와 산소의 함유량 비율을 나타내는 C/O비에서 탄소의 비율을 통해 탄소 함량이 높은 거대 가스 행성임이 밝혀졌다. 그 비율은 태양의 비율을 현저히 초과하며, 관측에 따른 WASP-12b의 C/O비 적합값은 약 1이고, 이에 반해 태양은 0.54이다. C/O비는 탄소 함량이 높은 행성이 행성계 내에 형성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8] 이 관측을 수행한 연구자 중 한 명은 "산소보다 탄소가 많으면 다이아몬드흑연과 같은 순수한 탄소 암석을 포함한다"고 언급했다.[28]

또한 발표에서는 "WASP-12b와 같은 탄소 함량이 높은 거대 가스 행성은 아직 관측되지 않았지만, 이론적으로 탄소를 주체로 하는 고체 행성에서는 다양한 조성이 예측된다. 예를 들어, 지구 크기인 경우 내부가 다이아몬드나 흑연으로 채워지며, 지구의 규산염 조성과는 대조적이다."라고 언급되었다.[28] 이 발언은 언론에 인용되었으며,[29] 일부에서는 WASP-12b를 "다이아몬드 행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30][31]

WASP-12b의 경우, 탄소는 일산화 탄소나 메탄으로 존재한다.[32]

2. 3. 열 전달 메커니즘

WASP-12b는 뜨거운 목성형 외계행성으로, 조석 고정되어 있어 항상 같은 면이 모항성을 향한다. 이 때문에 강하게 가열된 밝은 면에서 더 차가운 어두운 면으로 많은 열이 흐르며, 이는 행성 대기 주변에 강한 바람을 일으킨다.

테일러 벨과 니콜라스 코완은 수소가 낮에는 이온화되었다가 바람에 의해 더 차가운 면으로 이동한 후 중성 원자로 재결합하면서 열 전달을 촉진한다고 지적했다.

3. 궤도

WASP-12b는 목성보다 질량은 1.5배[36], 반지름은 1.76배 더 크다. 이처럼 WASP-12b의 반지름이 큰 이유는 어머니 항성 (WASP-12)과 매우 가까이 붙어 있어 상층부 대기가 가열되어 팽창했기 때문이다. WASP-12b와 항성 사이 거리는 약 0.02 천문단위(340만 킬로미터)로 지구태양 사이 거리의 50분의 1에 불과하며[34], 이 때문에 공전 주기는 1.09일밖에 되지 않는다. 이처럼 극도로 가까운 거리 때문에 WASP-12b의 표면 온도는 2,250 켈빈에 이른다.[36]

2012년 연구에서 로시터-맥러플린 효과를 이용하여 WASP-12b의 궤도가 항성의 적도면과 59° 어긋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11]

2019년 연구에 따르면 WASP-12b는 2008년 발견 이후 통과 사이 시간 간격이 1년당 29 ± 2 밀리초씩 감소했다. 2020년에는 이 값이 1년당 32.53 밀리초로 업데이트되었으며, WASP-12b의 예상 수명은 290만 년으로 추정된다.[12] 이는 행성과 WASP-12 사이의 조석 상호작용으로 WASP-12b의 궤도가 붕괴되고 있기 때문이다. 궤도 붕괴로 궤도 주기는 짧아지고 행성은 모항성에 더 가까워지다가 결국 항성의 일부가 될 것이다. 2022년에는 붕괴율이 1년에 29.81 밀리초로 더 정밀하게 개선되었으며, 이는 의 예상 수명에 해당한다.[15]

WASP-12와의 매우 가까운 궤도로 인해, 조석력에 의해 행성은 타원형으로 늘어나고, 1년에 10-7목성 질량(189경 톤)씩 대기가 주성에 뜯겨나가고 있다.[27]

2010년5월 20일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 WASP-12b가 주성에 "삼켜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전에도 행성이 항성에 삼켜질 수 있다는 예측은 있었지만, 이 현상이 확실하게 확인된 것은 WASP-12b가 처음이다. WASP-12b는 1000만 년 후에는 주성에 흡수되어 완전히 소멸될 것으로 보인다.

2013년12월 3일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 대기의 바깥층에서 수증기가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 2014년7월 NASA는 WASP-12b, HD 209458 b, HD 189733 b의 3개 외계 행성 대기가 기존에 생각했던 것보다 건조하다(수증기가 적다)는 관측 결과를 발표했다.

3. 1. 위성 존재 가능성

러시아 천문학자들은 WASP-12b의 밝기 변화 곡선을 연구하면서, 이 행성을 공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계 위성을 둘러싼 플라스마 토러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규칙적인 빛의 변화를 관측했다.[21] 이는 열적 거대 목성형 행성이 지질학적으로 짧은 시간 안에 큰 위성을 잃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예상 밖의 일이다.[22] 문제의 위성은 트로얀일 수도 있다.[23] 러시아 천문학자들은 WASP-12b의 광도 곡선을 연구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계 위성이 행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규칙적인 광도 변화를 포착했다고 발표했다.[33]

예상되는 위성의 특징
궤도 장반경(au)불명
질량(M)0.57 - 6.4


4. 연구 역사

(내용 없음)

4. 1. 한국의 연구 참여

(내용 없음)

참조

[1] 논문 Transit Timing Variation Measurements of WASP-12b and Qatar-1b: No Evidence for Additional Planets
[2] 간행물 Phase curve and variability analysis of WASP-12b using TESS photometry
[3] 웹사이트 Astronomers Just Found a 'Hot Jupiter' So Dark, It Absorbs Nearly 99% of Light https://www.sciencea[...] 2018-04-23
[4] 웹사이트 WASP Planets http://wasp-planets.[...] 2016-01-26
[5] 웹사이트 Hubble Traces Subtle Signals of Water on Hazy Worlds http://www.nasa.gov/[...] NASA 2013-12-04
[6] 논문 Exoplanet Transit Spectroscopy Using WFC3: WASP-12 b, WASP-17 b, and WASP-19 b 2013-12-03
[7] 웹사이트 RELEASE 14-197 - Hubble Finds Three Surprisingly Dry Exoplanets http://www.nasa.gov/[...] 2014-07-25
[8] 뉴스 The hellish world WASP-12b is darker than fresh asphalt in visible light, but glows red-hot in infrared https://www.scientif[...] 2017-09-19
[9] 논문 WASP-12b as a prolate, inflated and disrupting planet from tidal dissipation 2010
[10] 웹사이트 Hubble Finds a Star Eating a Planet http://www.nasa.gov/[...] nasa.gov 2010-12-10
[11] 간행물 Obliquities of Hot Jupiter host stars: Evidence for tidal interactions and primordial misalignments
[12] 간행물 Decaying Orbit of the Hot Jupiter WASP-12b: Confirmation with TESS Observations
[13] 웹사이트 The orbit of WASP-12b is decaying https://wasp-planets[...] 2020-01-01
[14] 논문 The Orbit of WASP-12b is Decaying 2019-11-20
[15] 논문 TESS Revisits WASP-12: Updated Orbital Decay Rate and Constraints on Atmospheric Variability 2022-01-20
[16] 논문 A high C/O ratio and weak thermal inversion in the atmosphere of exoplanet WASP-12b
[17] 간행물 Carbon-Rich Planet: A Girl's Best Friend? https://www.usnews.c[...] 2010-12-10
[18] 뉴스 Carbon-rich planet could house diamonds https://www.thestar.[...] 2010-12-10
[19] 뉴스 Diamond planet found by Keele University astronomers http://news.bbc.co.u[...] 2010-12-09
[20] 뉴스 Exoplanet Strikes Carbon Pay Dirt http://www.scientifi[...] 2010-12-09
[21] 문서 Российские астрономы впервые открыли луну возле экзопланеты http://www.ria.ru/sc[...]
[22] 논문 Stability of Satellites around Close-in Extrasolar Giant Planets
[23] 간행물 On the ultraviolet anomalies of the WASP-12 and HD 189733 systems: Trojan satellites as a plasma source
[24] 뉴스 Hubble spots a 'pitch black' hot Jupiter planet that Eats light instead of reflecting it http://www.dailymail[...] 2017-09-29
[25] 뉴스 The hellish world WASP-12b is darker than fresh asphalt in visible light, but glows red-hot in infrared https://www.scientif[...] 2017-09-29
[26] 웹사이트 Hubble observes pitch black planet https://www.spacetel[...] 2017-09-29
[27] 논문 WASP-12b as a prolate, inflated and disrupting planet from tidal dissipation
[28] 웹사이트 Carbon-Rich Planet: A Girl's Best Friend? http://www.usnews.co[...] U.S. News & World Report 2017-03-19
[29] 웹사이트 Carbon-rich planet could house diamonds http://www.thestar.c[...] Toronto Star 2017-03-19
[30] 뉴스 Diamond planet found by Keele University astronomers http://news.bbc.co.u[...] BBC News Online 2010-12-09
[31] 웹사이트 主星の光を9割以上取り込む黒い惑星 https://www.astroart[...] 2017-09-29
[32] 뉴스 Exoplanet Strikes Carbon Pay Dirt http://www.scientifi[...] 2010-12-09
[33] 문서 Российские астрономы впервые открыли луну возле экзопланеты http://www.ria.ru/sc[...]
[34] 웹인용 가장 뜨겁고 빠른 행성, WASP-12b 발견 http://www.donga.com[...] 동아닷컴 2008-10-18
[35] 웹인용 SuperWASP Wide Angle Search for Planets: The Planets https://www.webcitat[...] 2008-09-26
[36] 웹인용 Star-hugging planet is hottest and fastest found http://space.newscie[...] NewScientistSpace 2008-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