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1991년 WCW에서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계승하여 시작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이다. 릭 플레어가 초대 챔피언이며, 2001년 WCW가 WWF에 인수된 후 "WCW 챔피언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2001년 12월 9일 소멸되었다. 헐크 호건은 최장수 챔피언, 릭 플레어는 최다 챔피언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WCW 챔피언십 - W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
    W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은 1991년부터 2000년까지 WCW에서 운영된 2급 챔피언십 타이틀로, NWA 미드애틀랜틱 TV 왕좌에서 시작되어 중견급 레슬러들이 경쟁하는 무대였으며 부커 T가 최다 챔피언을 기록했고, WCW 몰락과 함께 사라졌다.
  • WCW 챔피언십 - WC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WC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은 1988년부터 2001년까지 WCW에 존재했던 태그팀 챔피언십으로, NWA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에서 시작하여 WWE에 인수된 후 WWF 태그팀 챔피언십과 통합되어 더들리 보이즈를 마지막 챔피언으로 사라졌다.
  • 헤비급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 E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E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1992년 NWA-ECW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시작하여 ECW 탈퇴 후 명칭을 변경, 2001년 폐지되었다가 2006년 WWE ECW 브랜드 재출범과 함께 부활했으나 2010년 ECW 브랜드 종료로 다시 폐지된 챔피언십이다.
  • 헤비급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WWE)은 2002년 RAW 브랜드의 타이틀로 시작하여 2013년 폐지되었다가 2023년 부활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이다.
  • WCW의 챔피언십 틀 목록 - 크리스 제리코
    크리스 제리코는 1990년 프로레슬링에 데뷔하여 WWE, WCW, 신일본 프로레슬링 등에서 활동하며 여러 챔피언십을 획득했고, 헤비 메탈 밴드 포지의 보컬로도 활동하는 캐나다계 미국인 프로레슬러이자 록 음악가이다.
  • WCW의 챔피언십 틀 목록 - 드웨인 존슨
    드웨인 존슨은 "더 락"이라는 링네임으로 활동했던 전직 프로레슬링 선수이자, 《미이라 2》를 통해 배우로 데뷔하여 《분노의 질주》 시리즈 등 다양한 흥행작에 출연한 세계적인 배우이며, 테킬라 회사 테레마나와 프로 미식축구 리그 XFL을 소유한 사업가이자 제작사 세븐 벅스 프로덕션을 설립한 제작자이다.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기본 정보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벨트
1991년과 1994년부터 2001년까지 빅 골드 벨트는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상징했다.
관리 단체월드 챔피언십 레슬링 (1991년 1월 11일 – 2001년 3월 23일)
월드 레슬링 페더레이션 (2001년 3월 23일 – 2001년 12월 9일)
제정일1991년 1월 11일
폐지일2001년 12월 9일 (WWF 챔피언십과 통합)
초대 챔피언릭 플레어
최다 획득 횟수릭 플레어 (8회)
최장 기간 보유헐크 호건 (469일)
최단 기간 보유크리스 제리코 (24분)
가장 나이 많은 챔피언릭 플레어 (51세)
가장 어린 챔피언더 자이언트 (23세 264일)
명칭 변천
명칭 변천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991년 1월 11일 – 2001년 3월 26일)
WCW 챔피언십 (2001년 6월 24일 – 2001년 11월 19일)
월드 챔피언십 (2001년 11월 19일 – 2001년 12월 9일)

2. 역사

1991년 3월 21일, NWA 세계 헤비급 챔피언 릭 플레어는 도쿄돔에서 후지나미 타츠루와 타이틀 매치를 가졌으나, 3카운트 패배를 당했다. WCW는 자국 룰에 따라 오버 더 톱 로프 반칙으로 릭 플레어의 챔피언 방어를 계획했지만, 신일본 프로레슬링이 동의하지 않았고 WCW도 왕좌 이동을 인정하지 않았다.[1] 이로 인해 WCW 관계자는 NWA 세계 헤비급 챔피언 벨트를 미국으로 가져갔고, 이후 미국 방송에서 후지나미의 챔피언 획득 장면을 보여주면서도 '오버 더 톱 로프가 있었기 때문에 왕좌 이동은 인정할 수 없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신일본 프로레슬링 측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벨트가 없음에도 후지나미를 "NWA 세계 헤비급 챔피언"이라고 계속 소개했다.[1]

1991년 5월 19일, 미국 플로리다주 세인트피터스버그에서 열린 WCW "슈퍼 브롤"에서 'WCW 챔피언은 누구인가'라는 타이틀로 NWA 세계 헤비급 챔피언 릭 플레어와 IWGP 헤비급 챔피언 후지나미의 재대결이 열렸고, 릭 플레어가 승리했다.[1] 한편, 미국의 스포츠 신문 "내셔널"은 도쿄돔 타이틀 매치에 대해 "후지나미가 NWA 왕좌를 획득했다"고 보도하며, "후지나미의 챔피언 등극으로 NWA 왕좌는 더욱 국제적인 것이 되었다"고 전했다.[1]

이 사건으로 후지나미가 NWA 세계 헤비급 챔피언이 되고, 릭 플레어가 WCW 세계 헤비급 챔피언 자리를 지키면서 왕좌가 분열되었고, WCW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이 탄생했다. 이 챔피언십은 이후 WWE 챔피언십과 양대 산맥을 이루는 존재가 되었지만, 핑거 포크 오브 둠 사건을 계기로 가치가 떨어지기 시작했다. 특히 WCW 후기로 갈수록 배우 데이비드 아퀘트나 각본가 빈스 루소가 챔피언 자리를 획득하거나, 매주 챔피언이 바뀌는 등 가치가 크게 하락했다.

2001년 WCW가 붕괴되면서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WWF의 타이틀이 되었고, 같은 해 12월 9일에 소멸했다. 2002년 WWE에서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으로 부활했지만, 2013년 WWE 챔피언십과 통합되면서 다시 소멸되었다.

2. 1.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계승 (1991년 ~ 1993년)

1988년 11월, 터너 방송 시스템이 짐 크로켓 프로모션을 인수하면서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이라는 이름으로 프로모션을 진행했다. WCW는 내셔널 레슬링 얼라이언스(NWA)의 회원 단체로 남았지만, TV 프로그램에서는 NWA 대신 WCW라는 이름을 점차 더 많이 사용했다. 1991년 1월 11일, 릭 플레어가 스팅을 꺾고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함과 동시에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으로 인정받았다. WCW는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타이틀 벨트를 계속 사용했기 때문에, 자사의 챔피언십에 대해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계보를 정기적으로 주장했다.

1991년부터 1994년까지 타이틀을 상징하는 벨트 디자인


1991년 7월 1일, WCW 부사장 짐 허드와의 의견 차이로 릭 플레어는 WCW를 떠나 월드 레슬링 페더레이션(WWF)으로 이적했다. 짐 허드가 플레어의 보증금 25000USD를 돌려주지 않자, 플레어는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상징했던 "빅 골드 벨트"를 가지고 있었다. 새 벨트가 주문되었지만, 7월 14일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에 맞춰 준비되지 못했다. WCW는 플로리다 챔피언십 레슬링더스티 로즈가 소유한 벨트에 "WCW 세계 헤비웨이트 챔피언"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금색 판을 붙여 사용해야 했다. 이 벨트는 렉 루거가 공석이 된 챔피언십을 놓고 배리 윈드햄과의 경기에서 승리한 후 수여받았다. 새 벨트는 이벤트 직후에 등장했다.

1992년, 빅 골드 벨트는 WCW와 신일본 프로레슬링 간의 공동 홍보 기믹으로 부활한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에 사용되었다. 마사히로 초노는 1992년 G1 클라이맥스 결승전에서 릭 루드를 꺾고 우승했지만, 목뼈 부상을 입었다. 1993년 1월 4일, 게이지 무토가 마사히로 초노를 꺾고 NWA 월드 헤비웨이트 타이틀을 획득했지만, 슈퍼브롤 III에서 배리 윈드햄에게 패했다. 이후 WCW가 NWA의 동의 없이 타이틀을 변경하여 계약 위반을 저질렀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1993년 9월, WCW는 NWA를 완전히 떠났다.

2. 2. WCW 독자 챔피언십으로의 분리 (1993년 ~ 1994년)

1991년 7월 1일, WCW 부사장 짐 허드와의 의견 차이로 릭 플레어는 WCW를 떠나 빈스 맥마흔의 월드 레슬링 페더레이션으로 이적했다. 허드가 플레어의 보증금 반환을 거부하자, 플레어는 NWA 세계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상징했던 "빅 골드 벨트"를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벨트가 주문되었지만, 7월 14일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에 맞춰 준비되지 못했다. WCW는 플로리다 챔피언십 레슬링더스티 로즈가 소유한 벨트에 "WCW 세계 헤비웨이트 챔피언"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금색 판을 붙여 사용해야 했다. 이 벨트는 렉 루거가 배리 윈드햄을 꺾고 새로운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등극한 후 수여되었다.

1992년, 빅 골드 벨트는 WCW와 신일본 프로레슬링 간의 공동 홍보를 위해 부활한 NWA 세계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에 사용되었다. 마사히로 초노는 G1 클라이맥스에서 릭 루드를 꺾고 우승했지만, 목뼈 부상을 입었다. 1993년 1월 4일, 그레이트 무타가 마사히로 초노를 꺾고 NWA 세계 헤비웨이트 타이틀을 획득했지만, 슈퍼브롤 III에서 배리 윈드햄에게 패했다. 이후 WCW가 NWA의 동의 없이 타이틀을 변경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1993년 9월, WCW는 NWA와의 분쟁으로 인해 NWA를 완전히 떠났다. 릭 루드는 "디즈니 녹화"에서 NWA 세계 헤비웨이트 챔피언으로 출연했지만, NWA를 떠난 후 WCW는 빅 골드 벨트를 유지했고, 이는 WCW 인터내셔널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93년 12월 스타케이드에서 릭 플레어베이더를 꺾고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1994년 6월, WCW는 플레어와 스팅의 경기를 통해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과 WCW 인터내셔널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통합했다. 플레어가 승리하여 두 챔피언십이 통합되었고, WCW 인터내셔널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폐지되었다.

2. 3. 챔피언십의 가치 하락과 WCW 몰락 (1995년 ~ 2001년)

1990년대 중후반, WCW는 nWo(New World Order) 스토리라인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얻었지만, 동시에 WCW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의 가치는 점차 하락했다. 잦은 챔피언 교체와 데이비드 아퀘트(배우), 빈스 루소(각본가) 등 비선수 출신 챔피언의 등장은 챔피언십의 권위를 떨어뜨렸다. '핑거 포크 오브 둠' 사건은 WCW 챔피언십 몰락의 상징적인 사건으로 회자된다.[2]

특히 WCW 후기로 갈수록 챔피언이 매주 바뀌는 듯한 상황이 연출되었고, 이는 챔피언십의 가치를 더욱 추락시켰다. 2001년 3월, WCW는 경영난으로 인해 WWF(현재 WWE)에 인수되었고,[3]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WWF 챔피언십과 통합되어 사라졌다.

2. 4. WWE에 의한 인수와 통합 (2001년)

2001년 3월, WWF(현재 WWE)는 WCW의 자산을 인수했다. 이후 곧바로 "침공"이 일어났고, WCW의 4개 챔피언십이 WWF 프로그램에서 방어되었는데, 여기에는 "WCW 챔피언십"으로 알려지게 된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도 포함되었다. WWF는 또한 WCW 미국 헤비급 챔피언십, WCW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그리고 WCW 태그팀 챔피언십을 활용했다.

2001년 서바이버 시리즈에서 "침공"이 끝난 후, 이 타이틀은 "월드 챔피언십"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더 락이 WCW 챔피언십이라는 이름으로 타이틀을 보유한 마지막 사람이 되었다. 그 후 벤전스에서 이 타이틀은 WWF 챔피언십과 통합되었는데, 크리스 제리코더 락과 스톤콜드 스티브 오스틴을 각각 꺾고 월드 챔피언십과 WWF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결과적으로 제리코는 이 챔피언십 타이틀의 마지막 보유자가 되었으며,[2][3] 최초의 무패 WWF 챔피언이 되었다. 큰 금색 벨트는 2002년 4월 릭 플레어가 당시 챔피언 트리플 H에게 단일 벨트를 수여할 때까지 WWF 챔피언십 벨트와 함께 WWF 챔피언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3. 역대 챔피언

릭 플레어를 시작으로, 렉스 루거, 스팅, 빅 밴 베이더, 론 시몬스(프로레슬링 역사상 최초의 흑인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헐크 호건, 더 자이언트(빅 쇼), 랜디 새비지, 골드버그, 케빈 내쉬, 다이아몬드 달라스 페이지, 브렛 하트, 크리스 벤와, 시드 비시어스, 제프 제럿, 데이비드 아퀘트(배우), 부커 T, 빈스 루쏘, 스캇 스타이너, 커트 앵글, 더 락, 크리스 제리코 등 여러 선수들이 챔피언에 등극했다.

3. 1. 주요 챔피언 기록

기록챔피언내용
초대 챔피언릭 플레어
마지막 챔피언크리스 제리코
최장수 챔피언헐크 호건469일
최단 기간 챔피언크리스 제리코13분 30초
최다 챔피언릭 플레어8회
최연소 챔피언더 자이언트23세
최고령 챔피언릭 플레어51세
최중량급 챔피언더 자이언트230kg
최경량급 챔피언데이비드 아퀘트[1]68kg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목록에서 볼 수 있듯이, 초대 챔피언은 릭 플레어였으며, 총 63명의 챔피언이 있었다.[2] 최장 기간 챔피언은 헐크 호건으로, 1994년 7월 17일부터 1995년 10월 29일까지 총 469일 동안 타이틀을 보유했다.[3] 헐크 호건은 총 1,177일로 최장 기간 통산 통치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릭 플레어는 2000년 5월 29일 같은 날 타이틀을 획득하고 잃어 최단 기간 챔피언 기록을 가지고 있다. 더 자이언트는 23세의 나이로 최연소 챔피언이었고, 최고령 챔피언은 51세에 우승한 릭 플레어였다. 릭 플레어는 8번의 챔피언 등극으로 가장 많은 횟수 타이틀을 보유했으며, 그중 6번은 WWE에서 인정하고 있다. 타이틀 역사 전체에 걸쳐 12번의 공석이 있었다.

더 록WCW가 월드 챔피언십으로 브랜드 변경되기 전 마지막 챔피언이었다. 그는 2001년 12월 9일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벤전스에서 크리스 제리코에게 타이틀을 잃었다. 크리스 제리코는 같은 날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을 물리치고 월드 레슬링 연맹 챔피언십과 월드 챔피언십을 통합하여 최초의 무패 WWF 챔피언이 되었다.

3. 2. 역대 챔피언 목록 (WCW 시대)

레슬러획득 횟수획득 일자프로그램경기 방식
릭 플레어11991년 1월 11일-원 폴(One Fall)
※ 플레어의 WWF 이적으로 공석. NWA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에서 WCW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으로 명칭 변경
렉스 루거17월 14일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 1991스틸 케이지(Steel Cage)
스팅11992년 2월 29일슈퍼브롤 II원 폴(One Fall)
빅 뱅 베이더17월 12일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 1992원 폴(One Fall)
론 시몬스18월 2일-원 폴(One Fall)
빅 뱅 베이더212월 30일-원 폴(One Fall)
스팅21993년 3월 11일-원 폴(One Fall)
빅 뱅 베이더33월 17일-원 폴(One Fall)
릭 플레어212월 27일스타케이드 1993원 폴(One Fall)
리키 스팀보트와의 타이틀 매치가 더블 폴(Double Fall)로 무효 처리되어 공석
릭 플레어31994년 4월 21일WCW 새터데이 나이트원 폴(One Fall)
헐크 호건17월 17일배쉬 앳 더 비치 1994원 폴(One Fall)
자이언트11995년 10월 29일할로윈 해복 1995원 폴(One Fall)
※ 공석 발표
랜디 새비지111월 26일월드 워 3 1995배틀 로열(Battle Royal)
릭 플레어412월 27일스타케이드 1995원 폴(One Fall)
랜디 새비지21996년 1월 22일나이트로원 폴(One Fall)
릭 플레어52월 11일슈퍼브롤 VI스틸 케이지(Steel Cage)
자이언트24월 22일나이트로원 폴(One Fall)
헐리우드 호건28월 10일호그 와일드원 폴(One Fall)
렉스 루거21997년 8월 4일나이트로원 폴(One Fall)
헐리우드 호건38월 9일로드 와일드 1997원 폴(One Fall)
스팅312월 28일스타케이드 1997원 폴(One Fall)
※ 공석 발표
스팅41998년 2월 22일슈퍼브롤 VIII원 폴(One Fall)
랜디 새비지34월 19일스프링 스템피드 1998노 DQ(No DQ)
헐리우드 호건44월 20일나이트로노 DQ(No DQ)
골드버그17월 6일나이트로원 폴(One Fall)
케빈 내시112월 27일스타케이드 1998노 DQ(No DQ)
헐리우드 호건51999년 1월 4일나이트로원 폴(One Fall)
릭 플레어63월 14일언센서드 1999퍼스트 블러드 스틸 케이지(First Blood Steel Cage)
다이아몬드 달라스 페이지14월 11일스프링 스템피드 1999포 웨이(4Way)
스팅54월 26일나이트로원 폴(One Fall)
다이아몬드 달라스 페이지24월 26일나이트로포 웨이(4Way)
케빈 내시25월 9일슬램보리 1999원 폴(One Fall)
랜디 새비지47월 11일배쉬 앳 더 비치 1999태그(Tag)
헐크 호건67월 12일나이트로원 폴(One Fall)
스팅69월 12일폴 브롤 1999원 폴(One Fall)
※ 공석 발표
브렛 하트111월 21일메이헴 1999토너먼트 결승
※ 챔피언십 반납
브렛 하트212월 20일나이트로원 폴(One Fall)
※ 부상으로 챔피언십 반납
크리스 베노아12000년 1월 16일소울드 아웃 2000원 폴(One Fall)
※ 베노아의 WWF 이적으로 공석
시드 비셔스11월 24일나이트로원 폴(One Fall)
※ 내시가 커미셔너 권한으로 챔피언십 박탈 및 자칭 신 챔피언 등극
케빈 내시31월 25일썬더자칭 신 챔피언 등극
시드 비셔스21월 25일썬더핸디캡(Handicap)
※에릭 비숍, 빈스 루소가 WCW의 모든 챔피언십 공석 발표
제프 자렛14월 16일스프링 스템피드 2000토너먼트 결승
다이아몬드 달라스 페이지34월 24일나이트로스틸 케이지(Steel Cage)
데이비드 아퀘트14월 25일썬더태그(Tag)
제프 자렛25월 7일슬램보리 2000레디 투 럼블 스틸 케이지(Ready to Rumble Steel Cage)
릭 플레어75월 15일나이트로원 폴(One Fall)
※ 루소가 챔피언십 박탈
제프 자렛25월 22일나이트로루소로부터 수여
케빈 내시45월 23일썬더쓰리 웨이(3Way)
릭 플레어85월 29일나이트로내시로부터 수여
제프 자렛35월 29일나이트로원 폴(One Fall)
부커 T17월 9일배쉬 앳 더 비치 2000원 폴(One Fall)
케빈 내시58월 28일나이트로원 폴(One Fall)
부커 T29월 17일폴 브롤 2000스틸 케이지(Steel Cage)
빈스 루소19월 25일나이트로스틸 케이지(Steel Cage)
※ 챔피언십 반납
부커 T310월 2일나이트로원 폴(One Fall)
스콧 스타이너111월 26일메이헴 2000스틸 케이지(Steel Cage)
부커 T42001년 3월 26일나이트로원 폴(One Fall)


3. 3. 역대 챔피언 목록 (WWF 시대)

레슬러획득 횟수획득 날짜프로그램경기 방식
※ WCW가 소멸하고, 새롭게 WWF 관할의 타이틀이 되어, WCW 챔피언십으로 개칭
커트 앵글17월 24일스맥다운!원 폴(One Fall)
부커 T57월 30일RAW is War원 폴(One Fall)
더 락18월 19일섬머슬램 2001원 폴(One Fall)
크리스 제리코110월 21일노 머시 2001원 폴(One Fall)
더 락211월 5일RAW원 폴(One Fall)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개칭
크리스 제리코212월 9일벤전스 2001원 폴(One Fall)
※ WWF 챔피언십과 통합


참조

[1] 웹사이트 WCW World Championship http://www.wwe.com/i[...] 2013-09-05
[2] 웹사이트 WCW World Champion – Chris Jericho http://www.wwe.com/i[...]
[3] 웹사이트 WCW World Heavyweight Championship history http://www.wrestl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