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E 유러피언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WE 유러피언 챔피언십은 1997년 신설되어 2002년 폐지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이다. 초대 챔피언은 브리티시 불독이며, 윌리엄 리갈과 D'Lo 브라운이 4회로 최다 챔피언 기록을 가지고 있다. 2002년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과의 통합으로 폐지되기 전까지, 젊은 선수나 중견 선수들이 주로 경쟁하는 챔피언십이었으며, WWE 그랜드 슬램 달성 조건 중 하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폐지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 EC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EC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은 이스턴 챔피언십 레슬링에서 시작하여 익스트림 챔피언십 레슬링으로 변경 후 명칭이 바뀌었고, ECW 폐쇄까지 다양한 팀들이 챔피언에 등극했으며, WWE 인수 후에도 부활하지 않은 프로레슬링 태그팀 챔피언십입니다. - 폐지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 E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
E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은 1992년 이스트 챔피언십 레슬링에서 처음 도입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으로, 단체명 변경에 따라 타이틀 명칭이 변경되었으나 2001년 ECW 폐쇄와 함께 폐지되었고, WWE가 ECW를 인수했음에도 2006년 ECW 브랜드 재런칭 시 부활하지 않았으며, 2022년 게임 체인저 레슬링에서 비공식적인 타이틀 변경이 있었습니다. - WWE 챔피언십 - WWE 태그팀 챔피언십
WWE 태그팀 챔피언십은 스맥다운 브랜드의 태그팀 활성화를 위해 2016년 창설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으로, 라이노와 히스 슬레이터가 초대 챔피언이며, 디 우소즈가 최장수, 더 뉴 데이가 최단 기간 챔피언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WWE 챔피언십 -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WWE)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WWE)은 WWE의 태그팀 레슬링 챔피언십으로, 2002년 WWE RAW에서 처음 시작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과 통합 과정을 거쳐 2024년 4월 15일부터 현재의 명칭을 사용한다. - WWE의 챔피언십 틀 목록 - 로디 파이퍼
로디 파이퍼는 로데릭 조지 툼스라는 본명을 가진 캐나다 출신의 프로레슬러이자 배우로,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NWA와 WWF에서 활동하며 "파이퍼스 핏" 인터뷰 코너 진행 및 헐크 호건 등과의 대립으로 인기를 얻었고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은퇴 후에는 영화 《그들이 사는 세상》에 출연하는 등 배우로도 활동했다. - WWE의 챔피언십 틀 목록 - 셰인 맥마흔
미국의 사업가이자 프로레슬러인 셰인 맥마흔은 빈스 맥마흔과 린다 맥마흔의 아들이며, WWE에서 선수 및 경영진으로 활동하며 유러피언 챔피언십, 하드코어 챔피언십,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했고 WWE 월드컵에서 우승했으며, WWE 외에 유 온 디맨드 CEO, 인터내셔널 스포츠 매니지먼트 이사 등을 역임했다.
WWE 유러피언 챔피언십 | |
---|---|
기본 정보 | |
![]() | |
프로모션 | WWF |
생성일 | 1997년 2월 26일 |
최다 획득 | 윌리엄 리걸, 디로 브라운 (4회) |
초대 챔피언 | 브리티시 불독 |
마지막 챔피언 | 롭 밴 댐 |
최장 기간 보유 | 브리티시 불독 (206일) |
최단 기간 보유 | 크리스 제리코 및 제프 재럿 (1일 미만) |
최고령 챔피언 | 다이아몬드 댈러스 페이지 (46세 302일) |
최연소 챔피언 | 제프 하디 (24세 311일) |
최고 몸무게 챔피언 | 마크 헨리 () |
최저 몸무게 챔피언 | 스파이크 더들리 () |
과거 명칭 | WWF 유러피언 챔피언십 (1997–2002) WWE 유러피언 챔피언십 (2002) |
타이틀 폐지일 | 2002년 7월 22일 |
2. 역사
1997년 독일에서 열린 토너먼트를 통해 탄생했으며, 브리티시 불독이 결승전에서 오웬 하트를 꺾고 초대 '''WWF 유러피언 챔피언'''에 등극했다. 이 타이틀을 획득함으로써 숀 마이클스는 WWE 역사상 최초의 그랜드 슬램 챔피언이 되었으며, 당시 WWF 세계 헤비웨이트 챔피언십과 유러피언 타이틀을 동시에 보유한 유일한 선수로 기록되기도 했다.
이후 디로 브라운이나 알 스노우와 같은 선수들이 챔피언을 지내는 동안 독특한 기믹을 선보이기도 했으며, 1999년 4월에는 당시 챔피언이었던 셰인 맥마흔이 "무패 챔피언"으로 은퇴하겠다며 타이틀을 잠시 폐지했다가 두 달 뒤 미디언에게 넘겨주며 부활시키는 일도 있었다.[3]
유러피언 챔피언십은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처럼 주로 젊거나 중견급 선수들이 경력을 쌓기 위해 거쳐 가는 타이틀로 여겨졌으나,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만큼 자주 방어전이 치러지지는 않았다. 과거에는 WWE 챔피언십,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WWE 태그팀 챔피언십과 함께 그랜드슬램 달성 조건 중 하나였으나,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과 통합되어 최종적으로 폐지되었다.
2. 1. 초대 챔피언 결정 토너먼트 (1997)
1997년 독일에서 열린 토너먼트를 통해 초대 챔피언이 결정되었다. 결승전에서 브리티시 불독이 오웬 하트를 꺾고 초대 챔피언 자리에 올랐다.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브리티시 불독 | 브리티시 불독 | 브리티시 불독 |
맨카인드 (핀폴) | ||
베이더 | 베이더 (핀폴) | |
로키 마비아 (핀폴) | ||
오웬 하트 | 오웬 하트 | 오웬 하트 (핀폴) |
플래시 펑크 | ||
브렛 하트 | 브렛 하트 (카운트아웃) | |
헌터 허스트 헬름슬리 (기권승) |
2. 2. 챔피언십의 위상 변화
1997년, 브리티시 불독이 독일에서 열린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오웬 하트를 꺾고 초대 '''WWF 유러피언 챔피언'''에 등극하며 타이틀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특히 숀 마이클스는 이 타이틀을 획득하며 WWE 역사상 최초의 그랜드 슬램 챔피언이 되었고, 당시 WWF 세계 헤비웨이트 챔피언십과 유러피언 타이틀을 동시에 보유한 유일한 선수로 기록되는 등 초기에는 상당한 위상을 가졌다.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타이틀의 중요도는 점차 낮아졌다. 디로 브라운과 알 스노우는 챔피언 재임 기간 동안 매주 다른 유럽 지역 출신으로 소개되었는데, 특히 알 스노우는 해당 지역의 민족적 고정관념을 우스꽝스럽게 묘사하는 복장을 착용하기도 했다. 이는 때때로 정치적 또는 지리적으로 부정확한 묘사였다.
1999년 4월에는 당시 챔피언이었던 셰인 맥마흔이 스스로 "무패 챔피언"으로 은퇴하겠다며 타이틀을 잠정 폐지하는 일이 있었다. 맥마흔은 두 달 뒤 타이틀을 다시 부활시켰는데, 미디언이 자신의 여행 가방 속 벨트를 보고 달라고 요청하자 그에게 넘겨주는 방식으로 챔피언십이 재개되었다.[3] 이러한 과정은 타이틀의 권위 하락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유러피언 챔피언십은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처럼 주로 젊거나 중견급 선수들이 경력을 쌓기 위해 거쳐 가는 타이틀로 여겨졌지만,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만큼 자주 방어전이 치러지지는 않았다. 과거에는 WWE 챔피언십,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WWE 태그팀 챔피언십과 함께 그랜드슬램 달성 조건 중 하나였으나, 이후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과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2. 3. 유로컨티넨탈 챔피언
"유로컨티넨탈 챔피언(Eurocontinental Champion)"이라는 용어는 유러피언 챔피언십과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을 동시에 보유한 선수를 가리키는 말로, 두 챔피언십 이름의 합성어이다.[4] 총 세 명의 선수가 이 업적을 달성했다.첫 번째는 디로 브라운(D'Lo Brown)이었다. 그는 1999년 풀리 로디드에서 미디언(Mideon)을 꺾고 유러피언 챔피언십을 획득했고, 이틀 뒤 ''먼데이 나이트 로우'' 녹화에서는 제프 자렛(Jeff Jarrett)을 이기고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까지 차지하며 최초의 유로컨티넨탈 챔피언이 되었다.
한 달 후 섬머슬램에서는 제프 자렛(Jeff Jarrett)이 디로 브라운을 꺾고 두 개의 타이틀을 모두 가져가며 두 번째 유로컨티넨탈 챔피언이 되었다. 하지만 자렛은 다음 날 마크 헨리(Mark Henry)에게 유러피언 챔피언십을 넘겨주었다.
세 번째 유로컨티넨탈 챔피언은 커트 앵글(Kurt Angle)이었다. 그는 2000년 2월 10일 ''스맥다운!'' 방영분에서 발 베니스(Val Venis)를 꺾고 유러피언 챔피언십을 획득했으며, 17일 뒤 노 웨이 아웃에서는 크리스 제리코(Chris Jericho)를 이기고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마저 차지했다. 앵글은 레슬매니아 2000(WrestleMania 2000)까지 두 타이틀을 보유했는데, 레슬매니아 2000에서는 크리스 제리코(Chris Jericho), 크리스 베노아(Chris Benoit)와 함께 두 번의 폴(fall)이 걸린 트리플 쓰렛 매치(triple threat match) 방식으로 두 타이틀을 놓고 경쟁했다. 이 경기에서 앵글은 직접 핀폴이나 서브미션을 당하지 않았음에도 두 타이틀을 모두 잃는 드문 상황을 맞이했다. 첫 번째 폴에서는 베노아가 제리코를 꺾어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을 가져갔고, 두 번째 폴에서는 제리코가 베노아를 꺾어 유러피언 챔피언십을 차지했다.
2. 4. 폐지 및 통합 (2002)
1999년 4월, 당시 챔피언이었던 셰인 맥마흔은 "무패 챔피언"으로 은퇴하고 싶다는 이유로 타이틀을 잠시 폐지했다.[3] 그러나 두 달 후, 맥마흔은 챔피언십을 다시 부활시켜 미디언에게 넘겨주었다.[3] 미디언은 셰인의 여행 가방에서 타이틀 벨트를 발견하고 자신에게 달라고 요청했다.[3]WWE 유러피언 챔피언십은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처럼 젊은 선수나 중견 선수들이 목표로 하는 챔피언십이었지만,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만큼 자주 챔피언십이 다투어지지는 않았다.
WWE 챔피언십,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WWE 태그팀 챔피언십과 함께 그랜드슬램 달성 조건 중 하나였지만,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과 통합되어 폐지되었으므로 앞으로는 불명확하다.
3. 특징
WWE 유러피언 챔피언십은 이름에 '유러피언'이 포함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WWE 내에서 운영된 2선급 챔피언십 벨트였다. 챔피언십 초기에는 유럽 출신 선수들이 활약했으며, 일부 챔피언들은 유럽과 관련된 독특한 기믹을 선보이기도 했다.
3. 1. 유럽 선수들의 활약
1997년, 영국 출신의 레슬러 브리티시 불독은 독일에서 열린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오웬 하트를 꺾고 초대 '''WWF 유러피언 챔피언'''에 등극하며 유럽 선수로서 챔피언십의 시작을 알렸다.이후 미국 출신 선수인 디로 브라운과 알 스노우는 챔피언 재임 기간 동안 매주 다른 유럽 지역 출신인 것처럼 소개되는 기믹을 수행하기도 했다. 특히 알 스노우는 챔피언 시절, 자신이 대표한다고 주장하는 유럽 지역의 다양한 민족적 고정관념을 우스꽝스럽게 묘사하는 복장을 착용했는데, 이는 종종 정치적으로나 지리적으로 부정확하여 논란의 소지가 있었다.[3]
4. 역대 챔피언 기록
WWE 유러피언 챔피언십은 역사 속에서 다양한 기록들을 남겼다. 초대 챔피언인 브리티시 불독부터 시작하여, 2002년 7월 22일 랍 밴 댐이 제프 하디를 꺾고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과 통합하며 마지막을 장식하기까지[6][7] 여러 선수들이 챔피언 벨트를 거머쥐었다. 이 과정에서 최장수 보유 기록, 최다 획득 기록, 최고령 및 최연소 챔피언 기록 등 다양한 이야깃거리가 만들어졌다.
4. 1. 챔피언 목록
브리티시 불독이 초대 챔피언이었으며, 206일 동안 타이틀을 보유하여 최장수 챔피언 기록을 가지고 있다. 랍 밴 댐은 통합 챔피언으로서 최단 기간 보유 기록을 가졌다. 딜로 브라운과 윌리엄 리갈은 각각 4회 챔피언에 등극하여 최다 챔피언 기록을 공유한다. 마크 헨리는 178kg으로 최중량급 챔피언이었고, 스파이크 더들리는 68kg으로 최경량급 챔피언이었다. 최고령 챔피언은 다이아몬드 달라스 페이지(46세 302일)이며, 최연소 챔피언은 제프 하디(24세 7일)이다. 실질적인 마지막 챔피언은 제프 하디였으나, 공식적인 마지막 챔피언은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이었던 랍 밴 댐이다. 그는 2002년 7월 22일 먼데이 나이트 로에서 열린 사다리 경기에서 당시 유러피언 챔피언 제프 하디를 꺾고 두 타이틀을 통합하면서 유러피언 챔피언십은 폐지되었다.[6][7]선수 | 획득 횟수 | 방어 횟수 | 획득 날짜 | 획득 장소 | 방송/이벤트 |
---|---|---|---|---|---|
브리티시 불독 | 1 | 23 | 1997년 2월 26일 | 독일, 베를린 | |
숀 마이클스 | 1 | 2 | 1997년 9월 20일 | 영국, 버밍엄 | 원 나잇 온리 |
트리플 H | 1 | 0 | 1997년 12월 11일 | 매사추세츠주, 로웰 | RAW Is War |
오웬 하트 | 1 | 15 | 1998년 1월 20일 | 캘리포니아주, 데이비스 | RAW Is War |
트리플 H | 2 | 13 | 1998년 3월 16일 | 애리조나주, 피닉스 | RAW Is War |
딜로 브라운 | 1 | 11 | 1998년 7월 14일 | 뉴욕주, 빙엄턴 | RAW Is War |
엑스 팍 | 1 | 4 | 1998년 9월 15일 |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 RAW Is War |
딜로 브라운 | 2 | 8 | 1998년 9월 29일 | 미시간주, 이스트랜싱 | RAW Is War |
엑스 팍 | 2 | 31 | 1998년 10월 18일 | 일리노이주, 시카고 | 저지먼트 데이: 인 유어 하우스 |
셰인 맥마흔 | 1 | 3 | 1999년 2월 15일 | 앨라배마주, 버밍햄 | RAW Is War |
미디언 | 1 | 3 | 1999년 6월 21일 | 테네시주, 멤피스 | RAW Is War |
딜로 브라운 | 3 | 8 | 1999년 7월 25일 | 미시간주, 버팔로 | 풀리 로디드 1999 |
제프 제럿 | 1 | 0 | 1999년 8월 22일 |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 서머슬램 1999 "An Out of Body Experience" |
마크 헨리 | 1 | 7 | 1999년 8월 23일 | 아이오와주, 에임스 | RAW Is War |
딜로 브라운 | 4 | 8 | 1999년 9월 26일 |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 | 언포기븐 1999 |
브리티시 불독 | 2 | 16 | 1999년 10월 26일 | 매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 | SmackDown |
발 비너스 | 1 | 14 | 1999년 12월 12일 | 플로리다주, 선라이즈 | 아마겟돈 1999 |
커트 앵글 | 1 | 14 | 2000년 2월 8일 | 텍사스주, 오스틴 | SmackDown |
크리스 제리코 | 1 | 0 | 2000년 4월 2일 |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 | 레슬매니아 2000 |
에디 게레로 | 1 | 35 | 2000년 4월 3일 |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RAW Is War |
페리 새턴 | 1 | 8 | 2000년 7월 23일 | 텍사스주, 댈러스 | 풀리 로디드 2000 |
알 스노우 | 1 | 16 | 2000년 8월 29일 | 노스캐롤라이나주, 페이엣빌 | SmackDown |
윌리엄 리갈 | 1 | 17 | 2000년 10월 16일 |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 RAW Is War |
크래쉬 할리 | 1 | 0 | 2000년 12월 2일 | 영국, 셰필드 | 레벨리온 |
윌리엄 리갈 | 2 | 2 | 2000년 12월 4일 | 뉴저지주, 이스트러더퍼드 | RAW Is War |
테스트 | 1 | 23 | 2001년 1월 22일 | 루이지애나주, 라파예트 | RAW Is War |
에디 게레로 | 2 | 3 | 2001년 4월 1일 | 텍사스주, 휴스턴 | 레슬매니아 X-세븐 "Houston... We Have a Problem" |
맷 하디 | 1 | 18 | 2001년 4월 24일 | 콜로라도주, 덴버 | SmackDown |
허리케인 | 1 | 0 | 2001년 8월 27일 | 미시간주, 그랜드래피즈 | RAW Is War |
브래드쇼 | 1 | 1 | 2001년 10월 22일 | 미주리주, 캔자스시티 | RAW |
크리스찬 | 1 | 18 | 2001년 10월 30일 |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 SmackDown |
다이아몬드 달라스 페이지 | 1 | 14 | 2002년 1월 29일 | 버지니아주, 노퍽 | SmackDown |
윌리엄 리갈 | 3 | 0 | 2002년 3월 19일 | 온타리오주, 오타와 | SmackDown |
스파이크 더들리 | 1 | 6 | 2002년 4월 8일 | 애리조나주, 피닉스 | RAW |
윌리엄 리갈 | 4 | 12 | 2002년 5월 6일 | 코네티컷주, 하트퍼드 | RAW |
제프 하디 | 1 | 1 | 2002년 7월 8일 |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 RAW |
랍 밴 댐 | 1 | 0 | 2002년 7월 21일 | 미시간주, 그랜드래피즈 | RAW |
2002년 7월 21일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과 통합되어 폐지 |
4. 2. 최다 챔피언
WWE 유러피언 챔피언십 역사상 최다 챔피언 기록은 딜로 브라운과 윌리엄 리갈이 공동으로 보유하고 있다. 두 선수 모두 각각 4번씩 챔피언에 등극했다.[6][7]4. 3. 최장수 챔피언
브리티시 불독은 초대 챔피언으로서 1997년 2월 26일부터 206일 동안 타이틀을 보유하여 최장수 챔피언 기록을 가지고 있다.4. 4. 최연소/최고령 챔피언
최연소 챔피언은 제프 하디로, 24세 7일에 챔피언에 등극했다. 최고령 챔피언은 다이아몬드 달라스 페이지로, 46세 302일에 챔피언 벨트를 차지했다.4. 5. 기타 기록
wikitext기록 | 선수 | 기록 내용 |
---|---|---|
초대 챔피언 | 브리티시 불독 | - |
마지막 챔피언 | 랍 밴 댐 |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과 통합[6][7] |
실질적인 마지막 챔피언 | 제프 하디 | - |
최장수 챔피언 | 브리티시 불독 | 206일 |
최단 기간 챔피언 | 랍 밴 댐 | 0일 (획득과 동시에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과 통합)[6][7] |
최다 챔피언 | 딜로 브라운, 윌리엄 리갈 | 4회 |
최중량급 챔피언 | 마크 헨리 | 178kg |
최경량급 챔피언 | 스파이크 더들리 | 68kg |
최고령 챔피언 | 다이아몬드 달라스 페이지 | 만 46세 302일 |
최연소 챔피언 | 제프 하디 | 만 24세 7일 |
5. 영향 및 평가
WWE 유러피언 챔피언십은 WWE 내에서 주로 젊거나 중견급 선수들이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으로 나아가기 위한 중간 단계의 타이틀로 기능했다. 비록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만큼 자주 방어전이 열리지는 않았으나, WWE 챔피언십,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WWE 태그팀 챔피언십과 함께 그랜드슬램 달성 조건 중 하나였다는 점에서 선수 경력에 의미를 더했다.
또한, 이름처럼 유럽 시장 공략을 위한 시도도 있었다. 디로 브라운이나 알 스노우 같은 챔피언들은 재임 기간 동안 유럽 각 지역 출신 기믹을 활용했으나, 때로는 부정확하거나 고정관념에 기반한 묘사라는 비판도 받았다.[3]
하지만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상을 가졌고, 1999년에는 당시 챔피언이었던 셰인 맥마흔이 타이틀을 잠시 폐지했다가 두 달 후 미디언에게 넘겨주며 부활시키는 등[3] 위상 정립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결국 2002년 7월 22일,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과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5. 1. WWE 내에서의 역할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처럼 젊은 선수나 중견 선수들이 목표로 하는 챔피언십이었으나,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만큼 자주 방어전이 열리지는 않았다. 즉,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으로 가기 위한 중간 단계의 성격을 지녔다고 볼 수 있다.디로 브라운과 알 스노우는 챔피언 재임 기간 동안 매주 유럽의 다른 지역 출신으로 소개되었는데, 특히 스노우는 그와 그의 마네킹 헤드가 해당 유럽 지역과 관련된 다양한 민족적 고정관념을 묘사하는 복장을 착용했다. 이는 때때로 정치적 또는 지리적으로 정확하지 않은 방식으로 표현되기도 했다.[3] 1999년 4월에는 당시 챔피언이었던 셰인 맥마흔이 "무패 챔피언"으로 은퇴하고 싶다며 타이틀을 잠시 폐지했으나, 두 달 후 미디언에게 넘겨주면서 다시 부활시켰다.[3]
이 타이틀은 WWE 챔피언십,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WWE 태그팀 챔피언십과 함께 그랜드슬램 달성 조건 중 하나였다. 숀 마이클스는 이 타이틀을 획득함으로써 WWE 최초의 그랜드 슬램 챔피언이 되었으며, WWF 세계 헤비웨이트 챔피언십과 유러피언 타이틀을 동시에 보유한 유일한 레슬러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후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과 통합되어 폐지되었으므로, 그랜드슬램 달성 조건으로서의 역할은 불명확해졌다.
5. 2. 유럽 시장 확대 기여
유러피언 챔피언십은 이름처럼 유럽 시장을 의식한 운영 방식을 보여주었다. 챔피언이었던 디로 브라운과 알 스노우는 재임 기간 동안 매주 유럽의 다른 지역 출신으로 소개되었다. 특히 알 스노우는 그의 파트너인 마네킹 머리 "헤드"와 함께, 자신이 소개된 유럽 지역의 특징을 희화화하거나 민족적 고정관념을 드러내는 복장을 하기도 했다. 이러한 연출은 때때로 정치적 또는 지리적으로 부정확한 묘사를 포함하기도 했으나, 유럽 팬들의 이목을 끌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5. 3. 한계 및 폐지 이유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처럼 젊은 선수나 중견 선수들이 목표로 하는 챔피언십이었지만,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만큼 자주 타이틀 매치가 열리지는 않아 상대적으로 위상이 낮다는 지적이 있었다. 결국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과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폐지 전까지는 WWE 챔피언십,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WWE 태그팀 챔피언십과 함께 그랜드슬램 달성 조건 중 하나였다.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Intercontinental Championship
http://www.wwe.com/i[...]
[2]
웹사이트
Wrestlers Who Reigned As Euro-Continental Champion
https://itrwrestling[...]
2021-06-25
[3]
웹사이트
WWE European Championship: official history
http://www.wwe.com/i[...]
WWE
2008-09-12
[4]
웹사이트
This Day In History: Foley's (First) Retirement, Angle Becomes 'Eurocontinental' Champion, Hornswoggle Gets His Name And More
http://www.pwinsider[...]
PWInsider.com
2009-02-27
[5]
웹사이트
Jeff Hardy's European Championship reign
http://www.wwe.com/i[...]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008-09-21
[6]
웹사이트
WWE European Championship
https://www.wwe.com/[...]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022-11-11
[7]
웹사이트
WWE RAW #478
https://www.cagematc[...]
2002-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