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Ґ는 그리스 문자 감마에서 유래한 키릴 문자로,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에서 사용된다. 우크라이나어에서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 /g/를 표기하며, 1933년 폐지되었다가 1990년에 부활하여 독립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벨라루스어에서는 라틴 문자 ⟨g⟩의 발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으나, 표준 알파벳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Ґ는 대문자와 소문자가 있으며, 유니코드에서 각각 U+0490과 U+0491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릴 문자 - 초기 키릴 문자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그리스 문자를 참고하여 교회 서적에 더 적합하게 만들어졌으며, 슬라브족 국가로 전파된 후 지역적 변형과 문자 개혁을 거쳐 동유럽과 아시아 전역의 언어 표기에 사용되고 있다.
  • 키릴 문자 -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는 루마니아어의 초기 표기에 사용된 문자 체계로, 몰도바어 키릴 문자와 함께 초기 키릴 문자와 유사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전례 언어에 사용되었고, 1830년대 라틴 문자 채택 이전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혼용되었다.
Ґ
문자 정보
키릴 문자 게 - 대문자와 소문자
키릴 문자 게 - 대문자와 소문자
음성[ɡ]
음성 (IPA)/ɡ/
설명키릴 문자 게와 위쪽 획
대문자 (유니코드)0490
소문자 (유니코드)0491
키릴 대문자 게 (유니코드)0413
키릴 소문자 게 (유니코드)0433

2. 역사

그리스 문자의 Γ (감마)에서 유래했다. 초기에는 이중자 "кгuk" 또는 라틴 문자 "guk"로 표기되다가, 1561년 페레소프니차 복음서에서 처음 Ґ 형태가 나타났다. 1619년 멜레티우스 스모트리츠키의 "슬라브 문법"에서 공식 문자로 도입되었다.[4]

1933년 소련 표기법 개혁으로 우크라이나어 알파벳에서 제거되었으나, 1990년 글라스노스트 하의 표기법 개혁으로 재도입되었다.[5]

2. 1. 우크라이나어에서의 역사

13세기경부터 우크라이나어에서 일반적인 슬라브어 유성 연구개 파열음유성 연구개 마찰음으로, 16세기에는 무성 후두 마찰음으로 변화했다.[2][3] 이 음소는 ⟨Г⟩로 계속 표시되었다. 그러나 차용어 등을 통해 음소가 다시 유입되면서, 이를 표기하기 위한 별도의 문자가 필요하게 되었다.

초기에는 라틴 문자 ⟨g⟩ 또는 키릴 문자 이중자 ⟨кг⟩가 사용되기도 했다. ⟨ґ⟩ 문자가 처음 사용된 문서는 16세기 페레소프니차 복음서였다. 이 문자는 1619년 멜레티우스 스모트리츠키의 "슬라브 문법"에서 슬라브 문자에 처음 도입되었다.[4]

1933년 소련의 표기법 개혁으로 ⟨ґ⟩는 우크라이나어 알파벳에서 공식적으로 제거되었고, 그 기능은 ⟨г⟩에 흡수되었다. 그러나 갈리시아와 전 세계 우크라이나 디아스포라에서는 1928년 하르키우 표기법을 따라 ⟨ґ⟩를 계속 사용했다.

1990년 글라스노스트 하의 표기법 개혁에서 ⟨ґ⟩는 소련 우크라이나에 재도입되었으며,[5] 이는 1991년 독립 직전에 이루어졌다. ⟨Ґ⟩는 우크라이나 독립의 상징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12]

2. 2. 벨라루스어에서의 역사

벨라루스어에서는 /ɣ/와 /g/ 소리를 문자로 구별하려는 시도가 고대 벨라루스어 시대부터 있었다. 이때문에 Г, г 문자와 함께 크기와 모양이 다른 특수 문자 Ґ, ґ을 사용했다.[8][9]

1895년 A. 옐스키는 출판물에서 러시아어 파열음 [g]와 대조되는 벨라루스어 고유의 마찰음 /ɣ/을 표현하기 위해 새로운 기호를 도입했다. 이 새로운 문자 г̑는 아래로 구부러진 괄호 형태의 변별 부호가 있다는 점에서 Г, г와 모양이 달랐다. 1911년 A.K. 세르즈푸토프스키는 민속학 및 민족지학 작품 출판물에서 위로 굽은 가로선을 가진 기호 Ґ, ґ을 같은 목적으로 제안했다. 이 기호는 1908년 쿠팔라의 수집품 알파벳에도 사용되었으며, 브라니슬라우 타라슈케비치의 벨라루스어 첫 규범 문법에 의해 승인된 알파벳의 일부가 되었으나, 유성 연구개 파열음 /g/를 나타내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1933년 벨라루스어 알파벳에서 Ґ는 우크라이나어 알파벳에서와 마찬가지로 삭제되었다.

20세기에는 얀 스탄키에비치를 비롯한 일부 벨라루스 언어학자들이 적어도 새로 동화된 단어에서 라틴 문자 ⟨g⟩의 발음을 다시 도입하고, 이를 나타내기 위해 ⟨ґ⟩를 채택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이에 대한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 문자는 표준 벨라루스어 알파벳에 포함되지 않은 채 산발적으로만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빈추크 비아초르카의 제안에 따라 2005년에 출판된 대체 벨라루스어 표기법 규칙 코드는 선택적인 문자 ⟨ґ⟩를 알파벳에 포함하지만 ⟨г⟩로 대체될 수 있다.[7] Г (G) 다음에 오는 Ґ는 벨라루스어의 고전 표기법인 "타라슈케비차"에서 사용된다.

3. 사용

우크라이나어벨라루스어에서 Ґ는 /g/ 소리를 나타낸다.[11][10]

우크라이나어에서 Ґ ґ는 우크라이나어 고유 단어, 오래전에 차용된 단어, 우크라이나 지명 등에 쓰인다.[11] 일반적으로 'g'로 로마자 표기되며, Г г는 'h'로, Х х는 'kh' 또는 'ch'로 음역된다. 일부 유럽 표준에서는 점이 있는 'ġ' 또는 강세가 있는 'g̀'를 사용하기도 한다. /g/ 소리를 포함하는 외래어는 Г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이 경우 /h/로 발음될 수도 있다.

벨라루스어의 타라슈케비차라고 불리는 고전 표기법에서 Ґ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 /g/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10] 일부 차용어 및 발음 조합에서 /g/ 음이 나타날 때 Ґ를 사용한다. 비슬라브어 어휘 기반 고유 명사에서는 /g/가 전통적으로 벨라루스어에서 유성 연구개 마찰음 /ɣ/로 발음되지만, /g/ 발음을 유지하는 것도 허용된다.[10]

3. 1. 우크라이나어

우크라이나어에서 Ґ ґ는 /g/ 소리를 나타낸다.[11] 이 문자는 우크라이나어 고유 단어, 오래전에 차용된 단어, 우크라이나 지명 등에 쓰인다.[11]

일반적으로 'g'로 로마자 표기되며, Г г는 'h'로, Х х는 'kh' 또는 'ch'로 음역된다. 일부 유럽 표준에서는 점이 있는 'ġ' 또는 강세가 있는 'g̀'를 사용하기도 한다.

/g/ 소리를 포함하는 외래어는 Г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이 경우 /h/로 발음될 수도 있다.

3. 1. 1. 현행 정서법

우크라이나어에서 문자 Ґ ґ는 /g/을 나타낸다.[11] 소수의 고유어와 오래된 차용어, 그리고 우크라이나의 지명에만 사용된다.[11]

'''§ 6. 문자 Ґ'''[11]

#. 우크라이나어 및 오래 차용/우크라이나화된 단어: ''아́그루스, 가́바, 가́즈다́, 간지, 가́노크, 가투́노크, 괄트, 게́가티, 게지, 겔고타́티, 겔고티́티, 게르겔리, 게르고타́티, 게르고티́티, 기́그누티, 기를리́가, 글레이, 귕(램프에서), 고́겔-모́겔, 곤트(아), 그라수바́티, 그라́티 (명사), 그레́치니, 그리드조́리, 그룬트, 구́지크, 구́랴, 구라́르냐, 지구́운, 지́가, 지́글리크, 드리가́티 및 드리́가티, 레미가́티'' 등, 그리고 파생어: ''아́그루소비, 가즈두바́티, 괄투바́티, 게́르깃, 그라트차́스티, 그룬토비́이, 그룬투바́티(샤), 구́지코비, 구́리카, 프로가́비티'' 등.

#. 고유 명사 — 우크라이나 지명: ''고르가́니'' (산괴), ''고로́다'', ''우́글랴'' (자카르파티아 주 마을), 우크라이나인의 성: ''갈라가́안, 갈랴토́우스키, 게́니크, 게르자́니치, 게르다́안, 그지́츠키, 기́가, 고́가, 고́이디치, 고́타, 그리́가, 구지, 구́라, 로마́가''.

'''§ 122. 소리 [g], [h]'''[11]

#. 문자 g로 표시되는 소리 /g/ 및 유사한 소리는 일반적으로 문자 г로 전달됩니다: ''아방가́르드, 아기타́치야, 아그레́소르, 블로́게르, 괫르디야, 제네라́알, 글라무́르, 그라́피크, 그로그, 엠바́르고, 마르케́팅, 미그라́치야; 링비́스티카, 네가티́브니, 세́르핑, 시나고́가, 바흐타́아, 가르시́야, 가이네트디́인, 에르도간, 그비네́야, 골프스트리́름, 그렌란́디야, 그루́지야, 게́테, 게오́르크, 구라미슈비́일리, 류크셈부́르크, 마고메́트, 폴크스바́겐, 치카́고''.

#. 문자 ґ는 오래 차용된 일반적인 이름, 예를 들어 ''가́노크, 가투́노크, 괄트, 그라́티, 그룬트'' 등 (§ 6 참조) 및 파생어: ''가́노코비, 그라트차́스티, 그룬토́브니'' 등에서 소리 /g/를 전달합니다.

#. 성과 인명에서는 소리 /g/를 두 가지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어의 음운 체계에 맞춰 문자 г를 사용 (''베르기́릴리, 가르시́야, 게́겔, 게오́르크, 게́테, 그레구아́르, 굴리베́르'')하거나 외국어를 모방하여 /g/를 문자 ґ를 사용 (''베르기́릴리, Ґ아르시́야, 게́헤르, Ґ에오́르크, Ґ에́테, Ґ레ґ우아́르, Ґ울리베́르'' 등)하는 방식입니다.

3. 2. 벨라루스어

타라슈케비차라고 불리는 벨라루스어의 고전 표기법에서 Ґ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 /g/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10]

일부 차용어 및 발음 조합에서 /g/ 음이 나타날 때 Ґ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문학 벨라루스어에서 [z̪g], [d͡z̞g], [d͡ʐg]와 같은 발음 조합이나, '''ґ'''анак, '''ґ'''арсэт, '''ґ'''валт, '''ґ'''зімс, '''ґ'''онта, '''ґ'''узік, а'''ґ'''рэст, '''ґ’'''эр'''ґ’'''этац, цу'''ґ'''ры, шва'''ґ'''эр 등과 같은 차용어에서 /g/ (및 연성 등가물 /gʲ/) 발음이 나타날 때 Ґ가 사용된다. 이는 20세기에 고 벨라루스어에서 사용되었던 ґ의 사용을 복원하는 시작이었다.

비슬라브어 어휘 기반 고유 명사에서는 /g/가 전통적으로 벨라루스어에서 유성 연구개 마찰음 /ɣ/로 발음되지만, /g/ 발음을 유지하는 것도 허용된다.[10] 예를 들어 '''Г'''арыбал'дзі와 '''Ґ'''арыбал'дзі, '''Г'''рэнляндыя와 '''Ґ'''рэнляндыя, '''Г’'''ётэ와 '''Ґ’'''ётэ, '''Г’'''івалтар와 '''Ґ’'''івалтар와 같이 두 가지 발음 모두 가능하다.

벨라루스어에서 /g/는 동화의 결과로 유성 자음 앞에서 어원적 /k/ 대신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동화는 표기에 반영되지 않으므로 이 경우에는 к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ане'''к'''дот, ва'''к'''зал, па'''к'''гаўз, э'''к'''замен, э'''к'''сгумацыя와 같은 단어들에서 к가 사용된다.[10]

4. 형태

Г г (게) 문자의 정자체 대문자와 소문자와 유사하지만, 위로 꺾인 부분이 추가되었다. 이 문자의 손으로 쓴 (필기체) 대문자와 소문자는 왼쪽에 꺾인 모양을 가지고 있다.

우크라이나어 필기체


필기체로 Ґ 문자를 사용하는 단어의 예시

5. 관련 문자

6. 컴퓨팅 코드

대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소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비고
ҐU+0490ґU+0491



유니코드에서 Ґ (대문자)는 U+0490, ґ (소문자)는 U+0491에 해당한다.

참조

[1] 웹사이트 Cyrillic: Range: 0400–04FF http://unicode.org/c[...] Unicode Inc 2011-10-13
[2] 서적
[3] 서적
[4] 문서 Мелетій Смотрицький. Граматика слов'янська (1619). Підготовка факсимільного видання В. В. Німчука. Київ. «Наукова думка» (Пам'ятки української мови) 1979 http://izbornyk.org.[...]
[5] 웹사이트 Ukrainian Orthography (2012). — § 15. The letter ⟨ґ⟩. http://izbornyk.org.[...]
[6] 논문 The Letter that was Missing: On the Return of the Letter Ґ to the Ukrainian Legal Language https://oaj.fupress.[...] 2017-11-03
[7] 문서 Bušlakoŭ et al. (2005: 13)
[8] 문서 Жураўскі Аркадій Йосипович Гісторыя беларускай літаратурнай мовы. Т. 1. — Мн., 1967.
[9] 웹사이트 Беларуская мова: хрэстоматыя: Вучэбны дапаможнік https://www.bsu.by/C[...]
[10] 웹사이트 Беларускі Клясычнырав Правапіс http://pravapis.info[...] 2023-03-18
[11] 웹사이트 Український правопис 2019 року https://mon.gov.ua/s[...]
[12] 웹사이트 ロシアに消された文字 「G」とウクライナ独立の300年 https://www3.nhk.or.[...] NHK 2023-04-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