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아스포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아스포라는 '흩뿌리다'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특정 집단이 원래의 거주지를 떠나 다른 지역으로 흩어져 거주하는 현상이나 그 집단을 의미한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해외 식민지로 이주한 시민을 지칭했으며, 히브리어 성경 번역 과정에서 유대인들의 해외 추방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면서 현재와 같은 의미를 갖게 되었다. 1950년대 중반 이후에는 유대인 외에도 특정 국가나 지역에서 쫓겨나 장기간 해외에 거주하는 인구 집단을 포괄하는 용어로 확장되었다. 디아스포라는 강제 이주, 자발적 이주, 교역, 제국주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본국과 이주 지역 모두에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영향을 미친다. 한국 사회에서도 재외 한인 공동체가 존재하며, 차세대 정체성 유지, 현지 사회 통합 등 다양한 과제를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디아스포라 | |
---|---|
개념 | |
정의 | 디아스포라(, 영어: Diaspora, diaspora)는 특정한 민족이나 종교 집단이 자신들의 고향을 떠나 다른 지역으로 흩어져 살게 되는 현상 또는 그 흩어져 사는 사람들 자체를 가리키는 말이다. |
어원 | 그리스어 에서 유래했으며, '흩뿌리기' 또는 '분산'을 의미한다. |
기원 | 원래는 구약성경의 칠십인역에서 히브리어 '' (갈루트, 추방)를 번역한 말로, 기원전 6세기 바빌론 유수 이후 팔레스타인을 떠나 세계 각지에 흩어져 살게 된 유대인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
확장된 의미 | 오늘날에는 특정 민족, 종교, 문화 집단뿐만 아니라 정치적, 경제적인 이유로 고향을 떠나 다른 지역이나 국가에서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을 포괄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
역사적 디아스포라의 사례 | |
유대인 디아스포라 | 기원전 6세기 바빌론 유수를 시작으로, 로마 제국에 의한 예루살렘 함락 (70년)과 제2차 유대-로마 전쟁(132-136년) 이후 전 세계로 흩어지면서 가장 대표적인 디아스포라 사례로 꼽힌다. |
아르메니아인 디아스포라 | 아르메니아 학살(1915년)을 피해 전 세계로 흩어지면서 발생했다. |
아시리아인 디아스포라 | 아시리아인 학살(Sayfo, 1915년)로 인해 발생했다. |
그리스인 디아스포라 | 고대부터 비잔티움 제국의 멸망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1453년) 이후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
팔레스타인인 디아스포라 |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이후 발생했으며,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
레바논인 디아스포라 | 레바논 내전(1975-1990)과 이스라엘의 침공으로 인해 발생했다. |
시리아인 디아스포라 | 시리아 내전(2011년-)으로 인해 발생했으며,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
이란인 디아스포라 | 이란 혁명(1979년) 이후 발생했으며, 특히 고학력 인구의 해외 이주 (두뇌 유출)가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
기타 | "쿨리(Coolie): 19세기 중국인들이 쿠바 등지로 이주한 사례" "스코틀랜드 고지대 숙청(Highland Clearances):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스코틀랜드 고지대에서 발생한 강제 이주" |
디아스포라의 특징 | |
공동체 유지 | 고향을 떠나 낯선 환경에서 살아가면서도 자신들의 문화, 언어, 종교, 전통 등을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
정체성 | 고향과의 연결고리를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사회에 적응하며 살아가기 때문에, 이중적인 또는 복합적인 정체성을 갖게 되는 경우가 많다. |
네트워크 | 디아스포라 공동체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지원을 제공하는 중요한 네트워크 역할을 한다. |
고향에 대한 기여 | 경제적인 지원, 정치적인 로비, 문화적인 교류 등을 통해 고향의 발전과 번영에 기여하기도 한다. |
현대 사회의 디아스포라 | |
증가 요인 | 교통과 통신의 발달, 세계화의 진전, 국제적인 분쟁과 갈등의 증가 등으로 인해 디아스포라 현상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
긍정적 효과 | 문화 다양성 증진, 경제 발전 기여, 국제 관계 개선 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
부정적 효과 | 사회 통합 저해, 문화 갈등 심화, 고향의 인재 유출 등 부정적인 효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
주요 디아스포라 그룹 | |
인도 | 2017년 기준 1,660만 명으로 세계 최대의 디아스포라를 형성하고 있다. |
멕시코 | 1,300만 명으로 두 번째로 큰 디아스포라를 형성하고 있다. |
러시아 | 1,060만 명으로 세 번째로 큰 디아스포라를 형성하고 있다. |
중국 | 1,000만 명의 디아스포라를 가지고 있다. |
2. 용어의 기원과 의미 변화
'디아스포라'라는 용어는 '흩뿌리다'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동사 διασπείρωgrc(diaspeirōgrc)에서 유래했다.[27] 이 단어는 διάgrc(diagrc), "사이에, 통하여, 가로질러"와 σπείρωgrc(speirōgrc), "씨를 뿌리다, 흩뿌리다"라는 동사가 합쳐진 것이다. 따라서 διασποράgrc(diasporagrc)는 "흩어짐"을 의미했다.[27]
사회학자 스테판 뒤푸아는 이 단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이 투키디데스(기원전 5세기)라는 주장에 대해, "명사 '디아스포라'는 그리스어 원본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 II, 27]에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원본에는 'diaspeírô'라는 동사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라고 언급하며, 사용된 동사는 수동 과거형으로 활용된 'speírô'(씨앗) 동사라고 지적한다.[28] 투키디데스의 구절은 "아게네스인 중 여기에 정착하지 않은 사람들은 나머지 헬라스에 '''흩어졌다'''"라는 의미로 번역된다. 뒤푸아는 또한 "그리스어의 거의 모든 기록을 담고 있는 ''Thesaurus Linguae Graecae''(TLG)에서 '디아스포라'가 사용된 모든 사례 중 . . . 식민지에 대한 언급은 없다"라고 지적한다.[28]
"디아스포라"라는 단어가 최초로 기록된 것은 70인역 성경이다.
2. 1. 고대 그리스에서의 사용
고대 그리스에서는 그리스 민족이 그리스 본토를 떠나 지중해 연안과 흑해 연안으로 진출하여 그리스인 공동체를 형성했다.[134]2. 2. 성경에서의 사용과 의미 변화
히브리어 성경이 그리스어로 번역되면서 신명기 28장 25절에 나오는 추방에 대한 내용인 "그대가 이 땅의 모든 왕국에 '흩어지고'"라는 구절에서 '디아스포라'라는 낱말이 처음 사용되었다.[141] 기원전 587-586년 바빌로니아인들이 이스라엘에서, 기원후 70년 로마 제국이 유대 지방에서 유대인들을 쫓아내는 사건을 묘사할 때 '디아스포라'라는 낱말이 쓰이면서, 이 단어는 지금과 같은 의미를 갖게 되었다.[142] 그리하여 '디아스포라'는 이스라엘의 유대인 민족 집단이 해외로 흩어진 역사적 현상과 그들의 문화적 발전, 혹은 그 집단 자체를 의미하게 되었다.[143]2. 3. 현대적 의미의 확장
1950년대 중반부터 '디아스포라'라는 낱말은 널리 쓰이게 되어, 특정 국가나 지역에서 쫓겨나 오래 살게 되는 사람들의 집단을 지칭하게 되었다.[146][147][148]'디아스포라'의 의미 범위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었다. 윌리엄 사프란(William Safran)은 디아스포라를 이주 공동체와 구별하고자, 고향을 떠난 소수 공동체로 정의하고 다음과 같은 특정한 조건을 제시했다.[149]
- 구성원들이나 그 조상이 원래 살던 곳에서 두 곳 이상의 주변 지역이나 외국으로 흩어졌다.
- 본원지에 대한 집합적인 기억과 신화를 보유하고 있다.
- 현재 살고 있는 곳에서 완전히 받아들여지지 않아 소외감을 느낀다.
- 본원지를 조건이 만족되면 돌아가야 할 진정한 고향으로 여긴다.
- 집단적으로 본원지의 안녕과 번영을 위해 힘써야 한다고 믿는다.
- 본원지와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민족적 공동체 의식과 단결을 명확히 한다.
로빈 코헨(Robin Cohen)은 디아스포라를 피해자, 노동, 통상, 제국, 문화 디아스포라로 유형화하고, 사프란의 조건을 수정, 확장하여 제시했다.[150]

1991년 윌리엄 사프란은 디아스포라를 이주 공동체와 구별하기 위한 여섯 가지 규칙을 제시했다. 여기에는 해당 집단이 조국에 대한 신화나 집단 기억을 유지하는 것 등이 포함되었다. 이들은 조상의 조국을 진정한 고향으로 여기며, 결국 그곳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조국의 복원 또는 유지를 위해 헌신하며, 정체성을 형성하는 지점까지 조국과 관계를 맺는다.[38] 1997년 로빈 코헨은 디아스포라 집단이 자발적으로 고국을 떠나 거주 문화에 깊이 동화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로저스 브루베이커(2005)는 보다 포괄적으로 세 가지 기준을 적용했다. 첫째, 사람들의 지리적 분산(자발적이든 강제적이든), 둘째, "가치, 정체성 및 충성의 권위 있는 원천으로서의 실제 또는 상상된 '조국'에 대한 지향", 셋째, 거주 문화와 다른 독특한 디아스포라 정체성을 보존하는 사회적 경계의 유지이다. 브루베이커는 월드캣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1900년과 1910년 사이에는 대부분 유대인 디아스포라에 관한 책이 출판되었지만, 2002년에는 다양한 디아스포라를 다룬 책들이 출판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일부 관찰자들은 허리케인 카트리나 이후 뉴올리언스와 걸프 코스트에서 대피한 사람들을 뉴올리언스 디아스포라라고 칭했는데, 이는 상당수의 대피자들이 돌아갈 수 없었지만 그렇게 할 열망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39][40] 아그니에스카 바이너(2010)는 디아스포라를 이동하는 거의 모든 '인구'로 재구성하는 경향을 지적했다. 카리스마적 기독교가 세계화됨에 따라 많은 기독교인들이 스스로를 디아스포라로 인식하고 유대감을 형성한다는 점도 주목받고 있다.[41]
고국에 더 이상 없는 개인들의 전문적인 공동체도 디아스포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학 디아스포라는 조국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과학자들의 공동체이며[42], 무역 디아스포라는 상인 이민자들의 공동체이다. 카치그 톨롤리안(1996)은 기업 디아스포라라는 용어가 다소 임의적이고 부정확하게 사용된다고 주장한다. 기업 디아스포라는 현대 이주, 이산 및 초국가적 이동과 관련된 광범위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디아스포라 개념이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음을 반영한다.
현대 시대에 학자들은 식민 디아스포라, 무역 디아스포라 등 다양한 종류의 디아스포라를 분류했다. 또한, 2차 디아스포라(이전 디아스포라에서 분기된 새로운 디아스포라) 또는 하위 디아스포라 그룹화의 개념이 연구되기 시작했다.[43][44] 일부 디아스포라 공동체는 조국과 강력한 문화적, 정치적 유대 관계를 유지한다. 많은 디아스포라의 전형적인 다른 특징은 조국으로의 귀환에 대한 생각, 기원 지역과의 유대 관계 유지, 디아스포라 내 다른 공동체와의 관계, 새로운 거주 국가에 대한 완전한 통합 부족 등이다. 해리스 마일로나스는 "디아스포라 관리"라는 용어를 통해 국가가 해외 디아스포라와 연결을 구축하고, 디아스포라 공동체가 '귀환'할 때 통합을 돕는 정책을 설명한다.[45]

3. 디아스포라의 유형
디아스포라는 발생 원인, 이주 목적, 정착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아시아 디아스포라는 인도 디아스포라이다. 1,75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되는 해외 인도인 커뮤니티는 전 세계 여러 지역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52] 로마니족은 인도 아대륙을 기원으로 하며, 유럽에서의 존재는 중세 시대에 처음 증명되었다.[54][55] 전체 남아시아 디아스포라는 4,400만 명 이상이다.[56]
유대인 디아스포라는 바빌론 유수와 이후 헬레니즘 시대의 이주에서 기원하며, 로마의 정복, 추방, 유대 인구의 노예화가 주요 원인이다.[57]
중국 이민(화교)[61]은 수천 년 전에 처음 발생했다. 19세기부터 1949년까지 발생한 대규모 이민은 주로 중국 본토의 전쟁, 기근, 정치적 부패로 인해 발생했다.
파키스탄 디아스포라는 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큰 규모로, 약 900만 명의 파키스탄인이 중동, 북미 및 유럽에 주로 거주하고 있다.
네팔 디아스포라는 최소 세 차례의 물결을 확인할 수 있다. 1970년대 토지 부족 심화와 교육받은 노동력 증가로 인한 일자리 관련 이주가 세 번째 물결로, 인도, 중동, 유럽, 북미에 네팔인 거주지가 형성되었다.
유럽 역사는 수많은 디아스포라 유발 사건을 포함한다. 고대사 시대 그리스 부족의 발칸 반도와 소아시아 무역 및 식민 활동으로 지중해와 흑해 유역에 그리스 디아스포라가 형성되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아케메네스 제국 정복은 헬레니즘 시대의 시작을 알렸으며,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그리스의 새로운 식민지화가 이루어졌다.[64]
149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도착 이후 유럽의 탐험과 식민지화가 급속도로 확대되었다. 19세기에는 5천만 명 이상의 유럽인들이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로 이주했다.[68]
아일랜드 대기근(an Gorta Mór|안 고르타 모르ga)으로 시작된 아일랜드 디아스포라는 아일랜드 인구의 45%에서 85%가 영국, 미국, 캐나다, 아르헨티나, 호주, 뉴질랜드 등으로 이주했다.
1860년대부터 유럽 출신 체르케스인은 아나톨리아, 호주, 발칸 반도, 레반트, 북아메리카, 서유럽으로 분산되었다.[69]
이탈리아 역사에는 두 차례의 주요 이탈리아 디아스포라가 있었다. 첫 번째는 이탈리아 통일 후 20년 후인 1880년경에 시작되어 파시스트 이탈리아 부상과 함께 1920년대에서 1940년대 초에 끝났다.[71]
3. 1. 강제 이주에 의한 디아스포라
기원전 722년 이스라엘이 아시리아에 멸망하고, 기원전 587년경 유다 왕국도 신 바빌로니아에 멸망하면서 주민 일부가 바빌론 유수를 겪으며 신 바빌로니아에 유대인 디아스포라 공동체가 형성되었다.[151] 기원후 70년 제1차 유대-로마 전쟁에서 패배한 유대인들은 이베리아반도로 이주하여 또 다른 유대인 디아스포라가 형성되었고, 이후 20세기 나치당의 반유대정책으로 인해 유럽에서 아메리카 등지로 문화적, 종교적 유대인 디아스포라가 확장되었다.[152]11세기 페르시아, 14세기 초 유럽에 노예로 공급된 집시들은 로마니어를 사용하며 고유 문화를 보존하며 공동체를 유지했지만, 박해와 추방을 겪었다.[153] 16세기부터 대서양 노예 무역으로 중서부 아프리카 흑인 원주민들이 대규모로 아메리카 대륙으로 강제 이주되어 비참한 삶을 살았고, 아프리카의 산업 발전을 저해했다.[155] 8세기부터 19세기까지 아랍 노예 무역은 수백만 명의 아프리카인을 아시아와 인도양의 섬으로 흩어지게 했다.[46]
19세기 초, 미국 식민 협회의 후원으로 자유민 흑인과 해방 노예가 라이베리아로 이주했고, 20세기 초에는 마커스 가비 등이 아프리카 복귀 운동을 펼쳤다.
4세기 기독교를 국교로 받아들인 아르메니아는 번영했으나, 이후 이슬람교 국가들의 압박과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의 쇠퇴로 레바논 등 지중해 서부로 디아스포라가 일어났다. 19세기 말 오스만 제국의 아르메니아인 학살과 20세기 소련의 종교 탄압으로 서유럽,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으로 대규모 디아스포라가 발생했다.
1990년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아프리카인의 디아스포라"(African diaspora)라는 용어는, 16세기에서 19세기에 걸쳐 대서양 노예 무역으로 아메리카 대륙으로 건너간 서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의 흑인들을 지칭한다. 최근 일부 아프리카 국가들은 이들을 "두뇌 유턴"하여 모국 발전에 기여하는 "치타 세대"(Cheetah Generation)로 환영하고 있다.[135]
3. 2. 자발적 이주에 의한 디아스포라
그리스인들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세계 각지로 이주해 왔다. 현대에도 미국 등지에 그리스인 디아스포라의 중심지가 있다.[63] 19세기 아일랜드인들은 아일랜드 대기근 등의 이유로 영국,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남아메리카 등지로 대규모 이주를 하였다.[154]이탈리아 역사에서는 두 차례의 주요 이탈리아 디아스포라가 있었다. 첫 번째는 1880년경 이탈리아 통일 이후 가난을 피해 아메리카 등으로 이주한 것이고, 두 번째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70년대까지 이어진 이주이다.[71] [76]
인도계 주민은 영국에 720만 명[137], 미국에 412만 명[138]이 거주하고 있으며,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가이아나, 트리니다드 토바고 등에서도 상당한 세력을 가지고 있다.[139] 인도계 이민은 19세기 영국 지배 하 농업 종사자, 20세기 후반 육체 노동자 및 구미 이주 등 세 번의 물결이 있었다.
일본에서도 16세기 아유타야 일본인 마을을 시작으로, 메이지 시대 이후 하와이와 북아메리카 대륙, 중남미 제국으로 이주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경제적 어려움에 처했던 시기의 이민자나, 그 이후의 경제 진출 등으로 인해 해외에 일본인 커뮤니티가 형성되었다.
3. 3. 교역 및 노동 디아스포라
7세기 이후 이슬람 상인들은 바닷길을 통해 북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지와 교역하면서 무역로의 주요 거점에 이슬람 공동체를 형성했고, 이를 중심으로 디아스포라가 생겨났다.[157] 예를 들어 동남아시아의 믈라카는 한때 인도 출신 이주민들이 사는 작은 마을이었으나, 무역 발달로 13세기 무렵 거대한 이슬람 상인 공동체로 발전하였다.[157] 아르메니아 상인들 역시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교역망을 연결하면서 교역 디아스포라를 형성했다.[158]19세기에는 제국주의와 세계화로 인해 디아스포라가 증가했다. 제국주의 정책으로 국가 영향력이 멀리 떨어진 대륙까지 확장되면서 식민지 출신 노동자들이 다수 유입되었다.
한편, 계약 노동자들의 대거 이동은 새로운 디아스포라를 만들어냈다. 예를 들어 19세기 당시 중국인 계약 노동자들은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메리카 대륙 등지로 이동하여 광부로 일했다.[162] 이들은 종종 거주 지역에서 민족적 성격을 띤 공동체를 이루어 디아스포라를 형성했다.
3. 4. 제국 및 식민주의에 의한 디아스포라
19세기 무렵에는 제국주의와 세계화에 의해 디아스포라가 늘어났다. 제국주의 정책은 국가의 영향력을 멀리 떨어진 대륙으로 확장시켰으며, 이에 따라 식민지 출신의 노동자들이 다수 유입되었다.[162] 예를 들어 19세기 당시 중국인 계약 노동자들은 오스트레일리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메리카 대륙 등지로 이동하여 광부로 일했다.[162] 이들은 종종 거주 지역에서 민족적 성격을 띄는 공동체를 이루어 디아스포라를 형성했다.유럽 역사는 수많은 디아스포라 유발 사건을 포함한다. 고대사 시대에는 그리스 부족의 발칸 반도와 소아시아에서의 무역 및 식민 활동으로 그리스 문화, 종교 및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지중해와 흑해 유역으로 퍼져나가 남부 이탈리아 (마그나 그라에키아), 북부 리비아, 동부 스페인, 프랑스 남부, 흑해 연안에 그리스 도시 국가를 건설했다. 그리스인들은 400개 이상의 식민지를 건설했다.[63]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아케메네스 제국 정복은 헬레니즘 시대의 시작을 알렸으며,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그리스의 새로운 식민지화 물결이 특징을 이루었고, 그리스 지배 계급이 이집트, 서남아시아 및 인도 북서부에 세워졌다.[64]

149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이끄는 스페인 자금 지원 탐험대가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한 후 유럽의 탐험과 식민지화가 급속도로 확대되었다. 19세기에만 5천만 명 이상의 유럽인들이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로 이주했다.[68] 다른 유럽인들은 시베리아, 아프리카, 오스트랄라시아로 이주했다.
19세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일랜드 대기근(an Gorta Mór|안 고르타 모르ga)으로 시작된 아일랜드 디아스포라가 있다. 아일랜드 인구의 45%에서 85%로 추정되는 사람들이 영국, 미국, 캐나다, 아르헨티나, 호주 및 뉴질랜드 등의 지역으로 이주했다.
1860년대부터 유럽 출신의 체르케스인은 아나톨리아, 호주, 발칸 반도, 레반트, 북아메리카 및 서유럽으로 분산되었다.[69]
이탈리아 역사에는 두 차례의 주요 이탈리아 디아스포라가 있었다. 첫 번째 디아스포라는 이탈리아 통일 후 20년 후인 1880년경에 시작되어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부상과 함께 1920년대에서 1940년대 초에 끝났다.[71] 가난은 이주의 주요 이유였으며, 특히 이탈리아, 특히 남부에서 메자드리아 소작농이 번성하고 재산이 세대별로 분할되면서 토지가 부족했다.[71]
4. 주요 디아스포라 사례
역사적으로 다양한 민족 집단의 디아스포라가 존재해 왔다.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일본인 디아스포라:''' 16세기 아유타야 일본인 마을을 시작으로, 메이지 시대 이후 하와이, 북아메리카, 중남미로 이주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경제적 어려움이나 해외 진출 등으로 일본인 커뮤니티가 형성되었다. 1990년대 이후 "일본인의 디아스포라"라는 개념으로 묶이고 있다.
- '''유대인 디아스포라:''' 기원전 722년 아시리아의 이스라엘 멸망, 기원전 587년 신 바빌로니아의 유다 왕국 멸망과 바빌론 유수로 인해 신 바빌로니아에 유대인 공동체가 형성되었다. 기원전 538년 페르시아 제국 키루스 2세가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이주를 허락했으나, 일부는 바빌론에 남았다. 기원후 70년 제1차 유대-로마 전쟁 패배 후 유대인들은 이베리아반도로 이주했다. 이후 동유럽 등지로 이주했으며, 20세기 나치당의 반유대주의 정책으로 아메리카 등지로 문화적, 종교적 디아스포라가 확장되었다.
- '''아르메니아인 디아스포라:''' 4세기 기독교를 국교로 받아들인 아르메니아는 번영했으나, 이후 이슬람교 국가들의 압박을 받았다. 11~12세기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을 세웠으나 쇠퇴하여 레바논 등 지중해 서부로 디아스포라가 일어났다. 19세기 말 오스만 제국의 아르메니아인 학살, 20세기 소련 편입 후 종교 탄압으로 서유럽,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으로 대규모 이주가 이루어졌다.
- '''아프리카인 디아스포라:''' 대서양 노예 무역으로 16세기 후반~19세기까지 1,070만 명의 서아프리카인이 아메리카 대륙으로 강제 이주되었다.[155] 아랍 노예 무역으로 수백만 명이 아시아와 인도양 섬으로 흩어졌다.[46] 19세기 초 미국 식민 협회 후원으로 자유민 흑인과 해방 노예가 라이베리아로 이주했고, 20세기 초 마커스 가비 등의 아프리카 복귀 운동이 있었다. 1990년대부터 "아프리카인의 디아스포라"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 '''아시아인 디아스포라:''' 화교는 "중국인 디아스포라"로 파악된다.[136] 인도계 해외 이주민은 "인교"라고 불린다. 남인도 드라비다인은 해양 민족으로 동남아시아, 아프리카까지 진출했다. 미국, 일본, 러시아, 중앙아시아, 중국, 캐나다 등지에 한국인 공동체가 있다.
- '''유럽인 디아스포라:''' 오스만 제국 말기 아르메니아인 학살, 아시리아인 학살, 그리스인 학살 등이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의 폴란드인 추방과 같은 강제 이주가 발생했다.
4. 1. 유대인 디아스포라
기원전 722년에 아시리아가 이스라엘을 멸망시키고, 기원전 587년 경에는 신 바빌로니아가 유다 왕국을 멸망시키면서 주민 일부가 바빌론으로 강제 이주되었다. 이 사건을 바빌론 유수라고 부르며, 이를 계기로 신 바빌로니아에 유대인 디아스포라 공동체가 형성되었다.[151] 기원전 538년,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키루스 2세가 신 바빌로니아를 격파한 뒤 유대인에게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하는 것을 허락하였다. 이에 따라 바빌론의 유대인 중 일부는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하였고, 일부는 바빌론에 남아 공동체를 유지하였다.[151]기원후 70년, 제1차 유대-로마 전쟁에서 로마군에게 패한 유대인들은 유대 지방에서 이베리아반도로 이주하여 팔레스타인 출신의 유대인 디아스포라가 형성되었다. 그 이후 이베리아반도에서 탄압을 받자 15세기 말 동유럽 등지로 이주하였다. 20세기에는 나치당으로 잘 알려진 민족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이 독일에서 권력을 얻고 반유대정책을 펼치자 많은 유대인들이 이주를 택하였고, 이에 따라 문화적, 종교적 유대인 디아스포라가 유럽에서 아메리카 등지로 확장되었다.[152]
고대 지중해 세계의 여러 도시에는 유대인 공동체가 많이 존재했다. 일반적으로 주변 주민에 의한 이스라엘 민족 탄압으로 성립되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특히 헬레니즘 시대에) 인간과 물자가 지중해 세계를 자유롭게 왕래하는 가운데 발전했다.
고대 세계 최대의 유대인 공동체는 이집트의 대도시 알렉산드리아에 있었고, 로마 속주 시대에 존재했다. 유대인은 많은 도시에서 자치 조직(qehilla)을 가지고 독자적인 종교·문화를 지키며 살았다. 고대로부터 지중해 세계에서 유대인은 그리스인과 상업면에서 경쟁하는 경우가 많아, 박해를 받기도 했다.
로마 제국에서는 병역을 이행하지 않고 유일신 이외에는 예배하지 않는 유대인은 특이한 존재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았다. 흩어진 유대계 사람들은 추방되었고, 토지가 주어지지 않는 등의 박해를 받았다.
4. 2. 아르메니아인 디아스포라
4세기에 일찍이 기독교를 국교로 받아들인 아르메니아는 크게 번영했으며, 그 후 이슬람교를 받아들인 국가들에 둘러싸여 압박을 받으면서도 11~12세기에는 남터키에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을 세우는 등 번성했다. 그러나 이후 세력이 쇠퇴하여, 아르메니아인의 레바논 등 지중해 서부로의 디아스포라가 일어났다.근·현대에는 19세기 말부터 시작된 오스만 제국에서 일어난 아르메니아인 학살, 또한 20세기에 소련에 편입되어 일어난 종교 탄압 등으로 인해 서유럽이나 북아메리카 및 오스트레일리아 등으로의 디아스포라가 대규모로 이루어졌다.
4. 3. 아프리카인 디아스포라
대서양 노예 무역 기간 동안의 아프리카인 디아스포라는 현대의 가장 악명 높은 디아스포라 중 하나이다. 16세기 후반부터 19세기까지 서아프리카 출신 1,070만 명이 노예로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하기 위해 운송 과정에서 살아남았다.[155] 아랍 노예 무역은 8세기부터 19세기까지 수백만 명의 아프리카인을 아시아와 인도양의 섬으로 흩어지게 했다.[46] 이슬람 노예 무역은 인도, 특히 시디, 마크라니 및 스리랑카 카피르에서 아프리카계 공동체를 형성하는 결과를 낳았다.[47]16세기부터 본격화된 대서양 노예 무역은 중서부 아프리카 흑인 원주민을 대규모로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동시켰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인구가 유럽인들의 전염병으로 심각하게 줄고, 유럽 세계에서 설탕과 담배등 상품작물의 수요가 늘자 흑인들의 강제 이주가 더 늘어났다. 18세기까지도 꾸준히 증가한 노예 무역으로 수많은 흑인들이 고향에서 벗어난 채 비참하게 살아야 했다. 아프리카의 산업도 노예무역으로 인해 일할 사람이 부족해져서 늦추어지기도 했다.[155]
한편 미국의 일부 지역에서 노예제가 폐지되면서 노예제에 대한 의견 대립과 흑인과 백인 사이의 사회적 갈등이 문제로 떠올랐다. 이에 19세기 초에 미국 식민 협회의 후원으로 자유민 흑인과 해방 노예가 라이베리아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20세기 초에는 마커스 가비 등이 중심이 되어 아프리카 복귀 운동이 펼쳐졌다.
"아프리카인의 디아스포라"(African diaspora영어)라는 용어는 1990년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16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서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의 많은 흑인들이 대서양 노예 무역(Atlantic slave trade영어)에 의해 아메리카 대륙으로 건너갔다. 디아스포라가 "두뇌 유턴"하여 모국의 발전에 기여하는 "치타 세대"(Cheetah Generation영어)로서 환영하는 아프리카 국가도 나타나고 있다.[135]
4. 4. 아시아인의 디아스포라
화교는 최근 세계적으로 "중국인 디아스포라"라는 시각으로 파악되고 있다.[136] 인도계 해외 이주민은 중국계 화교에 비유하여 "인교"라고 부른다. 남인도의 드라비다인은 해양 민족으로, 예로부터 인도양을 넘어 동남아시아나 아프리카까지 건너갔다.미국, 일본, 러시아, 중앙아시아, 중국, 캐나다 등지에는 한국인 공동체가 있다. 재일조선인 2세대인 서경식 선생에 의하면, 일본에 사는 한국 사람들을 재일 조선인, 재일교포라고 하는데, 여기서 조선인은 조선왕국의 사람이 아니라, 한민족을 뜻한다.[156]
4. 4. 1. 중국인 디아스포라
화교는 최근 세계적으로 "중국인 디아스포라"라는 시각으로 파악되고 있다.[136]4. 4. 2. 인도인 디아스포라
인도계 해외 이주민을 중국계 화교에 비유하여 "인교"라고 부른다. 남인도의 드라비다인은 해양 민족으로, 예로부터 인도양을 넘어 동남아시아나 아프리카까지 건너갔다. 그러나 근·현대 인도인의 해외 이주는 세 번의 물결이 있었다.첫 번째는 19세기 영국 지배하에, 말레이시아, 남아메리카의 가이아나, 동아프리카의 탄자니아, 케냐, 우간다 등 같은 영국 지배하의 지역으로 농업 노동자로서 이주한 것이다. 두 번째와 세 번째는 주로 20세기 후반으로, 육체 노동자로서 중동 여러 나라로 이주하거나, 높은 학력을 바탕으로 구미 선진국으로 이주한 것이다.
인도계 주민은 영국에 720만 명[137], 미국에 412만 명[138]이 거주하고 있다. 인도계 주민이 세력을 가진 국가로는 싱가포르 (8%), 말레이시아 (61%), 가이아나 (51%), 트리니다드 토바고 (41%) 등이 있다[139].
4. 4. 3. 한국인 디아스포라
미국, 일본, 러시아, 중앙아시아, 중국, 캐나다 등지에 한국인 공동체가 있다. 재일조선인 2세대인 서경식 선생에 의하면, 일본에 사는 한국사람들을 재일 조선인, 재일교포라고 하는데, 여기서 조선인은 조선왕국의 사람이 아니라, 한민족을 뜻한다.[156] 비슷한 예로 조선일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의 맞춤법인 조선말 규범집, 미군정이 국가로 인정하지 않아 강제해산을 했지만, 몽양 여운형 선생이 친일파를 제외한 좌파와 우파를 통합한 정부인 조선인민공화국 등이 있겠으며, 소설가 채만식 작가도 《낙조》에서 남조선, 북조선이라는 말을 썼다.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노동자들이 부족해지자 일본 제국은 조선인들이 강제로 비행장 건설장, 군함도 탄광, 비행기 제조장 등에 걸쳐 일하게 하였다. 이를 강제징용 또는 강제 노동을 하게 하였다고 말한다. 소설가 하근찬 작가의 소설제목과 주인공 박만도가 강제징용 피해자인데, 그 아들 진수도 한국전쟁 피해자라는 내용처럼 재일 조선인들의 삶은 《수난이대》인 것이다. 문제는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 제국 국적이었던 조선 사람들이 제2차 세계대전에 일본이 패망한 당시 국적을 상실하여 취업, 여행 등에 걸쳐 차별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노동력이 필요할 때에는 조선 사람들을 데려다가 강제로 일하게 하고는, 필요가 없어지니까 너희는 일본 사람이 아니라면서 차별을 하고 있는 것이고, 심지어는 조선 사람을 외국 사람이라고 해서 일본을 떠나라고 혐오를 하는 인종혐오와 거의 일본 사람과 다를 것이 없는데?라면서 한민족의 전통과 역사를 생각하지 못하는 말에 상처를 받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 이를 잘 말해주는 곳이 우토로 마을이다.
박정희 군부독재 때에는 간첩조작사건으로 고문과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실제 서경식 선생의 두 형인 서승, 서준식 선생은 간첩조작사건으로 고문과 옥고를 치렀으며, 서승이 간첩이라는 허위자백을 중앙정보부가 강요하자 서준식 선생은 분신항거를 하기도 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서경식 선생과 서준식 선생은 민주화운동과 인권운동을 하고 있다.[156]
4. 5. 유럽인의 디아스포라
유럽인의 디아스포라는 다양한 시기에 걸쳐 여러 지역에서 발생했다.오스만 제국 말기에는 아르메니아인 학살과 아시리아인 학살, 그리스인 학살 등이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의 폴란드인 추방과 같은 강제 이주가 발생했다.
4. 5. 1. 그리스인 디아스포라
그리스인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세계 여러 지역으로 이주해 왔다. 현대에도 미국 등지에 디아스포라 중심지가 있다.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그리스인들이 그리스 본토를 떠나 지중해 연안과 흑해 연안으로 진출하여 그리스인 공동체를 형성했다.[1]
근대에는 19세기에 정치적인 이유로, 20세기에는 경제적인 이유로 그리스인들의 해외 진출이 계속되었다.[2]
4. 5. 2. 아일랜드인 디아스포라
19세기에 아일랜드인들은 영국,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남아메리카 등지로 대규모 이주를 하였다. 이주의 규모는 당시 아일랜드 인구의 45%에서 85% 사이로 추산된다.[154] 이주의 원인으로는 아일랜드 대기근이 자주 거론되며, 이 외에도 종교적 차별, 산업 약화, 강제퇴거 등이 디아스포라의 원인으로 지목된다.[154]4. 5. 3. 이탈리아인 디아스포라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많은 이탈리아인들이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혼란을 피해 아메리카 대륙과 유럽 각지로 이주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이탈리아의 경제 상황에 따라 계속되었다.5. 디아스포라의 영향
디아스포라는 본국과 이주 지역 모두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한 국가가 경제적으로 낙후되었거나 경제적 위기를 맞이하였을 때, 자국 출신의 디아스포라에게 경제적 지원을 받기도 한다. 이스라엘과 인도는 경제적 위기 때 디아스포라 채권을 발행하여 도움을 받았고,[163][164] 2011년에는 재정 위기를 맞은 그리스 정부도 디아스포라 채권을 발행하겠다고 발표하였다.[165]
5. 1. 본국에 대한 영향
한 국가가 경제적으로 낙후되었거나 경제적 위기를 맞이하였을 때, 자국 출신의 디아스포라에게 경제적 지원을 받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이스라엘과 인도는 경제적 위기를 맞았을 때 디아스포라 채권을 발행하여 도움을 받았다.[163][164] 2011년에는 재정 위기를 맞은 그리스 정부도 디아스포라 채권을 발행하겠다고 발표하였다.[165]6. 한국 사회와 재외 한인
미국, 일본, 러시아, 중앙아시아, 중국, 캐나다 등지에 한국인 공동체가 있다. 재일조선인 2세대인 서경식 선생에 의하면, 일본에 사는 한국사람들을 재일 조선인, 재일교포라고 하는데, 여기서 조선인은 조선왕국의 사람이 아니라, 한민족을 뜻한다. 비슷한 예로 조선일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의 맞춤법인 조선말 규범집, 미군정이 국가로 인정하지 않아 강제해산을 했지만, 몽양 여운형 선생이 친일파를 제외한 좌파와 우파를 통합한 정부인 조선인민공화국 등이 있겠으며, 소설가 채만식 작가도 《낙조》에서 남조선, 북조선이라는 말을 썼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노동자들이 부족해지자 일본 제국은 조선인들을 강제로 비행장 건설장, 군함도 탄광, 비행기 제조장 등에 동원하여 강제징용 또는 강제 노동을 시켰다. 소설가 하근찬 작가의 소설 《수난이대》의 주인공 박만도는 강제징용 피해자인데, 그 아들 진수도 한국전쟁 피해자라는 내용처럼 재일 조선인들의 삶은 고통스러웠다. 문제는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 제국 국적이었던 조선 사람들이 제2차 세계대전에 일본이 패망한 뒤 국적을 상실하여 취업, 여행 등에 걸쳐 차별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일본은 노동력이 필요할 때에는 조선 사람들을 강제로 일하게 하고는, 필요가 없어지자 일본 사람이 아니라며 차별하고, 심지어는 조선 사람을 외국 사람이라고 해서 일본을 떠나라고 혐오하는 인종혐오를 하기도 한다. 또한, 한민족의 전통과 역사를 생각하지 못하는 말에 상처를 받는 일도 일어나고 있다.
박정희 군부독재 시절에는 간첩조작사건으로 고문과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실제 서경식 선생의 두 형인 서승, 서준식 선생은 간첩조작사건으로 고문과 옥고를 치렀으며, 서승이 간첩이라는 허위자백을 중앙정보부가 강요하자 서준식 선생은 분신항거를 하기도 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서경식 선생과 서준식 선생은 민주화운동과 인권운동을 하고 있다.[156]
6. 1. 재외 한인의 현황과 과제
재외 한인은 미국, 일본, 러시아, 중앙아시아, 중국, 캐나다 등지에 거주하며, 각 지역에서 다양한 사회, 경제적 지위를 가지고 있다.[156] 과거에는 해외 취업 형태로 이주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제국에 의해 강제 징용되어 군함도 탄광, 비행장 건설 현장 등에서 강제 노동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156]일본 제국 패망 이후, 재일 조선인들은 국적을 상실하여 취업, 여행 등에서 차별을 받는 어려움을 겪었다.[156] 이는 우토로 마을 사례에서 잘 드러난다.[156] 박정희 군부 독재 시절에는 간첩 조작 사건으로 인해 고문과 옥고를 치르는 등 고통을 겪기도 했다.[156] 실제 서경식 선생의 두 형인 서승, 서준식 선생은 간첩 조작 사건으로 피해를 입었으며, 이를 계기로 민주화 운동과 인권 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156]
차세대 재외 한인의 정체성 유지, 한글 교육, 현지 사회와의 통합 등 다양한 과제가 존재하며, 더불어민주당은 재외동포청을 중심으로 재외 한인 사회의 발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6. 2. 재외 한인과 한국 정치
재외 한인은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참정권을 행사하며 한국 정치에 참여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재외 한인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이들의 권익을 대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156]참조
[1]
웹사이트
Infographic: India Has the World's Biggest Diaspora
https://www.statista[...]
2023-09-12
[2]
웹사이트
Population Facts
http://www.un.org/en[...]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2017-12
[3]
encyclopedia
Diaspora
http://www.merriam-w[...]
2011-02-22
[4]
서적
Encyclopedia of Diasporas: Immigrant and Refugee Cultures Around the World. Volume I: Overviews and Topics; Volume II: Diaspora Communities
https://books.google[...]
2004
[5]
웹사이트
Diasporas
http://migrationdata[...]
2020-02-21
[6]
웹사이트
Diaspora
https://keywords.nyu[...]
2020-02-21
[7]
웹사이트
Diaspora definition and meaning
https://www.collinsd[...]
2020-02-21
[8]
웹사이트
Babylonian Captivity ! Definition, History, & Significanc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8-08
[9]
서적
The Assyrian Genocide: Cultural and Political Legacies
Routledge
2017
[10]
서적
Let Them Not Return: Sayfo – The Genocide Against the Assyrian, Syriac, and Chaldean Christians in the Ottoman Empire
Berghahn Books
2019
[11]
encyclopedia
Fall of Constantinople
https://www.britanni[...]
2020-08-02
[12]
서적
Genocide: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
[13]
뉴스
İstanbul'da GÜRCÜ Cemaati ve Katolik Gürcü kilisesi
http://www.salom.com[...]
2013-04-25
[14]
웹사이트
English Refugees in the Byzantine Armed Forces: The Varangian Guard and Anglo-Saxon Ethnic Consciousness
http://deremilitari.[...]
De Re Militari
[15]
서적
The coolie speaks : Chinese indentured laborers and African slaves in Cuba
http://archive.org/d[...]
Philadelphia : Temple University Press
2008
[16]
서적
Dirt: The Erosion of Civilization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7-05-14
[17]
웹사이트
The Highland Clearances
https://www.historic[...]
2021-09-09
[18]
서적
World Music: Africa, Europe and the Middle East
https://archive.org/[...]
Rough Guides
1999
[19]
간행물
'My Body in Shatat, My Heart in Gaza, My Soul in Beit Daras,'
https://www.palestin[...]
The Palestine Chronicle
2013-05-18
[20]
웹사이트
No way home: The tragedy of the Palestinian diaspora
http://www.independe[...]
2019-11-23
[21]
서적
The Great Game of Genocide: Imperialism, Nationalism, and the Destruction of the Ottoman Armenian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2]
학술저널
Contesting National Identities in an Ethnically Homogeneous State: The Case of Armenian Democratization
https://scholarworks[...]
2009-04-01
[23]
학술저널
Things Fall Apart: Containing the Spillover from an Iraqi Civil Warby Daniel L. Byman and Kenneth M. Pollack
2008-03
[24]
학술저널
The Syrian Diaspora, Old and New
https://www.arab-ref[...]
2018-12-05
[25]
웹사이트
Migration and Brain Drain from Iran ! Iranian Studies
https://iranian-stud[...]
2023-11-11
[26]
뉴스
With $78 billion, India still highest overseas remittance receiver
https://economictime[...]
The Economic Times
2019-11-28
[27]
문서
διασπορά
[28]
웹사이트
Thucydides, The Peloponnesian War, book 2, chapter 27, section 2
http://data.perseus.[...]
[29]
문서
Assyrian captivity of Israel
[30]
문서
Kantor, pp. 53, 105–106.
[31]
문서
p. 1, Barclay
[32]
웹사이트
Definition of DIASPORA
https://www.merriam-[...]
2023-07-23
[33]
문서
Galil & Weinfeld, pp. 96–97.
[34]
서적
A Fruitfull Commentarie Vpon the Twelue Small Prophets
https://books.google[...]
[35]
서적
A Plea for Scripture Ordination; or, Ten Arguments from Scripture and Antiquity, proving Ordination by Presbyters, without Bishops, to be valid
https://books.google[...]
[36]
웹사이트
diaspora, n.
http://www.oed.com/v[...]
2010-11
[37]
백과사전
diaspora
https://www.britanni[...]
[38]
서적
Global Diaspora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7
[39]
뉴스
The Economic Impact of the 'Katrina Diaspora'
http://www.dailyfina[...]
2010-08-31
[40]
뉴스
Katrina scatters a grim diaspora
http://news.bbc.co.u[...]
2005-09-01
[41]
웹사이트
Listening for Geographies
http://works.bepress[...]
Routledge
[42]
간행물
The Potential of Science Diasporas
http://www.sciencedi[...]
2013-12-09
[43]
문서
Mission in “the Present Time”: What about the People in Diaspora?
https://www.ijfm.org[...]
[44]
간행물
The microfoundations of diaspora politics: unpacking the state and disaggregating the diaspora
https://www.tandfonl[...]
2019-03-12
[45]
서적
Issue Brief: The Politics of Diaspora Manage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https://projects.iq.[...]
The ASA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2013
[46]
서적
The African Diaspora in the Indian Ocean
Africa World Press
2003
[47]
서적
The African Dispersal in the Deccan: From Medieval to Modern Times
http://worldcat.org/[...]
Orient Longman
1996
[48]
서적
Aksum: An African Civilisation of Late Antiqu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91
[49]
웹사이트
African Union launches all-Africa passport
http://www.cnn.com/2[...]
CNN
2016-07-05
[50]
뉴스
Africa: Era of the African Passport – A Mixed Bag of Opportunities?
https://allafrica.co[...]
2022-07-03
[51]
웹사이트
African Union Passport Launched during Opening of 27th AU Summit in Kigali
https://au.int/fr/no[...]
Union africaine
[52]
뉴스
At 17.5 million, Indian diaspora largest in the world: UN report
https://economictime[...]
2019-09-18
[53]
웹사이트
Roma
https://fra.europa.e[...]
2012-08-11
[5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Gypsies (Romanies)
Scarecrow Press
2007
[55]
간행물
Genetic studies of the Roma (Gypsies): A review
2001
[56]
간행물
Time to address the mental health challenges of the South Asian diaspora
http://dx.doi.org/10[...]
2023
[57]
문서
War of the Jews
http://sacred-texts.[...]
[58]
서적
Biblical Peoples and Ethnicity. An Archaeological Study of Egyptians, Canaanites, Philistines and Early Israel 1300–1100 B.C.E. (Archaeology and Biblical Studies)
https://books.googl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05
[59]
서적
The Story of the Jews: Finding the Words 1000 BC–1492 AD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2014
[60]
웹사이트
2018 World Jewish Population
https://www.jewishda[...]
[61]
서적
The Chinese diaspora: space, place, mobility, and identit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3
[62]
뉴스
Bhutan refugees are 'intimidated'
http://news.bbc.co.u[...]
2007-11-07
[63]
웹사이트
Early development of Greek society
http://highered.mcgr[...]
Highered.mcgraw-hill.com
[64]
웹사이트
Hellenistic Civilization
http://mars.wnec.edu[...]
[65]
서적
A Viking Diaspora
Routledge
[66]
간행물
Diaspora and Identity in the Viking Age
[67]
간행물
The Columbian Mosaic in Colonial America
http://www.millersvi[...]
1991-09
[68]
서적
Economic Growth and the Ending of the Transatlantic Slave Trade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69]
문서
Richmond, pp. 172–173.
[70]
웹사이트
Historias de inmigrantes italianos en Argentina
http://infouniversid[...]
2011-11-14
[71]
서적
The Italian Diaspora: Migration across the Globe
Multicultural History Society of Ontario
1992
[72]
논문
Some Socio-economic Emigration Differentials in Rural Italy, 1902–1913
1958-10
[73]
서적
L'emigrazione italiana dall' Unità alla Seconda Guerra Mondiale
Il Mulino
1984
[74]
서적
Italy's Many Diasporas
Routledge
2000
[75]
서적
Pane e Lavoro: The Italian American Working Class
Multicultural History Society of Ontorio
1980
[76]
문서
"Introduction" to ''Italian Mobilities''
Routledge
2016
[77]
논문
Report: The Italian Diaspora
1978-01-01
[78]
뉴스
Migration in America
https://www.forbes.c[...]
2013-09-30
[79]
웹사이트
From Detroit. To Detroit
http://tedxtalks.ted[...]
TED
2013-09-30
[80]
뉴스
Wyoming wins over Michigan job seekers
http://usatoday30.us[...]
2013-09-30
[81]
뉴스
MichAgain program aims to return talented people, investments to Michigan
http://www.freep.com[...]
2013-10-01
[82]
뉴스
Chinese Migrant Workers Enticed To Stay Home
https://www.forbes.c[...]
2013-10-01
[83]
논문
China's migrant workers
http://libcom.org/hi[...]
2013-10-01
[84]
뉴스
China tries to restore order after migrant riots
https://www.latimes.[...]
2013-10-03
[85]
논문
Dependence on Interprovincial Migrant Labour in Atlantic Canadian Communities: The Role of the Alberta Economy
2020-01-19
[86]
논문
From Coal Pits to Tar Sands: Labour Migration Between an Atlantic Canadian Region and the Athabasca Oil Sands
https://justlabour.j[...]
2022-12-04
[87]
뉴스
"Ducks" by Kate Beaton review – Powerful big oil memoir
https://www.theguard[...]
2022-12-04
[88]
뉴스
Kate Beaton's affecting "Ducks" dives into the lonely life of labour in Alberta's oil sands
https://www.cbc.ca/r[...]
2022-12-04
[89]
웹사이트
Una indagine CATI per lo studio della mobilità interna in Italia in un'ottica longitudinale
https://www.uniud.it[...]
2018-02-08
[90]
웹사이트
Emigrazione interna italiana
http://www.americaca[...]
2018-02-08
[91]
웹사이트
L'emigrazione interna italiana negli anni '50 e '60
http://www.salogenti[...]
2018-02-08
[92]
웹사이트
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Baltic Archives Abroad
http://www.kirmus.ee[...]
Kirmus.ee
2014-01-05
[93]
웹사이트
Il Giorno del Ricordo
https://www.rainews.[...]
2021-10-16
[94]
웹사이트
L'esodo giuliano-dalmata e quegli italiani in fuga che nacquero due volte
https://www.ilgiorna[...]
2023-01-24
[95]
웹사이트
La Repubblica italiana | Treccani, il portale del sapere
http://www.treccani.[...]
Treccani.it
2015-01-28
[96]
서적
Istria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13
[97]
뉴스
Election Opens Old Wounds in Trieste
https://query.nytime[...]
2016-06-09
[98]
서적
Collective Identities and Post-war Violence in Europe, 1944–48
https://books.google[...]
Springer International
2021
[99]
서적
Political Violence in Twentieth-century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100]
서적
Genocide: Truth, Memory, and Representation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2015-12-30
[101]
서적
Ethnic Cleansing and the European Un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3-05-14
[102]
서적
History in Exile: Memory and Identity at the Borders of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3
[103]
서적
Refugees in the Age of Total War
https://books.google[...]
Unwin Hyman
1988
[104]
웹사이트
The Effects of the Dissolution of Yugoslavia on Minority Rights: the Italian Minority in Post-Yugoslav Slovenia and Croatia
http://www.cliohres.[...]
2010-04-23
[105]
웹사이트
Državni Zavod za Statistiku
http://www.dzs.hr/En[...]
2017-06-10
[106]
웹사이트
Popis 2002
http://www.stat.si/P[...]
2017-06-10
[107]
뉴스
What exhuming Francisco Franco's remains could mean for Spain
https://www.washingt[...]
[108]
서적
Social Justice and Israel/Palestine: Foundational and Contemporary Debates
https://www.worldcat[...]
2019-06-24
[109]
서적
Muslims in India Since 1947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1-08-08
[110]
논문
Diaspora nationalism: The case of ethnic Korea minority in Kazakhstan and its lessons from the Crimean Tatars in Turkey
2006
[111]
서적
The Specter of Genocide: Mass Murder in Histor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6-28
[112]
문서
boat people
[113]
웹사이트
Refugee population by country or territory of origin
https://data.worldba[...]
The World Bank
2019-11-26
[114]
웹사이트
1959: The Cuban Revolution
http://teacher.schol[...]
Scholastic
[115]
뉴스
Nearly 20 Percent of All Dominicans Live Abroad
http://www.dominican[...]
[116]
서적
Zimbabwe's New Diaspora: Displacement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Survival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10
[117]
논문
Engaging the diaspora in an era of transnationalism
https://wol.iza.org/[...]
2020-06-28
[118]
뉴스
Will Iraq's 1.3 million refugees ever be able to go home?
https://www.independ[...]
2011-12-16
[119]
웹사이트
UNHCR Syria Regional Refugee Response
http://data.unhcr.or[...]
2015-09-15
[120]
웹사이트
روزنامه جوان: در سال ۲۰۲۲ نزدیک به ۳/۳ درصد مردم ایران مهاجرت کردند / ۳۰ هزار کادر درمان درخواست "نداشتن سوءپیشینه" داشتهاند که مقصدشان عمان بوده است / ۳۷ درصد از رتبههای برتر کنکور و المپیادها از کشور مهاجرت میکنند
http://www.entekhab.[...]
2023-05-31
[121]
웹사이트
رضادوست: میزبان پنج میلیون میهمان افغانستانی از طیفهای مختلف هستیم- اخبار افغانستان - اخبار بین الملل تسنیم | Tasnim
https://www.tasnimne[...]
[122]
웹사이트
روزنامه اصولگرا: ۱۰میلیون مهاجر در کشور هستند که نان دولتی می خورند/ مصرف آنها بیش از مردم خودمان است
https://www.khabaron[...]
2022-05-07
[123]
뉴스
Best and brightest for export
http://www.elunivers[...]
2014-09-24
[124]
뉴스
Hugo Chavez is Scaring Away Talent
http://www.newsweek.[...]
2014-09-24
[125]
뉴스
La emigración venezolana a diferencia de otras 'se va con un diploma bajo el brazo'
http://elimpulso.com[...]
2014-12-21
[126]
논문
Territorial bounds to virtual space: transnational online and offline networks of Iranian and Turkish–Kurdish immigrants in the Netherlands
http://islamicgroupa[...]
2013-09-30
[127]
웹사이트
How WeChat and Zalo Shine a Light on the Asian American Diaspora
http://www.techinasi[...]
2013-09-30
[128]
간행물
The Globe: Diaspora Marketing, Nirmalya Kumar and Jan-Benedict Steenkamp
http://hbr.org/2013/[...]
2013-10
[129]
뉴스
Gran Torino connects Hmong Minnesotans with Hollywood
http://www.tcdailypl[...]
2013-09-30
[130]
웹사이트
ディアスポラdiaspora(時事用語辞典)
https://imidas.jp/ge[...]
[131]
웹사이트
ディアスポラ Diaspora - Artwords(アートワード)
https://artscape.jp/[...]
[132]
웹사이트
Diaspora
http://www.merriam-w[...]
[133]
서적
ディアスポラの力 — ユダヤ文化の今日性をめぐる試論
平凡社
2008
[134]
웹사이트
「ディアスポラ」をめぐる研究動向 - 早尾貴紀 (アジア太平洋研究センター年報 2008-2009)
https://www.keiho-u.[...]
[135]
웹사이트
「ディアスポラ」「頭脳帰還」「チーター世代」──アフリカの開発を牽引するアフリカの人々(集公社)
https://shukousha.co[...]
[136]
웹사이트
シンポジウム: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と中国人ディアスポラ(日中社会学会、2011年)
http://www.japan-chi[...]
[137]
웹사이트
2011年オフィシャル労働市場統計ホームページ 種別"Asian / Asian British: Indian"に該当
http://www.nomisweb.[...]
[138]
웹사이트
2011-2015年国勢調査:種別"Asian Indian"に該当
https://factfinder.c[...]
[139]
웹사이트
世界にはばたくインド系(月刊Web Magazine)
https://www.jiyu.co.[...]
[140]
웹사이트
"日本は移民や植民地の歴史を忘れている」 ディアスポラの視点で世界を再考 早尾貴紀さんに聞く
https://book.asahi.c[...]
朝日新聞社
2021-06-28
[141]
문서
Kantor
[142]
문서
Kantor
[143]
문서
Barclay
[144]
문서
Galil & Weinfeld
[145]
문서
Tetlow
[146]
웹인용
세계의 성공한 디아스포라 - Research - World Business
https://web.archive.[...]
2015-03-18
[147]
웹사이트
Diasporas of Highly Skilled and Migration of Talent
http://web.worldbank[...]
[148]
뉴스
Katrina scatters a grim Diaspora
http://news.bbc.co.u[...]
BBC
[149]
서적
Diaspora criticism
Edinburgh University Press
[150]
뉴스
학술 디아스포라의 어원과 역사
http://yureka.yu.ac.[...]
영대신문
2006-06-07
[151]
웹인용
한국 브리태니커 바빌론 유수 항목
https://web.archive.[...]
2012-01-20
[152]
서적
세계사 특강
삼천리
2010
[153]
서적
세계사 특강
삼천리
2010
[154]
서적
The Irish: Emigration, Marriage, and Fertil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3
[155]
서적
세계의 역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56]
서적
글과 생각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57]
서적
살아있는 세계사교과서 1
휴머니스트
2005
[158]
뉴스
`교역 디아스포라` 꽃피운 아르메니아 商人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1-04-15
[159]
논문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5
[160]
논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딜레마와 선택: 베트남과 필리핀 아내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2006
[161]
논문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됨’의 의미연구
디아스포라연구
2015
[162]
서적
세계사 특강
삼천리
2010
[163]
뉴스
특파원 칼럼 월가 디아스포라의 힘
http://news.mk.co.kr[...]
mk 뉴스
2011-05-08
[164]
뉴스
Milking migrants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11-08-20
[165]
뉴스
그리스, 3분기에 美서 첫 '디아스포라 채권' 발행 - 현지언론
http://www.newspim.c[...]
뉴스핌
2011-04-2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경희사이버대학교 관광레저항공경영학과 윤병국 교수,경희대 교수산우회 ‘카자흐스탄 천산 트레킹’ 총괄
[플랫한 티타임]“사할린 동포에게 8·15는 고국과 단절된 날…‘틈새’의 존재에게 위로를”
“존엄 지킨 식민지 여성들의 당당한 삶” [.txt]
촌철살인 칼럼니스트, 그는 열일곱 이민 여성 [.txt]
‘외국인 마을’의 한국어 생활 [로버트 파우저, 사회의 언어]
“오사카→제주 역주행 통해 4·3역사 만나려 합니다”
저마다의 눈물샘 터뜨리게 한, '폭싹 속은' 삶의 여정: '정'과 '고귀함'의 세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