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는 로마 문자의 일곱 번째 글자로, C에서 파생되었다. 셈족 문자 기멜, 페니키아 문자 감마를 거쳐 로마 문자 C가 되었고, 이후 G로 발전했다. G는 고대 라틴어 시대에 C의 변형으로 도입되어 유성 연구개 자음 /ɡ/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었다. 컴퓨터 부호, 물리학의 중력 상수, 음악의 음이름, 스포츠 팀 약칭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호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로마자 낱자{{#if:{{{1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로마자 낱자{{#if:{{{1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로마자 낱자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로마자 낱자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라틴 알파벳 G의 기원은 그리스 알파벳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유성 연구개 자음은 그리스 알파벳의 세 번째 글자인 감마(Γ)로 표기되었으며, 이후 에트루리아어에서 채택되었다. 라틴어는 이 감마의 "둥근 형태"인 C를 차용하였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C는 무성 연구개 자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바뀌면서 K를 대체하게 되었다. 학자들은 이러한 변화가 에트루리아어가 라틴어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라고 본다.[2]
이후 'G'는 고대 라틴어 시대에 'C'의 변형으로 도입되어 유성 와 무성 를 구분했다. G는 유성 연구개 자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고 C는 무성 연구개 자음만을 나타냈다.[2] 기록에 따르면 G는 해방노예 스푸리우스 카르빌리우스 루가에 의해 기원전 3세기경 로마 알파벳 교육에 추가되었다.[3] 그는 기원전 230년경 유료 학교를 연 최초의 로마인이었다. 이때 'K'는 인기가 없어졌고, 'C'는 모든 환경에서 를 나타내게 되었다.
루가가 'G'를 배치한 것은 알파벳 순서가 그리스 숫자로서의 글자 값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원래 일곱 번째 글자였던 'Z'는 기원전 3세기에 로마 검열관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에 의해 라틴 알파벳에서 제거되었는데, 그는 그것을 불쾌하고 외국적인 것으로 여겼다.[4] 결국, 두 연구개 자음 와 는 앞 모음 앞에서 구개음화된 동소체를 발달시켰다. 따라서 오늘날의 로망스어에서는 와 는 문맥에 따라 다른 소리 값을 갖는다. 프랑스어의 영향으로 영어 정자법도 이 특징을 공유한다.
2. 1. 타이포그래피 변형
소문자 '''g'''의 서체 변형에는 이층 g와 일층 g가 있다.
현대 소문자 g는 일층(열린 꼬리) --와 이층(고리 꼬리) --의 두 가지 서체 변형이 있다. 일층 형태는 대문자 형태에서 'c'와 구분하기 위해 세리프를 고리 꼭대기까지 올려 고리를 닫고, 수직 획을 아래쪽과 왼쪽으로 연장하여 만들어졌다. 이층 형태도 비슷하게 발전했지만, 일부 장식적인 형태는 꼬리를 오른쪽으로, 다시 왼쪽으로 연장하여 닫힌 보울 또는 고리를 형성했다. 이층 버전에서 오른쪽 위에 있는 작은 위쪽 획은 종종 구형으로 끝나는데, 이것을 "귀"라고 한다.[7]
일반적으로 두 형태는 상호 보완적이며, 표시되는 형태는 서체 선택에 따라 달라진다. 유니코드에서 두 모양은 일반적으로 의미론적 차이가 없는 글리프 변형으로 처리된다. 대부분의 세리프 서체는 고리 꼬리 형태를 사용하고(예: g), 대부분의 산세리프 서체는 열린 꼬리 형태를 사용하지만(예: g), 두 경우 모두 코드 포인트는 U+0067이다.
3. 언어별 용법
G는 언어에 따라 다양한 소리를 나타낸다.
영어에서는 주로 두 가지 소리로 나타나는데, 'go', 'game'처럼 유성 연구개 파열음(경음)()과 'giant', 'geology'처럼 유성 후치경 파찰음(연음)()이다. 프랑스어에서 차용된 일부 단어에서는 'rouge'처럼 로 발음되기도 한다.
[1]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1976
[2]
웹사이트
G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2-04-27
[3]
서적
The Writing Revolution: Cuneiform to the Interne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9-13
[4]
웹사이트
Encyclopaedia Romana
http://penelope.uchi[...] [5]
웹사이트
Sorting the letter ÞORN
https://web.archive.[...]
ISO CEN/TC304
2018-11-01
[6]
논문
The Origin of the Latin Letters G and Z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899
[7]
잡지
The 'g' in Google's Old Logo Is Really Weird: a tale of two "g"s
https://www.theatlan[...]
2018-04-09
[8]
논문
vɔt syr l alfabɛ
1895-01
[9]
논문
akt ɔfisjɛl
1900-02-03
[10]
논문
desizjɔ̃ ofisjɛl
1948-07-12
[11]
논문
Council actions on revisions of the IPA
1993
[12]
서적
The Principles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Department of Phonetics, University College, London
1949
[13]
웹사이트
Scenes from IPA history
https://www.phon.ucl[...]
Department of Phonetics and Linguistics, University College London
2006-11-06
[14]
서적
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A Guide to the Use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5]
논문
The Devil's in the g-tails: Deficient letter-shape knowledge and awareness despite massive visual experience.
2018-04-02
[16]
웹사이트
Most People Don't Know What Lowercase 'G' Looks Like And We're Not Even Kidding
https://www.sciencea[...]
2018-04-04
[17]
웹사이트
L2/04-132 Proposal to add additional phonetic characters to the UCS
https://www.unicode.[...]
2004-04-19
[18]
웹사이트
L2/20-116R: Expansion of the extIPA and VoQS
https://www.unicode.[...]
2020-07-11
[19]
웹사이트
L2/21-021: Reference doc numbers for L2/20-266R "Consolidated code chart of proposed phonetic characters" and IPA etc. code point and name changes
https://www.unicode.[...]
2020-12-07
[20]
웹사이트
L2/20-268: Revised proposal to add ten characters for Middle English to the UCS
https://www.unicode.[...]
2020-10-05
[21]
웹사이트
L2/20-252R: Unicode request for IPA modifier-letters (a), pulmonic
https://www.unicode.[...]
2020-11-08
[22]
웹사이트
L2/02-141: Uralic Phonetic Alphabet characters for the UCS
https://www.unicode.[...]
2002-03-20
[23]
웹사이트
L2/11-202: Revised proposal to encode "Teuthonista" phonetic characters in the UCS
https://www.unicode.[...]
2011-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