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테니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테니아어는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사용된 동슬라브 언어의 한 형태로, 현재의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이 용어는 내부 명칭(예: Ruska(ja) mova)과 외부 명칭(예: lingua ruthenica)으로 다양하게 불렸으며, 학자들은 고대 루테니아어를 서러시아어, 고벨라루스어, 고우크라이나어 등으로 구분하여 연구했다. 루테니아어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에서 행정 언어로 사용되었으며, 르네상스 시기를 거치며 세속 문학이 발전했다. 이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성립과 코사크 헤트만국의 등장, 그리고 언어 표준화 과정을 거치면서 현대의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로 분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슬라브어군 - 루신어
루신어는 카르파티아 산맥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동슬라브어로, 카르파티아 루신어와 판노니아 루신어로 나뉘며, ISO 639-3 코드 'rue'를 부여받아 독립적인 언어로 인정받고 있고, 여러 국가에서 소수민족 언어로 보호받지만 우크라이나에서는 우크라이나어의 방언으로 간주된다. - 동슬라브어군 - 수르지크어
수르지크어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의 혼합어로, 러시아의 지배로 인한 언어적 동화 과정에서 발생하여 우크라이나의 언어 및 문화적 정체성과 관련된 복잡한 쟁점을 내포한다. - 유럽의 사어 - 노른어
노른어는 8~9세기 노르드인이 오크니 제도와 셰틀랜드 제도에 정착하며 고대 서노르드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15세기부터 쇠퇴, 18~19세기 초 소멸했지만 현재는 일부 단어와 니노른어 형태로 남아있다. - 유럽의 사어 - 리보니아어
리보니아어는 발트해 연안의 리보니아인들이 사용했던 핀우그리아어족에 속하는 멸종된 언어로, 역사적 요인으로 쇠퇴하여 마지막 원어민 화자 사망 후 멸종되었으나, 현재 라트비아 대학교 리보니아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부활을 위한 연구와 교육이 진행 중이다. - 슬라브어파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 슬라브어파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루테니아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루테니아어 |
다른 이름 | 해당 없음 |
자칭 | рускїй ѧзыкъ |
사용 지역 | 동슬라브족의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지역 |
국가 | 리투아니아 대공국 (이후 폴란드어로 대체됨) |
소멸 | 벨라루스어, 우크라이나어, 루신어로 발전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1 | 발트-슬라브어파 |
어파2 | 슬라브어파 |
어군 | 동슬라브어군 |
조상 언어 | 원시 인도유럽어 |
조상 언어2 | 원시 발트-슬라브어 |
조상 언어3 | 원시 슬라브어 |
조상 언어4 | 고대 동슬라브어 |
ISO 639-3 | orv-olr |
언어학적 정보 (ルーシ語 문서 참고) | |
사용 국가 | 리투아니아 대공국, 폴란드 왕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몰도바 공국, 헤트만 국가 |
소멸 시기 | 18세기,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로 발전 |
문자 | 키릴 문자 |
ISO 639-2 | sla |
![]() |
2. 명칭
"루테니아어"라는 용어는 역사적, 현대 학술 용어 모두에서 그 사용이 매우 복잡했다.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사용되었던 루테니아어의 현대적 명칭은 크게 두 가지 언어적 범주, 즉 내부 명칭(자국어 화자들이 자신의 언어를 지칭하는 데 사용하는 고유 명칭)과 외부 명칭(외국어로 된 명칭)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인 내부 명칭은 다음과 같다.
- Ruska(ja) movazle: 여러 가지 방식으로 기록되었는데, 예를 들어 рускїй|루스키zle 또는 ру́скїй ѧзы́къ|루스키 야지크zle와 같다.
- Prosta(ja) movazle(단순한 언어): 흐리호리 호드케비치(16세기)가 사용. 교회 슬라브어와의 이중 언어 사용적 대립을 나타낸다.
- Litovskyru(/리투아니아어): 지자니(16세기 말), 팜바 베린다(1653)도 이렇게 불렀다.
일반적인 외부 명칭은 다음과 같다:
- lingua ruthenicala 또는 lingua ruthenala: 영어로 "루테니아어" 또는 "루테네어"로 번역된다.
- ruthenische Sprachede: 라틴어 외부 명칭에서 유래.
- Rutén nyelvhu: 라틴어 외부 명칭에서 유래.
학자들이 사용하는 이 언어와 그 변종의 현대 명칭은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범주는 내부 명칭(토착 명칭)에서 유래한 명칭이고, 두 번째 범주는 외부 명칭(외래 명칭)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내부 명칭에서 유래한 명칭은 다음과 같다:
- 단일 "s"를 사용하는 명칭: ''Rus’ian'', ''Rusian'', ''Rusky'' 또는 ''Ruski''는 현대 러시아어를 가리키는 용어와 구분하기 위해 "s"를 하나만 사용한다.
- 서러시아어 또는 방언 (, )[7]: 주로 원시 러시아어 단계 개념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19세기 말부터 사용하는 용어이다. 카르스키와 샤흐마토프 등의 저자가 사용했다.
- 고벨라루스어 (): 여러 벨라루스 학자와 일부 러시아 학자, 그리고 크리자니치가 사용하는 용어이다. 19세기 이후의 언어와 더 오래된 언어 모두를 가리키는 "벨라루스어" ()는 19세기 러시아 연구자 표도르 부슬라예프, 오고노프스키, 지테츠키, 소볼레프스키, 네데셰프, 블라디미로프와 카르스키 등의 벨라루스 연구자들의 저술에서 사용되었다.
- 고우크라이나어 (): 여러 우크라이나 학자와 일부 다른 학자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리투아니아-러시아어 (): 케펜, 필라렛 대주교, 사하로프, 카라타예프 등 19세기 러시아 연구자들이 사용한 지역 중심의 명칭이다.
- 리투아니아-슬라브어 (): 19세기 러시아 연구자 바라노프스키가 사용한 또 다른 지역 중심의 명칭이다.[8]
- 찬셀러리 슬라브어: 고대 교회 슬라브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다양한 지역 방언의 영향을 받았고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찬셀러리에서 사용된 문어 형태를 가리키는 용어이다.[9]
외부 명칭에서 유래한 명칭은 다음과 같다:
- 루테니아어: 영어와 다른 서구 언어로 저술하는 학자들과 여러 리투아니아 및 폴란드 학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더 오래된 라틴어 외부 명칭 ()에서 유래한 현대 학술 용어이다.
- 루테니아어 문학어: 이 언어의 문학적 변종을 더 정확하게 지칭하기 위해 같은 학자 그룹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루테니아어 찬셀러리어: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공식 및 법률 문서에서 사용된 이 언어의 찬셀러리 변종을 더 정확하게 지칭하기 위해 같은 학자 그룹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루테니아어 공통어: 이 언어의 구어 변종을 더 정확하게 지칭하기 위해 같은 학자 그룹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북부 루테니아어 방언 또는 언어: 현대 벨라루스어의 기원이 된 북부 변종을 지칭하기 위해 일부 학자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며, ''백색 루테니아어''로도 불린다.
- 남부 루테니아어 방언 또는 언어: 현대 우크라이나어의 기원이 된 남부 변종을 지칭하기 위해 일부 학자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며, ''적색 루테니아어''로도 불린다.
다양한 내부 명칭과 외부 명칭을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용어상의 이분법은 서로 다른 학자들이 특정 용어에 적용한 모호하고, 중복되거나 심지어 상반되는 의미를 다양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복잡한 상황은 대부분의 영어권 및 다른 서구 학자들이 외부 명칭인 ''루테니아어''를 선호함으로써 해결된다.
키예프 루시의 붕괴로 인해 문화적·정치적 중심지가 분산되고 여러 공국의 차이가 커짐에 따라 언어도 지역에 따라 분화되었다. 키예프 루시 시대의 고대 루시어(고대 러시아어)는 오늘날의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로 이어지는 공통 조어와 오늘날의 러시아어로 이어지는 조어로 분화되었다. 그 전자가 루시어였다. 후자는 오늘날 학술 용어로 고대 러시아어(Старору́сский язы́кru)[14]라고 불리며 구분된다. 이 두 언어가 근대 이전 동슬라브어를 구성하는 두 대표 언어였다.
동시대 현지에 존재했던 국가들 중 리투아니아 대공국, 폴란드 왕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 몰도바 공국, 헤트만 국가에서 공용어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근대에 이르러 루시어는 현대적인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백러시아어)로 분화되었다. 그러나 러시아 제국의 정책에 의해 그 독자성은 항상 탄압받았고, 러시아 제국에서는 단지 "러시아어 방언"이라는 지위만 부여받았다. 따라서 당시 비교적 규제가 느슨했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영토 내 서우크라이나가 언어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의 조어로 여겨지므로, 고우크라이나어(Староукраї́нська мо́ваuk), 고벨라루스어[15](Старабелару́ская мо́ваbe)라고도 불린다. 또한, 19세기 러시아어를 중심으로 한 연구사에서는 서러시아 문어[16](Западнору́сский пи́сьменный язы́кru)라고 불렸다. 서러시아어에 대해서는 “고대 벨라루스어와 교회 슬라브어가 혼합된”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공식 언어로서 서부 루시어라고 설명되기도 한다.[17]
일본에서의 명칭은 일정하지 않고, 문헌이나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게 불린다. 러시아어 또는 루테니아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지만, 전자를 오늘날의 “러시아어”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루시의 그리스어 명칭으로서 러시아, 라틴어 명칭으로서 루테니아). 후자는 서유럽 역사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볼 수 있는 용어이지만, 이는 루시라는 지역이 역사상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영토였던 시대가 있었던 관계로, 가톨릭 문화권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라틴어에 준거하여 지역명을 라틴어 명칭으로 부르고, 오스트리아나 헝가리에 거주하는 동슬라브계 주민(따라서 루테니아인)이 사용하는 언어(이 페이지에서 말하는 루시어)를 루테니아어라고 하는 것이다. 반대로, 러시아어라는 번역은 그리스어나 러시아어를 더 중시하는 러시아 문화 일반이나 정교회를 중심으로 한 분야에서 볼 수 있다.
당시의 우크라이나 역사, 벨라루스 역사, 러시아 역사 관련 문헌, 그리고 러시아 문학의 해설서[18]에서는 주로 당시의 우크라이나어 또는 당시의 벨라루스어로 기록되어 있다.[19] 일부에서는 고벨라루스어(미들 벨로러시안)[20]이라는 번역이 보이는 반면, 러시아어(실제로는 우크라이나어)라는 기술도 보인다.[21] 적어도 언어학, 문학, 역사학 분야에서는 번역어가 어떻든, 해설에서 이 시점에 대러시아어[22]와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라는 세 언어가 분화했다고 명기하고 있으며, 이 페이지에서 말하는 루시어와 오늘날의 러시아어는 엄밀히 구분되어 루시어가 “러시아어의 조어”인 것 같은 오해는 존재하지 않는다.[23]
일본에서 중세 러시아어라고 할 경우, 이 페이지에서 말하는 루시어를 가리키는 경우와, 동시대 오늘날의 유럽 러시아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고러시아어를 가리키는 경우가 있지만, 양자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 다만, 이들 모든 언어를 고루시어(고대 러시아어) 또는 교회 슬라브어의 근세에 있어서의 변형, 또는 각 지역에서 분화한 방언으로 보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고대 러시아어의 우크라이나 방언” 또는 “교회 슬라브어의 벨라루스 방언” 등으로 여겨진다.[21]
3. 시대 구분
"루테니아어"라는 용어는 역사 및 현대 학술 용어에서 모두 사용이 매우 복잡했다.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사용되었던 루테니아어의 현대적 명칭은 내부 명칭과 외부 명칭,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내부 명칭에는 Ruska(ja) mova|루스카(야) 모바zle, Prosta(ja) mova|프로스타(야) 모바zle, Litovsky|리톱스키ru 등이 있었고, 외부 명칭에는 lingua ruthenica|링구아 루테니카la, ruthenische Sprache|루테니셰 슈프라헤de, Rutén nyelv|루텐 녤브hu 등이 있었다.
학자들은 내부 명칭에서 유래한 ''Rus’ian'(루시안), 서러시아어, 고벨라루스어, 고우크라이나어, 리투아니아-러시아어, 리투아니아-슬라브어, 찬셀러리 슬라브어 등의 용어를 사용했다. 외부 명칭에서 유래한 용어로는 루테니아어, 루테니아어 문학어, 루테니아어 찬셀러리어, 루테니아어 공통어, 북부 루테니아어, 남부 루테니아어 등이 있다.
다니엘 붕치치(Daniel Bunčić)는 문학 언어의 시대 구분을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 초기 루테니아어: 리투아니아어와 모스크바 관청 언어의 분리(15세기)부터 16세기 초까지
- 고 루테니아어: 프란치셰크 스카리나(활동기 1517-25년)부터 이반 우제비치(Ivan Uzhevych) (''Hramatyka slovenskaia'', 1643년, 1645년)까지
- 후기 루테니아어: 1648년부터 18세기 말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 표준어가 확립될 때까지
키예프 루시가 붕괴되면서 문화적·정치적 중심지가 분산되고, 여러 공국 간의 차이가 커짐에 따라 언어도 지역에 따라 분화되었다. 키예프 루시 시대의 고대 루시어(고대 러시아어)는 오늘날의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로 이어지는 공통 조어와 오늘날의 러시아어로 이어지는 조어로 분화되었다. 전자는 루시어, 후자는 오늘날 학술 용어로 고대 러시아어(Старору́сский язы́к|스타로루스키 야지크ru)[14]라고 불리며 구분된다. 이 두 언어가 근대 이전 동슬라브어를 구성하는 두 대표 언어였다.
리투아니아 대공국, 폴란드 왕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 몰도바 공국, 헤트만 국가 등 동시대 현지 국가들에서 공용어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근대에 이르러 루시어는 현대적인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백러시아어)로 분화되었다. 그러나 러시아 제국의 정책으로 인해 그 독자성은 항상 탄압받았고, 러시아 제국에서는 단지 "러시아어 방언"이라는 지위만 부여받았다. 따라서 당시 비교적 규제가 느슨했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영토 내가 언어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3. 1. 초기 루테니아어 (14세기-16세기 중반)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사용되었던 루테니아어의 현대적 명칭은 크게 내부 명칭(자국어 화자들이 자신의 언어를 지칭하는 데 사용하는 고유 명칭)과 외부 명칭(외국어로 된 명칭)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인 내부 명칭
- Ruska(ja) movazle: 또는 (''ruskiy yazyk'')와 같이 다양하게 표기되었다.
- Prosta(ja) movazle: "단순한 언어" 또는 "단순한 말"을 의미하며, прост(ѧ) моваzle 또는 простй ѧзыкъzle 와 같이 다양하게 표기되었다. (구 벨라루스어/구 우크라이나어: простый руский (язык)zle 또는 простая молваzle, проста моваzle) 이러한 용어는 문어인 교회 슬라브어와의 이중 언어 사용적 대립을 나타낸다.[6]
- Litovskyru: 지역적 용어로, 지자니(16세기 말), 팜바 베린다(1653) 등이 사용했다.
일반적인 외부 명칭
- lingua ruthenicala 또는 lingua ruthenala: 영어로 "루테니아어" 또는 "루테네어"로 번역된다.[1]
- ruthenische Sprachede: 라틴어 외부 명칭에서 유래.
- Rutén nyelvhu: 라틴어 외부 명칭에서 유래.
학자들이 사용하는 이 언어와 그 변종의 현대 명칭은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내부 명칭(토착 명칭)에서 유래한 것이고, 두 번째는 외부 명칭(외래 명칭)에서 유래한 것이다.
내부 명칭에서 유래한 명칭
- 단일 "s"를 사용하는 명칭: ''Rus’ian'', ''Rusian'', ''Rusky'' 또는 ''Ruski''는 현대 러시아어를 가리키는 용어와 구분하기 위해 "s"를 하나만 사용한다.
- 서러시아어 또는 방언 (западнорусский языкru, западнорусское наречие)[7]: 주로 원시 러시아어 단계 개념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19세기 말부터 사용하는 용어이다. 카르스키와 샤흐마토프 등의 저자가 사용했다.
- 고벨라루스어 (Старабеларуская моваbe): 여러 벨라루스 학자와 일부 러시아 학자, 그리고 크리자니치가 사용하는 용어이다. 19세기 이후의 언어와 더 오래된 언어 모두를 가리키는 "벨라루스어" (белорусский (язык)ru)는 19세기 러시아 연구자 표도르 부슬라예프, 오고노프스키, 지테츠키, 소볼레프스키, 네데셰프, 블라디미로프와 카르스키 등의 벨라루스 연구자들의 저술에서 사용되었다.
- 고우크라이나어 (Староукраїнська моваuk): 여러 우크라이나 학자와 일부 다른 학자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리투아니아-러시아어 (литовско-русский языкru): 케펜, 필라렛 대주교, 사하로프, 카라타예프 등 19세기 러시아 연구자들이 사용한 지역 중심의 명칭이다.
- 리투아니아-슬라브어 (литово-славянский языкru): 19세기 러시아 연구자 바라노프스키가 사용한 또 다른 지역 중심의 명칭이다.[8]
- 찬셀러리 슬라브어: 고대 교회 슬라브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다양한 지역 방언의 영향을 받았고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찬셀러리에서 사용된 문어 형태를 가리키는 용어이다.[9]
외부 명칭에서 유래한 명칭
- 루테니아어: 영어와 다른 서구 언어로 저술하는 학자들과 여러 리투아니아 및 폴란드 학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더 오래된 라틴어 외부 명칭 (lingua ruthenicala, lingua ruthenala)에서 유래한 현대 학술 용어이다.
- 루테니아어 문학어 또는 문학 루테니아어: 이 언어의 문학적 변종을 더 정확하게 지칭하기 위해 같은 학자 그룹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루테니아어 찬셀러리어 또는 찬셀러리 루테니아어: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공식 및 법률 문서에서 사용된 이 언어의 찬셀러리 변종을 더 정확하게 지칭하기 위해 같은 학자 그룹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루테니아어 공통어 또는 공통 루테니아어: 이 언어의 구어 변종을 더 정확하게 지칭하기 위해 같은 학자 그룹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북부 루테니아어 방언 또는 언어: 현대 벨라루스어의 기원이 된 북부 변종을 지칭하기 위해 일부 학자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며, ''백색 루테니아어''로도 불린다.
- 남부 루테니아어 방언 또는 언어: 현대 우크라이나어의 기원이 된 남부 변종을 지칭하기 위해 일부 학자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며, ''적색 루테니아어''로도 불린다.
다양한 내부 명칭과 외부 명칭을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용어상의 이분법은 서로 다른 학자들이 특정 용어에 적용한 모호하고, 중복되거나 심지어 상반되는 의미를 다양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복잡한 상황은 대부분의 영어권 및 다른 서구 학자들이 외부 명칭인 ''루테니아어''를 선호함으로써 해결된다.
언어학자 안드리이 다닐렌코(Andrii Danylenko, 2006)에 따르면, 현재 '루테니아어'로 불리는 언어는 14세기와 15세기에 주로 행정 언어로서 처음 등장했으며,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사무국(빌뉴스(Vilna) 소재)에 의해 형성되었다. 그는 현대 벨라루스-우크라이나 국경 양쪽에서 사용되는 폴레시에(Polesian) 방언을 서면 루테니아어(rusьkij jazykъorv 또는 사무국 슬라브어)와 구어 루테니아어(проста(я) моваzle prosta(ja) movazle 또는 "간단한 언어")의 기반으로 확인했으며, 이를 '하나의 세속적인 방언 표준의 두 가지 양식적으로 차별화된 변종'이라고 불렀다.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까지, 오늘날의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가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속해 있던 시기에 르네상스는 교회 슬라브어에 나타난 비잔틴 기독교 신중심주의에서 벗어나 문화, 예술, 문학을 변화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대신, 그들은 서면에서는 일반 대중의 방언을 텍스트의 기반으로 삼음으로써 점점 더 인본주의적 인중심주의로 이동했다. 시, 논쟁적인 문학, 과학 문학과 같이 세속적인 주제에 더 가까운 새로운 문학 장르가 발전했고, 이전 시대의 교회 슬라브어 작품들은 루테니아어, 사무국 슬라브어 또는 구 우크라이나어(14세기부터 проста моваzle prosta movazle 또는 "간단한 언어"라고도 불림)로 번역되었다. 16세기까지 루테니아어 텍스트를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 하위 그룹으로 구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다양한 점이 있긴 하지만 14세기와 16세기 사이에는 모두 기능적으로 하나의 언어였다.
3. 2. 고 루테니아어 (16세기 중반-17세기 중반)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사용된 루테니아어의 현대적 명칭은 크게 두 가지 언어적 범주로 나뉜다. 첫 번째는 내부 명칭(자국어 화자들이 자신의 언어를 지칭하는 데 사용하는 고유 명칭)이고, 두 번째는 외부 명칭(외국어로 된 명칭)이다.내부 명칭은 다음과 같다.
- Ruska(ja) movazle: ру́скаꙗ мо́ваzle 또는 ру́скїй ѧзы́къzle (''ruskiy yazyk'')와 같이 여러 방식으로 기록되었다.
- Prosta(ja) movazle: "단순한 언어" 또는 "단순한 말"을 의미하며, прост(ѧ) моваzle 또는 простй ѧзыкъzle 와 같이 여러 방식으로 기록되었다. 문어인 교회 슬라브어와의 이중 언어 사용적 대립을 나타낸다.[6]
- Литовский языкru (리투아니아어): 지자니(16세기 말), 팜바 베린다(1653)도 이렇게 불렀다.
외부 명칭은 다음과 같다.
- lingua ruthenicala 또는 lingua ruthenala: 영어로 "루테니아어" 또는 "루테네어"로 번역된다.
- ruthenische Sprachede: 라틴어 외부 명칭에서 유래.
- Rutén nyelvhu: 라틴어 외부 명칭에서 유래.
학자들이 사용하는 이 언어와 그 변종의 현대 명칭은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내부 명칭에서 유래한 명칭과 외부 명칭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내부 명칭에서 유래한 명칭은 다음과 같다.
- ''Rus’ian'', ''Rusian'', ''Rusky'' 또는 ''Ruski'': 현대 러시아어를 가리키는 용어와 구분하기 위해 "s"를 하나만 사용한다.
- 서러시아어 또는 방언 (западнорусский языкru, западнорусское наречиеru):[7] 주로 원시 러시아어 단계 개념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19세기 말부터 사용하는 용어이다. 카르스키와 샤흐마토프 등의 저자가 사용했다.
- 고벨라루스어 (Старабеларуская моваbe): 여러 벨라루스 학자와 일부 러시아 학자, 그리고 크리자니치가 사용하는 용어이다.
- 고우크라이나어 (Староукраїнська моваuk): 여러 우크라이나 학자와 일부 다른 학자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리투아니아-러시아어 (литовско-русский языкru): 19세기 러시아 연구자들이 사용한 지역 중심의 명칭이다.
- 리투아니아-슬라브어 (литово-славянский языкru): 19세기 러시아 연구자 바라노프스키가 사용한 또 다른 지역 중심의 명칭이다.[8]
- 찬셀러리 슬라브어: 고대 교회 슬라브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다양한 지역 방언의 영향을 받았고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찬셀러리에서 사용된 문어 형태를 가리키는 용어이다.[9]
외부 명칭에서 유래한 명칭은 다음과 같다.
- 루테니아어: 영어와 다른 서구 언어로 저술하는 학자들과 여러 리투아니아 및 폴란드 학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더 오래된 라틴어 외부 명칭 (lingua ruthenicala, lingua ruthenala)에서 유래한 현대 학술 용어이다.
- 루테니아어 문학어: 이 언어의 문학적 변종을 더 정확하게 지칭하기 위해 같은 학자 그룹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루테니아어 찬셀러리어: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공식 및 법률 문서에서 사용된 이 언어의 찬셀러리 변종을 더 정확하게 지칭하기 위해 같은 학자 그룹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루테니아어 공통어: 이 언어의 구어 변종을 더 정확하게 지칭하기 위해 같은 학자 그룹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북부 루테니아어: 현대 벨라루스어의 기원이 된 북부 변종을 지칭하기 위해 일부 학자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며, ''백색 루테니아어''로도 불린다.
- 남부 루테니아어: 현대 우크라이나어의 기원이 된 남부 변종을 지칭하기 위해 일부 학자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며, ''적색 루테니아어''로도 불린다.
다양한 내부 명칭과 외부 명칭을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용어상의 이분법은 서로 다른 학자들이 특정 용어에 적용한 모호하고, 중복되거나 심지어 상반되는 의미를 다양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복잡한 상황은 대부분의 영어권 및 다른 서구 학자들이 외부 명칭인 ''루테니아어''를 선호함으로써 해결된다.
다니엘 붕치치(Daniel Bunčić)는 문학 언어의 시대 구분을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 초기 루테니아어: 리투아니아어와 모스크바 관청 언어의 분리(15세기)부터 16세기 초까지
- 고 루테니아어: 프란치셰크 스카리나(활동기 1517-25년)부터 이반 우제비치(Ivan Uzhevych) (''Hramatyka slovenskaia'', 1643년, 1645년)까지
- 후기 루테니아어: 1648년부터 18세기 말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 표준어가 확립될 때까지
16세기의 루테니아어 구어체 "실용어"(ділове мовлення|딜로베 모블렌냐uk)는 17세기에 일상적인 의사소통의 대부분 영역으로 확산되었는데, 이는 폴란드어를 비롯한 다른 유럽 언어에서 유입된 단어, 표현 및 스타일의 영향을 받았다.
1569년 루블린 연합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이 성립되면서 중요한 언어적 변화가 일어났다. 이전까지 행정 업무에 라틴어를 사용하던 폴란드 왕관(당시 우크라이나 포함)은 중세 폴란드어로 전환했고, 리투아니아 대공국(벨라루스는 포함되었으나 우크라이나는 더 이상 포함되지 않음)은 관청 슬라브어(루테니아어)를 포기하고 중세 폴란드어로 전환했다. 많은 슈략타 계층의 폴란드 귀족과 루테니아 귀족들이 종교 개혁 기간 동안 다양한 종류의 프로테스탄티즘으로 개종했지만, 결국 모두 다시 가톨릭으로 개종하거나 가톨릭을 유지하며 점점 폴란드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렇게 우크라이나 귀족들은 폴란드화되었지만, 대부분의 우크라이나(그리고 벨라루스) 농민들은 동방 정교회 신앙을 유지하며 루테니아어를 사용했다.
3. 3. 후기 루테니아어 (17세기 중반-18세기)
17세기 중반 코사크 헤트만국이 등장했을 때, 헤트만국에서는 폴란드어가 행정 언어로 남아 있었고, 대부분의 코사크 장교와 폴란드 귀족은 라틴어, 폴란드어, 루테니아어(옛 우크라이나어)를 혼용하여 서로 소통했다.[6] 코사크 장교와 모스크바 관리 간에는 언어 장벽이 커서 협상 중에 서로 이해하기 위해 통역이 필요했고, 헤트만 보흐단 흐멜니츠키는 "모스크바 방언"으로 된 편지를 라틴어로 번역하여 읽었다.[6]17세기에는 루테니아어가 표준화되어 나중에 현대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로 분리되었다.[10] 16세기부터 폴란드어가 행정에서 루테니아어의 위상을 점차 빼앗아 가면서 구어 루테니아어의 두 지역 변종이 등장하기 시작했다.[9] 구어체인 ''프로스타(야) 모바''는 18세기 초에 사라졌고, 폴란드어화된 (중부) 초기 벨라루스어 변종과 슬라브어화된 (남서부) 초기 우크라이나어 변종으로 대체되었다.[9] 교회 슬라브어는 18세기 후반까지 러시아에서 문학 및 행정 표준어로 남아 있었다.[10]
4. 발전 과정
키예프 루시의 붕괴로 문화적, 정치적 중심지가 분산되고 여러 공국 간의 차이가 커지면서 언어도 지역에 따라 분화되었다. 고대 루시어(고대 러시아어)는 오늘날의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로 이어지는 공통 조어와 오늘날의 러시아어로 이어지는 조어로 분화되었다. 전자는 루시어, 후자는 오늘날 학술 용어로 고대 러시아어(Старору́сский язы́к|스타로루스키 야지크ru)[14]라고 불리며 구분된다. 이 두 언어가 근대 이전 동슬라브어를 구성하는 두 대표 언어였다.
16세기 루테니아어 구어체 "실용어"(ділове мовлення|딜로베 모블렌냐uk)는 17세기에 일상적인 의사소통 대부분의 영역으로 확산되었는데, 이는 폴란드어를 비롯한 다른 유럽 언어에서 유입된 단어, 표현 및 스타일의 영향을 받았다. 반면 교회 슬라브어는 종교, 교회, 전기, 그리고 일부 예술 및 과학 분야에 더욱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12]
리투아니아 대공국, 폴란드 왕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 몰도바 공국, 헤트만 국가 등 동시대 현지에 존재했던 국가들에서 공용어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근대에 이르러 루시어는 현대적인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백러시아어)로 분화되었다. 그러나 러시아 제국의 정책으로 그 독자성은 항상 탄압받았고, 러시아 제국에서는 단지 "러시아어 방언"이라는 지위만 부여받았다. 따라서 당시 비교적 규제가 느슨했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영토 내가 언어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다니엘 붕치치(Daniel Bunčić)는 문학 언어의 시대 구분을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13]
- 초기 루테니아어: 리투아니아어와 모스크바 관청 언어의 분리(15세기)부터 16세기 초까지
- 고 루테니아어: 프란치셰크 스카리나(활동기 1517-25년)부터 이반 우제비치(''Hramatyka slovenskaia'', 1643년, 1645년)까지
- 후기 루테니아어: 1648년부터 18세기 말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 표준어가 확립될 때까지
4. 1. 초기 루테니아어의 형성 (14-15세기)
14세기와 15세기에 루테니아어는 주로 행정 언어로서 처음 등장했으며,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사무국(빌뉴스)에 의해 형성되었다.[9] 현대 벨라루스-우크라이나 국경 양쪽에서 사용되는 폴레시에(Polesian) 방언은 서면 루테니아어(rusьkij jazykъ 또는 사무국 슬라브어)와 구어 루테니아어(проста(я) мова|prosta(ja) movazle 또는 "간단한 언어")의 기반이 되었으며,[9] '하나의 세속적인 방언 표준의 두 가지 양식적으로 차별화된 변종'이라고 불렸다.[9]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까지, 오늘날의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가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속해 있던 시기에 르네상스는 교회 슬라브어에 나타난 비잔틴 기독교 신중심주의에서 벗어나 문화, 예술, 문학을 변화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대신, 서면에서는 일반 대중의 방언을 텍스트의 기반으로 삼음으로써 점점 더 인본주의적 인중심주의로 이동했다. 시, 논쟁적인 문학, 과학 문학과 같이 세속적인 주제에 더 가까운 새로운 문학 장르가 발전했고, 이전 시대의 교회 슬라브어 작품들은 루테니아어, 사무국 슬라브어 또는 구 우크라이나어(проста мова|prosta movazle)로 번역되었다. 16세기까지 루테니아어 텍스트를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 하위 그룹으로 구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다양한 점이 있긴 하지만 14세기와 16세기 사이에는 모두 기능적으로 하나의 언어였다.[9]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사용되었던 루테니아어의 현대적 명칭은 크게 두 가지 언어적 범주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내부 명칭(자국어 화자들이 자신의 언어를 지칭하는 데 사용하는 고유 명칭)이고, 다른 하나는 외부 명칭(외국어로 된 명칭)이다.
일반적인 내부 명칭:
- рускїй|루스키zle ѧзы́къ|야지크zle (''ruskiy yazyk'')
- прост(ѧ) мова|프로스타 모바zle 또는 простй ѧзыкъ|프로스티 야지크zle (구 벨라루스어/구 우크라이나어: простый руский (язык)|프로스티 루스키 (야지크)zle 또는 простая молва|프로스타야 몰바zle, проста мова|프로스타 모바zle) – 출판사 흐레호리 호드케비치 (16세기). 이러한 단순한 구어체 용어는 문어인 교회 슬라브어와의 이중 언어 사용적 대립을 나타낸다.
- Литовский язык|리톱스키 야지크ru (리투아니아어) - 지자니(16세기 말), 팜바 베린다(1653)
일반적인 외부 명칭:
- lingua ruthenicala 또는 lingua ruthenala (영어: "루테니아어" 또는 "루테네어")
- ruthenische Sprachede (라틴어 외부 명칭에서 유래)
- Rutén nyelvhu (라틴어 외부 명칭에서 유래)
학자들이 사용하는 이 언어와 그 변종의 현대 명칭은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범주는 내부 명칭(토착 명칭)에서 유래한 명칭이고, 두 번째 범주는 외부 명칭(외래 명칭)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내부 명칭에서 유래한 명칭:
- ''Rus’ian'', ''Rusian'', ''Rusky'' 또는 ''Ruski'' (현대 러시아어를 가리키는 용어와 구분하기 위해 "s"를 하나만 사용)
- 서러시아어 또는 방언 (западнорусский язык|자파드노루스키 야지크ru, западнорусское наречие|자파드노루스코예 나레치예ru)[7] – 주로 원시 러시아어 단계 개념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19세기 말부터 사용하는 용어. 카르스키와 샤흐마토프 등의 저자가 사용.
- 고벨라루스어 (Старабеларуская мова|스타라벨라루스카야 모바be) – 여러 벨라루스 학자와 일부 러시아 학자, 크리자니치가 사용. 19세기 이후의 언어와 더 오래된 언어 모두를 가리키는 "벨라루스어" (белорусский (язык)|벨로루스키 (야지크)ru)는 19세기 러시아 연구자 표도르 부슬라예프, 오고노프스키, 지테츠키, 소볼레프스키, 네데셰프, 블라디미로프와 카르스키 등의 벨라루스 연구자들의 저술에서 사용.
- 고우크라이나어 (Староукраїнська мова|스타로우크라인스카 모바uk) – 여러 우크라이나 학자와 일부 다른 학자들이 사용.
- 리투아니아-러시아어 (литовско-русский язык|리톱스코-루스키 야지크ru) – 케펜, 필라렛 대주교, 사하로프, 카라타예프 등 19세기 러시아 연구자들이 사용한 지역 중심의 명칭.
- 리투아니아-슬라브어 (литово-славянский язык|리토보-슬라뱐스키 야지크ru) – 19세기 러시아 연구자 바라노프스키가 사용한 또 다른 지역 중심의 명칭.[8]
- 찬셀러리 슬라브어 – 고대 교회 슬라브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다양한 지역 방언의 영향을 받았고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찬셀러리에서 사용된 문어 형태를 가리키는 용어.[9]
외부 명칭에서 유래한 명칭:
- 루테니아어 – 영어와 다른 서구 언어로 저술하는 학자들과 여러 리투아니아 및 폴란드 학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더 오래된 라틴어 외부 명칭 (lingua ruthenicala, lingua ruthenala)에서 유래한 현대 학술 용어.
- 루테니아어 문학어 – 이 언어의 문학적 변종을 더 정확하게 지칭하기 위해 같은 학자 그룹이 사용.
- 루테니아어 찬셀러리어 –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공식 및 법률 문서에서 사용된 이 언어의 찬셀러리 변종을 더 정확하게 지칭하기 위해 같은 학자 그룹이 사용.
- 루테니아어 공통어 – 이 언어의 구어 변종을 더 정확하게 지칭하기 위해 같은 학자 그룹이 사용.
- 북부 루테니아어 방언 또는 언어 – 현대 벨라루스어의 기원이 된 북부 변종을 지칭하기 위해 일부 학자들이 사용. ''백색 루테니아어''로도 불림.
- 남부 루테니아어 방언 또는 언어 – 현대 우크라이나어의 기원이 된 남부 변종을 지칭하기 위해 일부 학자들이 사용. ''적색 루테니아어''로도 불림.
4. 2. 르네상스의 영향과 세속 문학의 발전 (15세기 후반-16세기)
르네상스는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까지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속했던 오늘날의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 지역의 문화, 예술, 문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교회 슬라브어에 나타난 비잔틴 기독교 신중심주의에서 벗어나, 일반 대중의 방언을 텍스트의 기반으로 삼음으로써 점점 더 인본주의적 인중심주의로 이동했다. 시, 논쟁적인 문학, 과학 문학과 같이 세속적인 주제에 더 가까운 새로운 문학 장르가 발전했고, 이전 시대의 교회 슬라브어 작품들은 루테니아어, 사무국 슬라브어 또는 고우크라이나어(14세기부터 '프로스타 모바(проста мова, prosta mova)' 또는 "간단한 언어"라고도 불림)로 번역되었다. 16세기까지 루테니아어 텍스트를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 하위 그룹으로 구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다양한 점이 있긴 하지만 14세기와 16세기 사이에는 모두 기능적으로 하나의 언어였다.4. 3.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과 폴란드어의 영향 (16세기-17세기)
1569년 루블린 연합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이 성립되면서 루테니아어는 중요한 언어적 변화를 겪었다. 이전까지 행정 업무에 라틴어를 사용하던 폴란드 왕관령(당시 우크라이나 포함)은 중세 폴란드어를 사용하기 시작했고,[10] 리투아니아 대공국(벨라루스는 포함되었으나 우크라이나는 더 이상 포함되지 않음)은 관청 슬라브어(루테니아어) 대신 중세 폴란드어를 사용하게 되었다.[10]많은 슈략타 계층의 폴란드 귀족과 루테니아 귀족들이 종교 개혁 기간 동안 다양한 프로테스탄티즘으로 개종했지만, 결국 다시 가톨릭으로 돌아오거나 가톨릭 신앙을 유지하면서 점차 폴란드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우크라이나 귀족들은 폴란드화되었지만, 대부분의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 농민들은 동방 정교회 신앙을 지키며 루테니아어를 계속 사용하였다.[11]
16세기에 루테니아어 구어체 "실용어"(ділове мовлення|딜로베 모블렌냐uk)는 17세기에 이르러 일상적인 의사소통의 대부분의 영역으로 확산되었으며, 이는 폴란드어를 비롯한 다른 유럽 언어에서 유입된 단어, 표현 및 스타일의 영향을 받았다. 반면 교회 슬라브어는 종교, 교회, 전기, 그리고 일부 예술 및 과학 분야에 더욱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12]
4. 4. 코사크 헤트만국과 루테니아어의 부활 (17세기 중반)
코사크 헤트만국이 등장한 17세기 중반, 헤트만국에서는 폴란드어가 행정 언어로 사용되었다. 대부분의 코사크 장교와 폴란드 귀족은 라틴어, 폴란드어, 루테니아어(옛 우크라이나어)를 섞어 사용했다.[10] 반면 코사크 장교와 모스크바 관리 사이에는 언어 장벽이 커서 협상 시 통역이 필요했다. 헤트만 보흐단 흐멜니츠키는 "모스크바 방언"으로 쓰인 편지를 라틴어로 번역해 읽었다.[10]17세기에는 루테니아어가 표준화되면서 훗날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로 나뉘게 되었다.[10] 16세기부터 폴란드어가 행정 분야에서 루테니아어의 지위를 점차 빼앗으면서 구어체 루테니아어의 두 가지 지역 변종이 나타났다.[10] 구어체인 '프로스타(야) 모바'는 18세기 초 사라졌고, 폴란드어화된 (중부) 초기 벨라루스어 변종과 슬라브어화된 (남서부) 초기 우크라이나어 변종으로 대체되었다.[10] 한편, 교회 슬라브어는 18세기 후반까지 러시아에서 문학 및 행정 표준어로 남아 있었다.[10]
4. 5. 표준화와 분화 (17세기-18세기)
17세기에는 루테니아어가 표준화 과정을 거치면서 훗날 현대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로 분화되었다.[10] 16세기부터 행정 분야에서 폴란드어가 루테니아어의 지위를 점차 잠식하면서, 구어 루테니아어는 두 지역 변종으로 나뉘기 시작했다.[10] 구어체인 '프로스타(야) 모바'는 18세기 초에 사라지고, 폴란드어화된 (중부) 초기 벨라루스어 변종과 슬라브어화된 (남서부) 초기 우크라이나어 변종으로 대체되었다.[10]5. 현대 언어로의 분화
키예프 루시가 붕괴하면서 문화적, 정치적 중심지가 여러 곳으로 나뉘고, 각 공국 간의 차이가 커지면서 언어도 지역에 따라 달라지기 시작했다. 키예프 루시 시대의 고대 루시어(고대 러시아어)는 오늘날의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로 이어지는 공통 조상 언어와 오늘날의 러시아어로 이어지는 조상 언어로 분화되었다. 전자는 루시어였고, 후자는 오늘날 학술 용어로 고대 러시아어(Старору́сский язы́кru)[14]라고 불리며 구분된다. 이 두 언어는 근대 이전 동슬라브어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두 언어였다.
리투아니아 대공국, 폴란드 왕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 몰도바 공국, 헤트만 국가 등 동시대 현지에 존재했던 국가들에서 루테니아어는 공용어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근대에 이르러 루시어는 현대적인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백러시아어)로 분화되었다. 그러나 러시아 제국은 이들의 독자성을 억압하고, "러시아어 방언"이라는 지위만 부여하는 정책을 펼쳤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교적 규제가 덜했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영토 내가 언어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6. 문학
루테니아어 문학은 16세기와 17세기에 걸쳐 발전했으며, 당시 '프로스타 모바'(소박한 말)로 불리던 루테니아어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 다양한 문학 작품에 사용되었다.
멜레티 스모트리츠키는 1619년에 출판된 그의 루테니아어 문법서[1]를 통해 루테니아어 문어의 규범화에 크게 기여했다.[2] 그의 문법서는 루테니아어의 문법 체계를 정립하고 문학적 사용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
시메온 폴로츠키는 17세기에 활동한 대표적인 루테니아어 작가로, 그의 작품은 당시 동슬라브 문화의 다중언어 사용 환경을 잘 보여준다.[4] 그는 루테니아어뿐만 아니라 교회 슬라브어 등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여 작품을 창작했다.
17세기 중반 쿠체이나에서 출판된 신약성서와 시편[5]은 루테니아어로 번역된 종교 문학의 중요한 예시이다. 이 번역본은 당시 루테니아어의 어휘와 문체, 그리고 종교적 표현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이반 우제비치는 17세기에 루테니아어 문법서인 ''Gramatyka Slovenskaja''[6]를 저술하여 루테니아어 연구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는 루테니아어의 문법적 특징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후대 학자들에게 루테니아어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7]
참조
[1]
간행물
Ж. Некрашевич-Короткая. Лингвонимы восточнославянского культурного региона (историчесикий обзор)
http://www.philol.ms[...]
[2]
서적
Начальный этап формирования русского национального языка
[3]
서적
A History of Ukrain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6
[4]
서적
Politics and the Slavic Languages
Routledge
2021
[5]
웹사이트
Ukrainian Language
https://www.britanni[...]
2024-02-17
[6]
웹사이트
Statut Velikogo knyazhestva Litovskogo
http://starbel.narod[...]
2019-10-25
[7]
간행물
Славянские диалекты в соотношении с другими языками Великого княжества Литовского
https://web.archive.[...]
Indrik Publishing
[8]
서적
Введение в белорусско-литовское летописание
М.
[9]
서적
Linguistic Landscape in the City
Multilingual Matters
[10]
백과사전
Russische taal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2002
[11]
서적
ロシアとモンゴル……中世ロシアへのモンゴルの衝撃
図書新聞
[12]
서적
ウクライナ語入門
大学書林
[13]
문서
루테니아어, 루신어, 판노니아 루신어, 러시아어
[14]
문서
古大ロシア語 (Старовеликору́сский язы́к)
[15]
문서
古白ルーシ語, 古白ロシア語
[16]
문서
西ルーシ文語
[17]
서적
ウクライナ語入門
大学書林
[18]
문서
우크라이나 문학, 벨라루스 문학 관련 설명서 부재, 러시아 문학 언급
[19]
서적
ロシア史
山川出版社
[20]
서적
ポーランドの歴史
創土社
[21]
서적
中世ロシア文法史
名古屋大学出版会
[22]
문서
현대 러시아어
[23]
서적
ロシア文学への招待
三省堂
[24]
간행물
Ж. Некрашевич-Короткая. Лингвонимы восточнославянского культурного региона (историчесикий обзор)
http://www.philol.ms[...]
[25]
서적
Начальный этап формирования русского национального языка
[26]
간행물
Деловая письменность в системе старобелорусского литературного языка
http://www.philolog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