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세이 중수제가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세이 중수제가보는 에도 막부가 간행한 족보로, 간에이 제가계도전의 속편 제작을 위해 기획되었으나, 간에이 제가계도전에 대한 교열 작업이 필요해지면서 중수의 과정을 거쳐 제작되었다. 1,530권으로 구성되었으며, 다이묘와 하타모토를 포함한 1,114씨, 2,132가문의 계보를 담고 있다. 여성의 이름이 "여자"로만 기록되는 등 한계점도 있지만, 에도 시대 다이묘와 하타모토의 이력 및 가족 구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현재 일본 국립공문서관 내각 문고에 소장되어 있으며, 여러 판본이 존재하고, 디지털 아카이브와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을 통해 열람할 수 있다.
간세이 연간 에도 막부에서는 로주 마쓰다이라 사다노부가 주도하는 간세이 개혁이 시행되고 있었다. 당시 막부는 내정 문제와 대외적 긴장 속에서 정치 쇄신을 꾀하였으며, 막부 초기의 정신으로 돌아가기 위한 문교 진흥 정책을 추진했다.[11][1] 이러한 문교 진흥의 일환으로 여러 가문의 계보를 정리하는 사업이 중요하게 부각되었고, 이에 따라 1799년(간세이 11년) 홋타 마사아쓰를 책임자로 임명하여 『간세이 중수제가보』의 편찬이 시작되었다.[11][1] 이 사업은 기존의 『간에이 제가계도전』 편찬을 잇는 작업이자, 선행된 『반한보 속편』 편찬 사업을 계승하는 의미도 지녔다.[11][1]
이 책은 도쿠가와 이에미쓰 시대에 편찬된 『간에이 제가계도전』(寛永諸家系図伝)의 속편이자, 이전에 진행되던 『반한보 속편』(藩翰譜続編) 편찬 사업을 잇는 성격을 가졌다.[11] 간세이 연간, 로주 마쓰다이라 사다노부가 주도한 간세이 개혁 시기에는 막부 정치 쇄신과 초기 정신 회복을 위한 문교 진흥책이 추진되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1799년 (간세이 11년), 홋타 마사아쓰를 책임자로 하여 『간세이 중수제가보』 편찬 작업이 시작되었다.
2. 편찬 배경
2. 1. 간에이 제가계도전과의 관계
도쿠가와 이에미쓰 시대에 편찬된 『간에이 제가계도전』(寛永諸家系図伝)의 속편에 해당하며, 이전에 진행되었던 『반한보 속편』(藩翰譜続編) 편찬 사업을 계승하는 측면도 있었다.[11][1] 간세이 연간 막부 정치에서는 로주 마쓰다이라 사다노부가 주도한 간세이 개혁이 실시되었고, 막부 초기의 정신으로 돌아가기 위한 문교 진흥 정책의 일환으로 1799년(간세이 11년) 홋타 마사아쓰를 책임자로 임명하여 『간세이 중수제가보』 편찬이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간에이 제가계도전』의 내용을 이어 수정하는 '속수'(続修) 작업으로 기획되었으나, 기존 내용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판단에 따라 1803년(교와 3년)부터는 전면적인 재검토와 수정을 의미하는 '중수'(重修)로 방침이 변경되었다. 편찬 작업은 1812년(분카 9년)에 완료되었다. 편찬에는 『부첩여록』(譜牒余録)과 『제국 계보』(諸家系譜) 등의 사료가 활용되었는데, 『부첩여록』은 도쿠가와 이에야스부터 이에미쓰까지의 기록을 모은 『조쿄 서상』(貞享書上)을 정리한 것이고, 『제국 계보』는 1789년 이후 다이묘와 하타모토에게 제출받은 가보를 정리한 것이다. 즉, 간에이 시대 이후의 내용은 『제국 계보』를, 그 이전 시대에 대해서는 『간에이 제가계도전』과 『부첩여록』을 참조하여 편찬이 이루어졌다.
『간에이 제가계도전』에서는 각 가문 기록에 따라 형제자매의 배열 순서가 일정하지 않았으나, 『간세이 중수제가보』에서는 형제자매를 나이순으로 정렬하는 방침을 세웠다. 그러나 『간에이 제가계도전』 편찬 이후 오랜 시간이 흘렀기 때문에 이 원칙이 완전히 적용되지는 못했다.
니혼 대학 교수 기타하라 아키오에 따르면, 에도 막부는 당초 『간세이 중수제가보』 편찬을 『간에이 제가계도전』의 후속 작업으로 계획했으나, 새로 수집된 족보 정보와 기존 내용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내용상 의문점이 발견되어 단순 후속 작업이 아닌 원본 자체에 대한 교열, 즉 '중수' 작업을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책 이름에 '중수'가 붙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12][2]
한편, 스루가다이 대학 교수 구로다 모토키는 이마가와 우지치카(요시모토의 아버지) 자녀들의 출생 순서를 연구하면서, 『간세이 중수제가보』의 이마가와 씨 계보에 『간에이 제가계도전』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음을 지적했다. 특히 세키구치 우지히로의 부인, 오가사와라 하루요시의 부인, 마쓰다이라 지카요시의 부인(후에 우도노 나가모치와 재혼) 등은 『간에이 제가계도전』 완성 이후 창작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3] 구로다는 이후 이 문제에 대해 재론하며, 세키구치 우지히로는 친형 세나 우지토시와의 혼인 관계 오인, 오가사와라 하루요시와 마쓰다이라 지카요시는 이마가와 씨 일문 중 특별 대우를 받던 '고이카슈'(御一家衆) 가문에서 아내를 맞이한 사실이 후대에 와전된 것일 수 있다고 보았다. 세키구치 우지히로 역시 고이카슈의 일원이었으며, 그의 딸인 쓰키야마도노(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정실)가 "이마가와 요시모토의 조카"로 잘못 알려진 배경 중 하나로 추정된다.[4] 이는 '중수' 과정에서 후대의 창작이나 변형된 내용이 포함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3. 편찬 과정
처음에는 『간에이 제가계도전』의 내용을 이어 수정하는 속수(続修) 방식으로 기획되었으나, 내용 보완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1803년 (교와 3년)부터는 기존 내용을 대폭 수정하고 보완하는 중수(重修) 방식으로 방향이 바뀌었다. 편찬 작업은 1812년 (분카 9년)에 완료되었다. 편찬에는 『부첩여록』(譜牒余録)과 『제국 계보』(諸家系譜) 등 여러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이는 다이묘와 하타모토에게 제출받은 가계 기록을 주요 기반으로 하였다.
3. 1. 자료 수집
『간세이 중수제가보』 편찬에 사용된 주요 자료는 도쿠가와 쇼군 가문의 창업 역사인 『무덕대성기』 편찬을 위해 수집되었던 『조쿄 서상』을 바탕으로 한다. 1799년 (간세이 11년) 홋타 마사아쓰가 책임자가 되어 『조쿄 서상』을 한 권으로 정리하고 『부첩여록』이라 이름 붙였다. 이 『부첩여록』은 1643년 (간에이 20년)에 완성된 『간에이 제가계도전』과 함께 간세이 이전 시기의 주요 참고 자료로 활용되었다.[11]
또한, 다이묘의 가계 기록인 『반한보』의 속편, 즉 『반한보 속편』을 편찬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들도 참고되었다. 1789년 (간세이 원년)에는 여러 다이묘에게, 1791년 (간세이 3년)에는 1만 석 이하 오메미에 이상의 하타모토(막신)에게 『간에이 제가계도전』 편찬 이후의 가계 기록(가보)을 제출하도록 명령했다.
1799년에는 『간세이 중수제가보』 편찬을 위해, 아직 가보를 제출하지 않은 이들에게 제출을 독려하고, 이미 제출한 이들에게도 1798년 (간세이 10년)까지의 추가 기록을 제출하도록 요구했다. 이렇게 1789년 이후 제출된 가보들은 『제국 계보』라는 이름으로 정리되었다.
결론적으로 『간세이 중수제가보』는 간에이 시대 이후의 내용에 대해서는 다이묘와 하타모토가 제출한 가보를 모은 『제국 계보』를 주요 자료로 삼았고, 그 이전 시대에 대해서는 『간에이 제가계도전』과 『부첩여록』을 참조하여 편찬되었다.
4. 구성 및 내용
『간세이 중수제가보』는 총 1,530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10권은 「목록」, 「서문」, 「조례」에 해당한다. 편찬 체제는 『신찬성씨록』을 본떠 황족의 후예인 황별(皇別)과 신의 후예인 신별(神別) 순서로 가문을 배열하였다. 수록 대상은 다이묘와 하타모토를 비롯하여 쇼군을 직접 만날 수 있는 오메미에 이상의 여러 무사, 의사, 동붕(同朋), 다인(茶人) 등 총 1,114개 씨족(氏)과 2,132개 가문(家)에 달하며, 이는 『간에이 제가계도전』의 규모를 크게 넘어선다. 다만, 도쿠가와 쇼군 가문과 그 일족인 어련지(御連枝)는 포함되지 않았다.
수록된 내용은 각 인물의 성씨(모씨), 출생, 입양, 첫 오메미에, 겐푸쿠(元服), 하사받은 이름(사호), 혼인 관계, 관위 서작(叙爵), 근무 순번(반차), 가독 및 영지 상속(습봉), 소유 영지(영지), 녹봉(칠록), 영지 부임(입부), 맡은 직책(직장), 참전 경력(종군력), 공적인 역할 수행(공역), 받은 상(은상), 죄과, 문안(위문), 헌상(진헌), 좋은 말이나 행실(가언, 선행), 은퇴(치사), 사망(졸거), 향년, 법명, 묘지(장지), 배우자(처실) 등 다방면의 항목을 간명하게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하타모토 이하 가문의 기록은 다이묘에 비해 생략된 항목이 많은 편이다. 또한 도카이 지방 출신 인물과 막부 가신(막신)의 계보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으며, 지방 호족 관련 기록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4. 1. 특징
전체 1,53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목록」, 「서문」, 「조례」 10권이 포함된다. 체제는 『신찬성씨록』을 본떠 황별·신별 순서로 배열하였으며, 여러 다이묘, 하타모토 이하 쇼군 가문 오메미에 이상의 여러 무사, 의사, 동붕(同朋), 다인(茶人) 등을 합쳐 총 1,114씨(氏), 2,132가(家)를 수록하여 『간에이 제가계도전』의 규모를 크게 넘어선다. 그러나 도쿠가와 쇼군 가문과 그 어련지(御連枝) 및 일문은 제외되었다.내용상 도카이 지방 출신 인물과 막부 가신(막신)의 계보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으며, 지방 호족 관련 기록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수록된 정보는 모씨(某氏), 출생, 입양, 첫 오메미에, 겐푸쿠(元服), 하사받은 이름, 혼인, 관위 서작(叙爵), 반차(番次), 습봉(襲封), 영지(領知), 녹봉(禄俸), 입부(入部), 직책(職掌), 종군 이력, 공역(公役), 은상, 죄과, 위문, 진헌(進献), 가언(嘉言), 선행, 치사(致仕), 사망(卒去), 향년, 법명, 장지(葬地), 처실(妻室) 등 다양한 항목을 간략하게 기술한다. 다만, 하타모토 이하 가문에 대해서는 다이묘에 비해 항목이 상당히 생략된 경우가 많다.
『간세이 중수제가보』는 에도 시대 다이묘와 하타모토의 이력 및 가족 구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기본 사료로 평가받지만, 모든 내용이 정확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여성의 이름은 모두 '여자'(女子)라고만 기록되어 있어, 특정 여성의 이름이나 생몰년을 확인하려면 다른 사료와 비교 검토가 필수적이다. 또한, 막부에 출생 신고를 하지 않은 자녀(일찍 사망한 경우 등)는 기록되지 않거나, 번주나 하타모토 가문 출신이지만 가신의 가신(배신)으로 소속이 바뀐 인물은 기록에서 누락되거나 매우 간략하게만 언급된다.
당주의 출생 연도 역시 주의가 필요한데, 기초 자료가 된 집안의 계보(呈譜)에는 막부에 신고한 연도(관년)가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당시에는 말기 양자 규정 위반에 따른 상속 시 감봉 등의 처벌을 피하고자 실제 출생 연도보다 늦춰 신고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기 때문에, 이 정보에 기초한 『간세이 중수제가보』의 기술과 실제 출생 연도가 다른 경우도 많다.
형제자매의 배열 순서에 있어서, 『간에이 제가계도전』에서는 기록을 제출한 가문에 따라 순서가 통일되지 않았으나, 『간세이 중수제가보』에서는 장유유서(長幼有序)에 따라 다시 배열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 하지만 『간에이 제가계도전』 편찬 이후 시간이 많이 흘렀기 때문에 완전히 수정되지는 못했다.
니혼 대학 교수 기타하라 아키오에 따르면, 에도 막부는 당초 이 계보 편찬 사업을 『간에이 제가계도전』의 기록을 단순히 이어가는 것으로 계획했으나, 새로 수집한 여러 가문의 족보에서 기존 간에이 족보와의 차이나 의문점이 발견되어 단순한 계승 작업만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결국 간에이 족보 자체에 대한 교열과 수정(중수, 重修) 작업이 불가피해졌고, 이것이 서명에 '중수'라는 단어가 붙게 된 이유이다.[2]
한편, 스루가다이 대학 교수 구로다 모토키는 이마가와 우지치카(이마가와 요시모토의 아버지) 자녀의 출생 순서를 연구하면서, 『간세이 중수제가보』의 이마가와 씨 계보에는 전국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작성된 이마가와 씨 족보나 동시대 기록, 그리고 『간에이 제가계도전』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음을 지적했다. 특히 세키구치 우지히로의 부인, 오가사와라 하루요시의 부인, 마쓰다이라 지카요시의 부인(후에 우도노 나가모치와 재혼) 등은 『간에이 제가계도전』 완성 이후에 창작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3] 그 후, 구로다는 이 문제에 대해 재론하며, 세키구치 우지히로는 친형 세나 우지토시의 혼인과 오인, 오가사와라 하루요시와 마쓰다이라 지카요시는 "고이카슈"라고 불리는 이마가와 씨 일문에서도 특별한 대우를 받던 가문(이마가와 가신단에서는 최상위 가문에 위치했던 가문)에서 아내를 맞이한 것을 후세에 오해받은 것이 아닌가 하고 있다 (세키구치 우지히로도 고이카슈의 한 사람이며, 그의 딸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정실이 된 쓰키야마도노가 "이마가와 요시모토의 조카"로 오인되는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고 추정된다).[4] 이는 중수 과정에서 후대의 창작이나 오류가 개입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5. 사료적 가치
『간세이 중수제가보』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와 하타모토 등 막신(幕臣)의 경력과 가족 구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기본 사료로 평가받는다. 요시카와 홍문관에서 발행한 『국사대사전』에서는 이 책을 "근세 최대의 계보"로 칭하며, 『도쿠가와 실기』와 더불어 중요한 연구 자료로 꼽았다[13][5].
책의 편찬 태도에 대해서는 여러 긍정적인 평가가 있다. 문장이 평이하고 간결하며, 편찬자들이 각 가문에서 제출한 정보에 충실하면서도 의문이 드는 부분은 그 취지를 기록하는 신중함을 보였다고 평가된다[13][5]. 특히 1603년(게이초 8년) 에도 막부 성립 이후의 기술은 정확성이 높다고 여겨지며, 편자들이 사실 검토에 힘쓰고 이전 기록과의 차이점까지 비교하여 기록한 점이 높이 평가된다[14][6]. 또한 막부 기록과 여러 가문의 기록 사이에 모순이 없는지 최대한 확인하려는 노력을 기울인 점도 이 책의 중요한 특징으로 언급된다[15][1].
이러한 상세함과 편찬 과정의 신중함 덕분에, 『간세이 중수제가보』는 막부와 각 번의 관계, 그리고 각 가문의 사회적 위치와 역할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된다.
5. 1. 한계점
『간세이 중수제가보』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지만 몇 가지 한계점도 지적된다.족보 연구가 토요타 타케시는 그의 저서 『일본사 소백과·가계』에서 『간세이 중수제가보』의 게이초 시대(1596년 - 1614년) 이전 기술은 막신 기무라 타카아츠가 쓴 『무덕 편년 집성』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 책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일대기 성격이 강해, 여러 가문의 정보를 충실히 반영한 『간에이 제가계도전』에 비해 신뢰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1603년(게이초 8년) 에도 막부 성립 이후의 기술은 비교적 정확하며, 편자들이 사실 검토에 힘쓰고 이전 기록과의 차이점까지 기록한 점은 긍정적으로 보았다[6][14].
또한 히라노 진야는 『간세이 중수제가보』가 자료 수집 및 서술 단계에서 막부의 입장이 반영되어 선택적으로 기록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과거 사실을 객관적으로 묘사했다고 보기 어려우며, 특히 도쿠가와 쇼군 가문에 대한 충성스러운 조상의 모습을 상세히 기술하여 막부와 여러 가문 간의 바람직한 관계를 강조하려는 정치적 목적이 있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1][15].
스루가다이 대학 교수 구로다 모토키는 이마가와 씨 계보 연구 과정에서, 『간세이 중수제가보』에 전국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작성된 원본 족보나 동시대 기록, 심지어 『간에이 제가계도전』에서도 확인되지 않는 인물이 포함되어 있음을 발견했다. 특히 일부 인물의 부인에 대한 기록은 『간에이 제가계도전』 완성 이후에 창작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이는 중수 과정에서 후대의 창작이 개입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3].
이 외에도 요시카와 홍문관의 『국사대사전』 해설을 쓴 야마모토 타케오는 편자들이 여러 정보를 신중히 다루었지만, 기록의 출처를 일일이 명시하지 않은 점을 한계로 언급했다[5][13].
6. 소장 및 출판 현황
완성 시 막부에 헌상된 헌상본은 막부의 모미지야마 문고(紅葉山文庫)를 거쳐 현재 일본 국립 공문서관 내각문고에 소장되어 있다(총 1,530책).[16] 완성 당시 부본 두 부가 제작되어 한 부는 모미지야마 문고에, 다른 한 부는 닛코 동조궁에 납부되었다.[16][17] 모미지야마 문고의 부본은 메이지 시대 초기의 화재로 인해 약 3분의 1인 597책만 남아 있다.[16][17]
이 외에도 많은 사본이 만들어졌으며, 일본 국립국회도서관과 세이카도 문고(静嘉堂文庫) 등이 사본 전권을 소장하고 있다.[18] 1917년(다이쇼 6년) 당시에는 도쿠가와 사토타카(다야스 가)가 덴포 연간의 사본을, 도쿠가와 사토미치(히토쓰바시 가)가 또 다른 사본을 소유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이와사키 야노스케가 내각 문고 소장본을 바탕으로 사본 제작을 의뢰하여 만든 것이 세이카도 문고 소장본이다.[17]
『간세이 중수제가보』의 첫 활자본(전 9권)은 1917년(다이쇼 6년)부터 1918년(다이쇼 7년)까지 에이신샤(榮進舍) 출판부에서 간행되었다. 이후 1922년(다이쇼 11년)부터 1923년(다이쇼 12년)까지 국민도서주식회사에서 같은 판형으로 간행되어 대중에게 보급되었다.[20][21] 이 다이쇼 시대 활자본은 세이카도 문고 소장 '신사본'을 저본으로 삼았으나, 오탈자나 원본의 용자(用字, 예: 히라가나와 한자 표기 치환, 한자 자체의 무원칙적 변경 등)에 충실하지 못하다는 지적이 있다.[21]
- 『간세이 중수제가보』(에이신샤 출판부, 1917년 7월 - 1918년 6월) → (국민도서, 1922년 - 1923년)
- * 미카미 산지 편, 본문 8책·색인 1책
1964년부터 1967년까지 속군서유종완성회는 다이쇼 시대 간행본을 '복간'하여 『신정 간세이 중수제가보』(新訂 寛政重修諸家譜, 전 22책·색인 4책)를 간행했다. 이 신정판은 간행 시 내각 문고 소장의 막부 헌상본을 바탕으로 전권 교정을 거쳤다.[22]
- 『신정 간세이 중수제가보』(속군서유종완성회 → 야기 서점, 1964년 2월 - 2010년 7월)
- * 다카야나기 미쓰토시·오카야마 야스시·사이키 가즈마 편집 고문. 전 22책·색인 4책·별권 2책
디지털 아카이브를 통해서도 열람할 수 있다.
- 일본 국립 공문서관 소장 막부 헌상본: [https://www.digital.archives.go.jp/ 국립공문서관 디지털 아카이브]에서 열람 가능.
-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소장 국민도서판: [https://dl.ndl.go.jp/info:ndljp/pid/2609334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에서 로그인 없이 열람 가능.
- * [https://dl.ndl.go.jp/info:ndljp/pid/1082717 제1집], [https://dl.ndl.go.jp/info:ndljp/pid/1082719 제2집], [https://dl.ndl.go.jp/info:ndljp/pid/1082714 제3집], [https://dl.ndl.go.jp/info:ndljp/pid/1082713 제4집], [https://dl.ndl.go.jp/info:ndljp/pid/1082718 제5집], [https://dl.ndl.go.jp/info:ndljp/pid/1082716 제6집], [https://dl.ndl.go.jp/info:ndljp/pid/1082721 제7집], [https://dl.ndl.go.jp/info:ndljp/pid/1082720 제8집]
참조
[1]
간행물
'『寛政重修諸家譜』の呈譜と幕府の編纂姿勢'
吉川弘文館
2015-04
[2]
서적
日本の歴史書120選
秋田書店
1993
[3]
서적
北条氏康の妻 瑞渓院
平凡社
2017-12
[4]
서적
'家康の正妻 築山殿 悲劇の生涯をたどる'
平凡社
2022
[5]
서적
日本の歴史書120選
秋田書店
1993
[6]
서적
日本史小百科・家系
近藤出版
1983
[7]
웹사이트
寛政重修諸家譜
https://japanknowled[...]
2021-01-10
[8]
논문
活字本寛政重修諸家譜序
국민도서
1922
[9]
웹사이트
寛政重修諸家譜
http://dbrec.nijl.ac[...]
국문학연구자료관
2021-01-10
[10]
문서
'新訂 寛政重修諸家譜'
[11]
간행물
'『寛政重修諸家譜』の呈譜と幕府の編纂姿勢'
吉川弘文館
2015-04
[12]
서적
日本の歴史書120選
秋田書店
1993
[13]
서적
日本の歴史書120選
秋田書店
1993
[14]
서적
日本史小百科・家系
近藤出版
1983
[15]
간행물
'『寛政重修諸家譜』の呈譜と幕府の編纂姿勢'
吉川弘文館
2015-04
[16]
웹인용
寛政重修諸家譜
https://japanknowled[...]
2021-01-10
[17]
논문
活字本寛政重修諸家譜序
국민도서
1922
[18]
웹인용
寛政重修諸家譜
http://dbrec.nijl.ac[...]
국문학연구자료관
2021-01-10
[19]
논문
活字本寛政重修諸家譜序
국민도서
1922
[20]
웹인용
寛政重修諸家譜
https://japanknowled[...]
2021-01-10
[21]
문서
'新訂 寛政重修諸家譜'
[22]
문서
'新訂 寛政重修諸家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