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갈은상어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은상어속은 은상어목에 속하는 속으로, 현재 25종이 인정된다. 이 속에는 작은눈갈은상어, 아프리카키메라, 필리핀키메라, 유령은상어 등이 포함된다. 한국 해역에는 미쓰쿠리키메라 1종이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어도어 길이 명명한 분류군 - 가시두더지
    가시두더지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섬에 서식하며 가시로 덮인 몸, 긴 주둥이, 발톱을 가진 단공류 포유류로, 알을 낳고 개미 등을 먹으며, 위협 시 몸을 둥글게 말거나 땅에 숨는 특징을 지닌다.
  • 시어도어 길이 명명한 분류군 - 쥐가오리과
    쥐가오리과는 날개 모양 가슴지느러미와 머리지느러미를 가진 연골어류로, 여과 섭식을 하며,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매가오리과에서 독립된 과로 인정받았고, 쥐가오리속을 유일한 현존 속으로 가지며 암초대왕쥐가오리, 대왕쥐가오리 등을 포함하고, 멸종된 화석 속인 아르키아오만타도 알려져 있다.
갈은상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학문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아문척추동물아문
연골어류강
아강전두어아강
은상어목
은상어과
갈은상어속 (Hydrolagus)
속 명명자T. N. Gill, 1862년
모식종Chimaera colliei
모식종 명명자Lay & Bennett, 1839년
지질학적 기록
가장 오래된 화석마이오세
하위 분류
하위 분류본문 참조
H. affinis
H. africanus
H. alberti
H. alphus
H. barbouri
H. bemisi
H. colliei
H. deani
H. eidolon
H. homorhynchus
H. lemures
H. lusitanicus
H. macrophthalmus
H. marmoratus
H. matallanasi
H. mccoskeri
H. melanophasma
H. mirabilis
H. ogilbyi
H. pallidus
H. purpurescens
H. sallei
H. trolli

2. 하위 종

현재 갈은상어속(''Hydrolagus'')에는 약 26종이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5] 이들은 전 세계의 다양한 해역, 주로 온대 및 열대 해역의 심해에 분포한다. 각 종의 상세한 목록과 주요 서식지별 분포는 아래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미국 캘리포니아주마이오세와 플리오세 지층에서 갈은상어속의 화석 유해가 발견되어, 이들이 지질학적으로 오래전부터 존재해왔음을 알 수 있다.[4]

2. 1. 주요 서식지별 종 목록

갈은상어속(''Hydrolagus'')은 전 세계의 온대 및 열대 해역 심해에 주로 서식하는 연골어류이다. 현재 약 26종[2][3][5]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주로 태평양, 대서양 등 다양한 해역에서 발견된다. 각 해역별 주요 서식 종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또한, 미국 캘리포니아주마이오세와 플리오세 지층에서 화석 유해가 발견되어 과거부터 존재해왔음을 알 수 있다.[4]

2. 1. 1. 태평양

갈은상어속 어류 중 다수는 태평양의 다양한 해역에 서식한다. 북미 서부 연안에서는 점박이 쥐물고기(Hydrolagus colliei)가 대표적이며, 동아시아 해역, 특히 일본 근해에서는 `Hydrolagus eidolon`과 `미쓰쿠리 키메라(Hydrolagus mitsukurii)` 등이 발견된다.

동남아시아의 필리핀 주변 해역에서는 필리핀키메라(Hydrolagus deani)가 서식하며,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호주와 뉴질랜드, 뉴칼레도니아 등지에 검은 유령상어(Hydrolagus homonycteris), 어두운 유령상어(Hydrolagus novaezealandiae), 오길비유령은상어(Hydrolagus ogilbyi), 심해 유령상어(Hydrolagus trolli) 등이 분포한다.[5]

동태평양의 갈라파고스 제도 근해에서는 갈라파고스 유령상어(Hydrolagus mccoskeri)가, 더 넓은 동태평양 지역에서는 동태평양 검은 유령상어(Hydrolagus melanophasma)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하와이와 일본 근해에서는 심해성 어류인 보라색 키메라(Hydrolagus purpurescens)가 발견되기도 한다.

또한, 미국 캘리포니아마이오세와 플리오세 지층에서 갈은상어속의 화석이 발견되어, 이들이 과거부터 태평양 지역에 서식해왔음을 시사한다.[4]

2. 1. 2. 대서양

(내용 없음)

2. 1. 3. 기타 해역

현재 갈은상어속(''Hydrolagus'')에는 다음 종들이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Hydrolagus affinis'' (Brito Capello, 1868) (작은눈 갈은상어)
  • ''Hydrolagus africanus'' (Gilchrist, 1922) (아프리카 키메라)[2]
  • ''Hydrolagus alberti'' Bigelow & Schroeder, 1951 (걸프 키메라)
  • ''Hydrolagus alphus'' Quaranta, Didier, Long & Ebert, 2006 (흰반점 유령상어)
  • ''Hydrolagus barbouri'' (Garman, 1908) (나인스팟 키메라)
  • ''Hydrolagus bemisi'' Didier, 2002 (창백한 유령상어)
  • ''Hydrolagus colliei'' (G. T. Lay & E. T. Bennett, 1839) (점박이 쥐물고기)
  • ''Hydrolagus deani'' (H. M. Smith & Radcliffe, 1912) (필리핀 키메라)
  • ''Hydrolagus eidolon'' D. S. Jordan & C. L. Hubbs, 1925
  • ''Hydrolagus erithacus'' Walovich, Ebert & Kemper, 2017 (로빈 유령상어)[3]
  • ''Hydrolagus homonycteris'' Didier, 2008 (검은 유령상어)
  • ''Hydrolagus lemures'' (Whitley, 1939) (렘유령상어)
  • ''Hydrolagus lusitanicus'' T. Moura, I. M. R. Figueiredo, Bordalo-Machado, A. C. Almeida & Serrano-Gordo, 2005 (포르투갈 키메라)
  • ''Hydrolagus macrophthalmus'' F. de Buen, 1959 (큰눈 키메라)
  • ''Hydrolagus marmoratus'' Didier, 2008 (대리석 유령상어)
  • ''Hydrolagus matallanasi'' Soto & Vooren, 2004 (줄무늬 갈은상어)
  • ''Hydrolagus mccoskeri'' L. A. K. Barnett, Didier, Long & Ebert, 2006 (갈라파고스 유령상어)
  • ''Hydrolagus melanophasma'' K. C. James, Ebert, Long & Didier, 2009 (동태평양 검은 유령상어)
  • ''Hydrolagus mirabilis'' (Collett, 1904) (큰눈 갈은상어)
  • ''Hydrolagus mitsukurii'' (D. S. Jordan & Snyder, 1904) (미쓰쿠리 키메라)
  • ''Hydrolagus novaezealandiae'' (Fowler, 1911) (어두운 유령상어)
  • ''Hydrolagus ogilbyi'' (Waite, 1898) (오길비 유령상어)
  • ''Hydrolagus pallidus'' Hardy & Stehmann, 1990 (창백한 키메라)
  • ''Hydrolagus purpurescens'' (C. H. Gilbert, 1905) (보라색 키메라)
  • ''Hydrolagus trolli'' Didier & Séret, 2002 (심해 유령상어)
  • ''Hydrolagus waitei'' Fowler, 1907 (웨이트유령상어)


이 속의 화석 유해는 미국 캘리포니아주마이오세와 플리오세 지층에서 발견되었다.[4]

참조

[1] 논문 Annotated checklist of the living sharks, batoids and chimaeras (Chondrichthyes) of the world, with a focus on biogeographical diversity. http://onlinelibrary[...] Journal of Fish Biology 2016
[2] 논문 Redescription of Hydrolagus africanus (Gilchrist, 1922) (Chimaeriformes: Chimaeridae), with a review of southern African chimaeroids and a key to their identification. http://www.tandfonli[...] African Journal of Marine Science 2015
[3] 논문 Hydrolagus erithacus sp. nov. (Chimaeriformes: Chimaeridae), a new species of chimaerid from the southeastern Atlantic and southwestern Indian oceans. Zootaxa 2017
[4] 간행물 Miocene–early Pliocene chimaeroid fishes (Holocephali, Chimaeroidei) from California and a review of the global Neogene chimaeroid diversity and distribution. Journal of the Vertebrate Paleontology 2011
[5] 논문 Redescription of Hydrolagus africanus (Gilchrist, 1922) (Chimaeriformes: Chimaeridae), with a review of southern African chimaeroids and a key to their identification. http://www.tandfonli[...] African Journal of Marine Science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