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식 (194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경식은 1940년 경상북도 경산 출생으로, 진주 강씨이며, 고려대학교 정치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육군 보병학교와 공병학교, 국방대학교를 졸업했다. 그는 대중당, 국민당, 한국국민당, 자유민주연합, 새천년민주당 등 여러 정당에서 활동했으며, 한국국민당 원내 수석부총무, 부산 21세기 연구회 회장, 열린우리당 고문 등을 역임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으며, 여러 차례 국회의원 및 지방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대학교 경영대학원 동문 - 노기태
노기태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국회의원과 부산 강서구청장을 역임했으며 부산대학교 총학생회장, 삼성그룹, 금강공업, 부산광역시 정무부시장, 부산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 국제신문 대표이사 사장, 부산항만공사 사장을 지냈다. - 성지초등학교 (부산) 동문 - 김영춘 (1962년)
김영춘은 고려대 총학생회장 출신으로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고 김영삼 전 대통령 비서관으로 정계 입문하여 16, 17, 20대 국회의원과 해양수산부 장관, 국회사무총장을 역임했으나 부산시장 보궐선거 낙선 후 정계 은퇴를 선언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성지초등학교 (부산) 동문 - 안상영
안상영은 서울시청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해 부산광역시장을 역임한 정치인이었으나, 뇌물수수 혐의로 수사받던 중 자살하여 검찰 수사 과정에 대한 논란을 일으켰다. - 민주통일당 (1973년 대한민국) 당원 - 신상초
신상초는 일제강점기 항일 운동에 참여하고 해방 후 정치인으로 활동했으며, 대한민국에서 국회의원, 교수, 연구원 대표 등을 역임했다. - 민주통일당 (1973년 대한민국) 당원 - 유청 (정치인)
유청은 경성고등상업학교를 졸업하고 전주 지역 학교 교장을 지낸 교육자 출신으로, 민주당, 민정당, 신민당에서 제4·5·6·8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활동을 전개한 정치인이다.
강경식 (1940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강경식 |
한자 표기 | 姜慶植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일 | 1940년 12월 12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경산 |
사망일 | 2017년 5월 29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본관 | 진주(晋州) |
직업 | 정치인 |
군 복무 | 육군중위 전역 |
경력 | |
경력 | 대통합민주신당 고문 |
학력 | |
학력 | 부산대 경영대학원 |
정치 활동 | |
정당 | 무소속 |
의원 선수 | 1 |
2. 생애
2. 1. 출생 및 학력
본관은 진주이며 경상북도 경산 출생이다.3. 학력
wikitext
- 1953년 성지국민학교 졸업
- 1956년 부산개성중학교 졸업
- 1959년 부산상업고등학교 졸업
- 1963년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정치경제학과 학사 졸업
- 1964년 육군보병학교 졸업
- 1964년 육군공병학교 졸업
- 1970년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15기
3. 1. 비학위 수료
4. 경력
경력 |
---|
고려대학교 동창 학생 회장 |
개성중학교 동창 회장 |
부산상업고등학교 동창회 부회장 |
고려대학교 교우회 상임 이사 |
ROTC 제1기 동기회 이사 |
대중당 상임위원 |
국민당 상임위원 |
한국국민당 당무위원 |
한국국민당 원내 수석부총무·운영위원회 간사·건설위원회 간사·남북 국회회담 대표 |
한국국민당 전임위원 |
1995년~1996년: 자유민주연합 전임위원 |
2000년~2001년: 새천년민주당 부산시당 부산진구 갑 지구당 위원장 |
2001년~2002년: 새천년민주당 전임고문 |
부산 21세기 연구회 회장 |
범시민 금정산 보존회 회장 |
2006년~2007년: 열린우리당 고문 |
2007년~2008년: 대통합민주신당 고문 |
진주 강씨 중앙종회 부회장 |
前 진주 강씨 부산 진종회 회장 |
5.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67년 | 총선 | 대중당 | 1,580표 (1.98%) | 3위 | 낙선 | |
1971년 | 총선 | 국민당 | 4,194표 (3.78%) | 3위 | 낙선 | |
1978년 | 총선 | 무소속 | 24,050표 (7.72%) | 4위 | 낙선 | |
1981년 | 총선 | 민주사회당 | 50,796표 (22.54%) | 3위 | 낙선 | |
1985년 | 총선 | 한국국민당 | 95,636표 (36.65%) | 1위 | 당선 | 초선 |
1988년 | 총선 | 신민주공화당 | 15,842표 (12.15%) | 3위 | 낙선 | |
1995년 | 지방 선거 | 무소속 | 55,138표 (26.23%) | 2위 | 낙선 | 민선 1기 |
1996년 | 총선 | 자유민주연합 | 13,262표 (14.62%) | 3위 | 낙선 | |
1998년 | 지방 선거 | 자유민주연합 | 14,659표 (9.58%) | 3위 | 낙선 | 민선 2기 |
2000년 | 총선 | 새천년민주당 | 10,658표 (11.67%) | 3위 | 낙선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