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산시는 대한민국 경상북도에 위치한 도시로, 1989년 경산읍에서 시로 승격되었으며, 1995년 경산군과 통합하여 도농복합시가 되었다. 금호강 유역 분지에 위치하며, 대구광역시와 인접하여 대구의 위성도시로 성장했다. 주요 산업은 자동차 부품 산업이며, 경부고속도로 경산 나들목,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대구선, 경부선 철도 등을 통해 교통망이 구축되어 있다. 주요 교육 기관으로는 영남대학교, 대구대학교 등 여러 대학교가 있으며, 팔공산 갓바위, 남매지, 반곡지 등 관광 명소와 경산 자인 단오제 등의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산시 - 경산시민의 날
경산시민의 날은 경산시 승격을 기념하여 시민 자긍심 고취와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자 지정된 날로, 매년 5월 10일에 기념 행사와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시민 화합과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한다. - 경산시 - 한국한의약진흥원
한국한의약진흥원은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설립되어 한의약 기술의 과학화, 우수 한약재 재배 등을 지원하며, 한의약 육성 정책 개발 및 전문 인력 양성 사업을 추진하는 기관이다. - 경산시의 행정 구역 - 하양읍
하양읍은 경상북도 경산시에 속한 읍으로, 고려 시대에 하주로 불리다가 개칭되었으며, 1973년에 읍으로 승격되었고, 현재 16개의 법정리를 관할하며, 다양한 교육, 산업,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다. - 경산시의 행정 구역 - 용성면
용성면은 경상북도 경산시에 위치한 면으로, 1914년 자인군 상동면, 하동면, 청도군 일위면 일부가 통합되어 형성되었으며, 면사무소는 한국전쟁 중 소실 후 당리리로 이전하여 현재 면 행정복지센터가 위치해 있다. - 경상북도의 도시 - 상주시
상주시는 경상북도 서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사벌국에서 유래하여 신라, 고려, 조선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농업 기반 경제, 풍부한 문화유적, 뛰어난 교통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고, 현재 인구 감소에 대응하며 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경상북도의 도시 - 구미시
구미시는 경상북도 중서부에 위치하며, 구미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급속한 산업화를 이루어 대한민국 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자원을 보유한 인구 약 40만 명의 도시이다.
경산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유형 | 시 |
한국어 이름 (한자) | }} |
로마자 표기 | Gyeongsan-si |
McCune–Reischauer 표기 | Kyŏngsan-si |
![]() | |
![]() | |
지리 | |
면적 | 411.58 km² |
![]() | |
인구 통계 | |
인구 (2024년 9월 기준) | 266,951 명 |
인구 밀도 | 574.52 명/km²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2 읍, 6 면, 6 동 |
추가 정보 | |
지역 번호 | +82-53-8xx |
방언 | 경상 방언 |
시청 소재지 | 경산시 남매로 159(중방동) |
웹사이트 | 경산시 공식 웹사이트 |
시장 | 조현일 (국민의힘) |
국회의원 | 조지연(국민의힘) |
시목 | 은행나무 |
시화 | 목련 |
시조 | 까치 |
2. 역사
경산 지역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14년 4월 1일 경산군, 자인군, 하양군 및 신녕군 남면을 통합하여 '''경산군'''이 설치되었다.[9]
2. 1. 경산시
- 1956년 7월 8일 경산면이 경산읍으로 승격되었다.[12]
- 1989년 1월 1일 경산읍이 경산시로 승격되었다.[13] (6개 행정동)
- 1995년 1월 1일 경산시와 경산군이 통합되어 도농복합형태의 경산시가 되었다.[14] (1읍 7면 6개 행정동)
- 1997년 11월 1일 진량면이 진량읍으로 승격되었다.[15] (2읍 6면 6개 행정동)
- 2004년 10월 18일 서부동이 서부1동, 서부2동으로 분동되었다.[16] (2읍 6면 7개 행정동)
- 2007년 1월 8일 용성면 쟁광리가 일광리로 개칭되었다.[17]
- 2020년 1월 1일 압량면이 압량읍으로 승격되었다. (3읍 5면 7개 행정동)
2. 2. 경산군
- 1914년 4월 1일 경산군, 자인군, 하양군 및 신녕군 남면을 통합하여 '''경산군'''이 되었다.(11면)[9]
- 1956년 7월 8일 경산면이 경산읍으로 승격되었다.(1읍 10면)[12]
- 1973년 7월 1일 안심면과 하양면이 각각 안심읍, 하양읍으로 승격되었다.(3읍 8면)
- 1981년 7월 1일 안심읍이 대구직할시 동구에, 고산면이 대구직할시 수성구에 각각 편입되었다.(2읍 7면)
- 1987년 1월 1일 압량면 일부가 경산읍에 편입되고, 영천군 청통면 일부가 와촌면에, 와촌면 일부가 영천군 금호읍에 편입되었다.(2읍 7면)
- 1989년 1월 1일 경산읍이 경산시로 승격하면서 군에서 분리되었다.(1읍 7면)[13]
- 1995년 1월 1일 경산군이 경산시와 통합되어 경산시가 되었다.(경산군 소멸)[14]
3. 지리
경산시는 경상북도 중앙 남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금박산과 용산이 솟아 영천시와 청도군을 경계로 하고 있다. 선의산, 구룡산은 동남쪽으로, 환성산맥은 북쪽으로 뻗어 영천시, 대구광역시와 접한다.
하천은 동남쪽으로 흐르는 오목천과 하도지를 기점으로 하는 남천이 북쪽으로 흘러, 동서로 가로질러 흐르는 금호강에 합류한다. 하천 연안 평야 지역은 비옥한 토지와 관개 시설을 갖추고 있어 농업 생산의 기반 역할을 한다.[18]
경산시는 남부 내륙형 기후에 속하며, 대구 특수형에 가깝다.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사이에 위치한 남부내륙형 기후지역은 분지적 특색을 나타내어 연강수량이 적고, 여름철 기온이 높으며 기온의 연교차가 큰 지역이다. 이러한 현상은 금호강 유역 분지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경산시는 한반도 연강수량에 비해 소다우지역에 속하는데, 이는 주로 지형적인 영향 때문이다.[6]
한국 강수의 대부분은 저기압성 강우인데, 이 저기압은 중국 대륙 및 동중국해에서 발생하여 동쪽으로 이동한다. 황해와 남해에서 습한 바람이 이 저기압 중심을 향하여 유입되는 과정에서 소백산맥 서쪽 사면과 남해안 지역은 바람이 불어오는 쪽이 되어 많은 비가 내리지만, 소백산맥을 넘어 경상북도에 이르렀을 때는 이미 많은 습기를 잃었고, 바람이 불어가는 쪽이 되므로 상대적으로 강수량이 적어진다.
겨울철 북동기류형의 기압 배치가 되었을 때도 동해를 거쳐 불어오는 습윤한 북동풍이 강릉, 속초 부근에서 상륙하게 되고, 경상북도에 이르렀을 때는 태백산맥을 넘어 건조한 바람이 되기 때문에 강우량이 적다. 온화한 기후는 남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내륙에 위치하여 기후는 대륙성 기후를 나타낸다.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강수량은 한국의 연평균 강수량보다 적다.[6]
경산 대구 가톨릭대학교 스트로마톨라이트는 경산시 하양읍 대구가톨릭대학교에 있는 지질 지형이다. 이 화석은 중생대 백악기 호수에서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며, 박테리아 화석 함유 정도, 화석의 보존성 및 형태의 다양성에 있어서 세계적일 뿐만 아니라 생성 당시 호수의 규모나 환경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1]
3. 1. 지형
경상북도 중앙 남부에 자리하여 금박산, 용산이 동쪽으로 우뚝 솟아 영천시와 청도군을 경계로 하고 있으며, 선의산, 구룡산은 동남으로, 환성산맥은 북으로 뻗어 영천시, 대구광역시에 접하고 있다.하천은 동남으로 흐르는 오목천과 하도지를 기점으로 하는 남천이 북으로 흘러, 동서로 가로질러 흐르는 금호강에 합류하고 있으며 하천 연안 평야 지역은 비옥한 토지와 관개 시설로 농업 생산 기반 역할을 하고 있다.[18]
3. 2. 기후
경산시는 남부 내륙형에 속하며, 대구 특수형에 가깝다.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사이에 끼여있는 남부내륙형 기후지역은 분지적 특색을 나타내어 연강수량이 적은 지역이며, 하계 기온이 가장 높고 기온의 연교차가 큰 지역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금호강유역 분지에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 경산시는 한반도 연강수량에 비해 소다우지역에 속하는데, 이는 주로 지형적인 영향에서 비롯된다.[6]한반도 강수 대부분은 저기압성 강우인데 이 저기압은 중국 대륙 및 동중국해에서 발생하여 동쪽으로 이동해 오며, 황해와 남해에서 습한 바람이 이 저기압 중심을 향하여 유입하는 과정에서 소백산맥 서사면과 남해안 지역은 풍상 측이 되어 많은 비를 오게 하지만, 소백산맥을 넘어 경상북도에 이르렀을 때는 벌써 많은 습기를 손실하였고 또한, 풍하 측이 되므로 상대적으로 강수량이 적어진다.
또한, 동계 북동기류 형의 기압 배치가 되었을 때도 동해를 거쳐 불어오는 습윤한 북동풍이 강릉, 속초 부근에서 상륙하게 되고 경상북도에 이르렀을 때는 태백산맥을 넘어 건조한 바람이 되기 때문에 역시 강우량이 적다. 온화한 기후는 남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내륙에 위치하여 기후는 대륙성 기후를 나타낸다.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강수량은 한국의 연평균 강수량보다 적다.[6]
3. 3. 지질
경산 대구 가톨릭대학교 스트로마톨라이트는 경산시 하양읍 대구가톨릭대학교에 있는 지질 지형이다. 이 화석은 중생대 백악기 호수에서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며, 박테리아 화석 함유 정도, 화석의 보존성 및 형태의 다양성에 있어서 세계적일 뿐만 아니라 생성 당시 호수의 규모나 환경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가치를 갖고 있다.[1]
4. 행정 구역
경산시의 행정 구역은 3읍 5면 7동으로, 하위 행정구역은 28법정동 225리로 구성되어 있다.[19] 2015년 5월 31일 기준으로 경산시의 면적은 411.70km2이며, 인구는 100,037세대, 255,406명이다.[19]
읍·면·동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km2) |
---|---|---|---|---|
하양읍 | 河陽邑 | 10,414 | 26,472 | 48.6 |
진량읍 | 珍良邑 | 14,710 | 38,794 | 46.2 |
압량읍 | 押梁邑 | 5,157 | 15,657 | 18.35 |
와촌면 | 瓦村面 | 2,671 | 6,064 | 47.9 |
자인면 | 慈仁面 | 2,810 | 6,224 | 22.05 |
용성면 | 龍城面 | 1,754 | 3,707 | 79.4 |
남산면 | 南山面 | 1,759 | 3,904 | 38.17 |
남천면 | 南川面 | 1,468 | 3,486 | 70.53 |
중앙동 | 中央洞 | 3,134 | 7,244 | 0.83 |
동부동 | 東部洞 | 11,186 | 37,829 | 18.46 |
서부1동 | 西部洞 | 13,619 | 40,831 | 5.64 |
서부2동 | 西部洞 | 7,142 | 22,938 | 1.49 |
남부동 | 南部洞 | 6,396 | 17,679 | 3.74 |
북부동 | 北部洞 | 6,408 | 13,205 | 9.1 |
중방동 | 中方洞 | 2,901 | 11,538 | 1.24 |
압량읍은 2020년 1월 1일에 읍으로 승격되었다.
행정동·읍·면 | 법정동·법정리 |
---|---|
중앙동 | 삼북동, 중방동 |
동부동 | 남방동, 내동, 여천동, 유곡동, 신천동, 점촌동, 평산동, 사동, 삼풍동, 계양동 |
서부1동 | 옥곡동, 사정동, 옥산동 |
서부2동 | 중산동, 정평동 |
남부동 | 삼남동, 서상동, 신교동, 상방동, 백천동 |
북부동 | 대평동, 대정동, 임당동, 대동, 조영동, 갑제동, 계양동 |
중방동 | 중방동[4] |
하양읍 | 금락리, 동서리, 도리리, 서사리, 양지리, 사기리, 대곡리, 교리, 한사리, 대학리, 부호리, 남하리, 은호리, 청천리, 환상리, 대조리 |
진량읍 | 아사리, 상림리, 부기리, 문천리, 양기리, 내리리, 평사리, 선화리, 신상리, 북리, 봉회리, 보인리, 안촌리, 속초리, 신제리, 대원리, 황제리, 가야리, 당곡리, 평사리, 시문리, 광석리, 다문리, 현내리, 마곡리 |
압량읍 | 부디리, 신대리, 압량리, 용암리, 금구리, 현흥리, 인안리, 의송리, 신촌리, 내리, 가일리, 당음리, 신월리, 백안리, 강서리, 당리리 |
와촌면 | 소월리, 덕촌리, 시천리, 용천리, 계당리, 상암리, 계전리, 동강리, 박사리, 대동리, 대한리, 신한리, 강학리, 음양리 |
남천면 | 구일리, 금곡리, 대명리, 신방리, 원리, 협석리, 흥산리, 하도리, 신석리, 송백리, 삼성리, 산전리 |
자인면 | 계남리, 계림리, 남신리, 단북리, 북사리, 신관리, 서부리, 일현리, 읍천리, 원당리, 울옥리, 옥천리, 신도리, 동부리, 남촌리, 교촌리 |
남산면 | 갈지리, 사월리, 상대리, 안심리, 송내리, 흥정리, 하대리, 평기리, 조곡리, 전지리, 인흥리, 우검리, 연하리, 산양리, 반곡리, 경리, 남곡리, 사림리 |
용성면 | 가척리, 일광리, 용천리, 용전리, 용산리, 외촌리, 송림리, 부제리, 부일리, 미산리, 매남리, 도덕리, 덕천리, 곡란리, 곡신리, 내촌리, 대종리, 당리리, 고죽리, 고은리 |
5. 인구
경산시한국어의 인구는 2012년 2월 기준 약 25만 명이었다.[20] 2011년 2월부터 소폭 감소 추세에 있다. 외국인 인구 비율은 2.5%이다. 1990년대 이후 대구광역시의 베드타운으로 성장하며 인구가 증가하였으나, 최근 다시 소폭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연도 | 총인구 |
---|---|
1975년 | 175,930명 |
1980년 | 190,762명 |
1985년 | 139,652명 |
1990년 | 145,074명 |
1995년 | 173,746명 |
2000년 | 228,206명 |
2005년 | 242,297명 |
2010년 | 266,036명 |
2013년 | 248,805명 |
2017년 | 257,590명 |
6. 경제
경산시의 주요 경제 산업은 자동차 부품 산업이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SL, 아진산업이 있다. 이 외에도 타이코 AMP, 코오롱인더스트리와 같은 대기업들이 있다.[5]
또한 시내에는 한국조폐공사 화폐 본부가 있어 원화를 생산하고 있다.
7. 교통
=== 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산 나들목(진량읍 신상리)과 새만금포항고속도로 청통와촌 나들목(와촌면과 영천시 청통면 경계)이 있다. 중앙고속도로는 옥산동 및 백천동 일대로 통과하지만 나들목이 없어서 수성 나들목을 이용해야 한다.[21]
국도 제4호선이 하양읍을, 국도 제25호선이 시내를 통과하여 서쪽으로 대구광역시, 동쪽으로 영천시, 경주시와 남쪽으로 청도군을 연결한다. 국지도 제69호선이 하양읍, 진량읍과 자인면, 남산면을 남북으로 연결하고, 지방도 제919호선이 와촌면, 하양읍, 진량읍, 시내, 자인면, 용성면 등 거의 모든 구역을 남북으로 통과한다.[21]
=== 철도 ===
한국철도공사(KORAIL)
대구교통공사
시역의 서부를 경부선이, 북부를 대구선이 통과한다. 경부고속선이 시의 중앙을 가로지르지만, 시내에는 역이 없다.
경부선의 경산역은 KTX (구포 경유) 일부, ITX-새마을 일부와 무궁화호의 거의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동대구역으로부터의 소요 시간은 10분, 부산역까지는 약 1시간 15분이다.
대구선의 하양역은 경유하는 모든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동대구역으로부터의 소요 시간은 약 18분, 경주역까지는 약 50분이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은 2012년 9월 19일,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사월역에서 영남대역까지 연장 개통했다. 또한 기존 종점이었던 사월역도 시역에서 300m 거리에 있기 때문에, 이용이 가능하다.
2024년 하반기에는 구미 - 경산 간 대경선이 함께 개통되었고, 대구 도시철도 1호선도 하양역까지 연장 개통되었다.[21]
7. 1. 도로
경부고속도로 경산 나들목(진량읍 신상리)과 새만금포항고속도로 청통와촌 나들목(와촌면과 영천시 청통면 경계)이 있다. 중앙고속도로는 옥산동 및 백천동 일대로 통과하지만 나들목이 없어서 수성 나들목을 이용해야 한다.[21]국도 제4호선이 하양읍을, 국도 제25호선이 시내를 통과하여 서쪽으로 대구광역시, 동쪽으로 영천시, 경주시와 남쪽으로 청도군을 연결한다. 국지도 제69호선이 하양읍, 진량읍과 자인면, 남산면을 남북으로 연결하고, 지방도 제919호선이 와촌면, 하양읍, 진량읍, 시내, 자인면, 용성면 등 거의 모든 구역을 남북으로 통과한다.[21]
7. 2. 철도
한국철도공사(KORAIL)대구교통공사
시역의 서부를 경부선이, 북부를 대구선이 통과한다. 경부고속선이 시의 중앙을 가로지르지만, 시내에는 역이 없다.
경부선의 경산역은 KTX (구포 경유) 일부, ITX-새마을 일부와 무궁화호의 거의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동대구역으로부터의 소요 시간은 10분, 부산역까지는 약 1시간 15분이다.
대구선의 하양역은 경유하는 모든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동대구역으로부터의 소요 시간은 약 18분, 경주역까지는 약 50분이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은 2012년 9월 19일,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사월역에서 영남대역까지 연장 개통했다. 또한 기존 종점이었던 사월역도 시역에서 300m 거리에 있기 때문에, 이용이 가능하다.
2024년 하반기에는 구미 - 경산 간 대경선이 함께 개통되었고, 대구 도시철도 1호선도 하양역까지 연장 개통되었다.[21]
8. 교육
경산시는 대구광역시와 인접해 있어 교육 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특히, 여러 대학교들이 위치하여 지역 교육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8. 1. 대학교
경산시에는 다음과 같은 대학교들이 있다.종류 | 학교 |
---|---|
4년제 | 경일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대학교, 대구사이버대학교, 대구외국어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대신대학교, 영남대학교, 영남신학대학교, 영남사이버대학교 |
전문대학 | 대경대학교, 영남외국어대학, 호산대학교 |
사이버대학 | 한국복지사이버대학교 |
9. 관광
경산시의 주요 관광 자원은 다음과 같다.
- '''문화유적'''
- * 갓바위
- '''축제'''
- * 경산 자인 단오제
- * 경산 갓바위 축제
- '''기타'''
- * 임당동 고분군
- * 경산 시장
- * 대구대학교 박물관
- * 경산 럭비장
10. 스포츠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는 삼성 라이온즈 2군의 홈구장이다. 경산 럭비장도 있다.
11. 정치
경산시는 국회의원 선거에서 단일 선거구를 구성하고 있으며, 현재 경산시의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소속의 윤두현 의원이다.[1]
대수 | 이름 | 정당 | 임기 |
---|---|---|---|
제17대 | 김종률 | 열린우리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제18대 | 최경환 | 한나라당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제19대 | 최경환 | 새누리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1월 19일 |
제20대 | 최경환 |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 → 무소속 | 2016년 5월 30일 ~ 2019년 7월 12일 |
제21대 | 윤두현 |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 2020년 5월 30일 ~ 현재 |
11. 1. 경산시장
경산시장 및 경산시장 선거 문서를 참고하라.11. 2. 국회의원
경산시의 국회의원12. 자매 도시
경산시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3]
국가 | 도시 |
---|---|
대한민국|大韓民國한국어 | 전라남도 신안군 |
대한민국|大韓民國한국어 | 서울특별시 강동구 |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중국어 | 산둥성 칭다오 자오저우 |
일본|日本일본어 | 교토부 조요시 |
13. 우호 도시
14. 기타
경산시의 시화는 목련이며, 시조는 까치, 시목은 은행나무이다.[2] 환성사는 경산시의 대표적인 사찰이다.
14. 1. 상징물
경산시의 시화는 목련으로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란다. 시조는 까치이다. 맑고 고운 노랫소리는 시민들의 밝고 희망찬 기상을 반영한다. 시목은 은행나무로 경산 시민들의 굳건한 번영과 끈기, 고상한 기품을 상징한다.[2]14. 2. 종교 시설
환성사는 경산시의 대표적인 사찰이다.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Gyeongsan Symbols, Gyeongsan City
https://web.archive.[...]
2007-09-30
[3]
웹사이트
Sister/Friend Cities
https://gbgs.go.kr/o[...]
Gyeongsan
2020-04-13
[4]
문서
Original data from city webpage
[5]
웹사이트
List of major companies in Gyeongsan City
https://informative.[...]
2024-11-28
[6]
웹사이트
welcome to Gyeongsan City Hall
https://web.archive.[...]
2008-01-26
[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8]
웹사이트
피휘(避諱)
http://www.dg1news.c[...]
2023-11-20
[9]
문서
(新旧対象) 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称一覧 (1917年)
[10]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1]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2]
문서
법률 제393호 읍·면설치와행정구역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56년 7월 8일)
[13]
문서
법률 제4050호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년 12월 31일)
[14]
문서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 8월 3일)
[15]
문서
경산시 조례 제226호 진량읍설치에관한조례 (1997년 10월 22일)
[16]
문서
경산시 조례 제481호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2004년 10월 6일)
[17]
문서
경산시 조례 제592호 동·리의명칭과구역에관한조례 (2007년 1월 8일)
[18]
웹사이트
2010년 경산시 통계연보
http://www.gyeongsan[...]
2011-07-22
[19]
웹사이트
경산시의 행정구역
http://www.gyeongsan[...]
2011-07-23
[20]
문서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21]
뉴스
대구-경북 40분 단일 생활권 된다…대구권 광역철도 2023년 개통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21-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