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통합민주신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통합민주신당은 2007년 8월 5일 열린우리당 탈당파, 중도통합민주당 탈당파, 한나라당 일부 진보파, 시민운동 세력이 결합하여 창당된 정당이다. 창당 당시 원내 제2당이었으며, 열린우리당을 흡수 합병하여 원내 제1당이 되기도 했다. 2008년 2월 통합민주당과 합당하여 통합민주당으로 당명을 변경했다. 주요 활동으로는 정동영을 대선 후보로 내세워 제17대 대선에 참여했으나 이명박 후보에게 패배했다. 4대 핵심 이념으로 민주주의, 평화, 통합, 환경을 제시했으며, 시민의 힘 강화, 경제 체제 건설, 복지 실현 등을 정책 비전으로 삼았다. 초대 대표최고위원은 오충일이었으며, 이후 손학규가 대표최고위원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주당계 정당 - 조국혁신당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주도하여 창당된 조국혁신당은 검찰 독재 저지를 목표로 2024년 제22대 총선에서 비례대표 전략을 통해 12석을 확보, 원내 제3당이 되었으며 윤석열 탄핵에 찬성하는 입장을 표명하고 자유주의적 진보 성향을 표방하며 경제적 진보주의, 정부 주도의 경제 개입, 북한과의 평화적 협력을 주요 정책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조국 대표의 유죄 판결 확정 이후 김선민이 당 대표 권한대행을 맡고 있다.
  • 민주당계 정당 - 시민통합당
    시민통합당은 2011년 야권 대통합 과정에서 창당되어 김두관, 남인순, 문성근, 문재인, 이용선, 이해찬 6명의 공동대표 체제로 운영되었으며, 민주당, 한국노총과 합당하여 민주통합당으로 통합되었다.
  • 문재인 - 문재인 아들 고용정보원 채용 특혜 의혹 및 논란
    문재인 아들 고용정보원 채용 특혜 의혹 및 논란은 문재인 아들 문준용의 한국고용정보원 채용 과정에서 불거진 비정상적인 경쟁률, 채용 절차 공정성, 특혜성 휴직 및 퇴직금 등의 의혹과 관련된 일련의 사건들을 다룬다.
  • 문재인 - 문준용
    문준용은 미디어 아티스트이자 문재인 전 대통령의 아들로, 국제적으로 작품성을 인정받았으나 한국고용정보원 채용 특혜 의혹으로 정치적 논란의 중심에 섰다.
  • 2008년 해산된 정당 - 평화통일가정당
    평화통일가정당은 "가정이 바로서야 나라가 바로섭니다"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곽정환이 총재를 맡았던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2003년 창당 후 2008년 총선에서 저조한 득표율로 등록이 취소되었다.
  • 2008년 해산된 정당 - 민주당 (2007년 대한민국)
    2005년 중도통합민주당에서 당명 변경 후 2007년 대선에서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한 이인제 후보로 인해 2008년 대통합민주신당과 통합하여 통합민주당으로 재출범하며 소멸된 정당이 민주당 (2007년 대한민국)이다.
대통합민주신당
기본 정보
로고
정당 이름 (한국어)대통합민주신당
정당 이름 (한자)大統合民主新黨
로마자 표기Daetonghamminjusindang
약칭신당, 민주신당, 대통합신당
창당일2007년 8월 5일
해산일2008년 2월 17일
해산 이유민주당과의 통합
본부 위치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16
색상주황
후신 정당통합민주당
이전 정당열린우리당, 중도통합민주당
웹사이트대통합민주신당 (폐쇄)
정치
이념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 중도개혁주의
정치 성향중도
대표손학규
원내대표김효석
최고위원우원식
정동영
최성
정성호
장영달
문희상
관련 정보
분당열린우리당
한나라당
민주당

2. 창당 과정

2007년 8월 5일, 열린우리당 탈당파, 중도통합민주당 탈당파, 한나라당 일부 진보파, 시민운동 세력이 결합하여 대통합민주신당이 창당되었다.[16] 창당 당시 의석수는 84석으로 원내 제2당이었으며, 제1당은 한나라당이었다. 노무현 대통령에게 충성하는 우리당 의원들이 당 정부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는 다른 당원들과 결별하면서 이 당이 결성되었다.

같은 해 8월 20일, 열린우리당과 합당하여 의석수 143석의 원내 제1당이 되었다.[17] 그러나 2007년 11월 2일, 강길부 의원이 탈당하여 의석수가 142석으로 감소하였다.

월일주요 사건
2007년8월 5일우리당 탈당자와 중도통합민주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대통합민주신당(민주신당) 결성. 오충일 대표 취임[16]
8월 20일민주신당, 우리당 흡수 합병. 한나라당을 제치고 원내 제1당[17]
11월 2일강길부 의원 탈당


2. 1. 당명 변경

2008년 2월 17일, 대통합민주신당은 통합민주당(약칭 민주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9] 이는 열린우리당이 새천년민주당에서 분당된 지 4년 만의 일이다.

3. 주요 활동 및 이념

대통합민주신당은 열린우리당을 흡수한 후 정동영을 대선 후보로 내세워 제17대 대선에 참여했다. 친노 이미지를 벗기 위한 노력을 했으나, 국민들의 불신으로 한나라당의 이명박 후보에게 530만 표 차로 패배하였다. 이로 인해 친노 세력은 정치적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2]

대선 이후 손학규를 대표최고위원으로 선출하고 이명박 정부에 대한 견제를 지속하였다. 이후 민주당과 합당하여 통합민주당을 창당하였다.[10][11]

대통합민주신당의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월일주요 사건
2007년8월 5일우리당 탈당자와 중도통합민주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대통합민주신당(민주신당) 결성. 대표에 오충일이 취임[16]
8월 20일민주신당, 우리당을 흡수 합병. 한나라당을 제치고 원내 제1당이 됨[17]
10월 15일후보자 예비선거에서 전 우리당 의장 정동영이 민주신당의 대통령 후보로 확정[18]
11월 12일민주신당과 민주당의 4자 회합에서 양당 통합과 대통령 후보 단일화에 합의[19]
11월 20일민주신당과 민주당의 통합 협의가 결렬[20]
11월 22일민주신당과 민주당의 통합 협상이 시한이 되어 통합이 무산됨[21]
12월 19일대통령 선거 개표. 민주신당 정동영 후보,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에게 큰 차이로 패배
2008년1월 10일국회 내에서 열린 중앙위원회에서 전 경기도 지사 손학규를 4월 총선까지의 임기로 하는 새로운 대표로 선출[22]
2월 11일민주신당 손학규 대표와 민주당 박상천 대표의 회담에서 양당 통합을 선언[23]
2월 17일통합민주당(민주당)이 발족. 새천년민주당 분당 이후 약 4년 5개월 만에 구 여당 세력이 통합됨.



*링크는 연합뉴스조선일보

대통합민주신당의 창당과 해산 과정

3. 1. 4대 핵심 이념

민주, 평화, 통합(정치적), 환경을 4대 기본가치로 삼았다.[24] 당 강령 서문에서 민주주의, 평화, 통합, 환경주의을 4대 기본 이념으로 내세우는 동시에, 다음과 같은 정책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13][3]

  • 시민의 힘을 더욱 성숙시켜 강화하고, 실질적인 민주주의를 실현한다.
  • 공정하고 역동적인 선진적 경제 체제를 건설한다.
  • 인간 중심의 따뜻한 복지사회 통합을 실현한다.
  • 창의력이 넘치고 경쟁력 있는 교육문화 강국을 건설한다.
  • 평화 체제를 구축하고,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의 경제·문화 공동체를 건설한다.
  • 환경 보건 체제를 개선하고, 환경 친화적인 경제 구조를 추구한다.

3. 2. 정책 비전


  • 시민의 힘을 더욱 성숙시켜 강화하고, 실질적인 민주주의를 실현한다.[13]
  • 공정하고 역동적인 선진적 경제 체제를 건설한다.[13]
  • 인간 중심의 따뜻한 복지사회 대통합을 실현한다.[13]
  • 창의력이 넘치고 경쟁력 있는 교육문화 강국을 건설한다.[13]
  • 평화 체제를 구축하고,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의 경제·문화 공동체를 건설한다.[13]
  • 환경 보건 체제를 개선하고, 환경 친화적인 경제 구조를 추구한다.[13]
  • 개혁·관용·통합된 민주주의를 실현한다.[13]
  •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대한민국 정부를 추구한다.[13]
  • 의회민주주의를 더욱 활성화하여 생활정치·정책정치를 실현한다.[13]
  • 주체적으로 글로벌화를 추구한다.[13]
  • 새로운 성장의 원동력을 개발하고 확충한다.[13]
  • 중소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를 늘린다.[13]
  • 세금의 공평화를 실현한다.[13]
  • 서민과 중산층을 위한 부동산 안정 정책을 확립한다.[13]
  • 인간 중심의 지속 가능한 사회 정책을 지향한다.[13]
  • 창의적인 인재 육성과 평생교육 체제를 확충한다.[13]
  • 약자의 소득 안정화를 보장하는 복지 정책을 실시한다.[13]
  • 다양성이 존중되는 창의적인 문화 강국을 건설한다.[13]
  • 저출산·고령화 사회를 위한 지원책을 확대한다.[13]
  • 젠더평등여성의 사회 활동을 보장한다.[13]
  • 가족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따뜻한 사회를 지향한다.[13]
  • 노동 시장의 유동성·유연성을 높이고, 사회 안전망을 확충하며, 사회적 대화합을 추진한다.[13]
  • 생태 환경과 공존 가능한 사회를 건설한다.[13]
  • 지방분권 시대를 맞아 주민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지원을 강화한다.[13]
  • 상호 공존 번영의 한반도 경제 공동체를 실현한다.[13]
  • 한반도의 비핵화 및 평화 체제를 구축한다.[13]
  • 국제사회에 기여하는 평화 외교를 실현한다.[13]

4. 역대 지도부

대수역대 대표직함임기비고
1오충일대표최고위원2007년 8월 5일 ~ 2008년 1월 10일
2손학규대표최고위원2008년 1월 11일 ~ 2008년 2월 15일통합민주당으로 당명 변경



2007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이 충격적인 결과를 받자, '교황 선거' 방식을 채택하여 새 지도자를 선출하기로 결정했다. 그 결과, 2008년 1월 11일 과반수 이상의 대표 투표를 통해 손학규가 2008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을 이끌 지도자로 선출되었다.[2]

4. 1. 주요 당직자

5. 2007년 대통령 선거

2007년 대통령 선거를 위한 민주신당(열린우리당)의 대통령 후보 경선은 2007년 9월 3일부터 10월 14일까지 예비경선과 본경선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예비경선에서는 추미애, 신기남, 천정배, 김두관이 탈락하고, 정동영, 손학규, 한명숙, 이해찬, 유시민 5명이 본경선에 진출했다.[14]

본경선은 당원뿐 아니라 일반 유권자도 참여하는 오픈 프라이머리(open primary)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전국 각지에서 투표가 진행된 결과, 정동영손학규의 양강 구도가 형성되었다. 결국 정동영손학규를 제치고 승리하여, 2007년 10월 15일 후보 지명 대회에서 민주신당의 대통령 후보로 공식 지명되었다.[15]

본선에서 정동영 후보는 6,174,681표(26.1%)를 얻는 데 그쳐 2위로 낙선하였다.[16]

5. 1. 경선 과정

다음 주요 일정 목록은 국민경선위원회[4]에서 관리했다.

  • 2007년 8월 21일과 22일 - 위원회에서 공식 발표가 있었고, 등록 절차가 진행되었다.
  • 2007년 8월 25일 - 경선 후보자 명단이 발표되었고, 컷오프 과정이 시작되었다.
  • 2007년 8월 27일 - 후보자 정책 토론회가 열렸다.
  • 2007년 9월 5일 - 경선에 진출할 5명의 후보를 선출하기 위한 컷오프 결과가 발표되었다.
  • 2007년 9월 5일부터 14일까지 - 전국 주요 도시에서 정책 토론회(순회)가 개최되었다.
  • 2007년 9월 15일부터 10월 14일까지 - 8개 권역에서 경선이 실시되었다.
  • 2007년 10월 14일 - 정동영이 당의 공식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


2007년 대통령 선거를 위한 민주신당(열린우리당)의 대통령 후보 경선은 9월 3일부터 5일까지 실시된 예비경선과 9월 15일부터 10월 14일까지 진행된 본경선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예비경선에서 추미애, 신기남, 천정배, 김두관이 탈락하여 본경선은 5명의 후보로 압축되었다.

예비경선 후보자 목록
후보자명프로필
정동영
손학규
한명숙[14]
이해찬
유시민[14]



본경선에서는 당원이 아닌 일반 유권자도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오픈 프라이머리(open primary)를 도입하여 전국 각지에서 투표가 진행되었고, 최종적으로 정동영손학규의 2파전으로 압축되었다. 강력한 조직력을 갖춘 정동영손학규를 누르고 승리하여 10월 15일 후보 지명 대회에서 민주신당(열린우리당) 대통령 후보로 공식 지명되었다.[15]

민주신당 본경선 결과 (괄호 안은 득표율)
후보자득표수
정동영216,984 (43.8%)
손학규168,799 (34.0%)
이해찬110,128 (22.2%)


5. 2. 경선 규칙

대통합민주신당의 경선 규칙은 크게 컷오프와 예비선거 두 단계로 나뉜다.

컷오프는 여론조사 50%와 당원 여론조사 50%를 합산하여 상위 5명의 후보를 선출하는 방식이었다. 여기서 '여론조사'는 당 지지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유권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4] 컷오프 결과, 정동영, 손학규, 한명숙, 이해찬, 유시민 후보가 예비경선에 진출했다.

예비선거는 8개 권역별 예선, 모바일 투표, 그리고 여론조사(10%) 결과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8개 권역별 예선과 모바일 투표 결과가 90%를 차지했다.[4] 과반득표제와 전자투표 시스템이 사용되었다.

예비경선 후보는 다음과 같다.


5. 3. 경선 후보

2007년 8월 25일 기준으로 9명의 정치인이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5] 공식 경선에 돌입하기 전, 9명에서 5명으로 후보자 수를 줄이기 위한 '컷오프' 과정을 거쳤다.[6] 이후, 전 보건복지부 장관 류시민과 전 국무총리 한명숙이 경선에서 사퇴하면서 후보자 수는 3명으로 줄었다.[7]

다음은 2007년 9월 5일 05:30(GMT)에 발표된 대통합민주신당 경선의 공식 후보 명단이다.[8]

이름직업주요 정책비고
손학규 (손학규|孫鶴圭한국어)경기도 지사선진 경제, 통합 사회, 한반도 평화한나라당 출신 보수·개혁파를 이끌었음
정동영 (정동영|鄭東泳한국어)전 통일부 장관대륙·평화 경제, 4천만 중산층 계획, 에어7 프로젝트우리당 대표
이해찬 (이해찬|李海瓚한국어)관악구을 대한민국 국회의원한반도의 안정적인 평화 기반 구축, 일자리&교육21, 사회 통합, 성숙한 민주주의전 대한민국 국무총리 (36대)


5. 4. 경선 결과

지역날짜투표자 수득표율 (%)손학규정동영이해찬합계
울산광역시제주9월 15일84,25718.94,089 (26.1%)5,265 (33.6%)3,414 (21.8%)15,658
강원도충청북도9월 16일93,83420.95,279 (26.9%)8,645 (44.0%)5,511 (28.1%)19,626
광주광역시전라남도9월 29일246,51822.6319,906 (35.68%)26,065 (46.71%)9,826 (17.61%)55,797
부산광역시경상남도9월 30일209,51814.618,577 (28.01%)11,150 (36.42%)10,890 (35.57%)30,617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및 전라북도10월 14일9,467 (16.12%)42,026 (71.56%)7,236 (12.32%)58,729
인천광역시경기도10월 14일16,747 (41.88%)16,142 (40.37%)7,098 (17.75%)39,987
대구광역시경상북도10월 14일3,547 (38.96%)2,706 (29.72%)2,851 (31.32%)9,104
서울특별시10월 14일13,631 (32.14%)20,977 (49.46%)7,802 (18.40%)42,410
이동 투표10월 4일~14일238,72574.3370,031 (39.46%)62,138 (35.02%)45,284 (25.52%)177,453
여론 조사10월 8일~14일--17,525 (35.34%)21,850 (44.06%)10,216 (20.60%)49,591
합계1,969,15625.18168,799 (34.04%)216,984 (43.75%)110,128 (22.21%)495,911



최종적으로 정동영 후보가 216,984표(43.8%)를 얻어 168,799표(34.0%)를 얻은 손학규 후보를 누르고 대통합민주신당의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 이해찬 후보는 110,128표(22.2%)를 기록했다.

5. 5. 대선 결과

2007년 대선에서 정동영 후보는 6,174,681표(26.1%)를 얻어 2위로 낙선하였다.[16]

선거후보득표수득표율결과
2007년정동영6,174,68126.1%낙선


6. 역대 전당대회

2007년 8월 5일, 대통합민주신당 창당대회에서 오충일 창당준비위원장이 대표최고위원으로 추대되었다.[1]

2007년 8월 20일,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 합당수임기관 합동회의에서 민주당의 대통합민주신당 흡수합당이 결의되었다.[2]

2008년 2월 13일, 대통합민주신당 최고위원회에서 당명 변경을 통해 새 당명을 통합민주당으로 하는 창당이 의결되었다.[3]

참조

[1] 웹사이트 변하지 않으면 죽는다…위기 정당들은 어떻게 변했을까 https://raythep.mk.c[...] 2018-06-18
[2] 웹사이트 Sohn Hak-kyu chosen to lead United New Democratic Party https://english.hani[...] 2024-02-14
[3] 웹사이트 Official Platform of the UNDP https://web.archive.[...] 2007-09-27
[4] 웹사이트 The process of UNDP primary http://undp.kr/dsn/s[...] Public primary election committee of the UNDP 2007
[5] 웹사이트 Daily Briefing of the UNDP http://www.undp.kr/b[...] Spokesperson of the UNDP 2007-08-24
[6] 웹사이트 네이버 ::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 https://www.naver.co[...] 2024-02-14
[7] 웹사이트 Chung Dong-young Leads 3-Way Nomination Race https://www.koreatim[...] 2007-09-16
[8] 웹사이트 신당 '컷오프 발표' 뒤죽박죽 망신살1·2위 54표차, 4위 유시민 5위 한명숙 https://www.ohmynews[...] 2007-09-05
[9] 웹사이트 '통합민주당' 공식 출범 https://www.hani.co.[...] 2008-02-17
[10] 뉴스 新党と民主党が合同宣言 新千年民主党分裂から4年5ヵ月ぶり http://japan.donga.c[...] 東亜日報 2008-02-11
[11] 뉴스 統合民主党が正式発足「新政権けん制の役割を遂行」 http://www.wowkorea.[...] 韓国新聞・政治 2008-02-17
[12] 뉴스 DJ “民主党50年の伝統が失われた”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新聞 2007-08-25
[13] 웹사이트 민주신당소개 - 綱領 http://undp.kr/sub_i[...] 2007-08-07
[14] 기타
[15] 뉴스 大統領選:鄭東泳氏が勝利=大統合民主新党予備選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7-10-15
[16] 뉴스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7-08-05
[17] 뉴스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7-08-21
[18] 뉴스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7-10-15
[19] 뉴스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7-11-13
[20] 뉴스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7-11-20
[21] 뉴스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7-11-22
[22] 뉴스 孫鶴圭氏、民主新党の新代表に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8-01-11
[23] 뉴스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8-02-12
[24] 웹사이트 민주신당소개-강령 http://undp.kr/sub_i[...] 2007-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