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릉공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릉공항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위치한 공항이다. 한국 전쟁 중에는 미국 공군이 K-18로 사용했으며, 1969년 대한항공 YS-11기 납북 사건이 발생했다. 과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국내선 정기편을 운항했으며, 국제선 전세편도 운항한 적이 있다. 2022년에는 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 실패로 공군 기지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공군의 기지 - 김해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76년 개항 이후 2023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이용객을 기록하며 동남권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시설 부족, 안전 및 소음 문제로 인해 김해신공항 건설이 백지화되고 가덕도신공항 건설이 추진 중이다.
  • 대한민국 공군의 기지 - 군산공항
    군산공항은 전라북도 군산시에 위치하며, 1938년 일본군 비행장을 기반으로 설립되어 민간 공항으로 운영되다가, 현재는 이스타항공과 진에어가 제주 노선을 운항하고 미 공군과 대한민국 공군이 공동으로 사용하며, 국제선 취항 문제, 소음 피해 등의 논란이 있는 공항이다.
  • 강릉시의 교통 - 경강선
    경강선은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으로, 경기도 시흥시 월곶역부터 강원도 강릉시 강릉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구간과 강릉선 KTX 구간으로 나뉘어 운행되며, 수도권 동서 연결 및 평창 동계올림픽 교통 지원에 기여했고 향후 인천에서 원주까지 연결될 예정이다.
  • 강릉시의 교통 - 강릉 나들목
    강릉 나들목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에 위치한 동해고속도로의 33번 교차로로, 국도 제35호선과 연결되며 2001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고 2017년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 강릉시의 건축물 - 강릉아산병원
    강릉아산병원은 1996년 강릉병원으로 개원하여 2002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2021년 제4기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되어 강원 영동 권역응급의료센터 역할을 수행한다.
  • 강릉시의 건축물 - 주문진고속버스종합터미널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에 위치한 주문진고속버스종합터미널은 동해상사고속, 강원여객, 강원흥업 등이 동서울, 서울남부, 속초, 거진, 강릉, 동대구, 부산 등 주요 도시로 노선을 운행하는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터미널이다.
강릉공항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항 이름강릉 비행 기지
현지 이름강릉 공항
영어 이름Gangneung Airbase
IATA 코드KAG
ICAO 코드RKNN
공항 종류군용
소유/운영 주체대한민국 공군
위치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좌표37°45'12"N 128°56'37"E
해발 고도11m (35ft)
활주로 정보
활주로 번호08/26
활주로 길이2,743m (9,000ft)
활주로 표면콘크리트
ILS26번 활주로에 있음
기타 정보
여객 서비스 중단일2002년 4월 2일
비행단18 전투비행단

2. 역사

한국 전쟁 당시 미국 공군은 강릉공항을 '''K-18'''로 지정하여 사용했다.

1969년 대한항공 YS-11기 납북 사건이 발생하여, 대한항공 YS-11기가 김포국제공항으로 운항하던 중 북한 공작원에 의해 납치되어 북한에 착륙했다. 이 사건으로 승객 7명과 승무원 4명은 대한민국으로 돌아오지 못했다.[3]

2022년 10월 5일에는 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 실패로 인해 공군 기지에서 대규모 폭발이 발생했다.[4]

2. 1. 한국 전쟁

한국 전쟁 당시 미국 공군은 강릉공항을 '''K-18'''로 지정하여 사용했다.

1969년 대한항공 YS-11기가 강릉공항에서 김포국제공항으로 운항하던 중 북한 공작원에 의해 납북되었다. 이 사건으로 승객 7명과 승무원 4명은 대한민국으로 돌아오지 못했다.[3]

2022년 10월 5일에는 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 실패로 인해 공군 기지에서 대규모 폭발이 발생하기도 했다.[4]

2. 2. 주요 사건 및 사고

2. 2. 1. 대한항공 YS-11기 납북 사건 (1969년)

1969년 대한항공 YS-11기가 강릉공항에서 김포국제공항으로 운항하던 중 북한 공작원에 의해 납치되어 북한에 착륙했다. 승객 7명과 승무원 4명은 대한민국으로 돌아오지 못했다.[3]

2. 2. 2. 대한항공 175편 추락 사고 (1989년)

1989년 11월 25일, 승객과 승무원 53명을 태우고 김포국제공항을 출발한 대한항공 포커 F-28 터보 제트기가 이륙 직후 활주로에 추락하면서 화재가 발생, 탑승객 45명이 부상을 입었다. 사고 원인은 엔진 결함이었다.[9]

2. 2. 3. 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 실패 (2022년)

2022년 10월 5일, 공군 기지에서 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 실패로 대규모 폭발이 발생했다.[4]

3. 과거 운항 노선

과거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이 강릉공항에서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을 운항했었다. 대한항공후쿠오카행 국제선 전세편과 서울(김포), 부산, 제주행 국내선 노선을 운항했다. 아시아나항공서울(김포), 광주, 부산, 제주행 국내선 노선을 운항했었다.[1]

3. 1. 국제선

대한항공후쿠오카행 전세편을 운항했다.

3. 2. 국내선

과거 대한항공서울(김포), 부산, 제주 노선을, 아시아나항공서울(김포), 광주, 부산, 제주 노선을 운항했다.[1]

4. 과거 이용객 추이

연도1997년1998년1999년2000년2001년2002년
운항 (편수)7,8356,3535,6325,8574,732914
여객 (명)900,448626,893564,669515,249409,68367,355
전년 대비 여객 증감 (명)-273,555-62,224-49,420-105,566-342,328

[8]

참조

[1] 웹사이트 Airport information for RKNN http://worldaerodata[...]
[2] 간행물 GCM DAFIF
[3] 뉴스 41년 만에 유엔서 재조명되는 북한의 국제범죄 http://www.independe[...] 2010-07-07
[4] 웹사이트 Giant explosion at South Korean airbase https://www.9news.co[...] 2022-10-05
[5] 간행물 WAD DAFIF
[6] Great Circle Mapper Great Circle Mapper http://www.gcmap.com[...]
[7] 뉴스 선수 이동편의위해 강릉공항 재가동 http://www.kado.net/[...]
[8] 웹사이트 1997~2010 한국공항공사 항공이용통계 참조 http://airport.co.kr[...] 20110529161210
[9] 뉴스 대한항공 또 추락, 사고 개요.원인.문제점 http://imnews.imbc.c[...]
[10]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