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개비사촌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특징
- 3. 하위 분류
- 3.1. 제리속 (''Neomixis'')
- 3.2. 개개비사촌속 (''Cisticola'')
- 3.3. 인카나속 (''Incana'')
- 3.4. 프리니아속 (''Prinia'')
- 3.5. 스키스톨라이스속 (''Schistolais'')
- 3.6. 프라그마시아속 (''Phragmacia'')
- 3.7. 오레오필라이스속 (''Oreophilais'')
- 3.8. 마이크로마크로누스속 (''Micromacronus'')
- 3.9. 우롤라이스속 (''Urolais'')
- 3.10. 오레올라이스속 (''Oreolais'')
- 3.11. 드라이모치클라속 (''Drymocichla'')
- 3.12. 스필롭틸라속 (''Spiloptila'')
- 3.13. 필롤라이스속 (''Phyllolais'')
- 3.14. 아팔리스속 (''Apalis'')
- 3.15. 말코루스속 (''Malcorus'')
- 3.16. 하이퍼게루스속 (''Hypergerus'')
- 3.17. 에미니아속 (''Eminia'')
- 3.18. 카마로프테라속 (''Camaroptera'')
- 3.19. 칼라모나스테스속 (''Calamonastes'')
- 3.20. 유립틸라속 (''Euryptila'')
- 3.21. 바트모케르쿠스속 (''Bathmocercus'')
- 3.22. 스케포미크테르속 (''Scepomycter'')
- 3.23. 오르토토무스속 (''Orthotomus'')
- 3.24. 아르티소르니스속 (''Artisornis'')
- 3.25. 폴리올라이스속 (''Poliolais'')
- 3.26. 에레모멜라속 (''Eremomela'')
- 4. 계통 분류
- 5. 과거 분류
- 참조
2. 특징
개개비사촌과는 구대륙(아프리카, 유라시아)의 넓은 범위에 서식한다. 초원과 같은 넓은 땅에서 발견되는, 갈색 또는 회색의 매우 작은 곤충(식충성) 조류이다. 열대 아프리카(에티오피아 구)가 기원이며, 일본에는 세카 1종이 서식하고 있다.
개개비사촌과에는 26개 속에 168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개개비사촌과 종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6]
3. 하위 분류
3. 1. 제리속 (''Neomixis'')
개개비사촌과에는 26개 속에 168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개개비사촌과 종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6] 그 중 네오믹시스속(Neomixis)은 제리스라고도 불리며, 3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속은 다른 모든 개개비사촌과에 기저이다.[7]3. 2. 개개비사촌속 (''Cisticola'')
개개비사촌속(''Cisticola'')은 개개비사촌과에 속하는 조류 속으로, 53종으로 구성되어 있다.[6]
붉은얼굴세카/Red‐faced Cisticola영어 (''Cisticola erythrops'')[14][15], 앙골라붉은얼굴세카/Lepe Cisticola영어 (''Cisticola lepe''), 노래세카/Singing Cisticola영어 (''Cisticola cantans''), 휘파람세카/Whistling Cisticola영어 (''Cisticola lateralis''), 검은등세카/Trilling Cisticola영어 (''Cisticola woosnami''), 재잘거림세카/Chattering Cisticola영어 (''Cisticola anonymus''), 앙골라세카/Bubbling Cisticola영어 (''Cisticola bulliens''), 검은얼굴세카/Chubb’s Cisticola영어 (''Cisticola chubbi''), 고원세카/Hunter’s Cisticola영어 (''Cisticola hunteri''), 눈썹검정세카/Black‐lored Cisticola영어 (''Cisticola nigriloris''), 남부바위세카/Lazy Cisticola영어 (''Cisticola aberrans''), 바위세카/Rock-loving Cisticola영어 (''Cisticola emini''), Rattling Cisticola영어 (''Cisticola chiniana''), 에티오피아세카/Boran Cisticola영어 (''Cisticola bodessa''), 목덜미흰세카/Churring Cisticola영어 (''Cisticola njombe''), 잿빛세카/Ashy Cisticola영어 (''Cisticola cinereolus''), 타나세카/Tana River Cisticola영어 (''Cisticola restrictus''), 검은머리세카/Tinkling Cisticola영어 (''Cisticola rufilatus''), 회색등세카/Grey‐backed Cisticola영어 (''Cisticola subruficapilla''), 흰배세카/Wailing Cisticola영어 (''Cisticola lais''), 동부흰배세카/Lynes’s Cisticola영어 (''Cisticola distinctus''), Rufous‐winged Cisticola영어 (''Cisticola galactotes''), 사사세카/Winding Cisticola영어 (''Cisticola marginatus''), Coastal Cisticola영어 (''Cisticola haematocephalus''), Ethiopian Cisticola영어 (''Cisticola lugubris''), Luapula Cisticola영어 (''Cisticola luapula''), 짹짹세카/Chirping Cisticola영어 (''Cisticola pipiens''), 검은뚜껑세카/Carruthers’s Cisticola영어 (''Cisticola carruthersi''), 붉은뚜껑세카/Levaillant’s Cisticola영어 (''Cisticola tinniens''), 얼룩세카/Stout Cisticola영어 (''Cisticola robustus''), 케냐세카/Aberdare Cisticola영어 (''Cisticola aberdare''), 울음세카/Croaking Cisticola영어 (''Cisticola natalensis''), 붉은머리세카/Red‐pate Cisticola영어 (''Cisticola ruficeps''), 서부붉은머리세카/Dorst’s Cisticola영어 (''Cisticola dorsti''), 작은세카/Tiny Cisticola영어 (''Cisticola nana''), Short‐winged Cisticola영어 (''Cisticola brachypterus''), 붉은세카/Rufous Cisticola영어 (''Cisticola rufus''), 여우세카/Foxy Cisticola영어 (''Cisticola troglodytes''), 풀색세카/Neddicky영어 (''Cisticola fulvicapilla''), 꼬리긴세카/Long‐tailed Cisticola영어 (''Cisticola angusticauda''), 휘파람세카/Black‐tailed Cisticola영어 (''Cisticola melanurus''), 세카/Zitting Cisticola영어 (''Cisticola juncidis''), 소코트라세카/Socotra Cisticola영어 (''Cisticola haesitatus''), 마다가스카르세카/Madagascar Cisticola영어 (''Cisticola cherina''), 사막세카/Desert Cisticola영어 (''Cisticola aridulus''), 가슴무늬세카/Cloud Cisticola영어 (''Cisticola textrix''), 검은등세카/Black‐backed Cisticola영어 (''Cisticola eximius''), 검은꼬리세카/Dambo Cisticola영어 (''Cisticola dambo''), 작은꼬리세카/Pectoral‐patch Cisticola영어 (''Cisticola brunnescens''), Pale‐crowned Cisticola영어 (''Cisticola cinnamomeus''), 꼬리딱새/Wing‐snapping Cisticola영어 (''Cisticola ayresii''), 타이완세카/Golden‐headed Cisticola영어 (''Cisticola exilis'') 등이 있다.[14][15]
3. 3. 인카나속 (''Incana'')
인카나속(''Incana'')은 단일 종인 소코트라 휘파람새(''Incana incanus'')를 포함하고 있으며[6], 이전에는 개개비사촌속(''Cisticola'')에 속해 있었다.[14]
3. 4. 프리니아속 (''Prinia'')
프리니아속(''Prinia'')은 개개비사촌과에 속하는 조류 속이다.[6] 30종으로 구성되어 있다.[6]3. 5. 스키스톨라이스속 (''Schistolais'')
(목덜미흰풀밭새)와 (시에라리온풀밭새)의 2종으로 구성되어 있다.[6] 이들은 이전에 프리니아속(Prinia)에 속했으나, 현재는 별도의 속으로 분리되었다.[14]
3. 6. 프라그마시아속 (''Phragmacia'')
, 가슴무늬풀밭새는 프라그마시아속의 단일종이다.[6]
3. 7. 오레오필라이스속 (''Oreophilais'')
오레오필라이스속(''Oreophilais'')은 개개비사촌과에 속하는 조류의 단형 속이다.[6] 이 속에 속하는 유일종은 로버츠 휘파람새 (''Oreophilais robertsi'')이다.[6]
3. 8. 마이크로마크로누스속 (''Micromacronus'')
마이크로마크로누스속(''Micromacronus'')은 개개비사촌과에 속하는 조류 속의 하나이다.[6] 2종으로 구성되어 있다.[6]
3. 9. 우롤라이스속 (''Urolais'')
''Urolais''속은 개개비사촌과에 속하는 조류의 한 속이다.[6] 단일종인 녹색 긴꼬리( ''Urolais epichlora'')를 포함한다.[6]
3. 10. 오레올라이스속 (''Oreolais'')
에 속하는 ''오레올라이스속''(Oreolais)은 2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전에는 ''아팔리스속''(Apalis)으로 분류되었다.[8]3. 11. 드라이모치클라속 (''Drymocichla'')
, 붉은날개 회색 휘파람새(''Drymocichla incana'')는 단일종으로 이루어진 드라이모치클라속(''Drymocichla'')에 속한다.[6]
3. 12. 스필롭틸라속 (''Spiloptila'')
, 귀뚜라미벌레잡이/Cricket Longtail영어[6]는 개개비사촌과에 속하는 단일 종이다.[14]
3. 13. 필롤라이스속 (''Phyllolais'')
필롤라이스속(''Phyllolais'')은 개개비사촌과의 한 속으로, 황갈색배 휘파람새(''Phyllolais pulchella'') 단일 종을 포함한다.[6]
3. 14. 아팔리스속 (''Apalis'')
개개비사촌과(''Cisticolidae'')에는 26개 속, 168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아팔리스속(''Apalis'')에는 다음 26종이 속한다.[6]
오레올라이스속(''Oreolais'')은 이전에는 아팔리스속(''Apalis'')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별도의 속으로 분리되었다.[8]
3. 15. 말코루스속 (''Malcorus'')
'''말코루스속'''(''Malcorus'')은 개개비사촌과에 속하는 조류 속의 하나이다. 붉은귀개개비(''Malcorus pectoralis'')[6] 한 종만을 포함하고 있다.
3. 16. 하이퍼게루스속 (''Hypergerus'')
하이퍼게루스속(''Hypergerus'')은 개개비사촌과의 한 속으로, 꾀꼬리 휘파람새(''Hypergerus atriceps'') 단일 종으로 구성된다.[6] 이 새는 꾀꼬리를 닮은 외모를 가지고 있다.
3. 17. 에미니아속 (''Eminia'')
, , 잿빛머리벌레잡이는 이전에는 에서 분리되었다.[14]
3. 18. 카마로프테라속 (''Camaroptera'')
카마로프테라속(''Camaroptera'')은 5종으로 구성되어 있다.[6]3. 19. 칼라모나스테스속 (''Calamonastes'')
칼라모나스테스속(''Calamonastes'')은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4종의 조류를 포함한다.[6] 칼라모나스테스속은 이전에는 캄마로프테라속(''Camaroptera'')에 속했으나, 현재는 별도의 속으로 분리되었다.[14]3. 20. 유립틸라속 (''Euryptila'')
유립틸라속(''Euryptila'')은 개개비사촌과의 한 속으로, 계피가슴 휘파람새(''Euryptila subcinnamomea'') 단일 종을 포함한다.[6]
3. 21. 바트모케르쿠스속 (''Bathmocercus'')
바트모케르쿠스속(''Bathmocercus'')은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2종의 붉은 휘파람새를 포함한다.[6]
때때로 스케포미크테르속(''Scepomycter'')을 바트모케르쿠스속에 포함시키기도 한다.[6]
3. 22. 스케포미크테르속 (''Scepomycter'')
스케포미크테르속(''Scepomycter'')은 때때로 바트모케르쿠스속(Bathmocercus)에 병합되기도 하며, 2종을 포함하고 있다.[6]3. 23. 오르토토무스속 (''Orthotomus'')
는 26개 속에 168종으로 나뉜다.[6] 개개비사촌과 종 목록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중 오르토토무스속(''Orthotomus'')은 재봉새속이라고도 불리며, 13종으로 구성되어 있다.[14]3. 24. 아르티소르니스속 (''Artisornis'')
''아르티소르니스속''(''Artisornis'')은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2종의 조류를 포함한다.[6]
3. 25. 폴리올라이스속 (''Poliolais'')
폴리올라이스속(''Poliolais'')은 개개비사촌과에 속하는 단일 속으로, 흰꼬리 휘파람새(''Poliolais lopezi'')[6] 한 종만을 포함한다.[14]
3. 26. 에레모멜라속 (''Eremomela'')
에레모멜라속(''Eremomela'')은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조류 속으로, 11종으로 구성되어 있다.[14]
4. 계통 분류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흰턱딱새소목의 계통 분류이다.[16]
개개비사촌과는 흰턱딱새소목의 니카토르과, 아프리카솔새과와 근연 관계이다.[16]
섬개개비상과에는 그라우어솔새과, 개개비과, 섬개개비과, 도나코비우스과, 마다가스카르솔새과 등이 포함된다.[16]
흰턱딱새상과에는 직박구리과, 붉은머리오목눈이과, 동박새과 등이 속한다.[16]
개개비사촌과는 개개비상과에 속하며,[9] 휘파람새과가 개개비사촌과의 자매군이다.[10] 개개비사촌과 내에서는 알락수염오목눈이속이 기저에서 분기되었다.[11]
2013년 올슨(Olsson) 등이 발표한 분자 계통 발생 연구에 따르면,[5] 개개비사촌과는 개개비상과에 속하며, 휘파람새과와 자매군이다.[10]
개개비사촌과 내에서는 알락수염오목눈이속(Neomixis)이 기저에서 분기되었다.[11]
다음은 2013년에 발표된 Urban Olsson과 동료들의 분자 계통 발생 연구를 바탕으로 한 개개비사촌과의 속 수준 분기도이다.[5]
개개비사촌과 |
---|
많은 분류학자들은 붉은날개개개비와 붉은머리개개비를 자체 단형 속에 넣는 대신, ''Prinia'' 속에 포함시킨다.[3][4]
2013년에 발표된 개개비사촌과의 분자 계통 발생 연구에서는 이 두 종이 프리니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혀, 이들을 ''Prinia'' 속에 포함시키는 것을 뒷받침했다.[5]
4. 1.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흰턱딱새소목의 계통 분류이다.[16]개개비사촌과는 흰턱딱새소목에 속하며, 수염오목눈이과, 종다리과, 니카토르과, 아프리카솔새과 등과 함께 분류된다. 또한, 섬개개비상과에는 그라우어솔새과, 개개비과, 섬개개비과, 도나코비우스과, 마다가스카르솔새류 등이 포함된다. 흰턱딱새상과에는 직박구리과, 동박새과 등이 속한다.[16]
개개비사촌과는 개개비상과에 속하며,[9] 휘파람새과가 개개비사촌과의 자매군이다.[10] 개개비사촌과 내에서는 알락수염오목눈이속이 기저에서 분기되었다.[11]
4. 2. 2013년 올슨(Olsson) 등의 연구
2013년 올슨(Olsson) 등이 발표한 분자 계통 발생 연구에 따르면,[5] 개개비사촌과는 개개비상과에 속하며, 휘파람새과와 자매군이다.[10] 이 연구는 붉은날개개개비와 붉은머리개개비가 프리니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혀, 이들을 ''Prinia'' 속에 포함시키는 것을 뒷받침했다.[5]개개비사촌과 내에서는 알락수염오목눈이속(Neomixis)이 기저에서 분기되었다.[11]
다음은 2013년에 발표된 Urban Olsson과 동료들의 분자 계통 발생 연구를 바탕으로 한 개개비사촌과의 속 수준 분기도이다.[5]
개개비사촌과 |
---|
5. 과거 분류
개개비사촌과는 개개비상과에 속한다.[9] 휘파람새과가 개개비사촌과의 자매군이다.[10] 개개비사촌과 내에서는 알락수염오목눈이속이 기저에서 분기되었다.[11]
기존에 개개비사촌과에 포함되었던 모래밭개개비는 개개비과로 옮겨졌다.[12] 현재 세카과는 전통적으로 개개비과 (혹은 딱새과 개개비아과)에 분류되었다. 다만 검은머리개개비속은 동박새과 (혹은 딱새상과 동박새아과)에 속했다.
시블리-알퀴스트 분류는 DNA-DNA 혼성화를 통해 개개비과를 확대했지만, 전통적인 개개비과의 일부(현재 분류에서 20속 127종)가 세카과로 분리되었다.
다만, 현재 세카과 중 아카시아개개비, Bathmocercus속, Scepomycter속, 재봉새속, Artisornis, 헬란도포개개비, 꼬마개개비속 (현재 분류에서 7속 30종)은 개개비과에 남겨졌다. 검은머리개개비속도 때까치족(이전의 동박새과에 상당)에 남겨졌다.
또한 반대로, 그들은 갈색개개비를 표본 추출하지 않은 채 세카과에 포함시켰지만, 갈색개개비는 현재 오목눈이과에 분류된다.[13]
참조
[1]
서적
Methodi naturalis avium disponendarum tentamen. Försök till fogelklassens naturenliga uppställnung
https://www.biodiver[...]
Samson & Wallin
[2]
서적
History and Nomenclature of Avian Family-Group Names
http://digitallibrar[...]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3]
웹사이트
Red-winged Prinia (''Prinia erythroptera'')
http://www.hbw.com/n[...]
Lynx Edicions
2017-08-27
[4]
웹사이트
Red-fronted Prinia (''Prinia rufifrons'')
http://www.hbw.com/n[...]
Lynx Edicions
2017-08-27
[5]
논문
Systematic revision of the avian family Cisticolidae based on a multi-locus phylogeny of all genera
[6]
웹사이트
Grassbirds, Donacobius, tetrakas, cisticolas, allie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3-12
[7]
논문
A phylogeny for the Cisticolidae (Aves: Passeriformes) based on nuclear and mitochondrial DNA sequence data, and a re-interpretation of an {{sic|nolink=yes}} unique nest-building specialization
[8]
논문
Polyphyly of the genus ''Apalis'' and a new generic name for the species ''pulchra'' and ''ruwenzorii''
[9]
간행물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Passerida (Aves: Passeriformes): A review and a new molecular phylogeny based on three nuclear intron markers
http://www.nrm.se/do[...]
[10]
간행물
Phylogeny of babblers (Aves, Passeriformes): major lineages, family limits and classification
http://www.nrm.se/do[...]
[11]
간행물
IOC World Bird Names
http://www.worldbird[...]
[12]
간행물
Neumann's Warbler ''Hemitesia neumanni'' (Sylvioidea): the sole African member of a Palaeotropic Miocene avifauna
http://www.nrm.se/do[...]
[13]
간행물
Phylogeny of babblers (Aves, Passeriformes): major lineages, family limits and classification
http://www.nrm.se/do[...]
[14]
간행물
IOC World Bird Names
http://www.worldbird[...]
[15]
웹사이트
厚生労働省 動物の輸入届出制度
https://www.mhlw.go.[...]
[16]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