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갯메꽃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갯메꽃은 콩팥 모양의 잎과 연분홍색 나팔꽃 모양의 꽃이 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해안가 모래땅이나 염분이 많은 땅에서 무리지어 자라며, 뿌리와 꽃은 한약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전 세계 해안가에 널리 분포하며, 갯메꽃은 애기달맞이꽃과 같은 외래 생물의 증가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질랜드의 식물상 - 부들
    부들은 여러해살이 풀로 돗자리나 방석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고 수질 정화 능력으로 습지 복원 사업에도 활용되며, 뉴질랜드 마오리족은 부들을 라우포라고 부르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했다.
  • 뉴질랜드의 식물상 - 블랙커런트
    중간 크기의 관목에서 자라는 식용 열매인 블랙커런트는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하며 특유의 강한 향과 짙은 보라색을 띠고, 잼, 젤리, 주스, 리큐어 등으로 가공되어 활용되며 폴란드에서 활발하게 재배되고 한때 미국에서 재배가 금지되기도 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식물상 - 부들
    부들은 여러해살이 풀로 돗자리나 방석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고 수질 정화 능력으로 습지 복원 사업에도 활용되며, 뉴질랜드 마오리족은 부들을 라우포라고 부르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식물상 - 키와노
    키와노는 아프리카 원산의 뿔 모양 돌기가 있는 타원형 열매로, 젤리 형태의 과육은 독특한 맛을 가지며, 식용, 관상용, 접목 대목으로 사용된다.
갯메꽃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Calystegia soldanella 20
茨城県 波崎海水浴場・2019年5月 (이바라키현 하사키 해수욕장・2019년 5월)
학명Calystegia soldanella
명명자(L.) R.Br. ex Roem. & Schult.
일반명거짓 bindweed (영어)
한국어 이름갯메꽃 (Gaetmeokkot)
일본어 이름하마히루가오 (浜昼顔) (Hamahirugao)
분포 지역해변
생태적 특징
서식지모래사장, 해안가
생활 방식다년생 초본
개화 시기5월 ~ 9월
형태적 특징
신장 모양, 광택이 있음
꽃 색깔분홍색
꽃 모양깔때기 모양
크기지름 3 ~ 4cm
줄기덩굴성, 뻗어나감
분류
식물계 (Plantae)
문 (계급 없음)속씨식물군 (Angiosperms)
강 (계급 없음)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아강 (계급 없음)국화상군 (Superasterids)
하강 (계급 없음)국화군 (Asterids)
상목 (계급 없음)꿀풀군 (Lamiids)
가지목 (Solanales)
메꽃과 (Convolvulaceae)
메꽃속 (Calystegia)
갯메꽃 (C. soldanella)

2. 생김새

갯메꽃은 다년생 덩굴식물로, 전 세계 온대 지역의 해변 모래와 기타 해안 서식지에서 자란다.[3] 'The Prince's Flower'라고도 알려져 있는데, 이는 1745년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왕자가 스코틀랜드 에리스케이 섬에 상륙하여 자코바이트 봉기를 이끌 때 이 꽃을 심은 데서 유래되었다.[4]

이 식물은 덩굴성이며,[1] 육질의 줄기, 콩팥 모양의 잎, 크림색 흰색 꽃봉오리, 그리고 섬세한 분홍색에서 선명한 라벤더색을 띠는 꽃잎을 가진 아름다운 나팔꽃 모양의 꽃을 맺는다. 곤충 매개 수분을 한다.

동속의 다른 종이 덩굴식물인 데 비해, 갯메꽃은 포복성 식물이다. 줄기는 모래 위를 기며 털이 없고 매끄럽다. 때로는 줄기가 모래에 묻혀 잎만 나오기도 한다. 잎은 콩팥 모양의 심장형이며, 약간 둥글고 밑부분은 좌우로 퍼진다. 잎은 윤기 있는 녹색이며 두껍다.

꽃은 5-6월에 피며, 연분홍색이고, 지름 4-5cm이다. 꽃자루는 잎보다 길고, 잎 위로 솟아나 피어난다. 땅속에서 기는 뿌리로 모래땅에서는 국수다발과 같은 곁뿌리가 깊이 내려간다. 뿌리줄기에서 줄기가 갈라져 지상으로 뻗거나 다른 물체에 기어 올라간다.[11]

2. 1. 메꽃, 큰메꽃과의 구별

갯메꽃의 잎은 콩팥 모양으로 둥글어 신원형(腎圓形)이다. 잎의 크기는 길이 2 - 3 cm, 폭 3-5 cm 정도로 잎바닥은 깊고, 잎자루가 잎보다 길다.[11] 잎의 모양으로 메꽃이나 큰메꽃과 구분할 수 있다.

3. 서식지

갯메꽃은 개펄 근처나 강어귀의 염분이 많은 땅에서 무리 지어 자라 군락을 이룬다.[12] 해안의 모래 해변에 군생하며, 때로는 호수나 강의 둑에서도 나타난다. 해빈 식물로서는 아열대-열대 지역에서는 같은 과인 둥근잎괭이밥이 더 우세하다.

3. 1. 분포 지역

갯메꽃은 태평양 연안의 모든 해안가와 섬에서 자생한다.[13] 북아메리카에서는 서부 해안과 동부 해안의 일부 지역에서 발견된다. 영국에서는 잉글랜드웨일스의 모래 해안에서 널리 분포하며, 스코틀랜드북아일랜드에서는 덜 흔하게 발견된다. 또한 아일랜드 해안과 지중해 연안에서도 널리 분포한다.[5]

남반구에서 갯메꽃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남아메리카 남부 및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해안 지역에서 발견될 수 있다.[6]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에서부터 남서 제도까지 분포하며, 그 외 아시아, 유럽, 태평양 제도, 오스트레일리아, 아메리카 태평양 연안까지 분포한다.

갯메꽃은 해안의 모래 해변에 군생하며, 때로는 호수나 강의 둑에서도 나타난다.

4. 이용

갯메꽃은 뿌리와 꽃을 한약재로 쓰며, 진통 및 이뇨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4] 어린 싹과 땅속줄기는 익혀서 먹기도 한다.[15] 실용적인 이점은 없지만, 모래밭에서 피는 예쁜 꽃 덕분에 눈에 잘 띄어 그림이나 도안 등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노래 '너의 이름은' 가사 중 "~에게 물어본다"라는 부분에 갯메꽃이 등장한다.[1]

4. 1. 약용

갯메꽃의 뿌리와 꽃은 한약재로 쓰이는데, 진통과 이뇨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어린 싹과 땅속줄기는 익혀 먹기도 한다.[15]

4. 2. 식용

갯메꽃의 뿌리와 꽃은 한약재로 쓰이는데, 진통과 이뇨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어린 싹과 땅속줄기는 익혀 먹기도 한다.[15]

4. 3. 기타

실용적인 이점은 없다.

모래밭에 예쁜 꽃을 피우므로 눈에 잘 띄어, 화재나 도안 등으로 채택되는 경우도 있다. 노래에서는 너의 이름은에 "~에게 물어본다"고 나오는 부분이 유명하다.[1]

5. 보전

애기달맞이꽃의 증가로 인해 갯메꽃 종이 현저하게 감소하고 있다.

5. 1. 해외의 갯메꽃 보전 노력

애기달맞이꽃은 주의해야 할 외래 생물이며, 이 종의 증가로 인해 갯메꽃은 현저하게 감소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Reader's Digest Field Guide to the Wild Flowers of Britain Reader's Digest
[2] 웹사이트 Calystegia soldanella https://ucjeps.berke[...] 2012
[3] 웹사이트 Calystegia soldanella http://www.nzpcn.org[...] New Zealand Plant Conservation Network
[4] 문서 Gaelic Dictionary 1911
[5] 웹사이트 Calystegia soldanella https://www.brc.ac.u[...] 2021
[6] 웹사이트 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 https://powo.science[...] 2024-01-05
[7] 웹사이트 Following a Botany Legend: exploring the life of Nancy Adams https://blog.tepapa.[...] 2024-01-30
[8] 뉴스 제주의 풀꽃나무이야기-갯메꽃 http://m.nocutnews.c[...] 노컷뉴스 2013-06-14
[9] 뉴스 바다 나팔 '갯메꽃' http://www.ijejutoda[...] 제주투데이 2015-07-12
[10] 서적 한국식물종자도감 아카데미서적
[11] 웹사이트 갯메꽃 http://www.ibric.org[...]
[12] 서적 한국의 갯벌 서울대학교출판부
[13] 웹사이트 갯메꽃 http://www.snuherb.a[...]
[14] 웹사이트 갯메꽃 http://medipl-seed.g[...]
[15] 웹사이트 갯메꽃 http://ins.jejutp.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