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검색성은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원하는 정보를 얼마나 쉽게 찾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2000년대 초 헤더 루츠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피터 모빌은 이를 "사용자가 적절한 웹 사이트를 식별하고, 해당 사이트의 페이지를 탐색하여 관련 정보 자원을 발견하고 검색하는 능력"으로 정의했다. 검색성은 외부 검색성(검색 엔진 최적화, SEO)과 내부 검색성(사이트 내 검색 기능)으로 구분되며, 외부 검색성은 검색 엔진 색인, 검색 결과 페이지 설명, 키워드 매칭 등에 영향을 받는다. 내부 검색성은 사이트 검색, 관련 링크 및 제품, 고객 맞춤형 사이트 등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검색성은 사용성 테스트, 트리 테스트, 카드 분류, 클릭 테스트 등의 기술을 통해 평가하며,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메타데이터 태깅을 통해 검색성을 높일 수 있다.
헤더 루츠(Heather Lutze)는 2000년대 초에 '검색성'이라는 용어를 만든 것으로 여겨진다.[6] 웹에서 "검색성(findability)"이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도록 한 사람은 일반적으로 피터 모빌(Peter Morville)로 알려져 있다. 2005년에 피터 모빌은 검색성을 "사용자가 적절한 웹 사이트를 식별하고, 해당 사이트의 페이지를 탐색하여 관련 정보 자원을 발견하고 검색하는 능력"으로 정의했지만, 웹 및 정보 검색과 관련하여 이 용어가 공개적으로 처음 사용된 것은 2005년 알키스 파파도풀로스(Alkis Papadopoullos)의 "검색성(Findability)"이라는 기사에서였다.[7][8]
검색성은 크게 외부 검색성과 온사이트(내부) 검색성으로 나눌 수 있다. 외부 검색성은 기업 외부, 즉 인터넷 검색 엔진 등에서 정보를 찾는 것을 말하며, 온사이트 검색성은 특정 웹사이트 내부에서의 검색 용이성을 의미한다.[10]
'''기준 검색성'''은 개선하기 전의 검색성이다. 이는 웹사이트의 고객 기반을 대표하는 참가자들이 웹사이트의 기존 탐색 기능을 사용하여 샘플 항목 세트를 찾으려고 시도하여 측정된다.[11][12]
2. 역사
3. 검색성의 종류
구분 설명 외부 검색성 인터넷 마케팅 및 검색 엔진 최적화(SEO) 전술과 관련되며, 기업 외부에서의 검색 용이성을 의미한다. 온사이트(내부) 검색성 특정 웹사이트 내부에서의 검색 용이성을 의미한다.
3. 1. 외부 검색성 (External Findability)
외부 검색성은 인터넷 마케팅 및 검색 엔진 최적화(SEO) 전술의 영역이다. 외부 검색성은 기업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소규모 기업은 소비자에 대한 인지도가 낮기 때문에 외부 검색성에 영향을 미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수단을 통해 검색 결과에서 발견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10]
외부 검색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9]3. 1. 1. 검색 엔진 색인
검색 결과에 표시되려면 웹 페이지가 색인 크롤러에 의해 발견되어야 한다. 색인 크롤러가 웹 페이지를 무시하게 만드는 요소를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러한 요소에는 로그인 자격 증명 입력과 같은 사용자 상호 작용이 필요한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9] 색인 알고리즘은 검색 엔진에 따라 다르므로 웹사이트의 성공적으로 색인된 웹 페이지 수는 구글과 야후의 검색 엔진 간에 크게 다를 수 있다. 또한, 중국과 같은 국가에서는 정부 정책이 색인 알고리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법률 및 정책에 대한 현지 지식이 중요할 수 있다.[9]
3. 1. 2. 검색 결과 페이지 설명
웹 페이지가 웹 크롤러에 의해 성공적으로 색인되고 괜찮은 순위로 검색 결과에 표시되면, 다음 단계는 고객이 링크를 클릭하여 웹 페이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고객은 이 시점에서 전체 웹 페이지를 볼 수 없고, 웹 페이지 콘텐츠와 메타데이터의 발췌 내용만 볼 수 있다.[9] 따라서 검색 결과에서 제한된 공간(보통 몇 문장)에 의미 있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웹 페이지의 클릭 트래픽을 증가시키는 데 중요하며, 이는 웹 페이지의 웹 콘텐츠 검색성을 높이는 데 중요하다.[9]
3. 1. 3. 키워드 매칭
검색자가 사용하는 용어와 콘텐츠 제작자가 사용하는 용어는 의미론적 수준에서 다를 수 있다. 잠재적인 콘텐츠 소비자가 웹 콘텐츠를 더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려면 고객과 개발자가 사용하는 용어 간의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9]
3. 2. 내부 검색성 (On-site Findability)
온사이트 찾기 기능은 잠재 고객이 특정 사이트 내에서 원하는 것을 찾을 수 있는 능력과 관련이 있다. 90% 이상의 고객이 웹사이트 내 검색 기능을 사용하며, 이는 탐색보다 더 높은 비율이다. 하지만 그 중 절반(50%)만이 원하는 것을 찾는다.[10] 사이트 내 검색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웹사이트 비즈니스에 큰 영향을 미친다. 웹사이트의 찾기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이트 검색, 관련 링크 및 제품, 고객 맞춤형 사이트 등이 있다.
3. 2. 1. 사이트 검색
사용자가 사이트 내 검색을 통해 원하는 것을 찾지 못하면, 웹사이트를 탐색하기보다는 사이트를 떠나는 경향이 있다. 사이트 검색에 성공한 사용자는 전환할 가능성이 두 배 더 높다.[10]
3. 2. 2. 관련 링크 및 제품
고객의 요구 사항을 이해하고 다른 관련 정보를 제안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10]
3. 2. 3. 고객 맞춤형 사이트
고객의 요구 및 선호도에 맞는 사이트 디자인, 콘텐츠 제작 및 추천은 고객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10]
4. 검색성의 평가
검색 가능성 측정 방식은 사이트 검색 엔진 또는 정보 검색 시스템을 사용하여 정보를 얼마나 쉽게 찾을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이와 유사하게 현재는 탐색 가능성 측정 방식을 통해 사이트 탐색을 통한 정보 접근의 용이성을 측정한다(예: 페이지랭크, MNav, InfoScent (정보 탐색) 등).
검색성은 사용성 테스트, 트리 테스트, 폐쇄형 카드 분류, 클릭 테스트 등의 기술을 통해 평가할 수도 있다.
4. 1. 사용성 테스트
사용성 테스트는 사용자가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웹사이트를 어떻게, 왜 탐색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다.[11][12][13]
4. 2. 트리 테스트
트리 테스트는 웹사이트에서 주요 정보를 찾을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정보 아키텍처 기반 기술이다.[11][12]
4. 3. 카드 분류
카드 분류는 범주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한 정보 아키텍처 기반의 사용성 기술이다.[13]
4. 4. 클릭 테스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클릭을 통해 수집된 암묵적 데이터를 고려한다.[13]
5. 콘텐츠의 검색성
문자로 구성된 문서와 비교하면 그림, 사진, 동영상, 음악과 같은 컨텐츠들은 검색성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노력이 없으면 원하는 내용을 찾기가 매우 힘들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람이 직접 문자로 된 태그를 메타데이터에 추가하여 검색성을 높이는 방법이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5. 1. 메타데이터 태깅
문자로 구성된 문서와 비교하면 그림, 사진, 동영상, 음악과 같은 컨텐츠들은 검색성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노력이 없으면 원하는 내용을 찾기가 매우 힘들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람이 직접 문자로 된 태그를 콘텐츠의 메타데이터에 추가하여 검색성을 높이는 방법이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음악의 경우에는 ID3 형식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Grace Note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발표 연도, 아티스트와 같은 연관 정보를 얻어내는 방법이 많이 쓰이고 있으며, 사진 공유 서비스인 플리커에서는 사용자가 사진을 업로드할 때 스스로 태그를 추가하게 하고, 다른 많은 사용자들이 이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들을 검색하기 용이하게 한다.6. 더 나아가기
검색 가능성 지수는 사용자 영향력, 맥락, 감성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현재 웹사이트는 원활한 검색을 위해 구조화된 하이퍼텍스트 기반 정보 아키텍처와 풍부한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기반 시각화 기술을 결합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14]
참조
[1]
논문
Information architecture
2009
[2]
서적
Ambient Findability
Oreilly
[3]
웹사이트
E-Commerce user experience: High-level strategy, Nielsen Norman Group
http://www.nngroup.c[...]
2001
[4]
서적
Every Page is Page One
XML Press
[5]
웹사이트
Findability is a Content Problem, not a Search Problem
http://everypageispa[...]
2013-05-28
[6]
뉴스
The Shtickiness Factor
http://www.huffingto[...]
2013-06-20
[7]
간행물
The Key to Enterprise Search
http://news-business[...]
2005-04-01
[8]
문서
Though the word has been used to mean "ease of finding information" since at least 1943: see Urban A. Avery, "The 'Findability' of the Law", ''Chicago Bar Record'' '''24''':272, April 1943, reprinted i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Judicature Society'' '''27''':25 [http://heinonline.org/HOL/LandingPage?collection=journals&handle=hein.journals/judica27&div=12&id=&page=]
[9]
웹사이트
Findability Factors Found
http://www.econtents[...]
[10]
웹사이트
The Findability Solution
http://marriottschoo[...]
2015-04-21
[11]
서적
Customer Analytics For Dummies
http://www.wiley.com[...]
John Wiley & Sons
2015-02-02
[12]
웹사이트
How to Measure Findability
http://www.measuring[...]
[13]
웹사이트
Low Findability and Discoverability: Four Testing Methods to Identify the Causes
http://www.nngroup.c[...]
2014-07-06
[14]
논문
Beyond Findability - Search-Enhanced Information Architecture for Content-Intensive Rich Internet Applications
http://journalofia.o[...]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