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ID3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D3는 MP3 파일을 비롯한 디지털 오디오 파일에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태그 형식이다. 1996년 에릭 켐프가 제안한 ID3v1은 파일 끝에 128바이트를 사용하여 음악 제목, 아티스트, 앨범, 장르 등의 정보를 저장했다. 이후 ID3v1.1, ID3v1.2 버전이 등장했으며, 1998년에는 가변 크기의 ID3v2가 개발되어 파일 시작 부분에 위치하며 다양한 정보를 프레임 형태로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ID3v2는 ID3v2.2, ID3v2.3, ID3v2.4 버전이 있으며, 유니코드 지원, 256MB까지의 태그 크기, 다양한 정보 저장 등의 특징을 가진다. ID3 태그는 태그 편집기를 통해 편집할 수 있으며, MP3 외에도 AIFF, WAV, MP4 파일 등에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타데이터 - DOAJ
    DOAJ는 과학 및 학술 저널의 오픈 액세스 가시성을 높이고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켜 접근성과 영향력을 확대하며, 피어 리뷰를 거친 학술지를 엄격하게 심사하여 수록하고 모든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하는 오픈 액세스 저널 디렉토리이다.
  • 메타데이터 - 해시태그
    해시태그는 2007년 트위터에서 관심 주제를 묶기 위해 제안되어 마이크로블로깅 네트워크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언어학적 분석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ID3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ID3
종류메타데이터 컨테이너
용도오디오 파일에 메타데이터 저장
최초 디자인에릭 켐프 (ID3v1.0), 미하엘 무츨러 (ID3v1.1), 마틴 닐손 외 (ID3v2 계열)
공식 웹사이트ID3 공식 웹사이트
상세 정보
기능오디오 파일 (주로 MP3 파일)에 제목, 아티스트, 앨범, 트랙 번호, 기타 정보 등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됨
버전ID3v1
ID3v2 (ID3v2.2, ID3v2.3, ID3v2.4)
호환성대부분의 미디어 플레이어 및 오디오 편집 소프트웨어에서 지원
장점오디오 파일 관리 및 식별 용이, 음악 라이브러리 구성에 유용
단점ID3v1: 저장 용량 제한 (128바이트), UTF-8 지원 안 함
ID3v2: 복잡한 구조, 파싱 오류 발생 가능성
특징파일 내 특정 위치에 메타데이터 저장
다양한 프레임 (태그)을 사용하여 정보 저장 (예: 제목, 아티스트, 앨범 아트)
역사ID3v1: 1996년 에릭 켐프에 의해 개발
ID3v2: ID3v1의 단점 보완, 다양한 버전으로 발전

2. ID3v1

ID3v1은 1996년에 에릭 켐프(Eric Kemp)가 제안한 초기 버전으로, MP3 파일 끝에 128 바이트의 고정된 크기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이다. 'TAG'라는 문자열로 시작하여 미디어 플레이어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초기 MP3 재생기들은 이러한 태그 데이터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재생 중단이나 잡음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기 때문에, 태그는 주로 파일 끝에 삽입되었다.[2]

ID3v1은 제목, 아티스트, 앨범, 코멘트, 연도, 장르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지만, 각 정보에 할당된 공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많은 정보를 담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문자열의 경우 ISO 8859-1 인코딩을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어, 일본어와 같이 다른 인코딩을 사용하는 언어에서는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2. 1. ID3v1.1

1997년 미하엘 무췰러(Michael Mutschler)가 ID3v1의 확장으로 제안한 것으로, ID3v1의 128 바이트를 유지하면서 '''곡 번호''' 정보를 추가했다. 이 새 필드는 '''비고''' 필드의 끝에서 두 번째 바이트에 위치한다.[2]

'''ID3v1.1 포맷'''
오프셋길이설명
03"TAG" 인식 문자열
330음악 제목 문자열
3330가수(음악가) 문자열
6330음반 문자열
934음반 출시년도 문자열
9728비고 문자열
1251바이트 분리자 (항상 0)
1261곡 번호 바이트
1271장르 바이트



ID3v1.1은 비고란을 2바이트 줄여 트랙 번호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한 형식이다. 단축된 2바이트 중 앞의 1바이트에는 반드시 0(NULL)을 저장하고,[19] 나머지 1바이트에 트랙 번호를 기록한다. ID3v1 형식으로 29바이트 이상의 비고가 입력된 파일과의 호환성은 완전히 유지되지 않으며, 트랙 번호를 기록하고 ID3v1.1 형식으로 이행한 시점에서 비고의 29, 30번째 바이트의 데이터가 소실된다.

2. 2. ID3v1.2

2002년 또는 2003년, BirdCage Software는 ID3v1.2를 제안했다. 이 버전은 여러 필드의 크기를 30바이트에서 60바이트로 늘리고 하위 장르 필드를 추가했으며, 표준 v1.1 태그 앞에 새로운 "향상된" 태그를 배치하여 v1.1과의 하위 호환성을 유지했다.[5][6] ID3v1.2의 채택은 제한적이었다.

2. 3. 구조 (ID3v1, ID3v1.1)

ID3v1은 1996년에 에릭 켐프(Eric Kemp)가 고안한 방식으로, 파일 끝에 128 바이트를 추가하여 메타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방식은 'TAG'라는 문자열로 시작하여 미디어 플레이어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했다. 초기 MP3 재생기들은 이러한 태그 데이터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재생 중단이나 잡음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기 때문에, 태그는 주로 파일 끝에 삽입되었다.[2]

ID3v1 포맷
오프셋길이설명
03"TAG" 인식 문자열
330음악 제목 문자열
3330가수(음악가) 문자열
6330음반 문자열
934음반 출시년도 문자열
9730비고 문자열
1271장르 바이트[22]



ID3v1.1은 1997년에 미하엘 무췰러(Michael Mutschler)가 ID3v1을 확장하여 고안한 것으로, 곡 번호 정보를 추가했다. 이 정보는 비고 필드의 끝에서 두 번째 바이트에 위치한다.[2]

ID3v1.1 포맷
오프셋길이설명
03"TAG" 인식 문자열
330음악 제목 문자열
3330가수(음악가) 문자열
6330음반 문자열
934음반 출시년도 문자열
9728비고 문자열
1251바이트 분리자 (항상 0)
1261곡 번호 바이트
1271장르 바이트



ID3v1과 ID3v1.1은 모든 문자열이 ISO 8859-1로 부호화(인코딩)된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많은 프로그램들이 시스템 기본 인코딩을 사용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인코딩을 사용하는 시스템 간에는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일본어와 같이 ISO 8859-1을 사용하지 않는 언어의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ID3v1 규격은 문자열 끝에 남는 공간에 널 문자를 채우도록 되어 있지만, 윈앰프와 같은 일부 프로그램들은 다른 문자를 채우기도 한다.

2. 4. 장르 목록 (ID3v1)

} || 162 || 실험 음악

|-

| 3 || 댄스 음악 || 83 || 스윙 재즈 || 163 || Garage

|-

| 4 || 디스코 || 84 || Fast Fusion || 164 || 글로벌 음악

|-

| 5 || 펑크 || 85 || 비밥 || 165 || IDM

|-

| 6 || 그런지 || 86 || 라틴 음악 || 166 || 일비언트

|-

| 7 || 힙합 || 87 || Revival || 167 || 인더스트로 고스

|-

| 8 || 재즈 || 88 || 켈트 음악 || 168 || 잼 밴드

|-

| 9 || 헤비 메탈 || 89 || 블루그래스 || 169 || 크라우트록

|-

| 10 || 뉴에이지 음악 || 90 || 아방가르드 || 170 || 레프트필드

|-

| 11 || 올디스 || 91 || 고딕 록 || 171 || 라운지 음악

|-

| 12 || Other(기타) || 92 || 프로그레시브 록 || 172 || 매스 록

|-

| 13 || 팝 음악 || 93 || 사이키델릭 록 || 173 || 뉴 로맨틱

|-

| 14 || R&B || 94 || 심포닉 록 || 174 || 누 스쿨 브레이크스

|-

| 15 || || 95 || 슬로우 록 || 175 || 포스트 펑크

|-

| 16 || 레게 || 96 || 빅 밴드 || 176 || 포스트 록

|-

| 17 || || 97 || 합창 || 177 || 사이 트랜스

|-

| 18 || 테크노 || 98 || 이지 리스닝 || 178 || 슈게이징

|-

| 19 || 인더스트리얼 || 99 || 어쿠스틱 || 179 || 스페이스 록

|-

| 20 || 얼터너티브 음악 || 100 || 유머 || 180 || 트로프 록

|-

| 21 || 스카 || 101 || 스피치 || 181 || 월드 뮤직

|-

| 22 || 데스 메탈 || 102 || 샹송 || 182 || 신고전주의

|-

| 23 || Practical joke|프랭크|영어 || 103 || 오페라 || 183 || 오디오북

|-

| 24 || 사운드트랙 || 104 || 실내악 || 184 || 오디오 극장

|-

| 25 || 유로-테크노 || 105 || 소나타 || 185 || 노이에 도이체 벨레

|-

| 26 || 앰비언트 || 106 || 교향곡 || 186 || 팟캐스트

|-

| 27 || 트립 합 || 107 || 부티 베이스 || 187 || 인디 록

|-

| 28 || 보컬 || 108 || 프리머스 || 188 || G-펑크

|-

| 29 || 재즈 펑크 || 109 || 포르노 그루브 || 189 || 덥스텝

|-

| 30 || 퓨전 || 110 || 풍자 || 190 || 개러지 록

|-

| 31 || 트랜스 || 111 || 슬로우 잼 || 191 || 사이비언트

|-

| 32 || 클래식 음악 || 112 || 클럽

|-

| 33 || 기악곡 || 113 || 탱고

|-

| 34 || 애시드 하우스 || 114 || 삼바

|-

| 35 || 하우스 || 115 || 포클로레

|-

| 36 || 게임 음악 || 116 || 발라드

|-

| 37 || Media clip|사운드 클립|영어 || 117 || 파워 발라드

|-

| 38 || 가스펠 || 118 || Rhythmic Soul

|-

| 39 || 노이즈 음악 || 119 || 프리스타일

|-

| 40 || 얼터너티브 록 || 120 || 듀엣

|-

| 41 || 베이스 음악 || 121 || 펑크 록

|-

| 42 || 소울 음악 || 122 || 드럼 솔로

|-

| 43 || 펑크 록 || 123 || 아카펠라

|-

| 44 || Space music|스페이스 음악|영어 || 124 || 유로-하우스

|-

| 45 || 명상 || 125 || 댄스홀 레게

|-

| 46 || Instrumental pop || 126 || 고아 트랜스

|-

| 47 || Instrumental rock|인스트루멘탈 록|영어 || 127 || 드럼 앤 베이스

|-

| 48 || 민속 음악 || 128 || 클럽-하우스

|-

| 49 || 고딕 록 || 129 || 하드코어 펑크

|-

| 50 || Dark wave|다크 웨이브|영어 || 130 || Terror

|-

| 51 || 하드코어 테크노 || 131 || 인디

|-

| 52 || 일렉트로닉 음악 || 132 || 브릿팝

|-

| 53 || 팝 포크 || 133 || 아프로 펑크

|-

| 54 || 유로댄스 || 134 || Polsk Punk

|-

| 55 || 드림 팝 || 135 || 비트

|-

| 56 || 서던 록 || 136 || 크리스찬 갱스터 랩

|-

| 57 || 코미디 || 137 || 헤비 메탈

|-

| 58 || 컬트 || 138 || 블랙 메탈

|-

| 59 || 갱스터 랩 || 139 || 크로스오버

|-

| 60 || 톱 40 || 140 || 컨템포러리 크리스천 뮤직

|-

| 61 || 크리스천 힙합 || 141 || 크리스천 록

|-

| 62 || Pop/Funk || 142 || 메렝게

|-

| 63 || 정글 || 143 || 살사

|-

| 64 || 북미 원주민 음악 || 144 || 스래시 메탈

|-

| 65 || 카바레 || 145 || 애니송

|-

| 66 || 뉴 웨이브 || 146 || J-POP

|-

| 67 || 사이키델릭 음악 || 147 || 신스팝

|-

| 68 || Rave music|레이브 음악|영어 || 148 || Abstract

|-

| 69 || 쇼 튠 || 149 || 아트 록

|-

| 70 || 예고편 || 150 || 바로크 음악

|-

| 71 || 로파이 || 151 || 방그라

|-

| 72 || Tribal house|트라이벌 하우스|영어 || 152 || 빅 비트

|-

| 73 || 개러지 록 || 153 || 브레이크비트

|-

| 74 || 애시드 재즈 || 154 || 칠아웃

|-

| 75 || 폴카 || 155 || 다운템포

|-

| 76 || 레트로 || 156 || 덥 음악

|-

| 77 || 뮤지컬 || 157 || 일렉트로닉 바디 뮤직

|-

| 78 || 로큰롤 || 158 || 절충주의

|-

| 79 || 하드 록 || 159 || 일렉트로

|}

80번 이후는 Winamp에서 정의된 것이다.

3. ID3v2

ID3v2는 1998년에 ID3v1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진 새로운 표준이다.[7] ID3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지만, 구조는 ID3v1과 완전히 다르다.

ID3v2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파일의 첫 부분에 큰 데이터 블록으로 삽입되며, ID3v1과는 호환되지 않는다. (ID3v2.4부터는 선택적으로 파일의 끝에 삽입할 수 있다)[7]
  • 프로그램이 파일의 끝까지 읽어 들이기 전에 태그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스트리밍 파일을 재생할 때 이득이 된다.[7]
  • 태그의 길이가 변경될 경우 전체 파일이 재작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태그를 쓸 때 효율성 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ID3v2 태그 뒤에 적당한 공백을 넣어서, 태그의 길이가 어느 이상 커지지 않으면 전체 파일을 재작성하지 않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몇 개의 고정된 필드를 제공했던 ID3v1과는 달리, ID3v2 태그는 포맷이 정형화된 태그 프레임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확장하기 용이하다.
  • 작사자, 지휘자, 매체 종류, BPM, 가사, 이미지, 볼륨, 잔향 설정, 암호화된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넣을 수 있다.[8]
  • 태그에 가짜 동기 신호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동기화(unsynchronisation) 옵션을 제공하기 때문에, ID3v2 태그가 삽입된 MP3 파일은 ID3v2를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에서도 안전하게 재생할 수 있다.
  • 태그 전체의 크기는 256MB까지 허용되며 프레임 하나의 크기는 16MB까지 허용된다.[8]
  • 유니코드를 지원하므로 국제화된 태그를 이용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UTF-16 인코딩을 지원하며, 또한 ID3v2.4부터는 UTF-8을 지원한다.[8]


ID3v2는 너무 많은 정보를 하나의 메타데이터 포맷에 담기 때문에 구현이 힘들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의 길이를 저장하는 TLEN 프레임과 오디오의 인코딩 방법을 저장하는 AENC 프레임 등은 메타데이터가 담긴 파일을 분석해도 알아 낼 수 있는 정보이며(다만 경우에 따라서 오디오의 길이를 쉽게 알 수 없는 경우는 있다), ID3v2.4에 있는 84개의 프레임이 각각 서로 다른 내부 구조를 갖고 있으며 버전마다 구조가 다른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일괄적인 처리가 힘들어진다. APEv2와 같이 나중에 만들어진 메타데이터 포맷은 내부 구조를 통일하여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

ID3v2 태그는 가변 크기이며 일반적으로 파일의 시작 부분에 위치하여, 파일 전체가 스트리밍 중에 점진적으로 로드될 때에도 메타데이터를 즉시 로드할 수 있다. ID3v2 태그는 여러 개의 선택적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각 프레임은 최대 16MB 크기의 메타데이터 조각을 포함한다. 전체 태그는 256MB까지 가능하며, 문자열은 유니코드로 인코딩될 수 있다.[8]

ID3 태그는 MP3 파일에 원래 포함된 사양이 아니라 1996년에 공개된 "Studio3"라는 소프트웨어에 포함된 것이 시작이다. 이후 다양한 버전의 규격이 만들어졌다.

ID3v2에는 세 가지 버전이 있으며, 각 버전들은 구조가 비슷하지만 서로 호환성은 없다.

ID3v1.1을 확장하고 개선하여, 글자 수 제한이 거의 없어지고 유니코드를 지원하며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태그 기록 시 파일 크기가 커지거나 오래된 플레이어에서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3. 1. ID3v2.2

ID3v2.2는 ID3v2의 첫 번째 공개 버전으로, 세 글자 프레임 식별자를 사용했다. 예를 들어 제목의 경우 TIT2 대신 TT2를 사용했다. 이는 구식으로 간주된다.[9] ID3v1.1을 확장하고 개선한 형식으로, ID3v1의 문제점이었던 글자 수 제한이 거의 없어지고, 유니코드를 지원하는 등 매우 편리해졌다. 하지만, 태그를 기록할 때 파일 크기가 ID3v1보다 커지거나, 오래된 플레이어에서는 표시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ID3v2에는 "ID3v2.2", "ID3v2.3", "ID3v2.4"의 세 가지 버전이 있다. "ID3v2.2"에서 "ID3v2.3"으로 변경되었을 때 프레임 ID가 3자리에서 4자리로 늘어났다. 이 때문에 메이저 버전 2와 3에서는 프레임 ID에 호환성이 없어졌다.

3. 2. ID3v2.3

ID3v2.3은 ID3v2 태그의 가장 널리 사용되는 버전으로, 윈도우 탐색기와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널리 지원된다.[10] 앨범 커버와 같은 이미지를 포함하는 기능을 도입했다.[11]

ID3v1.1을 확장하고 개선한 형식으로, ID3v1의 문제점이었던 글자 수 제한이 거의 없어지고, 유니코드를 지원한다. 하지만 태그를 기록할 때 파일 크기가 ID3v1보다 커지거나, 오래된 플레이어에서는 표시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ID3v2.3 (1999년)은 태그 프레임의 속성을 나타내는 필드가 추가되었으며 확장된 헤더를 제공한다.

ID3 태그를 제정하고 있는 조직 "ID3.org"에 따르면,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버전은 "ID3v2.3"이다.

3. 3. ID3v2.4

ID3v2.4는 2000년 11월 1일에 발표되었다.[12] 83개의 프레임 유형을 정의하고,[12] 텍스트 프레임이 널 바이트로 구분된 여러 값을 포함하도록 허용하며, 태그를 파일의 시작 또는 끝에 저장할 수 있다.[13]

ID3v2.4는 UTF-8 인코딩을 지원한다. 이전 버전인 ID3v2.3은 UTF-16만 지원했다.

ID3 태그를 제정하는 조직인 "ID3.org"에 따르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버전은 "ID3v2.3"이다. 최신 버전인 "ID3v2.4"는 일부 개정 내용에 대한 동의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시장이 대응을 하지 않아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21]

3. 4. 주요 특징

ID3v2는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ID3v1과의 호환성 없음: ID3v2 태그는 파일의 첫 부분에 큰 데이터 블록으로 삽입되며, ID3v1과는 호환되지 않는다. 단, ID3v2.4부터는 선택적으로 파일의 끝에 삽입할 수 있다.[7]
  • 스트리밍에 유리: 프로그램이 파일의 끝까지 읽어 들이기 전에 태그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스트리밍 파일을 재생할 때 유리하다.[7]
  • 태그 수정 시 효율성 문제: 태그 길이가 변경되면 전체 파일을 다시 작성해야 하므로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ID3v2 태그 뒤에 공백을 추가하여 태그 길이 증가에 대비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 확장성: ID3v1과 달리 정형화된 태그 프레임들로 구성되어 확장이 용이하다.
  • 다양한 정보 저장: 작사자, 지휘자, 매체 종류, BPM, 가사, 이미지, 볼륨, 잔향 설정, 암호화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8]
  • 비동기화(unsynchronisation) 옵션: 태그에 가짜 동기 신호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ID3v2를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에서도 MP3 파일을 안전하게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 태그 크기: 전체 태그 크기는 최대 256MB, 프레임 하나의 크기는 최대 16MB까지 허용된다.[8]
  • 유니코드 지원: UTF-16 인코딩을 기본 지원하며, ID3v2.4부터는 UTF-8 인코딩도 지원하여 국제화된 태그를 사용할 수 있다.[8]
  • ID3v2 챕터 애드덤(Chapter Addendum): 2005년 12월에 발표되었으며, 오디오 파일 내 특정 위치나 챕터로 쉽게 이동하고 재생 중 이미지와 제목의 동기화된 슬라이드 쇼를 제공하는 등 향상된 팟캐스트에 활용될 수 있다. ID3v2.3 또는 ID3v2.4 태그에서 사용 가능하다.[14]
  • ID3v1.1 확장 및 개선: ID3v1의 글자 수 제한 문제를 해결하고 유니코드를 지원하는 등 편의성이 향상되었다. 단, 태그 기록 시 파일 크기가 커지거나 오래된 플레이어에서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 기타: 항목별 크기 제한은 16MB, 전체 태그 크기 제한은 256MB로 변경되었으며, 기입 가능한 항목이 증가하고 이미지 포함이 가능하다.

4. ID3 태그 편집

ID3 태그는 다양한 방법으로 편집할 수 있다. 태그 편집기라는 특수 애플리케이션은 모든 필드 또는 프레임의 정확한 편집을 가능하게 하고 정교한 일괄 편집을 허용하지만, 많은 오디오 플레이어는 일반적인 필드 또는 프레임의 기본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일부 파일 관리자도 태그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ID3 태그는 MP3 파일에 원래 포함된 사양이 아니라 1996년에 공개된 "Studio3"라는 소프트웨어에 포함된 것이 시작이다. 이후 다양한 버전의 규격이 만들어졌다. ID3를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소프트웨어는 Winamp, SuperTagEditor 시리즈, [https://github.com/k-takata/mp3infp mp3infp], Mp3tag 등이 있다.

5. 기타 구현

ID3 태그는 MP3 형식으로 설계되었지만, 태그 세트는 MP3 파일의 독립적인 부분이며 다른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ID3v2 태그는 때때로 AIFF 및 WAV 파일과 함께 사용되며,[17] MP4는 ID3 태그 임베딩을 허용한다.[18]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 ID3.org https://web.archive.[...] 2011-01-22
[2] 서적 Practical Common Lisp https://books.google[...]
[3] 웹사이트 ID3v1 – ID3.org https://web.archive.[...] 2018-04-12
[4] 웹사이트 ID3 Genre List https://eyed3.readth[...]
[5] 웹사이트 ID3v1.2 http://www.birdcages[...]
[6] 웹사이트 MP3 TAG & Enhanced TAG description (english) https://web.archive.[...] 2018-04-12
[7] 웹사이트 Contributors – ID3.org https://web.archive.[...] 2012-04-22
[8] 웹사이트 id3v2-00 – ID3.org https://web.archive.[...] 2011-09-07
[9] 웹사이트 ID3 Developer Information https://web.archive.[...] 2011-04-09
[10] 웹사이트 ID3 tag version 2.3.0 https://web.archive.[...] 2015-04-11
[11] 웹사이트 id3v2.3.0 – ID3.org https://web.archive.[...] 2014-04-30
[12] 웹사이트 ID3v2.4.0 Native Frames https://web.archive.[...] 2012-12-27
[13] 웹사이트 ID3 tag version 2.4.0 – Native Frames https://web.archive.[...] 2015-04-11
[14] 웹사이트 ID3v2 Chapter Frame Addendum https://web.archive.[...] 2008-02-06
[15] 웹사이트 Lyrics3 – ID3.org https://web.archive.[...] 2018-04-13
[16] 웹사이트 Lyrics3v2 – ID3.org https://web.archive.[...] 2018-04-13
[17] 웹사이트 Windows Media Developer Center: ID3 Tag Support http://msdn.microsof[...] Microsoft 2010-03-24
[18] 웹사이트 The 'MP4' Registration Authority https://web.archive.[...] 2007-10-18
[19] 문서
[20] 웹사이트 ID3v2 header http://www.id3.org/d[...]
[21] 웹사이트 ID3.orgのWelcomeの節 http://www.id3.org/H[...]
[2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장르명#장르명#장르명
0블루스80포크송160일렉트로클래시
1클래식 록81포크 록161이모
2컨트리 음악82{{lang|en|Folk music#North America 2|미국 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