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센제 자라이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르센제 자라이르는 1513년 다얀 카안의 열한 번째 아들로 태어난 몽골의 귀족이다. 그는 외할하부 만호직을 받아 할하강 서쪽 외할하부 13개 오톡을 영지로 다스렸다. 1549년 케룰렌 부란에서 사망했으며, 사후 그의 아들들이 외할하 몽골의 여러 칸부를 형성했다. 게르센제의 후손들은 청나라에 합병된 후에도 독립성을 유지하려 노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할하부 - 코토고이드부
- 할하부 - 옴부 에르데니 칸
옴부 에르데니 칸은 17세기 몽골의 지배자로 다얀 카안의 후손이며, 링단 칸 사후 칸을 칭하며 몽골 부족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러시아 제국에 충성을 맹세하며 정치적 생존을 모색하다 아들에게 칸위를 물려주었다. - 몽골의 귀족 - 칸
칸은 튀르크어로 우두머리를 뜻하는 칭호로, 몽골 제국 시대에는 카간이 칸 중의 칸으로 사용되었으며, 통치자를 지칭하며 칸이 통치하는 국가는 칸국이라고 불린다. - 몽골의 귀족 - 콩타이지
콩타이지는 황태자를 음차한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초기에는 몽골 지도자를 지칭하다가 후금 시대에 정치적, 군사적 협력의 상징으로 사용되었고, 청나라 시대에도 지배 체제 강화에 활용되었으나, 몽골 제국에서는 황태자가 제대로 존재하지 않았으며, 북원 시대 알탄 칸이 칸의 후계자를 의미하는 작위로 사용하기도 했다. - 1549년 사망 - 마르그리트 당굴렘
마르그리트 당굴렘은 프랑스 왕족이자 작가, 예술 후원가로서, 나바라 왕비가 되어 르네상스 시대 프랑스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종교 개혁에도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1549년 사망 - 윤인경
윤인경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생원·진사 합격 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 중종반정 공신 책봉, 삼포왜란 진압 기여 등 뛰어난 행정 능력과 정치적 수완을 보이며 영의정에까지 오른 인물이다.
게르센제 자라이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칭호 | 자라이르 콩타이지 |
칸 혈통 | 보르지긴 가문 |
출생 | 1513년 |
사망 | 1549년 |
아버지 | 바르스볼라드 |
자녀 | 노얀타타르 아시하이 부얀바타르 홍타이지 오노후이 다라이 에르케 다이칭 알탄 두렌 바얀 보르추 이름 미상 (딸) 이름 미상 (딸) |
생애 | |
봉건 영지 | 할하부 지역 |
주요 활동 | 할하부 몽골 통치 |
특징 | 다얀 칸의 손자 할하부 몽골의 실질적인 창시자 북원의 왕자 |
기타 | 자라이트부 출신 부인으로부터 7명의 아들, 오르도스부 출신 부인으로부터 5명의 아들, 총 12명의 아들을 둠. 투멘자사크트 칸에게 반기를 들었으나 패배. 이후 아들들과 함께 할하부로 도주. 그의 후손들은 할하 몽골을 다스리는 주요 인물들이 됨. |
2. 생애
게르센제는 1513년에 태어났으며, 다얀 카안의 열한 번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사모르 카툰(苏密尔 哈屯)으로 알려져 있으나, 일설에는 지무스게네 카툰 소생이라는 주장도 있다.[4] 정확한 생년월일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그는 몽골 북부 할하부 출신이다.
아버지 다얀 카안은 생전에 자신의 아들들을 몽골 각 투멘의 유력자와 혼인시켜 각 투멘을 장악하게 했다. 게르센제는 아버지로부터 좌익 외할하부(外喀尔喀) 만호직을 받고 할하강 서쪽 외할하부 13개 오톡(отог) 주변을 영지로 분봉받았다. 그의 이복 형 아르초볼라드는 내할하부 5개 오톡을 받았으며, 다른 형제들은 막남몽골과 몽골 동부 지역을 영지로 받았다.
게르센제가 외할하부를 다스리게 된 과정에 대해서는 몇 가지 설이 전해진다. 사인노얀부의 제4대 칸이자 게르센제의 5대손인 삼파 에르케 다일치링(善巴)의 저서 아사라크치 사(史)에 따르면, 원래 외할하부(7호시그)는 다른 형제인 게레 볼라트에게 주어질 예정이었다. 할하투멘 치노스부의 우다 볼라트가 다얀 카안에게 "지금 할하는 자라이르와 케루트족의 시그치(지배자)에게 지배되고 있으니 칸의 아들 중 한 명을 보내 달라"고 요청했고, 다얀 칸은 처음에 게레 볼라트를 보냈으나 그의 성격이 완고하고 냉정하여 할하부에서 받아들이지 않고 돌려보냈다. 이후 게르센제가 대신 외할하부로 보내져 수령이 되었다고 한다.[4]
작자 미상의 황사(Шар тууж) 또는 고대 몽골 칸의 대하소설(Эртний Монголын Хаадын Үндэсний Их Шар тууж оршвой)에 따르면, 다얀 카안이 게르센제를 할하에 데려갔을 때 한 신하가 "카안은 은혜로 자신의 아이를 받았는데, 어찌 다시 데려가려 하십니까? 이는 비밀리에 우리 주군을 훔쳐 가는 것과 같습니다"라고 말하자, 다얀 칸이 게르센제가 외할하에 머무르는 것을 허락했다고 한다. 이러한 기록들을 통해 당시 외할하에서 자라이르와 케루트 부족이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으며, 게르센제가 파견되기 전까지 할하 투멘 내에서 내할하와 외할하가 이미 분리된 상태였을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5]
1549년 게르센제는 케룰렌강 부근 부란(Хэрлэнгийн Буран)에서 사망했다.[7] 그의 후손들은 이후 오이라트 등을 공격하며 막북몽골 지역을 개척하였다.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다얀 칸 | |
어머니 | 사모르 카툰 또는 지무스게네 카툰[4] | 자라이르 출신 (사모르 카툰) |
동복 형제 | 게레 볼라트 | 울루트 통치 |
이복 형제 | 아르초볼라드 | 내할하부 5개 오톡 통치 |
부인 | 카퉁가이 | 우리양카이 출신 |
부인 | 뭉케 하툰 | |
아들 | 아시카이 다르칸 콩타이지 | 자사그투칸부 가문의 조상, 외네구트부, 자라이르부 상속 |
아들 | 노얀토르 키탄바토르 (노얀타이 카툰바타르) | 좌익 베수드부, 엘지긴부 상속 |
아들 | 오노후이 우지겐 노얀 | 투시예트칸부, 사인노얀부 가문의 조상, 고로스부, 케르구트부 상속 |
아들 | 아민두랄 노얀 | 세첸칸부 가문의 조상, 쿠루이부, 코로부, 추코르부 상속 |
아들 | 다리 타이지 | 카타긴, 쿠후이드부 상속 |
아들 | 달단 쿤둘렌 노얀 (쿤데트 노얀) | 탕구트부[8], 사르툴부 상속 |
아들 | 사무 부이마 노얀 | 우리양카이부 상속 |
2. 1. 사후
16세기 중반에 게르센제의 일곱 아들은 각각 외할하 몽골의 일부 지역을 분할 상속받았다. 그들은 계속해서 투시예트칸부, 자사그투칸부, 세첸칸부, 코토고이드 알탄칸부 등을 형성하였다. 이들 외할하의 칸부는 1636년 북원이 청나라에 합병된 뒤에도 1697년 중가르와 청나라의 전쟁 시기까지, 청나라에 형식적인 조공을 바치며 독립성을 유지하였다.그의 죽음을 계기로 북원의 대칸이자 차하르부의 칸 다라이손 구덴 칸은 할하부 병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3. 가족 관계
아버지는 다얀 카안이며, 어머니는 짐스게네 하툰이다.[4] 일설에는 다얀 카안과 측실 자라이르 출신 스밀 하툰(사모르 카툰) 사이에서 태어났다고도 하며, 이 경우 동복 형제로는 울루트를 통치한 게레 볼라트가 있다. 이복 형으로는 내할하 5부를 상속받은 알추 보라트가 있다.
게르센제는 두 명의 카툰(부인)을 두었는데, 모두 우리양카이 출신인 카투카이 카툰(Хатунхай хатанmon)과 몽카이 카툰(Мөнхүй хатанmon)이다.
자녀는 다음과 같다.
부인 | 이름 | 생년 | 비고 |
---|---|---|---|
카투카이 카툰 | 아시카이 다르칸 콩타이지 (Ашихай дархан хунтайжmon) | 1530년 | 자사그투칸부의 선조 |
노얀타이 카탄 바가투르 (Ноёнтой хатанбаатарmon) | 1531년 | ||
오노후이 우이젠 노얀 (Онохуй үйзэн ноёнmon) | 1534년 | 투시예트칸부의 시조, 사인노얀부의 선조 | |
아민두랄 노얀 (Амин дурал ноёнmon) | 1536년 | 세첸칸부의 선조 | |
다리 타이지 (Дарь тайжmon) | 1540년 | ||
달단 쿤둘렌 노얀 (Далдан хүндүлэн ноёнmon) | 1542년 | ||
사무 부이마 노얀 (Саму буйма ноёнmon) | 1545년 | ||
미날룬 아바이 (Миналуун абайmon) | 1545년 | 위구르 아카사이의 아내 | |
투멘켄 아바이 (Түмэнхэн абайmon) | 1546년 | 우리양카이 뤼산 왕자의 아내 | |
몽카이 카툰 | 알타이 아바이 (Алтай абайmon) | 우리양카이 아반트의 아내 | |
달단 노욘 (Далдан ноёнmon) |
참조
[1]
서적
History of the Mongols from the 9th to the 19th Century
Longmans, Green
[2]
서적
蒙古源流
[3]
문서
[4]
문서
시라・トージ
[5]
문서
[6]
서적
History of the Mongols from the 9th to the 19th Century
Longmans, Green
[7]
간행물
Халх товчоо
УБ.
[8]
문서
칭기즈 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