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구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탕구트는 중국 역사에서 묘족의 후손으로 기록되었으나, 언어적 차이로 인해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하는 민족으로 여겨진다. 선비족 토욕혼의 세력 약화 이후 티베트 제국의 압력으로 동쪽으로 이동하여 목축, 수렵, 농경에 종사했으며, 9세기 후반 당나라를 도운 공로로 이씨 성을 하사받고 정난군절도사에 임명되어 서하 건국의 기반을 다졌다. 1038년 이원호가 대하 왕조를 세우고 서하로 불렸으며, 13세기에 몽골 제국에 의해 멸망했다. 탕구트족은 '붉은 얼굴'과 '검은 머리'로 나뉘었으며, 불교를 숭상했다. 탕구트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탕구트 불교는 티베트와 중국의 전통이 융합된 형태를 보였다.
탕구트는 당항(党項)이라는 이름으로 중국 정사에 처음 등장하는데, 수서에서는 삼묘(묘족의 전신)의 후손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탕구트는 티베트-버마어파 계통이고 삼묘는 먀오-야오어족 계통이므로 언어적 차이가 있다.
탕구트족은 수서에 따르면 삼묘(묘족의 조상)의 후예라고 하나, 탕구트족은 티베트-버마계, 삼묘는 먀오-야오계로 언어적 차이가 있다. 탕구트는 선비족 계통의 토욕혼이 쇠퇴하고 토번이 강성해지자 동쪽의 산시·간쑤성 지역으로 이주하여 목축, 수렵, 농경에 종사했다.
2. 역사
선비 모용부 계통인 토욕혼이 칭하이 지역까지 세력을 넓혔으나, 수와 당의 원정군에 패배하여 쇠퇴하였다. 이후 토번 제국이 건국되면서 탕구트는 토번에 밀려 동쪽의 산시·간쑤 등지로 이동하여 목축·수렵·농경에 종사하였다.
탕구트는 동산부, 평하부, 남산부, 횡산부 등의 부족으로 나뉘어 있었는데, 이 중 평하부가 가장 강성하여 중국 왕조에 적대적이었다. 평하부 왕족은 '탁발'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나, 이는 선비족 탁발부와는 혈연 관계가 없고, 과거 융성했던 탁발부의 이름을 빌린 것으로 보인다.
당나라 말기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평하부 수장이었던 탁발사공이 당나라를 도와 난을 평정하고, 그 공으로 당나라 황제로부터 국성(國姓)인 이(李)씨 성을 하사받고 정란절도사(定難節度使)에 임명되어 하(夏)・수(綏)・은(銀)・유(宥)・정(静) 5개 주의 지배권을 받았다.
송 건국 후, 탁발사공의 후손인 이계봉 대에 내부 계승 문제가 발생했다. 983년 이계봉은 정주(定州)를 제외한 나머지 주를 송에 바치고 복속했으나, 이계봉의 족제인 이계천은 이에 반발하여 송에 반기를 들었다. 그는 거란(요나라)에 복속하여 하국왕(夏國王)에 봉해졌으며, 이후 송에 복속과 반역을 반복하며 세력을 확장해 송에 빼앗겼던 4개 주를 되찾았다.
1004년 이계천이 죽고 아들 이덕명이 뒤를 이었다. 이덕명은 전연의 맹 이후 송나라와 화친하여 세폐를 받았지만, 위구르와는 계속 항쟁하며 세력을 키웠다. 이덕명의 아들 이원호는 1038년 대하(서하) 건국을 선포하고, 간쑤성 지역으로 중심지를 옮겼다. 중국에서는 서하(西夏)라고 불렀다.
13세기에 칭기즈 칸은 몽골을 통일하고 22년에 걸쳐(1205, 1207, 1209–10, 1211–13, 1214–19, 1225–27) 서하를 여섯 차례 공격했다. 몽골의 마지막 공격 동안 칭기즈 칸은 서하 영토에서 사망했다. 몽골 공식 역사에서는 그의 죽음을 질병으로 묘사하는 반면, 전설에서는 그가 이 전투에서 입은 부상으로 사망했다고 전한다.
1227년 서하의 수도가 몽골군에 함락되면서 건물은 파괴되고 기록은 불태워졌다. 사찰을 제외한 모든 것이 불에 탔고, 마지막 황제는 살해되었으며 수만 명의 민간인이 학살되었다. 그러나 많은 탕구트족 가문이 몽골 제국에 합류했고, 그들 중 일부는 몽골 군대를 이끌고 중국 정복에 참여했다. 원나라 건국 후, 탕구트족 병력은 중남부 중국 정복 과정에서 몽골군에 통합되었다. 탕구트족은 원나라 신분 제도에서 색목인으로 간주되어 화북의 중국인들과 분리되었다. 명나라 시대까지 안후이성과 허난성에 소규모 탕구트족 공동체가 있었다는 증거가 있다.
2. 1. 기원과 초기 역사
탕구트라는 이름은 중국 정사 기록상 수서에 처음 등장하며, 삼묘(묘족의 전신)의 후손으로 기록되어 있다.[16] 그러나 탕구트어는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하는 반면, 삼묘는 먀오-야오어족에 속하므로 언어적 차이가 존재한다.
선비 모용부 계통의 토욕혼이 칭하이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했으나, 수와 당의 공격으로 쇠퇴하고, 대신 티베트계의 토번 제국이 성장하면서 탕구트는 동쪽(지금의 중국 산시·간쑤)으로 이동하여 목축·수렵·농경에 종사하였다.
탕구트는 동산부, 평하부, 남산부, 횡산부 등 여러 부족으로 나뉘어 있었고, 그중 평하부가 가장 강성하여 중국 왕조에 적대적이었다. 평하부 부족의 왕족은 '탁발'이라는 성씨를 사용했는데, 이는 선비족 탁발부와는 혈연적 관계가 없고, 과거 융성했던 탁발부의 이름을 빌린 것으로 추정된다.
2. 2. 당나라 시기
9세기 후반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평하부 수장이었던 탁발사공이 당나라를 도와 난을 평정하였다.[16] 탁발사공은 그 공으로 당나라 황제로부터 국성(國姓)인 이(李)씨 성을 하사받고, 정란절도사(定難節度使)에 임명되어 하(夏)・수(綏)・은(銀)・유(宥)・정(静) 5개 주의 지배권을 받았다.[16]
2. 3. 서하 건국
송 건국 후, 탁발사공의 후손인 이계봉 대에 내부 계승 문제가 발생했다. 983년 이계봉은 정주(定州)를 제외한 나머지 주를 송에 바치고 복속했으나, 이계봉의 족제인 이계천은 이에 반발하여 송에 반기를 들었다.[16] 그는 거란(요나라)에 복속하여 하국왕(夏國王)에 봉해졌으며, 이후 송에 복속과 반역을 반복하며 세력을 확장해 송에 빼앗겼던 4개 주를 되찾았다.
1004년 이계천 사후, 아들 이덕명이 뒤를 이었다.[16] 이덕명은 송과 화친하여 세폐를 받았지만, 위구르와는 계속 항쟁하며 세력을 키웠다. 이덕명의 아들 이원호는 1038년 대하(서하) 건국을 선포하고, 간쑤성 지역으로 중심지를 옮겼다. 중국에서는 서하(西夏)라고 불렀다.[16]
2. 4. 몽골 제국 시기
13세기에 칭기즈 칸은 몽골의 북부 초원을 통일하고 22년에 걸쳐(1205, 1207, 1209–10, 1211–13, 1214–19, 1225–27) 서하를 여섯 차례 공격했다. 몽골의 마지막 공격 동안 칭기즈 칸은 서하 영토에서 사망했다. 몽골 공식 역사에서는 그의 죽음을 질병으로 묘사하는 반면, 전설에서는 그가 이 전투에서 입은 부상으로 사망했다고 전한다.[2]
1227년, 서하의 수도는 몽골군에 의해 함락되었고, 몽골군은 건물을 파괴하고 기록을 불태웠다. 사찰을 제외한 모든 것이 불에 탔다. 마지막 황제는 살해되었고 수만 명의 민간인이 학살되었다. 그러나 많은 탕구트족 가문이 몽골 제국에 합류했다. 그들 중 일부는 차안 등 몽골 군대를 이끌고 중국을 정복했다. 원나라 (1271–1368)가 건국된 후, 탕구트족 병력은 중남부 중국을 정복하는 과정에서 몽골군에 통합되었다. 탕구트족은 원나라 신분 제도에서 색목인으로 간주되어 화북의 중국인들과 분리되었다. 명나라 (1368–1644) 시대까지 안후이성과 허난성에 소규모 탕구트족 공동체가 있었다는 증거가 있다.[3][4][5][6]
3. 문화
탕구트는 동산부, 평하부, 남산부, 횡산부 등으로 나뉘었고, 그중 평하부가 가장 강성하여 중국 왕조에 적대적이었다. 평하부 왕족은 탁발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나, 선비족의 탁발부와는 혈연 관계가 없고, 융성했던 탁발부의 이름을 빌려 쓴 것으로 보인다.
당 말기 황소의 난 때 평하부 수장 탁발사공이 당을 도와 난을 평정하고 국성인 이씨를 하사받고 정난군 절도사에 임명되어 하, 수, 은, 유, 정 5개 주의 지배권을 받았다. 북송 건국 후 탁발사공의 후손 이계봉 대에 내부 계승 분쟁이 발생, 983년 이계봉은 송에 복속했으나, 족제 이계천은 거란에 복속하여 하국왕에 봉해졌다. 이후 이계천은 송과 대립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1004년 이계천 사후 아들 이덕명이 뒤를 이었고, 전연의 맹 이후 송과 화친하여 세폐를 받았다. 송과의 화해 이후에도 위구르와의 항쟁을 통해 세력을 확장했고, 이덕명의 아들 이원호 대에 '''대하'''(서하)를 건국했다. 서하는 1227년 칭기즈 칸에 의해 멸망했고, 탕구트족은 몽골 제국 내 색목인으로 편입되었다.
현재 창족으로 알려진 쓰촨성 북부 소수민족의 언어가 서하 문자로 기록된 탕구트어와 가깝다고 알려져 있다. 티베트어 암도 방언을 사용하는 유목민을 탕구트라고 부르기도 하며, 고대 탕구트 거주 지역과 티베트어 암도 방언 사용 지역이 겹친다. 이 지역 티베트인 중에는 몽골화된 튀르크족이 티베트인에 동화되어 티베트어를 쓰게 된 탕구트의 후손이 섞여 있다는 설도 있다.
3. 1. 언어와 문자
탕구트어는 "판어"라고도 하며, 시노티베트어족의 티베토버만어파에 속한다. 다른 많은 시노티베트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음성 언어이며 주로 단음절 어근을 사용하지만, 티베토버만어파의 핵심적인 문법적 특징을 공유한다. 탕구트어가 티베토버만어파의 누수어 또는 창어 하위 분류에 속하는지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탕구트족은 중국어로 당항()이라고 불리며, 중국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강족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관련이 있다고 본다. 역사적으로 "강"은 현대의 강족 (Rma)을 포함하여 중국 서부 변경에 살았던 여러 민족 집단을 아우르는 집단 용어였다.
서하 경종 이원호는 탕구트족의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 탕구트 문자(서하 문자)를 창제하도록 명령했다.[7]
3. 2. 사회
탕구트족 사회는 '붉은 얼굴'과 '검은 머리'라는 두 가지 계급으로 나뉘었다.[16] 붉은 얼굴은 평민을, 검은 머리는 엘리트 사제 계급을 각각 의미했다.[16] 탕구트족 신화에 따르면, 검은 머리 탕구트족의 조상은 하늘의 흰 두루미였고, 붉은 얼굴 탕구트족의 조상은 원숭이였다.[16]
3. 3. 종교
탕구트족은 대부분 불교를 믿었으며, 탕구트 불교는 티베트 불교와 중국 불교 전통이 섞인 형태였다. 화엄종-선종 전통과 가르마 카규파의 불교 전파 방식이 탕구트 불교에 큰 영향을 주었다.[7] 탕구트에서는 불교 경전이 탕구트 문자로 번역되었고, 제국 스승과 같은 불교 기관은 원나라 시대까지도 존재했다.[7] 유교 숭배도 있었지만, 불교만큼 널리 퍼지지는 않았다.[7]
탕구트 사회는 "붉은 얼굴"과 "검은 머리"라는 두 계급으로 나뉘었는데, 붉은 얼굴 탕구트는 평민, 검은 머리 탕구트는 엘리트 사제 계급이었다.[7] 많은 탕구트 유목민들은 뿌리 서부(Melie)라는 샤머니즘을 믿었는데, 뿌리 서부 무당들이 쓰는 검은 모자 때문에 검은 머리 계급이라는 이름이 붙었다.[7] 탕구트 신화에 따르면 검은 머리 탕구트의 조상은 하늘의 흰 두루미였고, 붉은 얼굴 탕구트의 조상은 원숭이였다고 한다.[7]
4. 현대의 탕구트족
서하 멸망 후, 많은 탕구트족은 몽골 제국에 흡수되었고, 일부는 쓰촨성, 북부 티베트, 심지어 인도 북동부까지 이주하여 지역 통치자가 되기도 했다.[16] 중국 중부에 거주하던 탕구트족은 최소 16세기까지 탕구트어를 보존했다.[16]
창족(강족)은 탕구트어와 비교적 가까운 언어를 사용하며, 탕구트족의 후예로 여겨진다.[16] 티베트어 암도 방언을 사용하는 유목민들 중 일부도 몽골화된 튀르크족이 티베트인에 동화되어 티베트어를 사용하게 된 탕구트족의 후손으로 추정된다.[16]
참조
[1]
서적
Handbuch Der Orientalistik
https://books.google[...]
BRILL
[2]
웹사이트
The Tanguts
https://depts.washin[...]
2023-03-24
[3]
웹사이트
西夏法制地理—关于契丹、党项与女真遗裔问题(三)
http://wenhua.eco.go[...]
2010-03-07
[4]
블로그
党益民:党项羌文明与西夏湮灭之谜
http://blog.sina.com[...]
[5]
서적
《王族的背影》作者:唐荣尧
http://vip.book.sina[...]
[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VI: Alien Regimes & Border States, 907–1368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Black Headed and Red Faced Tanguts
http://kepping.net/p[...]
2016-03-05
[8]
학술지
The name of the Tangut Empire
[9]
웹사이트
西夏王陵
http://www.nx.xinhua[...]
Xinhua News Agency
2012-04-18
[10]
서적
The Great State of White and High: Buddhism and State Formation in Eleventh-Century X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
간행물
Tangut Chan Buddhism and Guifeng Zong-mi
http://chinesebuddhi[...]
Chung-Hwa Institute of Buddhist Studies.
2015-02-12
[12]
서적
Wisdom and Compassion
Harry N. Abrams
[13]
웹사이트
The Third Karmapa Lama, Rang Jung Dorje (T: Rang 'Byung rDo rJe)
http://kaladarshan.a[...]
2008-01-29
[14]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5]
문서
繁体字でも「党」の字であり「黨」ではない。
[16]
서적
몽골의 역사 유목민의 탄생부터 몽골국까지
刀水書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