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결과에 호소하는 논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결과에 호소하는 논증은 어떤 주장의 결과가 바람직하거나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을 근거로 해당 주장의 참/거짓 여부를 판단하는 논증 방식이다. 긍정형과 부정형 두 가지 유형이 있으며, 긍정형은 바람직한 결과를, 부정형은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제시하여 주장의 타당성을 주장한다. 법률 분야에서는 불편함에 호소하는 논증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한국 사회에서는 정치, 경제, 사회 등 다양한 영역에서 결과에 호소하는 논증이 활용되며, 진보 진영과 보수 진영 모두 각자의 정책 정당성을 주장하는 데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정적 호소 - 전통에 호소하는 논증
    전통에 호소하는 논증은 어떤 주장이나 관행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는 이유만으로 그것이 옳다고 주장하는 비형식적 오류이다.
  • 감정적 호소 - 감정에 호소하는 논증
    감정에 호소하는 논증은 논리적 근거 대신 청중의 감정을 자극하여 주장을 강화하려는 시도로,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궤변으로 이어질 수 있는 오류이다.
  • 결과주의 - 효과적 이타주의
    효과적 이타주의는 세상을 가장 효과적으로 이롭게 하는 방법을 탐구하는 철학적 운동으로, 기부, 직업 선택 등을 통해 세계 빈곤, 동물 복지 등을 개선하려 하며, 피터 싱어 등이 주요 인물이다.
  • 결과주의 - 묵가
    묵가는 중국 전국 시대에 겸애, 비공, 상현, 절용 등의 사상을 제시하며 유가와 함께 주요 학파로 부상했으나 진나라 통일 이후 쇠퇴한 사상 학파이다.
  • 인과관계의 오류 - 미끄러운 비탈길 논증
    미끄러운 비탈길 논증은 특정 행위를 금지하기 위해 그 행위가 용납할 수 없는 결론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하는 논증 방식이며, 정치적 논쟁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주장에 사용되고, 개념적, 결정적, 인과적 유형으로 나뉜다.
  • 인과관계의 오류 - 피해자 비난
    피해자 비난은 피해자의 행동이나 특성에서 사건의 원인을 찾는 현상으로, 사회 부조리를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이며, 다양한 요인에 의해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법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결과에 호소하는 논증
결과에 호소하는 논증
다른 이름귀결에 의거한 논증
희망적 사고
유형형식적 오류
설명어떤 결론을 받아들일 경우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한다는 점을 근거로 결론의 진실성을 주장하는 오류
예시
예시 1신이 존재해야 한다. 만약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삶은 무의미할 것이다.
예시 2진화론은 사실이 아니다. 만약 진화론이 사실이라면, 우리는 동물과 다를 바 없을 것이다.
같이 보기
관련 개념희망적 사고
소원 성취적 사고
귀류법

2. 일반 형식

결과에 호소하는 논증은 크게 긍정형과 부정형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2]

긍정형부정형



긍정형은 어떤 주장이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참이라고 주장하는 형식으로, 희망적 관측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1] 부정형은 어떤 주장이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거짓이라고 주장하는 형식이다. 힘에 호소하는 논증은 부정형의 특별한 예시이다.[1]

2. 1. 긍정형

긍정형은 어떤 주장이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참이라고 주장하는 형식이다. 이는 희망적 관측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1]

  • P이면 Q가 일어난다.
  • Q는 바람직하다.
  • 따라서 P는 참이다.

2. 1. 1. 긍정형의 예


  • "부동산 시장은 올해도 우상향일 것이다. 주택 소유주는 자본 이득을 누릴 수 있을 테니까"[1]
  • "인간은 빛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초광속 항법은 우주 여행에 최적이니까"[2]
  • "원주율은 아마 유리수일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모든 것을 더 우아하게 설명할 수 있으니까"[3]

2. 2. 부정형

부정형은 어떤 주장이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거짓이라고 주장하는 형식이다. 이는 후건 부정과 유사하지만, 'Q는 바람직하지 않다'와 'Q는 거짓이다'는 다르기 때문에 논리적 오류이다.[1] 힘에 호소하는 논증은 이 형식의 특별한 예시이다.[1]

부정형의 일반적인 형식은 다음과 같다.[1]

  • P라면 Q가 일어난다.
  • Q는 바람직하지 않다.
  • 따라서 P는 거짓이다.


톰 데닝 남작은 버밍엄 식스 판결에서 "만약 여섯 남자가 승리한다면, 이는 경찰이 위증을 저질렀고, 폭력과 협박을 가했으며, 자백은 조작되었고 부적절하게 증거로 채택되었으며 유죄 판결은 잘못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이것은 매우 끔찍한 전망이므로, 이 나라의 모든 분별있는 사람은 이러한 행동이 더 이상 진행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할 것이다."라고 하였다.[1]

2. 2. 1. 부정형의 예


  • "선택 공리바나흐-타르스키 역설을 내포하고 있어, 기하학이 상식에 반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잘못되어 있다"
  • "무신론은 잘못되어 있다. 왜냐하면 사후의 영원한 행복을 부정하고 있으니까" (파스칼의 내기)
  • "자유 의지는 존재한다. 만약 존재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모두 기계라는 것이 되어 버리니까"
  • "이 6명이 이긴다면, 경찰의 유죄 제기가 위증이며, 자백이 강요 당한 것으로, 증거가 부적절하고, 판결이 잘못되어 있던 것을 의미할 것이다… 이것은 그런 오싹한 전망이기 때문에, 이 땅의 현명한 사람들은 판결을 더 이상 잡아늘이는 것이 올바를 리가 없다고 할 것이다" 톰 데닝이 버밍엄 6인 사건의 판결에서 말한 한 마디
  • "신의 존재를 증명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만약 내가 신은 없다고 납득하면, 나에게는 도덕적으로 책임이 없는 것을 의미하니까" 전도사 Ray Comfort의 무신론 철학에 대한 말. 도덕적 책임 능력은 신에게서 유래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어,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의 예이기도 하다.
  • 나카지마 아쓰시의 '제자'에 인용된 바에 의하면, 공자는 영계에 대한 물음에 '있다면 효성스러운 아이는 나을 전망이 없는 부모를 죽이려고 하겠지만 그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없다면 불효인 아이는 장례식이나 제사 따위 보지 않을 것이지만 그것도 바람직하지 않다'라고 대답했다. 공자는 '아직도 삶을 알지 못하는데, 어찌 죽음을 알겠는가'라고 말하고 있지만, 이와 같이 결과에 호소하는 논증은 '그것에 대해서는 모른다'라고 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3. 법률에서의 사용

법률에서 불편함에 호소하는 논증(''argumentum ab inconvenienti'')은 결과에 호소하는 논증의 유효한 한 형태이다. 이러한 논증은 제안된 행위가 불합리하게 불편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점을 보여주려 한다.[1]

3. 1. 불편함에 호소하는 논증의 예

담보를 잡고 돈을 빌려주려는 사람이 먼저 해당 국가의 모든 법원에 문의하여 차용인의 재산 소유권을 확인해야 하는 법률은 불편함에 호소하는 논증의 예시이다.[1]

4. 한국 사회에서의 결과에의 호소

한국 사회에서 결과에 호소하는 논증은 정치, 경제, 사회 등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난다.

4. 1. 정치 영역

정치 영역에서 결과에 호소하는 논증은 종종 정책의 정당성을 옹호하거나 비판하기 위해 사용된다. 정치인이나 정당은 특정 정책이 가져올 긍정적 결과를 강조함으로써 그 정책을 지지하도록 유도하거나, 반대로 부정적 결과를 과장하여 정책에 대한 반감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어떤 정치인이 "만약 우리가 이 법안을 통과시키면 경제가 성장하고 일자리가 늘어날 것입니다."라고 주장한다면, 이는 법안 통과라는 행위의 바람직한 결과(경제 성장, 일자리 증가)를 근거로 법안 통과의 정당성을 옹호하는 결과에 호소하는 논증이다. 반대로, "만약 우리가 저 법안을 통과시키면 세금이 폭등하고 기업들이 해외로 빠져나갈 것입니다."라는 주장은 법안 통과라는 행위의 부정적인 결과(세금 폭등, 기업 유출)를 근거로 법안에 반대하는 결과에 호소하는 논증이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정책의 실제 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보다는 감정에 호소하는 경향이 있다. 정책의 성공 여부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단순히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결과만을 강조하는 것은 논리적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따라서 정치적 주장을 평가할 때에는 결과에 호소하는 논증의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내용은 이전과 동일하며, 변경된 사항은 없습니다. 주어진 지시사항에 따라 모든 사항을 검토했지만, 수정할 부분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없었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Fallacy: Appeal to Consequences of a Belief https://www.nizkor.o[...] 2016-10-29
[2] 웹사이트 Logical Fallacy: Appeal to Consequences https://fallacyfiles[...] 2022-02-23
[3] 웹사이트 FallacyFiles.org - Appeal to Consequences http://www.fallacyfi[...]
[4] 웹사이트 Ray Comfort - WorldNetDaily.com http://worldnetdaily[...]
[5] 웹사이트 FallacyFiles.org - Appeal to Consequences http://www.fallacyfi[...]
[6] 웹사이트 Ray Comfort - WorldNetDaily.com http://worldnetdail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