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주율(π)은 원의 둘레와 지름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학 상수이다. 고대부터 원주율의 근삿값으로 3이 사용되었으며, 아르키메데스는 내접, 외접하는 정다각형을 이용하여 3.1416에 근접한 값을 제시했다. 16세기와 17세기에 무한급수 기법이 개발되면서 계산이 혁신적으로 발전했고, 1706년 윌리엄 존스가 기호 π를 처음 사용했으며, 레온하르트 오일러에 의해 널리 알려졌다. 원주율은 무리수이자 초월수이며, 1761년 람베르트와 1882년 린데만에 의해 각각 증명되었다. 20세기 이후 컴퓨터의 발달로 계산 자릿수가 비약적으로 증가하여, 2022년에는 100조 자릿수까지 계산되었다. 원주율은 기하학, 삼각법, 통계학,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3월 14일은 원주율의 날로 기념된다.
원주율의 개념은 고대부터 알려져 있었다. 1706년 윌리엄 존스는 원의 둘레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페리페레스"(περιφηρής) 또는 "페리메트론"(περίμετρον)의 첫 글자를 따서 원주율을 나타내는 기호 π를 최초로 사용했다.[230]
2. 역사
원주율은 무리수이자 초월수로, 소수점 아래 어느 자리에서도 끝나지 않고 순환마디도 없이 무한히 계속된다. 1761년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가 원주율이 무리수임을 증명했고,[232] 1882년 페르디난트 폰 린데만은 원주율이 초월수임을 증명하여 원적 문제가 불가능함을 보였다.
원주율의 값을 구하기 위한 노력은 오래전부터 계속되었다. 라이프니츠가 제시한 다음 계산식은 원주율을 구하는 단순한 방법 중 하나이다.
:
고대에는 원주율의 근사값으로 3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아르키메데스는 소거법을 사용하여 좀더 정확한 근사값을 제시하였다. 이후 컴퓨터를 활용하여 더 정확한 계산이 이루어졌다. 1949년 최초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소수점 아래 2,037자리까지 계산하였다.[244] 20세기 중반 컴퓨터의 발달은 원주율 계산 경쟁에 혁명을 일으켰다. 1949년 존 렌치(John Wrench)와 레비 스미스(Levi Smith)는 계산기를 사용하여 1,120자리까지, 같은 해 ENIAC 컴퓨터로 70시간의 계산 끝에 2,037자리까지 계산하는 데 성공했다.[78]
유진 살라민과 리처드 브렌트는 1975년에서 1976년 사이에 반복 알고리즘을 독립적으로 발표하였다. 1984년, 존 보어웨인과 피터 보어웨인(Peter Borwein) 형제는 각 단계에서 자릿수를 네 배로 늘리는 반복 알고리즘을 개발했고, 1987년에는 각 단계에서 자릿수를 다섯 배로 늘리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80]
2005년 도쿄 대학의 가네다 야스마사 교수는 컴퓨터를 601시간 56분 동안 사용하여 원주율을 소수점 1,241,100,000,000자리까지 구하였다. 2022년 6월 9일, 이와오 에마 하루카는 Google Cloud에서 157일 23시간에 걸쳐 100조 자릿수를 계산했다고 발표했다.[195]
2. 1. 고대
고대 여러 문화에서 원주율의 값으로 3이 쓰였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도 원주율을 3으로 계산하였고[235], 구약성경 열왕기상 7장 23절과 역대하 4장 2절에는 직경과 둘레의 길이를 기술하여 원주율이 3정도임을 알 수 있다. 고대 중국의 수학책인 《구장산술》에서도 3을 원주율로 제시하였다. 《구장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실려 있다.[236]
원문 | 번역 |
---|---|
今有圓田周三十步經十步問爲田幾何 | 둘레가 30걸음, 지름이 10걸음인 원 모양의 밭이 있다면 넓이는 얼마인가? |
왼쪽 그림을 보면 지름이 1인 원에 내접하는 정육각형의 둘레는 3이고 실제 원의 둘레는 그것과 차이가 상당하므로, 구장산술에 실린 계산이 매우 부정확하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237] 이는 고대에서부터 이미 널리 알려진 문제였고, 값을 더 정확하게 구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원통형 바퀴를 굴려 직접 측정해 원주율을 계산하였는데 =3.16049……를 사용하였다.[235]
기원전 3세기 고대 그리스 수학자 아르키메데스는 소거법을 사용하여 의 근삿값을 계산하였다. 그는 변이 매우 많은 다각형이 임의의 원에 내접하는 경우와 외접하는 경우를 비교하여 원주율을 계산하였다. 아르키메데스는 정구십육각형을 이용하여 의 값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238]
:
아르키메데스는 이 결과에 따라 의 근삿값으로 3.1416을 제시하였다.
중국의 삼국시대 위나라 수학자 유휘는 《구장산술》에 주해를 달아 다시 출판하였는데, 아르키메데스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원주율을 =3.14 로 계산하였다. 유휘가 계산한 원주율 근삿값은 오늘날에도 일상생활에서 사용한다.[240]
2세기에 들어 중국의 장형은 원주율을 3.1623으로 계산하였고[241] 5세기 중국 남북조 시대 송나라의 조충지는 3.141592로 계산하였다.[242]
2. 2. 중세 및 근대
14세기 인도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상가마그라마의 마다바는 다음과 같은 π의 급수 표현(Leibniz formula|라이프니츠 공식영어)[191]을 발견했다.:
이는 역탄젠트 함수 의 테일러 전개에서 일 때의 표현이 된다. 마다바는 또한,
:
을 이용하여 π의 값을 소수점 이하 11자리까지 구했다.
17세기, 독일의 루돌프 판 코일렌(Ludolph van Ceulen)은 정억각형을 사용하여 소수점 이하 35자리까지 계산했다. 1699년(또는 1706년)에 에이브러햄 샤프(Abraham Sharp)는 소수점 이하 72~127자리까지 구했다.
18세기 프랑스의 수학자 아브라암 드 무아브르(Abraham de Moivre)는 어떤 상수 를 취하면, 동전을 회 던져서 앞면이 회 나올 확률은 이 충분히 클 때
:
로 근사할 수 있다는 것을 에 대한 수치 계산을 통해 발견했다. 이 정규분포의 개념은 1738년에 출판된 드 무아브르의 『확률론』(The Doctrine of Chances)에 나타나 있다. 드 무아브르의 친구인 제임스 스털링(James Stirling)은 나중에 임을 증명했다.
1751년에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Johann Heinrich Lambert)는 가 0이 아닌 유리수이면 탄젠트 함수 의 값은 무리수임을 증명하고, 그 계(의 대우)로써 π가 무리수임을 유도했다. 또한 1882년에 페르디난트 폰 린데만(Ferdinand von Lindemann)은 π가 초월수임을 증명하고, 원적 문제(주어진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과 등적의 정사각형을 자와 컴파스를 이용하여 작도하는 문제)는 풀 수 없음을 유도했다.
1873년, 윌리엄 샹크스(William Shanks)는 직접 소수점 이하 707자리까지 계산했다(하지만 그 결과는 중간에 발생한 오류로 인해 소수점 이하 527자리까지밖에 정확하지 않았다).[243]
에도 시대 초기의 수학 서적인 毛利重忠(모리 시게타다)의 『割算書(갓산쇼)』에서는 원주율을 3.16으로 하고 있다. 그의 제자인 吉田光由(요시다 미쓰요시)의 『塵劫記(진겁기)』에서도 3.16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당시 선진국이었던 중국의 문헌에는 이 3.16이라는 수치가 보이지 않아 중국 문헌의 수치를 베꼈다고는 생각하기 어렵다. 따라서 초기 와산(和算)가들이 왜 원주율을 3.16으로 했는지 그 이유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아마도 모리 시게타다(毛利重忠)와 그의 제자 요시다 미쓰요시(吉田光由) 등 선구자들은 원주율을 실제로 측정하여 3.14 또는 3.16 정도의 값을 얻었지만, 마지막 자릿수의 숫자에 확신을 가지지 못했기 때문에 "원과 같은 아름다운 모양을 구하는 수치는 더 아름다운 수치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여 "아름다운 이론"을 추구했다. 그 결과 이 아름다운 수치로 채택되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그러한 생각은 일본에서 두 번째로 3.14의 값을 계산으로 구한 野沢定長(노자와 사다나가)의 『算九回(산구회)』(延宝(엔보우) 5년: 1677년)에도 보이며, 그 저서에서 "갑자기 원의 계산의 요점을 깨달았다"고 하면서 "원주율의 값은 형(形)=경험에 의해 구하면 3.14이지만, 이(理)=사변에 의해 구하면 3.16이다"라고 하여 "둘 다 버려서는 안 된다"고 했다.
에도 초기, 1600년대 전반부터 원을 대상으로 한 일본 수학 연구인 「원리 (일본 수학)」가 시작된다. 그 최초의 주제 중 하나가 원주율을 수학적으로 계산하려는 노력이었고, 1663년 일본에서 처음으로 무라마쓰 시게키요(村松茂清)가 『산소(算爼)』에서 "원에 내접하는 다각형의 둘레 길이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3.14…라는 값을 산출했다. 『산소』에서는 원에 내접하는 정팔각형부터 변의 수를 순차적으로 2배로 하여, 내접각형의 둘레 길이로,
:3.1415 9264 8777 6988 6924 8
과 같이 소수점 이하 21자리까지 계산했다. 이것은 실제 값과 소수점 이하 7자리까지 일치한다. 그 후 1680년대에 들어서면서 원주율의 값을 3.16으로 하는 수학 책은 없어지고 3.14로 통일되었다. 1681년경에는 세키 다카카즈(関孝和)가 내접각형(13만 1072각형)의 계산을 고안하여 소수점 이하 16자리까지 현대의 값과 같은 수치를 계산했다. 이 계산값은 세키의 사후 1712년에 간행된 『괄요산법(括要算法)』에 기록되어 있다.
일본 와산(和算)가의 특징은, 1663년에 3.14가 처음으로 유도되었어도 그 후 1673년까지 10년간 원주율의 값을 3.14로 한 산수 책이 모두 선행자의 원주율을 그대로 계승하지 않고 각각 독자적인 값을 제출했다는 점이다. 그 배경에는 당시의 유제계승운동에 「다른 사람의 산법을 계승한다」와 동시에 「자신의 산법을 자랑한다」는 성격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 때문에 옛 3.16의 값이 의심받은 후, 유제계승 시에는 거의 예외 없이 원주율의 값이 바뀌었다. 그러나 에도 시대의 3대 와산서 『진겁기(塵劫記)』, 『개산기(改算記)』, 『산법결의초(算法闕疑抄)』의 증보 개정판에서는 1680년대에 3.14로 통일되었다.
일본 와산(和算)의 약점은 단순히 이론적 측면의 약점에만 그치지 않고, 누구나 납득할 수 있는 정확한 원주율에 대한 교육 및 계몽에 대한 관심마저 잃은 데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와산가들이 아무리 원주율이 3.14…라고 썼다고 해도, 『진겁기(塵劫記)』의 오래된 원주율 3.16의 값이 그대로 남게 된 결과가 되었다. 『진겁기(塵劫記)』의 중판(1694년) 등은 오래된 원주율 3.16 그대로 출판되어 계속되었고, 18세기에 대중적인 통속 산수서가 대량으로 출판될 때 반드시 3.16이라는 값을 계승하게 되었다.
18세기 중반 이후의 와산(和算)은 수학적 증명의 개념 추구는 무시되고, 탁마류(宅間流)의 가마다 준세이(鎌田俊清)가 독창적인 방법으로 정확한 원주율을 산출했음에도 불구하고 전혀 계승되지 않았다. 에도 시대 후반의 와산가(和算家)들은 가원 제도적인 비밀주의와 보수주의, 권위주의가 재야의 독창성을 무시하여 결과적으로 학문의 발전을 방해하게 되었다.
2. 3. 컴퓨터 시대
1949년 9월 최초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70시간에 걸쳐 소수점 아래 2,037자리까지 계산하였다.[244] 원주율 계산에 컴퓨터를 도입한 이후 원주율 계산은 단순 알고리즘의 무한 반복에 불과한 작업이 되어 수학적 의미를 잃었다.[244] 이 계산은 종종 컴퓨터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한다.[243]20세기 중반 컴퓨터의 발달은 다시 한번 원주율(π)의 자릿수 계산 경쟁에 혁명을 일으켰다. 존 렌치(John Wrench)와 레비 스미스(Levi Smith)는 1949년 계산기를 사용하여 1,120자리까지 계산하였다. 같은 해 조지 라이트바이저(George Reitwiesner)와 존 폰 노이만(John von Neumann)이 이끄는 연구팀은 역탄젠트(arctan) 무한급수를 이용하여 ENIAC 컴퓨터로 70시간의 계산 끝에 2,037자리까지 계산하는 데 성공했다.[78] 이후 역탄젠트 급수에 의존하는 기록은 계속해서 갱신되었다 (1955년 3089자리,[79] 1957년 7,480자리, 1958년 10,000자리, 1961년 100,000자리). 1973년에는 100만 자릿수에 도달했다.
1980년경 두 가지 추가적인 발전이 원주율(π) 계산 능력을 다시 한번 가속화시켰다. 첫째, 무한급수보다 훨씬 빠른 원주율(π) 계산을 위한 새로운 반복 알고리즘이 발견되었고, 둘째, 매우 큰 수를 빠르게 곱할 수 있는 고속 곱셈 알고리즘이 발명되었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현대 원주율(π) 계산에서 특히 중요한데, 컴퓨터 시간의 대부분이 곱셈에 할애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카라추바 알고리즘(Karatsuba algorithm), 툼-쿡 곱셈(Toom–Cook multiplication), 그리고 푸리에 변환 기반 방법이 포함된다.
유진 살라민과 리처드 브렌트는 1975년에서 1976년 사이에 반복 알고리즘을 독립적으로 발표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무한급수에 대한 의존성을 피한다. 반복 알고리즘은 특정 계산을 반복하며, 각 반복에서 이전 단계의 출력을 입력으로 사용하고 각 단계에서 원하는 값으로 수렴하는 결과를 생성한다. 이 방법은 160년 전 칼 프리드리히 가우스(Carl Friedrich Gauss)에 의해 발명되었는데, 현재 산술-기하 평균법(AGM 방법) 또는 가우스-르장드르 알고리즘(Gauss–Legendre algorithm)이라고 한다. 살라민과 브렌트가 수정한 알고리즘은 브렌트-살라민 알고리즘이라고도 한다.
반복 알고리즘은 무한급수 알고리즘보다 빠르기 때문에 1980년 이후 널리 사용되었다. 무한급수는 일반적으로 연속 항에서 정확한 자릿수를 더하는 반면, 반복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각 단계에서 정확한 자릿수를 ''곱한다''. 예를 들어, 브렌트-살라민 알고리즘은 각 반복에서 자릿수를 두 배로 늘린다. 1984년, 존 보어웨인과 피터 보어웨인(Peter Borwein) 형제는 각 단계에서 자릿수를 네 배로 늘리는 반복 알고리즘을 개발했고, 1987년에는 각 단계에서 자릿수를 다섯 배로 늘리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80] 가나다 야스마사(Yasumasa Kanada)는 1995년부터 2002년 사이에 원주율(π) 계산에 대한 여러 기록을 세우는 데 반복적 방법을 사용했다.[81] 이러한 빠른 수렴은 대가를 치른다. 반복 알고리즘은 무한급수보다 훨씬 많은 메모리가 필요하다.[81]
2005년 도쿄 대학의 가네다 야스마사 교수는 컴퓨터를 601시간 56분 동안 사용하여 원주율을 소수점 1,241,100,000,000자리까지 구하였다. 2009년 〈도쿄신문〉에 따르면, 쓰쿠바 대학 계산과학연구센터는 슈퍼컴퓨터를 사용한 원주율 계산에서 2조 5769억 8037만 자리수의 세계기록을 수립했다고 한다. (73시간 59분 소요)[245][246] 이후 프랑스에서는 2조 7천억 자리까지 계산하였다.[247] 2010년 8월 3일에는 일본의 회사원 곤도 시게루(近藤茂)가 소수점 이하 5조 자리까지 계산하였다. (90일 7시간 소요, 검증 기간 포함 / PC 사용)[248] 2016년 11월 11일 스위스의 입자 물리학자 페터 트뤼프(Peter Trüb)는 105일 동안 계산하여, 원주율을 소수점 이하 22조 4591억 5771만 8361자리(조 개)까지 계산했다.[249]
1960년대의 고속 푸리에 변환의 발명은 다배장 연산을 고속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하였고, 이는 효율적인 알고리즘 개발과 함께 1973년 100만 자릿수 돌파를 포함하여, 이후 수십 년 동안 컴퓨터 과학자, 계산 과학자, 컴퓨터 아마추어들에 의해 계산이 진행되는데 기여하였다.
2022년 6월 9일, 이와오 에마 하루카는 Google Cloud에서 추드노프스키 급수를 사용하여 157일 23시간에 걸쳐 100조 자릿수를 계산했다고 발표했다.[195]
3. 수학적 특성
원주율은 무리수이자 계수가 유리수인 다항식의 근이 될 수 없는 초월수이다.
원주율이 무리수라는 것은 1761년에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가 증명했으며, 초월수라는 것은 1882년에 페르디난트 폰 린데만이 증명하였다. 린데만의 정리에 따르면, 정수로부터 사칙연산과 근호를 취하는 연산만을 유한 번 조합하여 원주율 값을 얻을 수 없다.
원주율이 초월수라는 사실로부터 고대 그리스의 3대 작도 문제 중 하나인 원적 문제(주어진 반지름을 가지는 원과 같은 면적의 정사각형을 자와 컴퍼스를 사용하여 유한 번의 작도로 그리는 문제)가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원주율의 컴퓨터를 이용한 계산, 암기, 십진법 표기에서의 소수 부분 각 자릿수(0, 1, …, 9)의 출현 빈도는 사람들의 관심 대상이 된다. 2022년 10월 기준으로, 원주율은 소수점 이하 100조 자리까지 계산되었다.[195]
3. 1. 무리수
원주율은 두 정수의 비로 나타낼 수 없는 무리수이다.[250] 대표적인 무리수로는 파이와 루트가 있다.[251]원주율()은 무리수이며, 이는 두 정수의 비로 표현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및 과 같은 분수는 를 근사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어떤 분수(정수의 비)도 그 정확한 값이 될 수 없다. 가 무리수이기 때문에, 그 소수 표현에는 무한히 많은 자릿수가 있으며, 무한히 순환되는 자릿수 패턴으로 정착하지 않는다.
원주율이 무리수라는 것은 1761년에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가 증명했다.[250] 람베르트는 탄젠트 함수의 연분수 전개식을 이용하여 이를 증명하였다.[251]
:
가 이 아닌 유리수일 때 위에 전개된 연분수를 십진기수법으로 나타내면 언제나 순환하지 않는 소수이므로 항상 무리수이다. 한편, 이므로 는 반드시 무리수여만 한다. 따라서 역시 무리수이다.[252][253] 1806년에는 르장드르에 의해 증명의 엄밀성이 보완되었다.
원주율이 무리수임을 증명하는 몇 가지 증명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미적분을 필요로 하며 ''귀류법'' 기법에 의존한다.
3. 2. 초월수
1882년 페르디난트 폰 린데만이 원주율이 초월수임을 증명했다.[61] 린데만의 증명은 오일러 등식을 이용한다.[254] 오일러 등식은 다음과 같다.:
원주율이 초월수라는 사실은 원적 문제가 불가능함을 증명한다.[63] 원적 문제는 주어진 원과 같은 넓이를 가진 정사각형을 자와 컴퍼스를 이용하여 유한 번의 작도로 그리는 문제이다.
3. 3. 수열
원주율의 소수점 아래 자릿수는 무작위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완전한 무작위성이나 정규성은 증명되지 않았다.[232] 네덜란드 수학자 라위트전 브라우어르는 원주율의 전개에서 9가 연속적으로 100회 나타나는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했지만, 이는 수열의 무한성 때문에 경험적 방법으로 답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258] 실제 소수점 이하 762번째에서부터 999999가 출현하며, 이는 파인만 포인트로 알려져 있다.[259]컴퓨터 등장 이후 많은 자릿수가 계산되어 통계 분석이 가능해졌다. 가나다 야스마사는 원주율의 십진수 자릿수에 대한 자세한 통계 분석을 수행하여 정규성과 일치함을 발견했다.[259] 0에서 9까지의 10개 자릿수의 빈도는 통계적 유의성 검정을 거쳤으나, 패턴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259]
2022년 10월 기준으로, 원주율은 소수점 이하 100조 자릿수까지 계산되었다.[195] 5조 자릿수까지의 숫자 출현 횟수는 아래 표와 같다.
숫자 | 횟수 |
---|---|
0 | 499,998,976,328회 |
1 | 499,999,966,055회 |
2 | 500,000,705,108회 |
3 | 500,000,151,332회 |
4 | 500,000,268,680회 |
5 | 499,999,494,448회 |
6 | 499,998,936,471회 |
7 | 500,000,004,756회 |
8 | 500,001,218,003회 |
9 | 500,000,278,819회 |
모두 거의 같으며(약 0.0005% 차이 안에 들어온다), 가장 많은 것은 8이고, 가장 적은 것은 6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무작위로 나타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난수열인지 확실하지 않다. 예를 들어 원주율이 정규수인지 아닌지도 알려져 있지 않다.[196]
3. 4. 연분수
원주율(π)는 무리수이므로 분수로 나타낼 수 없다. 하지만 모든 수는 중첩된 분수의 무한 계열인 연분수로 나타낼 수 있다. 원주율은 다음과 같은 연분수로 표현될 수 있다.:
연분수를 어떤 지점에서 자르면 원주율(π)에 대한 유리수 근삿값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은 처음 네 개의 근삿값은 3, 22/7, 333/106, 355/113이다. 이 수들은 원주율의 가장 잘 알려지고 널리 사용되는 역사적 근삿값들이다. 이 방법으로 생성된 각 근삿값은 최선의 유리수 근삿값이다. 즉, 분모가 같거나 작은 다른 어떤 분수보다 원주율(π)에 더 가깝다.[24]
원주율(π)은 초월수이므로, 대수적 수가 아니며 따라서 이차 무리수가 될 수 없다. 따라서 원주율(π)은 순환 연분수를 가질 수 없다. 원주율(π)의 단순 연분수(모든 분자가 1인 위의 연분수)는 다른 명확한 패턴을 보이지 않지만,[25] 여러 비단순 연분수는 다음과 같은 패턴을 보인다.[26]
:
이 중 가운데 식은 17세기 중반 수학자 윌리엄 브로운커에 의한 것으로, § 브로운커의 공식을 참조한다.
4. 계산식
원주율은 다양한 무한급수, 곱, 적분 등을 통해 표현될 수 있다. 원주율을 계산하는 방법은 단순하지만, 무리수이기 때문에 정확한 값은 알 수 없고 근삿값만을 이용한다.
- '''라이프니츠 공식'''[244]
:
:
- 연분수 표현[266]
:
4. 1. 무한급수
원주율은 무리수이기 때문에 그 값은 근삿값으로밖에 알 수 없다. 대부분의 계산에는 3.14나 22/7이라는 근삿값을 사용해도 충분하지만, 더 정밀한 계산에는 3.1416 또는 3.14159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기상 예보나 인공 위성 등의 계산에는 소수점 아래 30자리까지 나아간 근삿값을 사용하고 있다.[244]원주율을 나타내는 무한급수 공식은 다음과 같다.
- 라이프니츠 공식[261]
:
:
- 오일러의 곱셈 공식 (1735년)[262]
:
:
- 베일리 공식 (1996년):
:
4. 2. 적분
원주율은 무리수이기 때문에 그 값은 근삿값으로밖에 알 수 없다. 적분을 통해서도 원주율 값을 계산할 수 있다.[261]4. 3. 기타
스털링 근사를 사용해 원주율을 유도할 수도 있다.[265]:
1996년 데이빗 베일리는 피터 보어와인, 시몽 플루프와 공동으로 π에 관련된 새로운 무한급수를 발견했다.
:
이 식을 이용하면 2진수와 16진수로 표기한 π값의 소수점 아래 ''n''자리 값을 ''n''-1째 자리까지 구하지 않고 바로 계산해 낼 수 있다. [https://web.archive.org/web/20030501201647/http://www.nersc.gov/~dhbailey/ 베일리의 홈페이지]에서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해 구현한 실제 예를 볼 수 있다.
1995년 사이먼 플루프는 베일리-보어웨인-플루프 공식(BBP 공식) 자릿수 추출 알고리즘을 발견했다.[101]
:
이 공식은 이전의 다른 공식들과 달리 이전의 모든 자릿수를 계산하지 않고도 원주율(π)의 개별 16진수 자릿수를 생성할 수 있다. 개별 2진수 자릿수는 개별 16진수 자릿수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8진수 자릿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16진수 자릿수에서 추출할 수 있다. 자릿수 추출 알고리즘의 중요한 응용 분야는 새로운 원주율(π) 계산 기록 주장을 검증하는 것이다. 새로운 기록이 주장된 후, 10진수 결과는 16진수로 변환되고, 자릿수 추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끝 부분 근처의 여러 개의 임의로 선택된 16진수 자릿수를 계산한다. 이 자릿수들이 일치하면 전체 계산이 정확하다는 신뢰도를 측정할 수 있다.[90]
5. 적용
원주율은 수학, 물리학, 공학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된다.
원주율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수치 계산에서는 소수점 이하 몇 자릿수만으로도 충분한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우주론적 계산을 수행하는 데에는 39자릿수면 충분하며, 이는 관측 가능한 우주의 둘레를 원자 하나의 정밀도로 계산하는 데 필요한 정확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원주율을 수천, 수백만 자릿수까지 계산하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이는 슈퍼컴퓨터 테스트, 수치 해석 알고리즘 테스트 등에 활용된다.[83][84]
원주율(π)은 많은 공식에서 발견되며, 통계학, 물리학, 푸리에 분석, 정수론과 같은 다른 과학 분야의 일부 중요 공식에도 포함된다.
5. 1. 기하학
유클리드 평면에서 원은 크기와 관계없이 언제나 닮은 도형이다. 따라서 원의 지름에 대한 둘레의 비는 언제나 일정하며, 이를 원주율이라 한다.[229]원주율(π)은 일반적으로 원의 둘레(C)와 지름(d)의 비율로 정의된다.
: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원과 원주율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233]
- 원의 둘레를 구하는 식은 원주율의 정의와 같다.
: 원의 둘레 = 지름 × 원주율
- 원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은 아르키메데스 시대 이후 여러 가지 기법이 알려져 있다. 널리 사용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는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고안한 것으로, 정육각형을 이용한 구적법이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왼쪽 그림과 같이 정육각형을 이용하여 분할한 원을 직사각형으로 치환하여 원의 넓이를 계산하였다.[234]
: 원의 넓이 = 원주율 × 반지름2
원주율이 보이는 복잡한 수열에 비해 이를 계산하는 방법은 의외로 단순하다. 라이프니츠가 정리한 다음 계산식이 널리 알려져 있다.
:
아르키메데스는 원과 구의 다음과 같은 성질을 증명하였다.[267]
각의 크기를 나타내는 무차원 단위인 라디안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의하여 반지름과 호의 길이가 같을 때 1라디안이 된다. 따라서, 원 전체는 2π라디안이고 이를 도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268]
- π라디안 = 180°
5. 2. 바젤 문제
1687년 스위스 바젤의 수학 교수였던 야코프 베르누이와 요한 베르누이 형제는 조화급수가 발산한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조화급수의 각 분모를 제곱한 다음 식을 닫힌 형식으로 나타내는 것에는 실패하였으며 논문의 끝에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면 알려주기 바란다고 적었다.[269]:
당대의 유명한 수학자들이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시도하였으나 결국 실패하였고, 이 문제는 바젤 문제로 알려지며 해석학자의 악몽으로까지 불리게 되었다. 이를 해결한 사람은 레온하르트 오일러로 1735년에 이 급수의 값이 다음과 같다는 것을 증명하였다.[269]
:
후일 이 급수는 다음과 같은 일반식으로 표현되었는데 이것이 리만 제타 함수이다.[269]
:
리만 제타 함수는 s가 짝수일 때 위 식을 이용하여 그 값을 쉽게 계산할 수 있으나 홀수일 때는 자명하지 않다. 1978년 s가 3일 때 무리수로 수렴하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 수렴값은 아페리 상수라고 한다.[270]
리만 제타 함수는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사용된다. s=2 에서 평가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이 무한 급수에 대한 간단한 해를 찾는 것은 바젤 문제라고 불리는 수학에서 유명한 문제였다.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1735년에 이것이 과 같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했다.[59] 오일러의 결과는 두 개의 임의의 수가 서로소(즉, 공통 인수가 없음)일 확률이 과 같다는 정수론 결과로 이어진다.[135][136] 이 확률은 어떤 수가 소수 p로 나누어떨어진다는 확률이 1/p 이라는 관찰(예: 7의 배수는 7개의 정수마다 하나씩 존재함)에 기반한다. 따라서 두 수가 모두 이 소수로 나누어떨어질 확률은 이고, 적어도 하나가 나누어떨어지지 않을 확률은 이다. 서로 다른 소수에 대해 이러한 나누어떨어짐 사건들은 서로 독립적이므로, 두 수가 서로소일 확률은 모든 소수에 대한 곱으로 주어진다.[137]
:
이 확률은 난수 생성기와 함께 사용하여 몬테카를로 방법을 통해 를 근사할 수 있다.[138]
바젤 문제의 해는 기하학적으로 유도된 양인 가 소수의 분포와 깊이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타마가와 수에 대한 베일 추측의 특수한 경우이며, 각 소수 p에서 국소화된 유사한 무한 곱인 '산술적' 양과 '기하학적' 양의 등식을 주장한다. 특정 국소 대칭 공간의 부피의 역수이다. 바젤 문제의 경우, 그것은 쌍곡 3-다양체 이다.[139]
5. 3. 복소수 계산
복소해석학에서 π는 복소수 변수가 지수 함수에서 보이는 행동과 연관이 있으며 오일러의 공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271]:
''i''는 허수 단위이기 때문에 ''i''2 = −1 이므로 이를 π라디안(=180°)과 함께 자연로그의 밑 ''e''의 지수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은 오일러 등식을 얻는다.[28][29]
:
- (오일러의 등식)
5. 4. 확률과 통계
정규분포에서 확률분포의 평균을 μ, 표준편차를 σ라 하면, 가우스 적분의 값을 상쇄하기 위해 정규분포의 확률 밀도 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272]:
표준 코시 분포의 확률 밀도 함수는 다음과 같다.[273]
:
모든 확률 밀도 함수는 다음의 적분값을 가진다.[274]
:
조르주루이 르클레르 드 뷔퐁이 제기한 뷔퐁의 바늘 문제는 원주율의 근삿값을 구하는 방법으로 자주 언급된다. 길이 L인 바늘을 일정한 간격으로 그려진 평행선 위에 떨어뜨릴 때, 평행선의 간격 S가 바늘의 길이보다 크다면, 바늘을 떨어뜨린 횟수 n번에 대해 바늘이 평행선 밖으로 나간 횟수 x번(x>0)은 몬테카를로 방법에 의해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275]
:
즉, 뷔퐁의 바늘 문제에서 바늘을 충분히 많이 떨어뜨리면 바늘이 평행선을 벗어나는 횟수에 대한 전체 횟수의 비는 원주율에 가까워진다.
5. 5. 물리학
원주율 자체는 물리 상수가 아니지만, 물리학의 여러 분야에서 두루 사용되는데 이는 여러 자연 현상이 원과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등속원운동에서 각속도와 원주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276]- 각속도를 ω (= θ / 초), 분당 회전수를 N이라 하면
:
- 이때, 반지름을 r이라 하면 원주속도 v는
:
이 외에 물리학에서 원주율을 사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불확정성 원리에 따라, 양자 역학적인 물리량은 동시에 정확히 관찰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입자의 특정 위치를 Δx라 하고 이 때의 운동량을 Δp 라 하면, 이 둘의 크기를 둘 다 정확히 관찰할 수는 없으며 다음 식을 사용해 확률적으로만 계산한다.[277]
:
-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한 아인슈타인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278]
:
: 여기서 은 리치 곡률, 은 스칼라 곡률, 는 계량 텐서, 는 우주 상수, 는 중력 상수, 는 광속, 그리고 는 에너지-운동량 텐서이다.
- 원주율(π)은 우주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는 방정식에 자주 등장하는데, 이는 원주율이 원과 구면 좌표계와의 관계 때문이다. 고전역학 분야의 간단한 공식은 길이가 L이고 작은 진폭으로 진동하는 단진자의 주기 T를 근사적으로 나타낸다 (g는 지구 중력 가속도).[150]
:
- 양자역학의 핵심 공식 중 하나는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이며, 입자의 위치 측정의 불확정성(Δx)과 운동량(Δp)이 동시에 임의로 작을 수 없음을 보여준다 (h는 플랑크 상수).[151]
:
- 원주율은 오일러가 유도한 좌굴 공식과 같이 일부 구조 공학 공식에도 나타나는데, 이 공식은 길이 L, 탄성계수 E, 단면 관성 모멘트 I를 갖는 길고 가는 기둥이 좌굴 없이 지탱할 수 있는 최대 축하중 F를 나타낸다.[153]
:
- 유체역학 분야에는 스토크스 법칙에 원주율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법칙은 반지름 R의 작은 구형 물체가 점도 η를 갖는 유체 내에서 속도 v로 움직일 때 작용하는 마찰력 F를 근사적으로 나타낸다.[154]
:
6. 문화 속 원주율
3월 14일은 원주율의 날로 기념된다. 소수점 이하가 "영원히 계속된다"는 의미를 담아 3월 14일에 결혼하는 커플도 있다.[215] π (pi)와 파이(pie)는 동음이의어이고,[216] 파이가 원형이라는 점에서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파이의 날"로 축하하며,[217] 파이 굽기나 파이 먹기 외에도 수학과 관련된 활동을 한다.[218] 7월 22일은 22/7이 원주율의 근사값이기 때문에 원주율 근사값의 날로 여겨진다.
원주율 암기는 많은 자릿수의 원주율을 암기하는 것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서 관리한다. 기네스 세계 기록에 인증된 원주율 암기 기록은 7만 자릿수로, 2015년 3월 21일 인도의 라즈비르 메나가 9시간 27분 만에 암송하였다.[156]
몇몇 저자들은 원주율의 자릿수를 이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구속 저술을 만들었는데, 여기서 단어의 길이는 원주율의 자릿수를 나타내야 한다. ''Cadaeic Cadenza''는 이 방식으로 원주율의 처음 3835자릿수를 담고 있으며,[160] 장편 소설 ''Not a Wake''는 각각 원주율의 한 자릿수를 나타내는 1만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161]
원이라는 일상에서도 잘 알려진 도형에 대한 단순한 정의이면서도, 소수점 이하가 순환하지 않고 무한히 계속된다는 점 때문에 원주율은 수학 개념 중 가장 잘 알려진 것 중 하나이다. 칼 세이건의 1985년 소설 콘택트에서는 우주의 창조주가 π의 숫자들 속에 깊이 메시지를 숨겨 놓았다는 내용이 제시된다.[164][165] π의 숫자들은 케이트 부시의 2005년 앨범 에어리얼의 노래 "Pi"의 가사에도 포함되었다.[166]
참조
[1]
논문
On the remainder term in the Madhava–Leibniz's series
[2]
서적
Synopsis Palmariorum Matheseos
https://archive.org/[...]
J. Wale
[3]
웹사이트
πe trillion digits of π
http://www.pi2e.ch/
[4]
웹사이트
Pi in the sky: Calculating a record-breaking 31.4 trillion digits of Archimedes' constant on Google Cloud
https://cloud.google[...]
2019-03-14
[5]
논문
The quest for PI
[6]
웹사이트
pi
http://dictionary.re[...]
Dictionary.reference.com
1993-03-02
[7]
서적
Calculus
Wiley
[8]
서적
Mathematische Werke
Mayer & Müller
[9]
서적
Die Elemente der Mathematik
https://archive.org/[...]
Hirzel
[10]
서적
Einführung in die Differentialrechnung und Integralrechnung
Noordoff
[11]
서적
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
https://archive.org/[...]
McGraw-Hill
[12]
서적
Real and complex analysis
McGraw-Hill
[13]
서적
Complex analysis
McGraw-Hill
[14]
서적
Topologie generale
Springer
[15]
서적
Fonctions d'une variable réelle
Springer
[16]
논문
On the Irrationality Measure of pi
[17]
문서
[18]
문서
[19]
서적
History of Pi
St. Martin's Press
[20]
서적
Science and Its Times: Understanding the Social Significance of Scientific Discovery
https://archive.org/[...]
Gale Group
[21]
서적
Transcendental Numbers
https://link.springe[...]
Springer
2014
[22]
웹사이트
Schanuel's Conjecture: algebraic independence of transcendental numbers
https://webusers.imj[...]
2021
[23]
웹사이트
Lindemann-Weierstrass Theorem
https://mathworld.wo[...]
[24]
문서
[25]
논문
Continued fraction gems
[26]
논문
An Elegant Continued Fraction for {{pi}}
1999-05
[27]
논문
Abu-r-Raihan al-Biruni, 973–1048
[28]
문서
[29]
서적
E: The Story of a Numb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30]
서적
The Shape of the Great Pyramid
https://books.google[...]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31]
서적
Mathematics in Ind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32]
서적
From Alexandria, through Baghdad: Surveys and studies in the ancient Greek and medieval Islamic mathematical sciences in honor of J. L. Berggren
Springer
[33]
문서
[34]
문서
[35]
논문
al-Risāla al-muhītīyya: A Summary
[36]
웹사이트
Ghiyath al-Din Jamshid Mas'ud al-Kashi
http://www-history.m[...]
2012-08-11
[37]
서적
Elementa Trigonometrica
http://librarsi.comu[...]
[38]
서적
The Birth of Numerical Analysis
https://www.worldsci[...]
World Scientific
2009
[39]
학술지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geometry: The mathematical world of Christiaan Huygens
https://www.dbnl.org[...]
1996
[40]
harvnb
[41]
학술지
The Discovery of the Series Formula for π by Leibniz, Gregory and Nilakantha
https://web.archive.[...]
2023-02-21
[42]
서적
The Crest of the Peacock: Non-European Roots of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3]
OEIS
[44]
서적
Variorum de rebus mathematicis responsorum
https://books.google[...]
[45]
harvnb
[46]
학술지
On the Leibnizian quadrature of the circle.
http://ac.inf.elte.h[...]
[47]
harvnb
[48]
학술지
Fast formulas for slowly convergent alternating series
https://www.cambridg[...]
2023-02-23
[49]
학술지
John Machin and Robert Simson on Inverse-tangent Series for π
[50]
harvnb
[51]
학술지
On Arccotangent Relations for π
https://web.archive.[...]
2023-02-21
[52]
서적
Series and Products i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
서적
The Mathematical Papers of Isaac Newt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53]
웹사이트
Estimating π
http://eulerarchive.[...]
[53]
서적
How Euler Did Even More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53]
서적
Institutiones Calculi Differentialis
Academiae Imperialis Scientiarium Petropolitanae
[53]
학술지
Investigatio quarundam serierum, quae ad rationem peripheriae circuli ad diametrum vero proxime definiendam maxime sunt accommodatae
https://archive.org/[...]
[53]
학술지
88.38 Some Observations on the Method of Arctangents for the Calculation of π
[53]
학술지
89.67 An elementary derivation of Euler's series for the arctangent function
[54]
harvnb
[55]
잡지
Pencil, Paper, and Pi
https://www.american[...]
2014-09-01
[56]
학술지
Ramanujan and Pi
[56]
harvnb
[57]
학술지
Pi, Euler Numbers, and Asymptotic Expansions
[58]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Curious and Interesting Numbers
Penguin
[59]
harvnb
[60]
학술지
Mémoire sur quelques propriétés remarquables des quantités transcendantes circulaires et logarithmiques
[60]
harvnb
[61]
학술지
Über die Ludolph'sche Zahl
https://archive.org/[...]
[62]
문서
Hardy and Wright 1938 and 2000: 177 footnote § 11.13–14 references Lindemann's proof as appearing at ''Math. Ann''. 20 (1882), 213–225.
[63]
문서
cf Hardy and Wright 1938 and 2000:177 footnote § 11.13–14. The proofs that e and π are transcendental can be found on pp. 170–176. They cite two sources of the proofs at Landau 1927 or Perron 1910; see the "List of Books" at pp. 417–419 for full citations.
[64]
서적
Theorematum in libris Archimedis de sphaera et cylindro declarario
https://books.google[...]
Excudebat L. Lichfield, Veneunt apud T. Robinson
1652
[65]
서적
A History of Mathematical Notations: Vol. II
https://books.google[...]
Cosimo, Inc.
2007
[66]
학술지
The Chronology of Pi
[67]
서적
History of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1958
[68]
학술지
Historical Notes on the Relation 1 = e−(π/2) = i^i
1921
[69]
서적
Clavis Mathematicæ
https://archive.org/[...]
Thomas Harper
1648
[69]
서적
Key of the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J. Salusbury
1694
[70]
서적
The mathematical works of Isaac Barrow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60
[71]
논문
Ad Reverendum Virum D. Henricum Aldrich S.T.T. Decanum Aedis Christi Oxoniae
https://archive.org/[...]
1695
[72]
서적
Cursus Mathematicus
https://books.google[...]
Halae Magdeburgicae
2017-10-15
[73]
논문
Tentamen explicationis phaenomenorum aeris
http://eulerarchive.[...]
2017-10-15
[74]
서적
Lettres inédites d'Euler à d'Alembert
https://books.google[...]
[75]
서적
Mechanica sive motus scientia analytice exposita. (cum tabulis)
https://books.google[...]
Academiae scientiarum Petropoli
1736
[76]
서적
Leonhardi Euleri opera omnia. 1, Opera mathematica. Volumen VIII, Leonhardi Euleri introductio in analysin infinitorum. Tomus primus / ediderunt Adolf Krazer et Ferdinand Rudio
http://gallica.bnf.f[...]
B.G. Teubneri
2017-10-15
[77]
서적
Cursus Mathematicus: Elementorum Analyseos Infinitorum Elementorum Analyseos Infinitorvm
https://books.google[...]
Renger
1761
[78]
논문
An ENIAC Determination of pi and e to 2000 Decimal Places
[79]
논문
Some comments on a NORC Computation of π
[80]
서적
Pi and the AGM: a Study in Analytic Number Theory and Computational Complexity
Wiley
[81]
웹사이트
Some Background on Kanada's Recent Pi Calculation
http://crd-legacy.lb[...]
2003-05-16
[83]
뉴스
John W. Wrench, Jr.: Mathematician Had a Taste for Pi
2009-03-25
[84]
뉴스
The Big Question: How close have we come to knowing the precise value of pi?
https://www.independ[...]
2010-01-08
[90]
서적
Pi: The Next Generation, A Sourcebook on the Recent History of Pi and Its Computation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91]
잡지
How Google's Emma Haruka Iwao Helped Set a New Record for Pi
https://thenewstack.[...]
2022-06-11
[93]
웹사이트
Identities inspired by Ramanujan's Notebooks (part 2)
http://plouffe.fr/si[...]
2006-04
[95]
논문
Buffon's Noodle Problem
1969-10
[97]
논문
Projection Constants
[99]
논문
Unbounded spigot algorithms for the digits of pi
https://www.cs.ox.ac[...]
[100]
논문
A spigot algorithm for the digits of Pi
1995-03
[101]
논문
On the Rapid Computation of Various Polylogarithmic Constants
http://crd-legacy.lb[...]
1997-04
[102]
웹사이트
A new formula to compute the nth binary digit of pi
http://fabrice.bella[...]
[103]
뉴스
Pi record smashed as team finds two-quadrillionth digit
https://www.bbc.co.u[...]
2010-09-16
[104]
arXiv
A formula for the nth decimal digit or binary of π and powers of π
[106]
서적
Bodies of Constant Width: An Introduction to Convex Geometry with Applications
Birkhäuser
[107]
서적
Calculus
OpenStax
[108]
간행물
Periods
https://link.springe[...]
Springer
2024-09-23
[109]
서적
[110]
서적
Methods of mathematical physics, volume 1
Wiley
[111]
학술지
Isoperimetrical problems
[112]
서적
Isoperimetric inequali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3]
학술지
Best constant in Sobolev inequality
[114]
arXiv
Best constants in Poincaré inequalities for convex domains
[115]
학술지
Best constants for Gagliardo–Nirenberg inequalities and applications to nonlinear diffusions
[116]
학술지
An optimal Poincaré inequality for convex domains
[117]
서적
Harmonic analysis in phase spa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8]
학술지
On the role of the Heisenberg group in harmonic analysis
[119]
서적
An Introduction to Probability Theory and Its Applications, Vol. 1
Wiley
[120]
서적
[121]
서적
Fourier analysis on Euclidean spac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2]
서적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to Differential Geometry
Publish or Perish Press
[123]
서적
Foundations of Differential Geometry
Wiley Interscience
[124]
서적
Complex analysis
McGraw-Hill
[125]
서적
Mathematical Physics
Universities Press
[126]
서적
Div, Grad, Curl, and All That: An Informal Text on Vector Calculus
W.W. Norton
[127]
서적
The pleasures of pi, e and other interesting numbers
World Scientific Pub.
[128]
서적
Einstein's Field Equations and Their Physical Implications
Springer
[129]
서적
Elliptic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of Second Order
Springer
[130]
서적
[131]
서적
The Gamma Function
Holt, Rinehart and Winston
[132]
서적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AMS
[133]
서적
[134]
학술지
On the equality case in Erhart's volume conjecture
[135]
서적
[136]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umbers
Oxford University Press
[137]
서적
Excursions in Number Theory
Dover Publications Inc.
[138]
서적
[139]
서적
Algebraic Groups and Number Theory
Academic Press
[140]
학술지
Analytic continuation of Riemann's zeta function and values at negative integers via Euler's transformation of series
[141]
논문
Quantum mechanical derivation of the Wallis formula for pi
[142]
학회발표논문
Algebraic Number Theory (Proc. Instructional Conf., Brighton, 1965)
Thompson, Washington, DC
[143]
서적
Tata Lectures on Theta I
Birkhauser
[144]
서적
Brownian motion and classical potential theory
Academic Press
[145]
서적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Fourier Integrals
Clarendon Press
[146]
서적
Singular Integrals and Differentiability Properties of Functio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7]
논문
Pi in the Mandelbrot set
http://home.comcast.[...]
[148]
서적
Chaos and fractals: new frontiers of science
Springer
[149]
서적
Projective Differential Geometry Old and New: From the Schwarzian Derivative to the Cohomology of Diffeomorphism Group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0]
서적
Fundamentals of Physics
John Wiley & Sons
[151]
서적
College Physics 2e
OpenStax
[152]
서적
Quantum Field Theory
https://books.google[...]
Dover Publications
1980
[153]
서적
Classical Theory of Structures Based on the Differential Equ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4]
서적
An Introduction to Fluid Dyna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5]
서적
[156]
웹사이트
Most Pi Places Memorized
http://www.guinnessw[...]
[157]
뉴스
How can anyone remember 100,000 numbers?
http://www.japantime[...]
2006-12-17
[158]
서적
Pi ({{pi}}) in Nature, Art, and Culture
Brill
2021-01
[159]
논문
A slice of pi: An exploratory neuroimaging study of digit encoding and retrieval in a superior memorist
[160]
웹사이트
Cadaeic Cadenza Notes & Commentary
http://www.cadaeic.n[...]
[161]
서적
Not A Wake: A dream embodying (pi)'s digits fully for 10,000 decimals
Vinculum Press
2010-02-17
[162]
서적
Keys to Infinity
https://archive.org/[...]
Wiley & Sons
[163]
서적
[164]
서적
[165]
서적
Math Goes to the Movi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66]
논문
Review of Aerial
http://gaffa.org/rea[...]
2005-11-04
[167]
논문
Disintegrate 'em
1989-01
[168]
서적
Title An Engineer's Alphabet: Gleanings from the Softer Side of a Profess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9]
뉴스
Happy Pi Day! Watch these stunning videos of kids reciting 3.14
https://www.usatoday[...]
2015-03-14
[170]
논문
Pi Instant
http://probability.c[...]
2015-02
[171]
뉴스
Pi Day: Why some mathematicians refuse to celebrate 14 March and won't observe the dessert-filled day
https://www.independ[...]
[172]
서적
Numericon: A Journey through the Hidden Lives of Numbers
Quercus
[173]
논문
My Conversion to Tauism
http://www.maa.org/s[...]
2012-04
[174]
논문
{{pi}} Is Wrong!
http://www.math.utah[...]
[175]
뉴스
Life of pi in no danger – Experts cold-shoulder campaign to replace with tau
http://www.telegraph[...]
2011-06-30
[176]
웹사이트
Forget Pi Day. We should be celebrating Tau Day Science News
https://www.sciencen[...]
2023-05-02
[177]
논문
Indiana's squared circle
2006
[178]
웹사이트
The Future of TeX and Metafont
http://www.ntg.nl/ma[...]
1990-10-03
[179]
웹사이트
PEP 628 – Add math.tau
https://www.python.o[...]
[180]
웹사이트
Crate tau
https://docs.rs/tau/[...]
2022-12-06
[181]
웹사이트
2021-02-14
[182]
웹사이트
Π, π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21-02-15
[183]
웹사이트
방사선의 읽는 법/마이 데이터(물리 용어 읽는 법 사전·부표)
https://hiramatu-hif[...]
平松陽子
2021-02-15
[184]
웹사이트
협회의 이념과 비전·행동 지침
https://www.su-gaku.[...]
公益財団法人 日本数学検定協会
2023-05-19
[185]
서적
신기한 수 π의 전기
日経BP
2005-11
[186]
웹사이트
2021-02-26
[187]
서적
수학자들의 낙원 ― 「심슨 가족」을 만든 천재들 ―
신초사
2016-05-27
[188]
웹사이트
원주율.jp - π 문자 사용에 대해
https://円周率.jp/defin[...]
[189]
서적
해석 입문 I
도쿄대학 출판회
1980-03-31
[190]
문서
これは、원주는 그것에 내접하는 정육각형의 주위보다 크다는 것과 동치이다.
[191]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Pt. 1: Vol. 5. Chemistry and chemical technology Paper and printing / by Tsien Tsuen-Hsuin
캠브리지대학 출판국
[192]
논문
마츠나가 요스케의 쪽술에 대해 (수학사의 연구)
https://hdl.handle.n[...]
교토대학 수리해석연구소
2001-04
[193]
웹사이트
제2장 관효와 칼럼 원주율
https://www.ndl.go.j[...]
2022-01-20
[194]
간행물
An ENIAC Determination of pi and e to more than 2000 Decimal Places
1950-01
[195]
웹사이트
Even more pi in the sky: Calculating 100 trillion digits of pi on Google Cloud
https://cloud.google[...]
2022-10-17
[196]
OEIS
[197]
논문
[198]
OEIS
2022-07-01
[199]
논문
An Elegant Continued Fraction for π
1999-05
[200]
논문
89.67 An Elementary Derivation of Euler's Series for the Arctangent Function
https://www.jstor.or[...]
[201]
웹사이트
뉴턴의 무평방근 공식
https://newton314jp.[...]
2021-02-28
[202]
웹사이트
원주율의 공식집 잠정판 Ver.3.141
http://www.pluto.ai.[...]
마츠모토 류지
2000-12-26
[203]
웹사이트
The world of Pi - Machin
http://www.pi314.net[...]
Boris Gourévitch
2021-02-23
[204]
문서
3회의 반복으로 소수 18위까지 구할 수 있다
[205]
웹사이트
원주율 π를 빨리 정확하게 계산하는 공식집 - 라이브도어 뉴스
https://news.livedoo[...]
2022-01-09
[206]
웹사이트
A new formula to compute the n'th binary digit of pi - Fabrice Bellard
https://bellard.org/[...]
[207]
서적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신초사
[208]
서적
현대의 오락 수학 새로운 퍼즐·매직·게임
백양사
1960-11
[209]
서적
단위 것 알기장
쇼코쿠샤
1986-12-10
[210]
서적
단위 것 알기장
쇼코쿠샤
1986-12-10
[211]
웹사이트
難かしい公式も樂に覺えられる算術うた繪本(わかもと物識繪本第2輯)
https://aucfree.com/[...]
1937-04-00
[212]
간행물
IUPAC 物理化学で用いられる量・単位・記号 第3版
https://unit.aist.go[...]
講談社サイエンティフィク
2009-04-20
[213]
웹사이트
Most Pi places memorised
https://www.guinness[...]
Guinness World Records
2021-03-03
[214]
문서
3月14日はアルベルト・アインシュタインの誕生日でもあり、日本数学技能検定協会によって数学の日に指定されている。
[215]
뉴스
安田美沙子3・14結婚は『円周率=永遠』の意味だった
http://headlines.yah[...]
スポニチアネックス
2014-03-16
[216]
웹사이트
Pi Day: or the world of homonyms, homographs, and homophones {{!}} OxfordWords blog
https://blog.oxfordd[...]
2019-05-12
[217]
웹사이트
How America celebrates Pi Day
https://edition.cnn.[...]
2014-03-14
[218]
뉴스
On Pi Day, one number 'reeks of mystery'
https://edition.cnn.[...]
2010-03-12
[219]
뉴스
円周率「3」の波紋
2012-09-06
[220]
뉴스
「パイの日」に考える数学
2019-03-14
[221]
뉴스
米国の人口が円周率と「同じ」に 3億1415万9265人
https://www.cnn.co.j[...]
CNN
2012-08-15
[222]
간행물
陸上競技場公認に関する細則、競技場に関する規程、細則
https://www.jaaf.or.[...]
日本陸上競技連盟
2022-00-00
[223]
웹사이트
NASAでは円周率を何桁まで使っているのか?
https://gigazine.net[...]
2020-10-04
[224]
웹사이트
Decimal expansion of Pi (or digits of Pi)
https://oeis.org/A00[...]
[225]
논문
Abu-r-Raihan al-Biruni, 973–1048
[226]
서적
재미있는 수학상식
맑은창
[227]
서적
A passion for mathematics: numbers, puzzles, madness, religion, and the quest for reality
http://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228]
뉴스
파이(π) 본격 연구는 아르키메데스부터
http://www.scienceti[...]
사이언스타임즈
2010-01-20
[229]
웹사이트
About Pi
http://mathforum.org[...]
2007-10-29
[230]
서적
아르키메데스
경문사
[231]
서적
A source book in mathematics
http://books.google.[...]
[232]
뉴스
Pi Seems A Good Random Number Generator But Not Always The Best
http://www.scienceda[...]
Science daily
2005-04-25
[233]
서적
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
http://www.mcgraw-hi[...]
McGraw-Hill
2014-10-06
[234]
서적
A History of Pi
St. Martin's Griffin
[235]
서적
세상의 모든지식
서해문집
[236]
간행물
원주율 π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2006-07-00
[237]
서적
청소년을 위한 동양수학사
두리미디어
[238]
서적
친절한 도형 교과서
부키
[239]
웹사이트
Archimedean ordered fields
http://web.mat.bham.[...]
2009-11-07
[240]
서적
청소년을 위한 동양수학사
두리미디어
[241]
서적
중국문명대시야 1
김영사
[242]
서적
중국역사박물관 4
범우사
[243]
뉴스
첨단과학과 원주율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05-07-11
[244]
서적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영림카디널
[245]
뉴스
日, 쓰쿠바 대학 세계 신기록 원주율 자리수 계산
http://www.jpnews.kr[...]
JPNews
2009-08-18
[246]
웹사이트
円周率の計算けた数で世界記録を樹立
http://www.tsukuba.a[...]
2012-06-28
[247]
뉴스
파이(π), 2조7천억 자리까지 계산
http://www.scienceti[...]
2010-01-19
[248]
뉴스
日회사원, 원주율 소수점 이하 5조 자리까지 계산 성공 :: 네이버 뉴스
https://news.naver.c[...]
[249]
웹사이트
Peter Trüb가 계산한 π 값 22조 자리 중 첫 1조 자리의 값
http://pi2e.ch/blog/
[250]
서적
세상의 모든지식
서해문집
2007
[251]
논문
On Lambert's proof of the irrationality of π
http://www.jstor.org[...]
[252]
논문
Recurrent Proofs of the Irrationality of Certain Trigonometric Values
http://arxiv.org/PS_[...]
[253]
문서
π/4 라디안 값과 탄젠트 함수
[254]
논문
e 및 π의 초월성과 고등학교에서 초월수 지도
http://www.papersear[...]
1976
[255]
문서
허수 i 정의
[256]
문서
에우클레이데스의 무리수 증명
[257]
웹사이트
Hilberts Beweis der Transzendenz der Ludolphschen Zahl π
http://www.mathemati[...]
2011-07-16
[258]
서적
수학 철학에 미치다
숨비소리
2008
[259]
서적
Pi — Unleashed
http://books.google.[...]
Springer
2001
[260]
문서
배중률과 불 대수
[261]
서적
피라미드에서 수학을 배우자 (수학의 도레미 3)
이지북
2001
[262]
문서
바젤 문제와 리만 제타 함수
[263]
서적
The number π
http://books.google.[...]
[264]
서적
Opera mathematica ... opera atque studio Francisci à Schooten, Leydensis
https://books.google[...]
[265]
서적
Pi, a source book
http://books.google.[...]
[266]
논문
An Elegant Continued Fraction for π
http://www.jstor.org[...]
1999-05
[267]
서적
아르키메데스
경문사
2006
[268]
서적
쉬운 미분·적분학
숭실대학교출판부
2008
[269]
서적
리만 가설
승산
[270]
웹사이트
Proving A Proof Is A Proof « Gödel’s Lost Letter and P=NP
http://rjlipton.word[...]
[271]
웹사이트
Euler's Identity
https://ccrma.stanfo[...]
2011-02-05
[272]
웹사이트
Gaussian Integral
http://mathworld.wol[...]
2004-10-07
[273]
웹사이트
Cauchy Distribution
http://mathworld.wol[...]
2007-11-08
[274]
웹사이트
Probability Function
http://mathworld.wol[...]
2007-11-08
[275]
웹사이트
Buffon's Needle Problem
http://mathworld.wol[...]
2007-11-10
[276]
서적
정설 재료역학
기전연구사
2000
[277]
서적
현대물리학
교보문고
2005
[278]
논문
The Foundation of the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http://www.albertein[...]
1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