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녕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녕군은 조선 태종과 효빈 김씨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이다. 1419년 명나라에 사은사로 다녀왔으며, 세종 대에는 숭록대부와 대광보국숭록대부에 올랐다. 원경왕후의 상중에 기생 일점홍과 관계하여 태종의 노여움을 사기도 했다. 세조가 즉위한 후 충주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생을 마쳤으며, 묘는 충주 금산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03년 출생 - 샤를 7세
샤를 7세는 백년 전쟁 시기에 프랑스를 통치했으며, 잔 다르크의 도움으로 잉글랜드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프랑스를 재건했으나 아들과의 갈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1403년 출생 - 함녕군
함녕군 이인은 조선 태종의 아들이자 외교적 업적을 남겼으며 세종의 신임을 받았고, 단종과 세조 시대에도 활동하다 1467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 1458년 사망 - 교황 갈리스토 3세
교황 갈리스토 3세는 스페인 발렌시아 출신으로 알폰소 데 보르자라는 본명을 가졌으며, 1455년부터 1458년까지 재임하면서 오스만 제국에 맞선 십자군 결성 노력, 잔 다르크 복권 재판 지시, 연고주의 정책 등의 활동을 펼친 제209대 교황이다. - 1458년 사망 - 박연 (1378년)
박연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음악가로, 세종 때 아악 정리 및 악기 제작 감독으로 궁중 음악 발전에 기여하여 한국 3대 악성으로 불리며, 훈민정음 창제 기여 주장이 있고 사후 문헌공 시호와 난계사가 건립되었다. - 조선 태종의 자녀 - 양녕대군
양녕대군은 조선 태종의 장남으로 왕세자였으나 폐위되었고, 동생 세종을 도왔으며 숭례문 현판 글씨를 쓰는 등 예술적 재능을 보였다. - 조선 태종의 자녀 - 함녕군
함녕군 이인은 조선 태종의 아들이자 외교적 업적을 남겼으며 세종의 신임을 받았고, 단종과 세조 시대에도 활동하다 1467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경녕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조선 태종의 왕자 |
휘 | 비(裶) |
다른 이름 | 자 : 정숙(正淑) 정윤(正尹) 원윤(元尹) |
시호 | 제간(齊簡) |
존칭 | 경녕군(敬寧君) |
로마자 표기 | Gyeongnyeong-gun |
출생 정보 | |
출생일 | 1403년 1월 6일 |
출생지 | 조선 경기도 개성 |
사망 정보 | |
사망일 | 1458년 10월 15일 |
사망지 | 조선 충청도 충주 주덕읍 |
묘소 | 충주, 충청북도, 대한민국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태종 |
어머니 | 효빈 김씨 |
배우자 | 청원부부인 청풍 김씨 목천 마씨 전주 최씨 |
자녀 | 10남 2녀 (서자, 서녀 포함) |
가계 | |
왕가 | 이씨 |
2. 생애
이비(李裶)는 1403년 1월 6일(음력 1402년 12월 13일) 태종과 효빈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1] 그는 마음이 따뜻하고 효성이 지극했으며, 학문에 뛰어나 동생들에게 글쓰기를 가르쳤다고 한다. 법적인 어머니인 원경왕후와 생모 사이에 불화가 있었지만, 이비는 형인 세종은 물론 법적인 어머니와도 좋은 관계를 유지했고, 어린 왕자의 교육도 도왔다.
경녕군은 태종, 세종, 문종, 단종, 세조까지 5대에 걸쳐 왕실과 국가의 어려운 문제에 충성심을 다해 협력했다.[2]
1416년(태종 16년) 2월, 13세에 김관의 딸과 결혼했고,[3] 1419년(세종 1년)에는 명나라 베이징에 사신으로 다녀왔다.[4][5]
1420년 원경왕후 사망 후 상중에 아버지 태종이 기생 임점홍(一點紅|일점홍중국어)과 불륜을 저지른 것에 대해 꾸짖자, 세종은 이에 감동하여 벌하지 않았다.
세조 즉위 후 충주로 이주하여 여생을 보냈으며,[6] 묘는 충청북도 충주시 금산에 있다.
2. 1. 출생과 성장 배경
1394년(태조 3년) 12월 13일, 태종과 효순궁주 김씨 사이에서 경녕군 이비(李裶)가 태어났다. 어머니 김씨는 원경왕후가 왕비가 되기 전부터 거느리던 사가의 여종이었다.[7]태종이 개경에 거주할 때 경녕군을 잉태하였으며, 1394년 12월 13일 진시(辰時: 오전 7시에서 9시 사이)에 출생하였다. 태종실록 30권에 기재된 1402년 출생설은 역사적 사실과 다르며, 한국민족대백과사전, 선원계보(왕실족보), 전주이씨경녕군파족보에 따르면 1394년 출생이 맞다.[7]
경녕군 출생 당시 원경왕후와 그 형제들이 핍박하여 사지로 몰았던 사건이 있었는데, 훗날 태종은 원경왕후의 동생들인 민무휼과 민무회를 숙청하면서 '경녕군 모자(母子)의 목숨을 위태롭게 한 죄'를 물어 추국하였다.[8]
이비는 마음이 따뜻하고 효성이 지극했으며, 학문에 뛰어나 동생들에게 글쓰기를 가르쳤다고 한다. 원경왕후와 생모 사이에 불화가 있었음에도, 이비는 형인 이도(세종)는 물론 법적인 어머니와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어린 왕자의 교육을 돕기도 했다.
2. 2. 왕자 시절
1416년(태종 16년) 2월, 첨총제(僉摠制) 김관(金灌)의 딸과 혼인하였다.[9]1419년(세종 1년) 상왕 태종의 명으로 사은사가 되어 명나라 북경으로 향하였다. 이때 명나라 황제였던 영락제에게 기린, 사자, 복록(福祿)과 수현사 및 보탑사(寶塔寺)의 상서로운 그림 5축(軸), 어제 서문(御製序文)이 붙은 《신수성리대전(新修性理大全)》과 《사서오경대전》, 황금 1백 냥(兩), 백금 5백 냥, 색비단(色段羅), 채색 비단(彩絹) 각 50필, 생 명주(生絹) 5백 필, 말(馬) 12필, 양 5백 마리를 하사받아 돌아왔다.[10]
적모(嫡母) 원경왕후의 상중에 기생 일점홍(一點紅)과 관계하여 태종의 노여움을 샀는데, 그 후에도 일점홍을 집으로 불러들여 1423년(세종 5년) 대신들의 탄핵을 받았다.[11] 그러나 세종은 형제의 정을 생각하여 그를 벌하지 않았으며, 이듬해에는 출입을 금한 것을 풀어주었다.
1425년(세종 7년) 숭록대부(崇祿大夫)에 올랐고, 1430년(세종 12년)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의 지위에 올랐다.
1433년(세종 15년) 경녕군의 집 기둥에 벼락이 쳐서 세종이 해괴제(解怪祭)를 지내기도 했다.[12] 1449년(세종 31년) 3월에는 장남인 고양군(高陽君)이 사망하였다.
2. 3. 세종과의 관계
1419년(세종 1년) 상왕 태종의 명으로 사은사가 되어 명나라 북경으로 향하였다. 이 때 명나라의 황제였던 영락제에게 기린·사자·복록(福祿)과 수현사와 보탑사(寶塔寺)의 상서로운 그림 5축(軸) 및 어제 서문(御製序文)이 붙은 《신수성리대전(新修性理大全)》과 《사서오경대전》 및 황금 1백 냥(兩), 백금 5백 냥, 색비단(色段羅), 채색 비단(彩絹) 각 50 필, 생 명주(生絹) 5백 필, 말(馬) 12필, 양 5백 마리를 하사받아 돌아왔다.[10]적모(嫡母) 원경왕후의 상중에 기생 일점홍(一點紅)과 관계하여 태종의 노여움을 샀는데, 그 후에도 일점홍을 집으로 불러들여 1423년(세종 5년) 대신들의 탄핵을 받았다.[11] 그러나 세종은 형제의 정을 생각하여 그를 벌하지 않았으며 이듬해에는 출입을 금한 것을 풀어주었다.
1425년(세종 7년) 숭록대부(崇祿大夫)와 1430년(세종 12년)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의 지위에 올랐다.
1433년(세종 15년) 경녕군의 집 기둥에 벼락이 쳐서 세종이 해괴제(解怪祭)를 지내기도 했다.[12] 1449년(세종 31년) 3월에는 장남인 고양군(高陽君)이 사망하였다.
2. 4. 세조와의 관계와 사망
1458년(세조 4년) 8월, 근정전 월대에서 열린 음복연에 참여하였고, 한 달 후인 9월 9일 충주에서 사망하였다. 세조는 경녕군이 죽자 조회와 저자를 3일 동안 정지하고, 부의(賻儀)로 쌀과 콩을 합쳐 1백 석, 종이 2백 권, 정포(正布) 40필, 백저포(白苧布) 3필을 하사하였다.[13] 세조가 왕위에 오른 후, 경녕군은 충주로 이주하여 남은 생을 그곳에서 보냈다.[6]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부왕 | 태종 | 1367년 | 1422년 | 조선 제3대 왕 |
생모 | 효빈 김씨 | ? | 1454년 | |
배우자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정부인 | 청원부부인 청풍 김씨 | ? | ? | [14] |
계부인 | 군부인 개성 마씨 | ? | ? | |
2계부인 | 군부인 전주 최씨 | ? | ? | |
측실 | 불명 | ? | ? | 노비 출신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적장남 | 고양군 이질 | ? | 1449년 | |
적차남 | 은천군 이찬 | 1421년 | 1481년 | |
적3남 | 오성군 이치 | ? | ? | |
적4남 | 영선도정 이리 | ? | ? | |
적5남 | 모양군 이직 | 1438년 | 1511년 | |
적6남 | 단산도정 이수 | 1444년 | ? | |
서장남 | 월성수 이거 | ? | ? | |
서차남 | 가흥수 이적 | ? | ? | |
서3남 | 복성군 이진 | 1435년 | 1487년 | |
서4남 | 가림군 이추 | 1441년 | ? | |
서장녀 | 불명 | ? | ? | 초계 정씨 참봉 정석균의 처 |
서차녀 | 불명 | ? | ? | 여산 송씨 현감 송계흥의 처 |
4. 기타
2008년에 방영된 드라마 《대왕 세종》에서 윤영준이 경녕군을 연기했다.
참조
[1]
서적
《The Annals of King Taejong》 Volume 30, 15th year of King Taejong (13th year of Yeongnak, 1415)
1415
[2]
웹사이트
경령군 묘-이비(敬寧君 李裶)
https://m.blog.naver[...]
[3]
서적
《The Annals of King Taejong》, Volume 31, February 2nd
1416-02-02
[4]
서적
《The Four Books of the Five Sutras and 100 gold, 500 platinum, 50 colored silk, 50 colored silk each, 500 raw silk He returned with a gift of pens, 12 horses, and 500 sheep.》
[5]
서적
《The Annals of King Sejong》, Volume 6, 1st year of King Sejong (1419, 17th year of Yeongnak’s reign) December 7th (Celebration)
1419-12-07
[6]
서적
《The Annals of King Sejong》, Volume 59, March 10th, 15th year of King Sejong (8th year of Seondeok, 1433)
1433-03-10
[7]
서적
《태종실록》 30권, 태종 15년(1415년 명 영락(永樂) 13년) 12월 15일 (무인) 왕비 민씨가 경녕군 모자를 사지에 둔 죄를 묻는 왕지를 춘추관에 내리다
1415-12-15
[8]
서적
《태종실록》 30권, 태종 15년(1415년 명 영락(永樂) 13년) 12월 21일 (갑신) 의금부에 명하여 민무휼과 민무회를 국문하게 하다
1415-12-21
[9]
서적
《태종실록》 31권, 태종 16년(1416년 명 영락(永樂) 14년) 2월 2일 (을축) 정선궁주를 우의정 남재의 손자 남휘에게 시집보내고, 원윤 이비를 장가들게 하다
1416-02-02
[10]
서적
《세종실록》 6권, 세종 1년(1419년 명 영락(永樂) 17년) 12월 7일 (정축) 경녕군 이비가 황제의 각별한 총애를 받고 돌아오다
1419-12-07
[11]
서적
《세종실록》 20권, 세종 5년(1423년 명 영락(永樂) 21년) 5월 11일 (경인) 우사간이 경녕군을 법대로 처형토록 상소하다
1423-05-11
[12]
서적
《세종실록》 59권, 세종 15년(1433년 명 선덕(宣德) 8년) 3월 10일 (계해) 경녕군의 집 기둥에 벼락이 치니, 해괴제를 행하다
1433-03-10
[13]
서적
《세조실록》 14권, 세조 4년(1458년 명 천순(天順) 2년) 9월 9일 (계사) 경녕군 이비의 졸기
1458-09-09
[14]
문서
참의(參議) 증찬성(贈贊成) 김관(金灌)의 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