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419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419년은 명나라 영락 17년, 일본 오에이 26년, 조선 세종 원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 세종의 명으로 이종무가 이끄는 조선군이 왜구의 근거지인 쓰시마 섬을 정벌하기 위해 출정하였으나 철수하였고, 정화의 항해에 사용된 보물선이 난징에서 건조되었다. 유럽에서는 백년 전쟁 중 루앙이 잉글랜드에 함락되었으며, 프라하의 창 밖 투척 사건이 발생하고, 세우타 공성전이 벌어졌다. 또한 부르고뉴 공작 용담공 장이 암살되었고, 오스만-베네치아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외에도 포르투갈의 항해사들이 마데이라 제도를 발견하고, 로스토크 대학교가 설립되었으며, 페르시아 사절단이 중국을 방문하였다. 주요 사망 인물로는 조선의 정종, 부르고뉴 공작 용담공 장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419년
지도
기본 정보
연도1419년
사건
주요 사건100년 전쟁: 잉글랜드군, 루앙 공략
후스 전쟁: 보헤미아에서 후스파와 신성 로마 제국군 충돌 심화
포르투갈 왕국 왕자 엔리케, 아프리카 탐험 시작
명나라, 대대적인 베트남 정벌 개시
조선에서 상왕 태종이 세종에게 양위.
탄생7월 23일 고시마치 천황 (1464년 사망)
8월 7일 알폰소 5세, 포르투갈 왕 (1481년 사망)
9월 2일 마테오 마리아 보야르도 이탈리아 시인 (1494년 사망)
도르지 겔렉, 티베트 승려 (1487년 사망)
알렉산드르 폰 슐레부르크 (1519년 사망)
사망4월 5일 성 빈센트 페레르 스페인 설교가
5월 2일 사자왕 리처드의 아들
7월 23일 루이 3세 나폴리 왕
7월 24일 니콜라 드 폰텐 프랑스 설교가
9월 10일 장 드 부르봉 프랑스 귀족
10월 27일 니콜라 드 폰텐 프랑스 설교가
마누엘 2세 비잔티움 황제
문화
예술마사초, 브란카치 예배당 프레스코화 시작

2. 연호

3. 사건

3. 1. 조선

6월 20일, 세종의 명으로 이종무를 총사령관으로 한 조선군이 왜구의 본거지인 쓰시마섬을 정벌하기 위해 출정하였다. (오에이 침입)[1] 이는 백성의 안전과 해상 교역로를 확보하려는 목적이었다. 조선군은 군선 227척, 17,285명의 병력으로 대마도 오자키항(조선왕조실록에는 두지항이라 함) 부근에 상륙하였다.[1] 7월 3일, 조선군은 대마도에서 철수하였다.[1]

3. 2. 명나라

정화의 항해에 사용된 마지막 41척의 보물선이 난징 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3]

3. 3. 유럽


  • 1월 19일 - 백년 전쟁: 잉글랜드의 헨리 5세가 루앙을 함락시켜 노르망디가 잉글랜드 지배하에 들어갔다.[1]
  • 7월 30일 - 프라하의 첫 번째 창 밖 투척 사건이 보헤미아에서 발생했다.
  • 8월 - 세우타 공성전: 포르투갈이 모로코의 침입을 막아내고 세우타를 방어했다.
  • 9월 10일 - 부르고뉴 공작 용담공 장이 프랑스 왕세자 샤를의 추종자들에게 암살당했다.
  • 11월 - 오스만-베네치아 평화 조약이 체결되어 에게해와 발칸반도의 베네치아령이 인정되었다.

3. 4. 기타 지역


  • 포르투갈의 항해사 주앙 곤살베스 자르쿠(João Gonçalves Zarco)와 트리스탕 바즈 테이셰이라(Tristão Vaz Teixeira)가 엔리케 항해왕자의 명을 받아 마데이라 제도를 발견했다.
  • 북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인 로스토크 대학교가 설립되었다.[2]
  • 페르시아 티무르 왕조의 통치자 미르자 샤흐룩(재위 1404~1447)이 명나라 영락제에게 대규모 사절단을 파견했다. 페르시아 사절단의 일원 기야스 알딘 나카시는 중국 여행기를 남겼는데, 이는 하피즈 아브루와 아브두르 라자크의 역사서에 포함되어 이란과 튀르크계 중동에 널리 알려졌다. 나카시는 중국의 부유한 경제와 거대한 도시, 효율적인 택배 시스템, 택배소의 환대, 고급 사치품과 장인 기술에 대해 기록했다.
  • 미하일 1세가 헝가리의 도움을 받아 발라키아를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방어했다.
  • 정화의 항해에 사용된 마지막 41척의 보물선이 난징 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3]
  • 태국에서 아유타야 왕조가 수코타이 왕조를 속국으로 삼았다.

4. 탄생


  • 2월 - 아부 암르 우스만, 이프리키야의 하프스 칼리프 (1488년 사망)
  • 2월 16일 - 클레베스 공작 요한 1세 (1481년 사망)
  • 3월 24일 - 지네브라 데스테 (1440년 사망)
  • 6월 24일 - 사하군의 요한, 스페인 아우구스티누스회 수사, 사제, 성인 (1479년 사망)
  • 7월 10일 - 고하나조노 천황, 일본의 제102대 천황 (1471년 사망)
  • 11월 1일 - 브룬스비크-그루벤하겐 공작 알브레히트 2세 (1485년 사망)
  • 날짜 미상
  • * 압드 알하크 2세, 마리니드 왕조의 마지막 모로코 술탄 (1465년 사망)
  • * 바르바라 푸거, 독일 은행가 (1497년 사망)
  • * 이치시키 요시치카, 무로마치 시대슈고 다이묘 (1451년 사망)
  • * 지바 타네나오,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지바씨 제16대 당주 (1455년 사망)
  • * 츠츠이 요리나가,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1476년 사망)
  • * 야나기하라 스케츠나, 무로마치 시대공경 (1501년 사망)

4. 1. 조선

4. 2. 일본

4. 3. 유럽


  • 2월 16일 - 클레베스 공작 요한 1세 (1481년 사망)
  • 3월 24일 - 지네브라 데스테 (1440년 사망)
  • 6월 24일 - 사하군의 요한, 스페인 아우구스티누스회 수사, 사제, 성인 (1479년 사망)
  • 11월 1일 - 브룬스비크-그루벤하겐 공작 알브레히트 2세 (1485년 사망)
  • 날짜 미상
  • * 압드 알하크 2세, 마리니드 왕조의 마지막 모로코 술탄 (1465년 사망)
  • * 바르바라 푸거, 독일 은행가 (1497년 사망)

5. 사망

5. 1. 조선

5. 2. 유럽

5. 3. 기타 지역

참조

[1] EB1911
[2] 웹사이트 University - University of Rostock https://www.uni-rost[...] 2021-07-31
[3] 논문 Zheng He: An Investigation into the Plausibility of 450-Ft Treasure Ships https://www.jstor.or[...] 2005
[4] 서적 Tsongkhapa: A Buddha in the Land of Snows https://books.google[...] Shambhala Publications 2019-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