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지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상남도지사는 경상남도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광역자치단체장이다. 1946년부터 1995년까지는 관선으로 임명되었고,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는 직선제로 선출된다. 역대 도지사 명단과 선거 결과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남도청 - 경상남도체육회
경상남도체육회는 1945년 경상남도체육협회로 설립되어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부산, 울산광역시체육회 분리 및 학교, 생활체육회를 흡수하고 회장, 사무처 등을 갖춘 조직으로 8개 시와 10개 군에 지부를 둔다. - 경상남도청 - 경상남도농업기술원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은 경상남도 지역의 농업 기술 연구 및 개발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1908년에 설립되어 지역 특화 작물 연구 및 기술 개발을 담당하며, 농가 소득 증대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 경상남도지사 - 홍준표
홍준표는 1954년 경상남도 창녕군에서 태어나 '모래시계 검사'로 이름을 알린 후 정계에 입문하여 국회의원, 경상남도지사, 자유한국당 대표 등을 역임하고 대선 후보로도 출마했으며, 현재는 대구광역시장으로 재임 중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경상남도지사 - 김성주 (1922년)
김성주는 일제강점기 메이지 대학 법과를 졸업하고 대한민국의 경찰,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경상남도 의령경찰서장, 경상남도 경찰국 경무과장, 경찰전문학교 교수, 중앙정보학교 교관, 중앙정보부 서울분실장, 유신정우회 소속 제9대 국회의원, 치안본부장, 경상남도지사 등을 역임했고, 특히 박정희 정권 시절 중앙정보부와 유신정우회 활동은 권위주의 통치 체제 강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충청남도지사
충청남도지사는 충청남도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미군정 시기부터 존재했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도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민선 도지사 체제로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대전광역시장
대전광역시장은 대전광역시의 행정을 책임지는 최고 책임자로, 1949년 충청남도 대전시장으로 시작하여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1995년부터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는 민선 시장이 운영되고 있다.
경상남도지사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직위 | 경상남도지사 |
로마자 표기 | Gyeongsangnam-do Jisa |
임기 | 4년 |
웹사이트 | www.gyeongnam.go.kr/governor |
현직 | |
현직 지사 | 박완수 |
취임일 | 2022년 7월 1일 |
역사 | |
직위 형성일 | 1946년 1월 23일 |
초대 지사 | 김병규 |
임명 및 선출 | |
임명 방식 | 1946년부터 1995년까지 임명 |
선출 방식 | 1995년부터 현재까지 선출 |
깃발 | |
![]() |
2. 역대 도지사
역대 경상남도지사는 다음과 같다.
선출 방법 | 대수 | 이름 | 임기 |
---|---|---|---|
관선 | 1 | 김병규 | 1946년 1월 23일 ~ 1946년 12월 20일 |
2 | 김철수 | 1947년 1월 7일 ~ 1948년 10월 17일 | |
3 | 문시환 | 1948년 10월 18일 ~ 1949년 11월 14일 | |
4 | 양성봉 | 1949년 11월 15일 ~ 1953년 10월 7일 | |
5 | 이상룡 | 1953년 10월 21일 ~ 1957년 2월 14일 | |
6 | 김규진 | 1957년 3월 1일 ~ 1959년 11월 23일 | |
7 | 신도성 | 1959년 11월 24일 ~ 1960년 4월 30일 | |
8 | 이기주 | 1960년 5월 2일 ~ 1960년 10월 6일 | |
9 | 정종철 | 1960년 10월 7일 ~ 1960년 12월 28일 | |
민선 | 10 | 이기주 | 1960년 12월 29일 ~ 1961년 5월 23일 |
관선 | 11 | 최갑중 | 1961년 5월 24일 ~ 1961년 8월 24일 |
12 | 양찬우 | 1961년 8월 25일 ~ 1963년 12월 16일 | |
13 | 이계순 | 1963년 12월 19일 ~ 1968년 5월 20일 | |
14 | 이기수 | 1968년 5월 21일 ~ 1969년 5월 12일 | |
15 | 김효영 | 1969년 5월 13일 ~ 1971년 6월 11일 | |
16 | 정해식 | 1971년 6월 12일 ~ 1974년 2월 4일 | |
17 | 강영수 | 1974년 2월 5일 ~ 1976년 10월 11일 | |
18 | 조병규 | 1976년 10월 12일 ~ 1978년 12월 23일 | |
19 | 김성주 | 1978년 12월 26일 ~ 1980년 7월 9일 | |
20 | 최종호 | 1980년 7월 18일 ~ 1982년 5월 24일 | |
21 | 이규효 | 1982년 5월 25일 ~ 1985년 2월 20일 | |
22 | 김주호 | 1985년 2월 21일 ~ 1986년 8월 28일 | |
23 | 조익래 | 1986년 8월 29일 ~ 1988년 12월 12일 | |
24 | 최일홍 | 1988년 12월 13일 ~ 1990년 12월 27일 | |
25 | 김원석 | 1990년 12월 28일 ~ 1993년 3월 3일 | |
26 | 윤한도 | 1993년 3월 4일 ~ 1993년 12월 27일 | |
27 | 김혁규 | 1993년 12월 28일 ~ 1995년 3월 29일 | |
28 | 안명필 | 1995년 3월 30일 ~ 1995년 6월 30일 | |
민선 | 29, 30, 31 | 김혁규 | 1995년 7월 1일 ~ 2003년 12월 14일 |
권한대행 | 장인태 | 2003년 12월 15일 ~ 2004년 5월 3일 | |
권한대행 | 김채용 | 2004년 5월 4일 ~ 2004년 6월 5일 | |
32, 33 | 김태호 | 2004년 6월 6일 ~ 2010년 6월 30일 | |
34 | 김두관 | 2010년 7월 1일 ~ 2012년 7월 6일 | |
권한대행 | 임채호 | 2012년 7월 7일 ~ 2012년 12월 19일 | |
35, 36 | 홍준표 | 2012년 12월 20일 ~ 2017년 4월 9일 | |
권한대행 | 류순현 | 2017년 4월 10일 ~ 2017년 8월 16일 | |
권한대행 | 한경호 | 2017년 8월 17일 ~ 2018년 6월 30일 | |
37 | 김경수 | 2018년 7월 1일 ~ 2021년 7월 21일[4][5] | |
권한대행 | 하병필 | 2021년 7월 21일 ~ 2022년 6월 30일 | |
38 | 박완수 | 2022년 7월 1일 ~ |
2. 1. 경상남도지사 (미군정)
대수 | 이름 | 임기 |
---|---|---|
초대 | 이의근 | 1945년 8월 15일 ~ 1945년 9월 27일 |
2대 | 찰스 해리스(Charles S. Harris) | 1945년 9월 28일 ~ 1946년 1월 22일 |
2. 2. 경상남도지사 (관선, 1946년 ~ 1995년)
1946년부터 1995년까지 경상남도지사는 대통령이 임명하였다.[1]대수 | 이름 | 임기 | 정당 |
---|---|---|---|
초대 | 김병규 | 1946년 1월 23일 ~ 1946년 12월 20일 | |
2대 | 김철수 | 1947년 1월 7일 ~ 1948년 10월 17일 | |
3대 | 문시환 | 1948년 10월 18일 ~ 1949년 11월 14일 | |
4대 | 양성봉 | 1949년 11월 15일 ~ 1953년 10월 7일 | |
5대 | 이상룡 | 1953년 10월 21일 ~ 1957년 2월 14일 | |
6대 | 김규진 | 1957년 3월 1일 ~ 1959년 11월 23일 | |
7대 | 신도성 | 1959년 11월 24일 ~ 1960년 4월 30일 | |
8대 | 이기주 | 1960년 5월 2일 ~ 1960년 10월 6일 | |
9대 | 정종철 | 1960년 10월 7일 ~ 1960년 12월 28일 | |
10대 | 이기주 | 1960년 12월 29일 ~ 1961년 5월 23일 | 신민당 |
11대 | 최갑중 | 1961년 5월 24일 ~ 1961년 8월 24일 | |
12대 | 양찬우 | 1961년 8월 25일 ~ 1963년 12월 16일 | |
13대 | 이계순 | 1963년 12월 19일 ~ 1968년 5월 20일 | |
14대 | 이기수 | 1968년 5월 21일 ~ 1969년 5월 12일 | |
15대 | 김효영 | 1969년 5월 13일 ~ 1971년 6월 11일 | |
16대 | 정해식 | 1971년 6월 12일 ~ 1974년 2월 4일 | |
17대 | 강영수 | 1974년 2월 5일 ~ 1976년 10월 11일 | |
18대 | 조병규 | 1976년 10월 12일 ~ 1978년 12월 23일 | |
19대 | 김성주 | 1978년 12월 26일 ~ 1980년 7월 9일 | |
직무대리 | 이남두 | 1980년 7월 10일 ~ 1980년 7월 17일 | |
20대 | 최종호 | 1980년 7월 18일 ~ 1982년 5월 24일 | |
21대 | 이규효 | 1982년 5월 25일 ~ 1985년 2월 20일 | |
22대 | 김주호 | 1985년 2월 21일 ~ 1986년 8월 28일 | |
23대 | 조익래 | 1986년 8월 29일 ~ 1988년 12월 12일 | |
24대 | 최일홍 | 1988년 12월 13일 ~ 1990년 12월 27일 | |
25대 | 김원석 | 1990년 12월 28일 ~ 1993년 3월 3일 | |
26대 | 윤한도 | 1993년 3월 4일 ~ 1993년 12월 27일 | |
27대 | 김혁규 | 1993년 12월 28일 ~ 1995년 3월 29일 | |
28대 | 안명필 | 1995년 3월 30일 ~ 1995년 6월 30일 |
2. 3. 경상남도지사 (민선, 1995년 ~ 현재)
선출 방식 | 대수 | 이름 | 임기 | 정당 | 도정구호 | |
---|---|---|---|---|---|---|
민선 | 29대 | 김혁규 | 1995년 7월 1일~1998년 6월 30일 | 민주자유당(1995) 신한국당(1995~1997) 한나라당(1997~2003) | 도민제일주의 실현 세계일류 경남건설 | |
30대 | 1998년 7월 1일~2002년 6월 30일 | |||||
31대 | 2002년 7월 1일~2003년 12월 14일[2] | 2만불시대! 도민과 함께 열겠습니다 | ||||
권한대행 | 장인태 | 2003년 12월 15일~2004년 5월 3일 | 행정부지사 | |||
권한대행 | 김채용 | 2004년 5월 4일~2004년 6월 5일 | 행정부지사 | |||
32대 | 김태호 | 2004년 6월 6일~2006년 6월 30일 | 한나라당 | 세계로 미래로 뉴경남 | ||
33대 | 2006년 7월 1일~2010년 6월 30일 | |||||
34대 | 김두관 | 2010년 7월 1일~2012년 7월 6일[3] | 무소속(2010~2011) 민주통합당(2011~2012) | 대한민국 번영 1번지 경남 | ||
권한대행 | 임채호 | 2012년 7월 7일~2012년 12월 19일 | 행정부지사 | |||
35대 | 홍준표 | 2012년 12월 20일~2014년 6월 30일 | 새누리당(2012~2017) 자유한국당(2017) | 당당한 경남시대 | ||
36대 | 2014년 7월 1일~2017년 4월 9일[3] | |||||
권한대행 | 류순현 | 2017년 4월 10일~2017년 8월 16일 | 행정부지사 | |||
권한대행 | 한경호 | 2017년 8월 17일~2018년 6월 30일 | 행정부지사 | |||
37대 | 김경수 | 2018년 7월 1일~2019년 1월 30일[4] | 더불어민주당 | 함께 만드는 완전히 새로운 경남 | ||
권한대행 | 박성호 | 2019년 1월 30일~2019년 4월 17일 | 행정부지사 | |||
37대 | 김경수 | 2019년 4월 18일~2021년 7월 21일[5] | 더불어민주당 | |||
권한대행 | 하병필 | 2021년 7월 21일~2022년 6월 30일 | 행정부지사 | |||
38대 | 박완수 | 2022년 7월 1일~ | 국민의힘 | 활기찬 경남, 행복한 도민 |
경상남도지사 선거는 경상남도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자치단체장인 경상남도지사를 선출하는 선거이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총 8번의 정기 선거와 2번의 보궐선거가 실시되었다.
3. 경상남도지사 선거
역대 경상남도지사 선거에서는 보수 정당 후보가 강세를 보여왔다. 민주자유당 김혁규 후보는 1995년, 1998년, 2002년 선거에서 연이어 당선되며 3선에 성공했다. 이후 한나라당 김태호 후보가 2004년 보궐선거와 2006년 선거에서 승리했다.
2010년 선거에서는 무소속 김두관 후보가 당선되며 진보 진영 최초의 경상남도지사가 탄생했지만, 2012년 보궐선거에서 새누리당 홍준표 후보에게 패배했다. 홍준표 후보는 2014년 선거에서도 재선에 성공했다.
2018년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후보가 당선되며 다시 한번 진보 진영이 승리했지만, 2022년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박완수 후보가 당선되며 보수 정당이 다시 경상남도지사 자리를 탈환했다.[1]
3. 1.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5년 경상남도지사 선거 | ||||||
---|---|---|---|---|---|---|
정당 | 순위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민주자유당 | 1 | 김혁규 | 1,177,397 | 63.84% | ||
자유민주연합 | 2 | 김용균 | 666,756 | 36.15% | ||
총계 | 1,844,153 | 100.00% | ||||
투표율 | 73.05% |
3. 2.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남도지사 선거 | ||||||
---|---|---|---|---|---|---|
정당 | 순위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한나라당 | 1 | 김혁규 | 939,358 | 74.64% | ||
새정치국민회의 | 2 | 강신화 | 161,703 | 12.84% | ||
무소속 | 4 | 허문도 | 157,337 | 12.50% | ||
합계 | 1,258,398 | 100.00% | ||||
투표율 | 61.08% |
3. 3.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2년 경상남도지사 선거 | ||||||
---|---|---|---|---|---|---|
정당 | 순위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한나라당 | 1 | 김혁규 | 920,706 | 74.50% | ||
새천년민주당 | 2 | 김두관 | 208,641 | 16.88% | ||
민주노동당 | 3 | 임수태 | 106,367 | 8.60% | ||
합계 | 1,235,714 | 100.00% | ||||
투표율 | 56.53% |
3. 4. 2004년 재보궐선거
2004년 경상남도지사 보궐선거 | ||||||
---|---|---|---|---|---|---|
정당 | 번호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한나라당 | 2 | 김태호 | 454,883 | 61.60% | ||
열린우리당 | 1 | 장인태 | 203,272 | 27.53% | ||
민주노동당 | 3 | 임수태 | 80,290 | 10.87% | ||
총계 | 738,445 | 100.00% | ||||
투표율 | 32.80% |
3. 5.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6년 경상남도지사 선거 | ||||||
---|---|---|---|---|---|---|
정당 | 번호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한나라당 | 2 | 김태호 | 852,377 | 63.12% | ||
열린우리당 | 1 | 김두관 | 343,137 | 25.41% | ||
민주노동당 | 4 | 문성현 | 135,823 | 10.05% | ||
국민중심당 | 5 | 김재주 | 18,906 | 1.40% | ||
합계 | 1,350,243 | 100.00% | ||||
투표율 | 57.84% |
3. 6.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 7. 2012년 재보궐선거
2012년 경상남도지사 보궐선거 | ||||||
---|---|---|---|---|---|---|
정당 | 번호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새누리당 | 1 | 홍준표 | 1,191,904 | 62.91% | ||
무소속 | 4 | 권영길 | 702,689 | 37.09% | ||
합계 | 1,894,593 | 100.00% | ||||
투표율 | 76.80% |
3. 8.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4년 경상남도지사 선거 | ||||||
---|---|---|---|---|---|---|
정당 | 순위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새누리당 | 1 | 홍준표 | 913,162 | 58.85% | ||
새정치민주연합 | 2 | 김경수 | 559,367 | 36.05% | ||
통합진보당 | 3 | 강병기 | 79,015 | 5.09% | ||
합계 | 1,551,544 | 100.00% | ||||
투표율 | 59.80% |
3. 9.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8년 경상남도지사 선거 | ||||||
---|---|---|---|---|---|---|
정당 | 순위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더불어민주당 | 1 | 김경수 | 941,491 | 52.81% | ||
자유한국당 | 2 | 김태호 | 765,809 | 42.95% | ||
바른미래당 | 3 | 김유근 | 75,418 | 4.23% | ||
합계 | 1,782,718 | 100.00% | ||||
투표율 | 65.79% |
3. 10.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2년 경상남도지사 선거 | ||||||
---|---|---|---|---|---|---|
정당 | 번호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국민의힘 | 2 | 박완수 | 963,473 | 65.70% | ||
더불어민주당 | 1 | 양문석 | 431,569 | 29.43% | ||
정의당 | 3 | 여영국 | 58,933 | 4.01% | ||
통합국민 | 4 | 최진석 | 12,353 | 0.84% | ||
합계 | 1,466,328 | 100.00% | ||||
투표율 | 53.40% |
참조
[1]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info.nec.go.k[...]
2019-10-05
[2]
문서
총선거로 인해 당적 변경으로 인해 사퇴
[3]
문서
대선 출마로 사퇴
[4]
문서
2019년 1월 30일 더불어민주당원 댓글 조작 사건으로 인해 징역 2년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되어 직무 정지
2019-01-30
[5]
문서
4월 17일 보석 결정, 직무 재개
2019-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