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주 나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주 나정은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에 위치하며,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가 탄생한 곳으로 전해지는 우물터이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따르면, 진한 시대에 고허촌장이 나정에서 빛나는 알을 발견했고, 그 알에서 박혁거세가 태어났다. 조선 순조 2년에는 박혁거세를 기리는 시조유허비가 세워졌다. 나정은 드라마 《화랑》 등 대중문화 작품에서도 등장하며 신성한 장소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숲 -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
    충청남도 서천군 마량리에 위치한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은 천연기념물 제169호로 지정된 동백나무 군락지로, 다양한 상록활엽수와 함께 자생하며 따뜻한 기후대의 식생을 보여주는 중요한 생태적 가치를 지니고 식물지리학적으로도 의미가 크다.
  • 대한민국의 숲 - 함양 상림
    함양 상림은 최치원이 함양 태수 시절 홍수 방지를 위해 조성한 숲으로, 과거 대관림이라 불렸으나 홍수 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역사적, 생태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신라 - 이두
    이두는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한국어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신라 시대에 시작되어 한국어의 형태소와 문법 요소를 나타내는 데 활용되었으며 훈민정음 창제 이후 사용이 줄었지만 한국어 표기법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신라 - 팔공산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 경계에 있는 팔공산은 비로봉을 최고봉으로 8개의 봉우리를 가지고 있으며, 갓바위, 사찰, 역사 유적지, 위락시설 등을 갖춘 관광지이자 후삼국 시대 전투가 벌어진 역사적 현장으로 최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경주 나정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나정의 성스러운 숲 전경
나정의 성스러운 숲 전경
위치경상북도 경주시 탑동 700-1번지
지정1975년 11월
면적29,599m²
상세 정보
종류사적
지정 번호245호

2. 위치

나정은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 700-1번지에 있으며, 오릉(五陵) 동남쪽 소나무 숲이 무성한 언덕에 자리하고 있다. 삼국사기삼국유사에는 이 우물터에서 신라 시조 박혁거세가 탄생했다고 전한다. 조선 순조 2년(1802)에 박혁거세를 기리기 위해 시조유허비(始祖遺墟碑)를 세웠다. 현재 오릉에서 동남쪽으로 약 1km쯤 떨어진 소나무 숲에 유허비가 있고, 그 옆에 나정이라 부르는 우물을 박혁거세가 탄생한 곳으로 추정하고 있다.[3]

3. 전해지는 이야기

신라 건국 이전 경주 지역은 진한의 땅으로, 6명의 촌장들이 다스리고 있었다. 이 중 고허촌장 소벌도리는 양산 기슭 우물가에서 흰 말이 꿇어앉아 우는 것을 보고 빛나는 알을 발견했다. 이 알에서 남자아이가 태어났는데, 이 아이가 바로 박혁거세이다.[3] 박혁거세는 박처럼 생긴 알에서 태어났다고 하여 성을 박(朴)으로, 세상을 밝게 한다는 뜻에서 이름을 혁거세(赫居世)라 하였다. 기원전 57년, 13세의 혁거세는 왕위에 올라 서라벌(徐羅伐)을 건국하였다.

삼국유사의 기록은 삼국사기보다 더 상세하고 신화적인데, 전한 지절원년(기원전 69년) 3월 초하루, 육촌의 촌장들이 알천 언덕에 모여 덕망 있는 임금을 추대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들은 양산 아래 나정에서 이상한 기운과 함께 흰 말이 꿇어앉아 있는 것을 발견하고, 붉은 알을 발견했다. 알에서 태어난 아이는 혁거세라 불렸으며, 알영정에서 태어난 알영과 함께 봉양되었다. 기원전 57년, 이들은 각각 왕과 왕후가 되었고, 국호를 서라벌이라 하였다. 육촌 사람들은 박혁거세가 태어난 알의 모양을 따라 박(朴)씨 성을 붙였다.[3][4]

4. 대중문화

대한민국 텔레비전 드라마 《화랑》에서 어린 진골들은 이곳에서 만나 싸움을 벌인다. 나정은 신성한 장소이기에 죽음에 처할 수도 있었지만, 가족에게가 아닌 신라와 그 왕에게 충성을 맹세하며 화랑이 됨으로써 죽음을 면하게 된다.

5. 사진

이미 하위 섹션에 내용이 모두 포함되어 있으므로, 별도로 작성할 내용이 없다.

5. 1. 사진 자료

참조

[1] 웹사이트 임수 (林藪) A place where there are trees and grass with special functions https://encykorea.ak[...] 2023-07-23
[2] 웹사이트 경주 나정 (慶州 蘿井) Najeong Well, Gyeongju https://www.heritage[...] 2023-07-23
[3] 서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4] 뉴스 경주 남산의 재발견…신라 1000년의 미소와 만나는 길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2-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