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양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양겸은 명나라의 문신으로, 가정 44년(1565) 진사시에 합격하여 관직에 진출하였다. 호부주사, 호부낭중을 거쳐 광동좌참의, 광동부사, 요동순무를 역임했으며, 임진왜란 시기에는 조선 주둔 명나라 군대의 철수를 주장하고, 일본군의 철병을 논의하는 등 외교적 역할을 수행했다. 이후 병부상서로 추증되었으며, 양민(襄敏)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양명학자 이지(李贄)와 교류하며 우정을 나누었고, 저서로 『충암무료주의(沖庵撫遼奏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병부시랑 - 석성 (명나라)
    석성은 명나라의 관료로, 조선의 종계변무 해결에 기여하고 임진왜란 때 조선 파병을 청원했으나,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일본 국왕에 봉하려다 실패하여 삭탈관직 후 옥사했으며 그의 자식은 한국 석씨의 시조가 되었다.
  • 명나라의 병부시랑 - 양호 (명나라)
    양호는 명나라의 군인이자 관료로, 임진왜란 당시 경리로서 조선에 파병되었으며, 요동 경략으로 후금 토벌에 나섰으나 사르후 전투에서 패배하여 처형되었다.
  • 난퉁시 출신 - 천빙더
    천빙더는 1941년 장쑤성 난퉁 시에서 태어나 중국 인민 해방군에서 군 경력을 시작하여 제1집단군 군장, 난징 군구 사령원 등을 거쳐 2007년 중국 인민 해방군 총참모장에 임명되어 2012년 퇴임했다.
  • 난퉁시 출신 - 즈강
    즈강은 중국 태생의 대만 불교 승려이자 학자, 작가, 법고산의 창시자로, 불교 승려가 된 후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법고산을 창립하여 불교 세계화에 기여했다.
고양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고양겸(顧養謙)
원명해당사항 없음
고양겸 관상복 초상
해당사항 없음
직책총독계료보정군무병부좌시랑겸도찰원우도어사(總督薊遼保定軍務兵部左侍郞兼都察院右都御史)
국가명(明)
작위해당사항 없음
본관해당사항 없음
민족한족
군주만력제
별명자(字) 익경(益卿)
호(號) 충암(沖庵)
시호(諡號) 양민(襄敏)
출생일가정(嘉靖) 16년(1537) 3월 초8일
출생지남직례(南直隸) 통주현(通州縣)(오늘날 강소성 남통시)
사망일만력(萬曆) 32년(1604) 정월
사망지해당사항 없음
묘지해당사항 없음
배우자이씨(李氏)
자녀아들 고무현(顧懋賢), 고무광(顧懋光)
경력
출신가정(嘉靖) 37년 무오과 거인(嘉靖三十七年戊午科舉人)
가정(嘉靖) 44년 을축과 진사(嘉靖四十四年乙丑科進士)
저서《충암무료주议(沖庵撫遼奏議)》 20권, 《독무주议(督撫奏議)》 8권 등

2. 생애

고양겸은 응천부(應天府) 향시(鄕試)에서 103등, 을축과(乙丑科) 회시(會試)에서 127등을 했다. 가정 44년(1565) 진사(進士) 제2갑(第二甲) 44등으로 합격했다.[1][2] 이후 만력 5년(1577) 운남첨사(雲南僉事), 만력 8년(1580) 절강우참의(浙江右參議), 만력 10년(1582) 산동부사(山東副使)를 거쳐, 만력 11년(1583) 절강 항엄도(杭嚴道)를 관장하고 산서(山西) 계주병비도(薊州兵備道)에 임명되었다.

2. 1. 초기 관직 생활

명나라 가정 44년(1565), 과거 진사시에 합격하여 제2갑 44등에 올랐다.[1][2] 공부(工部)에서 연수 과정을 거친 후, 그 해 10월 호부주사(戶部主事)에 임명되었다. 융경 3년(1569) 2월, 호부원외랑(戶部員外郞)으로 승진했고, 4월에는 호부낭중(戶部郞中)으로 다시 승진했다.

고양겸은 북경 상인을 감독하는 업무를 맡았으나, 상서(尙書) 유체건(劉體乾)에게 항의하여 같은 해 7월 복건첨사(福建僉事)로 좌천되었다. 융경 6년(1572) 10월, 광동좌참의(廣東左參議)로 승진하였고, 광동 조주, 산두 및 복건 남부 지역 평정에 성공한 공으로 만력 원년(1573) 8월, 광동부사(廣東副使)로 승진하였다.

2. 2. 요동 순무와 임진왜란

만력(萬曆) 13년(1585년) 6월, 우첨도어사(右僉都御史)로 승진하여 요동순무(遼東巡撫)에 임명되었다.[1] 같은 해 심유용(沈有容)을 부하로 불러 화기를 훈련하게 하여 전공을 세웠다. 만력 14년(1586년) 5월, 우부도어사(右副都御史)로 승진하였다.

만력 20년(1592년) 8월, 병부우시랑(兵部右侍郞)으로 복직하였다. 만력 21년(1593년) 정월, 병부좌시랑 겸 도찰원우부도어사 총독계료보정군무(兵部左侍郞兼都察院右副都御史總督薊遼保定軍務)로 승진하였다.[3] 당시 송응창(宋應昌)과 이여송(李如松)이 조선에서 일본군과 대치하고 있었다. 고양겸은 조선에서의 철군을 강하게 주장하였고 신종은 이를 비준하였다. 고양겸은 송응창을 대신하여 조선으로 가서 철군 업무를 맡았으며, 계진(薊鎭) 방비는 순천순무(順川巡撫)가 대신 맡았다. 고양겸은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항표(降表, 항복을 청하는 표문)가 도착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 군영에 사람을 보내어 일본군의 철병 사안을 논의하게 하였다. 고양겸은 병부상서(兵部尙書) 석성(石星)의 뜻을 따르고자 하였으며, 히데요시를 일본국왕(日本國王)에 책봉하는 것으로 결의하여 전쟁을 종식시키려 하였다. 명 조정은 석성의 건의를 받아들여 명군 3천 명을 조선에 주둔시키고 나머지는 철군하기로 결정하였다.

2. 3. 만년

만력 17년(1589) 7월, 고양겸은 남경호부우시랑(南京戶部右侍郞)으로 승진하여 양저총독(糧儲總督) 직을 맡았으나, 모친상으로 인하여 귀향하였다.[3]

만력 20년(1592) 8월, 병부우시랑(兵部右侍郞)으로 복직하였다. 만력 21년(1593) 정월, 병부좌시랑 겸 도찰원우부도어사 총독계료보정군무(兵部左侍郞兼都察院右副都御史總督薊遼保定軍務)로 승진하였다.[3] 당시 송응창이여송조선에서 일본군과 대치하고 있었다. 고양겸은 조선에서의 철군을 강하게 주장하였고 신종은 이를 비준하였다. 고양겸은 송응창을 대신하여 조선으로 가서 철군 업무를 맡았으며, 계진(薊鎭) 방비는 순천순무(順川巡撫)가 대신 맡았다. 고양겸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항표(降表, 항복을 청하는 표문)가 도착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고니시 유키나가 군영에 사람을 보내어 일본군의 철병 사안을 논의하게 하였다. 고양겸은 병부상서(兵部尙書) 석성의 뜻을 따르고자 하였으며, 히데요시를 일본 국왕(日本國王)에 책봉하는 것으로 결의하여 전쟁을 종식시키려 하였다. 명 조정은 석성의 건의를 받아들여 명군 3천 명을 조선에 주둔시키고 나머지는 철군하기로 결정하였다.

만력 22년(1594), 고양겸은 소환되어 병부 업무를 관장하였고, 그해 하도시랑 겸 우도어사(河道侍郞兼右都御史)로 전직되었다. 만력 23년(1595), 병으로 인한 휴양을 건의하였고 이것이 비준되었다. 만력 24년(1596) 9월, 도찰원우도어사 겸 병부좌시랑 협리경영융정(都察院右都御史兼兵部左侍郞協理京營戎政)으로 복직하였다. 만력 25년(1597), 고향에서의 요양을 허가받았다. 만력 32년(1604), 사망하였다. 만력 34년(1606) 9월, 병부상서에 추증되었으며, '양민(襄敏)'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양명학이지(李贄)와 고양겸 간에 교류가 있었다.[4] 이지가 요안지부(姚安知府)로 있는 동안 고양겸은 이해도사(洱海道事)에 있었다. 두 사람은 서로 의기투합하여 우정이 두터웠다. 이지는 초횡 등에게 보낸 서신에서 모두 고양겸을 언급하였다.

3. 저작

沖庵撫遼奏議|충암무료주의중국어 (20권), 督撫奏議|독무주의중국어 (8권) 등이 있다.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증조부고능(顧能)顧能|고능중국어, 의관(義官)
조부고조산(顧祖山)顧祖山|고조산중국어, 의관(義官)
부친고요(顧瑤)顧瑤|고요중국어, 감생(監生)
적모전씨(錢氏)錢氏|전씨중국어, 안인(安人) 추증
친모단씨(單氏)單氏|단씨중국어, 태안인(太安人) 책봉[5]
고양항(顧養恒)顧養恒|고양항중국어, 감생(監生)
동생고양리(顧養履)顧養履|고양리중국어
동생고양관(顧養觀)顧養觀|고양관중국어
동생고양손(顧養巽)顧養巽|고양손중국어
동생고양증(顧養曾)顧養曾|고양증중국어
동생고양예(顧養豫)顧養豫|고양예중국어
배우자이씨(李氏)李氏|이씨중국어, 안인(安人)
아들고무현(顧懋賢)顧懋賢|고무현중국어(거인)
아들고무광(顧懋光)顧懋光|고무광중국어


참조

[1] 서적 황명공거고(皇明貢舉考)
[2] 서적 공거지오종(상)(貢舉志五種(上)) Wuhan University Press 2009
[3] 간행물 명신종실록(明神宗實錄)
[4] 문서 증요안수온릉이선생치사거전서(贈姚安守溫陵李先生致仕去滇序)
[5] 서적 천일각장명대과거록선간 등과록 점교본(天一閣藏明代科舉錄選刊 登科錄 點校本) Ningbo Press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