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소방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양소방서는 1991년 6월 11일 개서하여, 경기도 고양시의 소방 업무를 담당한다. 초기에는 파주 지역 일부를 관할했으나, 파주소방서 개서 이후 고양시 전역을 관할 구역으로 한다. 현재 소방행정과, 재난예방과, 재난대응과, 소방안전특별점검단, 현장지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개의 119안전센터, 1개의 구조대, 1개의 구급대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양시 소재의 관공서 - 법원공무원교육원
대한민국 법원공무원의 교육 및 훈련을 담당하는 대법원 산하 기관인 법원공무원교육원은 1979년 설립되었으며, 법원조직법에 설치 근거를 두고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다. - 고양시 소재의 관공서 - 법원도서관
법원도서관은 법원조직법에 의해 설치된 대법원 직속 도서관으로, 1972년 법원행정처 도서과에서 시작하여 1981년 법원도서관으로 승격되었으며, 2023년 기준 29만 권 이상의 도서를 소장하고 관련 문헌을 제공한다. - 경기도의 소방서 - 과천소방서
과천소방서는 1984년 개서하여 과천시를 관할하며, 소방행정과, 재난예방과, 소방안전특별점검단, 현장대응단, 그리고 중앙119안전센터, 과천119안전센터, 119구조대, 119구급대 등으로 구성되어 과천시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소방기관이다. - 경기도의 소방서 - 연천소방서
연천소방서는 경기도 연천군을 관할하며, 2008년 동두천소방서에서 분리 개청하여 4개의 119안전센터와 1개의 구조대를 산하에 두고 소방 행정, 재난 예방, 소방 안전 점검 및 현장 대응 업무를 수행한다. - 1991년 설치 - 화도읍
화도읍은 1914년 상도면과 하도면을 합쳐 명명된 남양주시의 읍으로, 1991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기관과 학교, 의료 시설, 주거 시설, 문화재, 명소 등이 위치하고, 경춘선, 서울양양고속도로 등 교통이 편리하다. - 1991년 설치 - 분당구
분당구는 1989년 분당신도시 개발로 설치된 성남시 남부의 일반구로, 분점리와 당우동의 이름을 따왔으며, 과거 광주군 돌마면과 낙생면 지역이 성남시에 편입된 후 중원구에서 분구되어 분당선, 신분당선, 경강선과 함께 네이버, KT 본사 등 여러 기업 및 공공기관이 위치한다.
고양소방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고양소방서 | |
![]() | |
한글 표기 | 고양소방서 |
한자 표기 | 高陽消防署 |
영어 표기 | Goyang Fire Station |
기본 정보 | |
소방본부 | 경기도 북부소방재난본부 |
설치일 | 1991년 6월 11일 |
관할 구역 | 고양시 덕양구 |
관할 면적 | 165.46km² |
직원 정수 | 156명 |
119안전센터 수 | 4개 (원당은 소방서와 겸용) |
위치 정보 | |
주소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대로 1342 |
우편 번호 | 412-080 |
관할 센터 | |
외부 링크 |
2. 연혁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서술 생략)
2. 1. 설립 초기 (1991년 ~ 1999년)
1991년 6월 11일, 의정부소방서에서 분리되어 고양소방서가 문을 열었다. 개서 당시 관할 구역은 고양군이었으며, 지도파출소(현재 능곡119안전센터)도 함께 업무를 시작했다.1992년 1월 1일에는 의정부소방서로부터 파주군의 일부 지역(금촌읍, 문산읍, 파주읍, 법원읍, 조리면, 월롱면, 교하면)과 해당 지역의 금촌파출소, 문산파출소를 넘겨받아 관할 구역이 확대되었다. 같은 해 2월 1일 고양군이 고양시로 승격하면서 관할 구역은 고양시와 파주군 일부가 되었다. 이후 파출소 신설이 이어졌다.
1995년 11월 1일에는 119구조대가 설치되어 구조 활동 역량을 강화했다. 1996년 3월 1일 파주군이 파주시로 승격함에 따라 관할 구역은 고양시와 파주시 일부로 변경되었고, 같은 해 7월 23일 일산파출소가 문을 열었다. 1997년 11월 9일에는 구조본부가 설치되었다.
1999년 2월 4일에는 금촌, 문산, 법원파출소가 신설되는 파주소방서로 이관되었다. 같은 해 7월 10일 파주소방서가 정식으로 개서하면서 파주시 지역 전체가 파주소방서 관할로 넘어가, 고양소방서의 관할 구역은 다시 고양시 전역으로 조정되었다.
2. 2. 조직 확장 및 개편 (2004년 ~ 현재)
- 2004년 3월 12일: 중산파출소(현 중산119안전센터)를 개소하였다.
- 2005년 2월 24일: 행신파출소(현 행신119안전센터)를 개소하였다.
- 2005년 9월 12일: 일산소방서가 개청하면서 고양시 일산동구와 일산서구 지역의 관할을 이관하였다. 이에 따라 고양소방서의 관할 구역은 고양시 덕양구로 조정되었다.[1]
- 2007년 9월 3일: 조직 개편을 통해 소방행정과, 예방과, 방호구조과 체제로 변경되었으며, 파출소는 119안전센터로, 파견소는 지역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2009년 12월 21일: 조직 개편으로 지원과, 예방과, 방호구조과 체제가 되었다.
- 2011년 2월 15일: 다시 조직을 개편하여 소방행정과, 예방과, 현장지휘과 체제로 변경하였다.
- 2013년 7월 26일: 조직 개편을 통해 소방행정과, 재난안전과, 현장대응단 체제로 재편되었다.
- 2014년 11월 10일: 소방서장의 직급이 소방정에서 소방준감으로 상향 조정되었다.
- 2015년 2월 2일: 기존 119구조대를 서북부권역으로 확대 개편하여 특수대응단을 설치하였다.
- 2016년 12월 14일: 화전119안전센터를 개청하였고, 기존의 화전119지역대는 폐지되었다.
- 2017년 3월 14일: 119구급대를 신설하였다.
- 2017년 3월 22일: 조직 개편으로 소방행정과, 재난예방과, 현장대응단 체제가 되었다.
- 2017년 11월 24일: 관산지역대 청사를 준공하였다.
- 2017년 12월 24일: 119구급대 청사(별관동)를 준공하였다.
- 2019년 12월 6일: 삼송119안전센터 청사를 준공하였다.
- 2021년 3월 29일: 조직 개편을 통해 소방행정과, 재난예방과, 재난대응과, 소방안전특별점검단, 현장지휘단 체제로 변경되었다.
3. 조직
wikitext
과/단 | 팀 |
---|---|
소방행정과 | 소방행정팀 |
회계장비팀 | |
재난예방과 | 예방대책팀 |
생활안전팀 | |
소방민원팀 | |
재난대응과 | 전략대응팀 |
구조구급팀 | |
소방안전특별점검단 | 화재안전조사팀 |
소방패트롤팀 | |
소방사법팀 | |
현장지휘단 | 지휘조사1팀 |
지휘조사2팀 | |
지휘조사3팀 |
4. 관할센터 및 관할구역
고양소방서는 고양시 덕양구 전 지역을 관할하며, 산하에 5개의 119안전센터와 1개의 구조대, 1개의 구급대를 두고 있다.[3]
4. 1. 119안전센터
고양소방서는 5개의 119안전센터와 1개의 구조대, 1개의 구급대를 산하에 두고 있다.[3]명칭 | 주소 | 관할구역 | 지역대 |
---|---|---|---|
원당119안전센터 | 고양시 덕양구 고양대로 1342 | 주교동, 성사1·2동, 관산동, 화정1·2동, 원신동, 흥도동 | 관산119지역대 |
능곡119안전센터 | 고양시 덕양구 토당로 48 | 행주동, 능곡동 | |
삼송119안전센터 | 고양시 덕양구 오금로 14 | 삼송동, 오금동, 지축동, 효자동, 동산동, 신원동, 원흥동, 선유동, 북한동, 고양동, 벽제동, 대자동 | 고양119지역대 |
행신119안전센터 | 고양시 덕양구 소원로181번길 52 | 행신1·2·3·4동, 도내동, 강매동 | |
화전119안전센터 | 고양시 덕양구 중앙로 78 | 화전동, 향동동, 덕은동, 현천동, 용두동 | |
119구조대 | 고양시 덕양구 고양대로 1342 | 고양시 덕양구 전체 | |
119구급대 | 고양시 덕양구 고양대로 1342 | 고양시 덕양구 전체 |
4. 2. 구조대 및 구급대
고양소방서는 1개의 구조대와 1개의 구급대를 산하에 두고 있다.[3] 구조대와 구급대의 세부 정보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인용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별표1
http://www.law.go.kr[...]
2015-01-08
[2]
웹인용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제40조
http://www.law.go.kr[...]
2014-12-30
[3]
웹인용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시행규칙 별표3
http://www.law.go.kr[...]
2017-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