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산동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산동구는 2005년 일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고양시의 행정구이다. 과거 백제, 고구려, 신라의 지배를 받았으며, 조선 시대에는 고양현과 고양군으로 존재했다. 현재는 12개의 행정동과 13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류월드, 일산 호수공원, 킨텍스 등 문화·관광 시설과 다양한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교통망으로는 철도(3호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GTX-A)와 고속도로가 지나며, 고양종합터미널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구 - 소사구
    소사구는 1988년 설치되었다가 2016년 폐지된 후 2024년 재설치된 부천시의 구이며, 부천시 구시가지에 해당하고 11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교육 기관과 철도 노선이 지나간다.
  • 경기도의 구 - 단원구
    단원구는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의 행정 구역으로, 2002년에 설치되어 12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며, 안산시 서부에 위치하고 시흥시, 화성시와 접하며, 수도권 전철 4호선, 수인·분당선, 서해선과 영동고속도로 서안산 나들목이 지나간다.
  • 일산동구 - 일산신도시
    일산신도시는 서울 과밀화 해소를 위해 경기도 고양시에 조성된 대규모 택지개발 신도시로, 1기 신도시 중 인구밀도가 가장 낮으며 고양호수공원을 중심으로 상업시설과 녹지가 풍부하고 서울 접근성이 높아 독립적인 도시 기능을 수행하지만 난개발 및 교육 격차 문제도 안고 있다.
  • 일산동구 - 고양종합터미널
    고양종합터미널은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종합버스터미널로, 2012년 개장 후 화재 사고를 겪었으나 재개장하여 현재 전국 각지로 시외·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2005년 설치 - 일산서구
    일산서구는 고양시의 서쪽에 위치하며 일산신도시를 포함하고, 역사적으로 고양군에 속했으며, 2005년 일산구에서 분구되어 현재 11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었고, 킨텍스를 포함한 인프라와 우수한 접근성을 가지나, 교통 혼잡과 서울 중심적인 교통 정책에 대한 불편이 있다.
  • 2005년 설치 - 대부동
    대부동은 안산시에 속하며, 과거 여러 국가의 영토였고, 부천군, 옹진군을 거쳐 안산시에 편입되었으며, 대부동동, 대부북동, 대부남동, 선감동, 풍도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산동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행정구역명일산동구
로마자 표기Ilsandong-gu
한글 표기일산동구
한국 한자 표기一山東區
가타카나 표기イルサンドン=グ
면적59.09
총인구291,597
통계 년도2023
남자 인구141,346
여자 인구150,251
상위 자치단체고양시
하위 행정 구역12동
웹사이트일산동구청 홈페이지
추가 정보
총인구 (2022년)296,122
세대수 (2022년)128,567
법정동13
행정동12
구청장김영남
국회의원고양시 갑: 김성회(더불어민주당)
고양시 병: 이기헌(더불어민주당)
구청 소재지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256
홈페이지고양시 일산동구청 홈페이지

2. 역사

2005년 5월 16일 일산구에서 '''일산동구'''가 분리되었다.[9] 고양시 일산구가 일산동구와 일산서구로 분구되면서 식사동, 일산4동(현 정발산동), 풍산동, 백석동, 마두1동, 마두2동, 장항1동, 장항2동, 고봉동 일원과 일산2동(현 중산동) 일부가 일산동구 관할이 되었다.[10]

2006년 10월 29일 백석동이 백석1동, 백석2동으로 분동되었고,[12] 2022년 1월 3일에는 중산동이 중산1동, 중산2동으로 분동되었다.

2. 1. 선사시대

수만 년 전, 일산동구 지역에 한강 주변과 고봉산 같은 낮은 구릉성 산지에 사람이 처음 살기 시작했다. 이 사람들은 주로 이곳 일산지역에서 이동생활, 또는 정착생활을 하면서 살았는데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편마암의 차돌을 이용하여 석기를 만들어 사용했다. 대화동주엽동 일대에서는 지금으로부터 약 5000년 전의 볍씨가 발견되어, 이곳이 한국 최초로 곡식을 뿌려 논농사를 지은 곳임이 밝혀졌다. 이 볍씨들은 일산 신시가지가 개발되기 이전에 논과 밭을 중점적으로 연구한 토탄층 조사에서 밝혀졌는데 이곳에서는 무문토기, 빗살무늬토기 등이 발견되었다. 이들 선사시대 사람들은 삶의 터전을 점점 넓혀 점차 그 주변지역으로 확장하였다. 일산동구의 내륙지역인 문봉동, 사리현동, 지영동 등지에서 청동기 시대의 여러 가지 유물이 발견되었고 성석동, 설문동, 사리현동 등지에서는 마제석부 등을 비롯한 수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2. 2. 삼국시대

삼국시대에 일산동구 지역은 백제, 고구려, 신라 순으로 통치를 받았다. 먼저 백제는 위례성에 도읍을 정한 후 일산 지역을 고구려의 남진정책을 막는 중요한 요충지로 활용하였다. 광개토대왕장수왕 대에 고구려는 이 지역을 점령한 후 약 80년동안 지배하였는데, 이곳은 당시 ‘달을성현’으로 불리었다. 그 후 강력한 신라군의 반격에 의해 이 지역을 물려주고 고구려 세력은 한강 이북으로 철수하였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기 이전까지 이곳은 고구려, 백제, 신라, 특히 신라와 고구려군과의 세력이 자주 충돌하였다. 이때 고구려의 세력 하에 축조된 토성으로는 현재의 대화동 성저마을에 축조된 성저토성이 있다. 높이 2m~3m, 길이 400m 정도의 거대한 토성으로 고구려의 토기를 비롯해 통일신라시대의 토기가 발견되어 한강 유역의 방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이 증명되었다. 그 후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경덕왕 16년에는 고봉현으로 불리었다.

2. 3. 고려시대

911년 신라의 세력을 물리치면서 일산 지역은 궁예태봉이 되었으나 곧 왕건의 고려에 복속되었다. 고려시대에 일산은 이웃해있는 개성이 새로운 도읍지로 정해짐에 따라 문화·역사의 중심지의 주변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당시 이곳은 남경유수관의 한부사가 관리를 맡았으며 1285년에는 명칭을 ‘부원’으로 고치게 되었으며 주엽동 일대는 특히 황조향이, 그리고 밤가시마을 부근에는 율악부곡이 설치되었다.

2. 4. 조선시대

1413년 조선 태종 13년에 삼국시대 이후 줄곧 ‘고봉’과 ‘덕양’으로 나뉘어 있던 두 지역의 앞자와 뒷자를 따서 고양이 되었는데, 지금의 고양이란 이름도 이때부터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 일산 지역은 고려의 도성이었던 개성과 새로운 조선 왕조의 수도인 한성의 중간 지점에 위치해 역사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1471년 조선 성종 연간에 일산 지역은 고양현에서 고양군으로 승격되었다. 연산군 시대에는 일산을 비롯한 고양 땅이 금표구역 내에 포함되어 왕의 사냥터와 유흥지, 목초지 등으로 이용되었다. 1755년 영조 때 발간된 《고양군지》의 당시 기록을 보면 고양에는 8개면, 3508호에 남자 6785명, 여자 7076명 등 총 13,878명의 주민이 살고 있었다. 1895년 고종 3년에 한성부에 포함되었으며, 1906년 양주군 신혈면이 고양 땅에 속하게 되었다. 1911년 당시 9면 50개리를 관할했다.

2. 5. 일제시대

1914년 당시 고양군의 군청 소재지는 지금의 서울적십자 병원 자리에 있었다. 이후 1936년에는 현재의 서울 동대문 운동장 야구장 건너편 자리로 군청을 옮겼다. 당시 고양군은 현재 서울의 강북 지역 대부분을 포함하는 넓은 구역이었다. 일산은 '중면'으로 불렸다.[1]

현재의 일산동구 중 식사동원당면과 원당읍 소속이었고, 설문동, 지영동, 사리현동, 성석동, 문봉동, 고봉동 등은 벽제면과 벽제읍 소속이었다.[1]

2. 6. 대한민국

1980년 중면이 일산읍으로 승격되었고, 1986년 11월 1일 일산읍의 동부 지역인 마두, 백석, 풍동리 등을 관할하는 일산읍 백마출장소가 설치되었다. 백마출장소는 1992년 시 승격 이후 동제로 전환되면서 사라졌지만 현재의 일산동구 영역과 거의 일치한다.

1989년 일산 신시가지 개발이 발표되었다. 1992년 2월 1일에는 고양시로 승격되었고, 1996년 3월 1일 덕양구일산구로 분구된 후, 2005년 5월 16일 일산구는 다시 일산동구와 일산서구로 분구되었다.[9]

  • 2005년 5월 16일 고양시 일산구가 일산동구와 일산서구로 분리되었다. 식사동, 일산4동, 풍산동, 백석동, 마두1동, 마두2동, 장항1동, 장항2동, 고봉동 일원과 일산2동 일부가 일산동구의 관할이 되었다.[10] 또한 일산4동은 정발산동으로 개칭하고, 일산2동의 일부는 중산동으로 신설하였다. (10행정동 13법정동)[11]
  • 2006년 10월 29일 백석동을 백석1동, 백석2동으로 분동하였다.[12] (11행정동)
  • 2022년 1월 3일 중산동을 중산1동, 중산2동으로 분동하였다.

3. 행정 구역

일산동구 행정구역


일산동구의 행정 구역은 12개 행정동, 261개 통, 1,678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산동구의 면적은 59.1km2로 시 전체의 22.1%를 차지하고 있다. 2014년 12월 말 기준으로 인구는 28만 4207 명, 11만 182 세대이다.[13]

행정동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
고봉동高烽洞24.96km27,18316,672
마두1동馬頭1洞2.21km29,18527,238
마두2동馬頭2洞0.63km25,87017,630
백석1동白石1洞1.77km210,67927,201
백석2동白石2洞0.8km210,89922,346
식사동食寺洞6.82km210,06731,221
장항1동獐項1洞9.42km21,5352,998
장항2동獐項2洞2.45km213,47426,795
정발산동鼎鉢山洞1.53km210,75227,949
중산1동中山1洞1.41km2--
중산2동中山2洞1.44km2--
풍산동楓山洞5.66km213,80839,272
일산동구一山東區59.1km2110,182284,207


  • 인구는 2014년 12월 31일 기준, 면적은 2012년 12월 31일 기준


일산동구는 12개의 행정동과 13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된다.


4. 인구

연도총인구
2005년274,800명
2010년270,205명
2015년287,048명
2020년299,716명


5. 지리

고양시의 3개 행정구 중 중앙에 위치한 구로, 동쪽에는 덕양구, 서쪽에는 일산서구가 있다. 북쪽으로는 파주시와 접하고, 남쪽은 한강과 접하며, 강 건너편은 김포시이다.

6. 문화·관광

일산 신도시는 수많은 드라마와 영화 촬영지로 유명하다. 2007년에 문화방송(MBC)의 스튜디오 건물인 "MBC 드림센터"가 일산동구에 개설되었고, 일산서구에 있는 SBS 일산 제작센터와 함께 TV 프로그램 제작의 중심지가 되고 있다. 한국 드라마와 영화의 인기에 힘입어 한류월드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6. 1. 한류월드

일산호수공원 남쪽에 조성될 예정으로, 테마파크, 문화시설, 호텔, 상업시설 등이 들어서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시설이다.

2004년에 계획이 발표되었고, 2008년 5월 29일에 착공하였으나, 사업자 선정이 연기되는 등 사업 진행이 크게 지연되고 있다. 유니버설 스튜디오와 컨벤션센터, 상업시설이 결합된 형태로 구상되고 있다. 홍보대사는 영화 배우 성룡(ジャッキー・チェン)[2]과 최지우(チェ・ジウ)[3]이다.

6. 2. 일산 호수공원

일산신도시 남쪽 끝에 위치한 일산 호수공원은 넓은 부지를 자랑하여 고양시민뿐 아니라 서울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한국에서는 자전거가 일반적인 교통수단으로 인식되지 않지만, 호수공원에는 자전거 대여점이 많아 자전거 연습이나 광활한 호수를 따라 레크리에이션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다. 매년 국제꽃박람회(World Flower Exhibition Koyang Korea)가 열리며, 행사장 규모는 실내 3700평, 실외 15000평이다.[4]

6. 3. 기타 시설



일산호수공원 남쪽에 조성 예정인 한류월드는 테마파크, 문화시설, 호텔, 상업시설 등의 복합 엔터테인먼트 시설이다. 2004년에 계획이 발표되었고, 2008년 5월 29일에 착공하였으나 사업자 선정이 연기되는 등 크게 지연되고 있다. 홍보대사는 영화 배우 성룡(ジャッキー・チェン)[2]과 최지우(チェ・ジウ)[3]이다.

7. 교통

한국철도공사



평택파주고속도로 본선이 일산동구를 지난다. 고양 분기점에서 시작하여 사리현 나들목, 북고양·설문 나들목을 거쳐 금촌 나들목까지 이어진다. 일산동구에는 고양종합터미널이 있다.

7. 1. 철도

wikitext

7. 2. 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본선이 일산동구를 지난다. 고양 분기점에서 시작하여 사리현 나들목, 북고양·설문 나들목을 거쳐 금촌 나들목까지 이어진다.

7. 3. 버스

일산동구에는 고양종합터미널이 있다.

8. 교육 기관

일산동구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학교, 각종학교 등 다양한 교육기관이 있다.

8. 1. 초등학교

8. 2. 중학교


8. 3. 고등학교


8. 4. 각종 학교

학교 종류학교 이름
각종학교한국기독국제학교
각종학교노아자연학교


8. 5. 특수 학교

한국경진학교

참조

[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2] 뉴스 〈インタビュー〉韓流ウッド広報大使のジャッキー・チェン http://news.brokore.[...] ブロコリ 2008-05-30
[3] 뉴스 チェ・ジウ、韓流ウッド広報大使に任命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8-05-28
[4] 간행물 海外事務所だより '97高陽世界花の博覧会 自治体国際化協会
[5] 웹인용 2022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6] 웹인용 2022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7] 일반
[8] 일반
[9] 웹사이트 일산동구의 연혁 http://www.goyang.go[...] 2012-08-16
[10] 조례 고양시 조례 제892호 구설치와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5-04-08
[11] 일반
[12] 조례 고양시 조례 제983호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에관한조례 2006-09-26
[13] 웹사이트 일산동구의 일반현황 http://www.goyang.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