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양군은 백제, 고구려 시기에는 달을성현, 개백현이었고 신라 시대에는 고봉현으로 불렸다. 조선 시대에는 고봉현, 덕양현 등을 통합하여 고양현으로 개칭되었고, 1471년 군으로 승격되었다가 연산군 때 폐지되었다가 중종 때 다시 복구되었다. 1895년 대한제국 시기에 한성부 고양군으로, 1896년 경기도 고양군으로 개편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경성부와 양주군 일부를 편입하여 행정구역이 조정되었다. 1949년에는 서울특별시로 편입되었고, 1992년 고양시로 승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양시의 역사 - 일산구
일산구는 고양시의 구제 실시로 1996년 신설되었으나, 일산신도시 개발로 인한 인구 증가와 행정 효율성 증대를 위해 2005년 일산동구와 일산서구로 분구되었다. - 고양시의 역사 - 행주대첩
행주대첩은 임진왜란 중 권율이 이끄는 조선군이 행주산성에서 일본군을 격퇴한 전투로, 신무기와 이순신으로부터 지원받은 무기를 활용하여 열세에도 승리하여 일본군의 사기를 꺾는 데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군 - 청원군
청원군은 충청북도 중서부에 위치했던 군으로,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삼한시대에는 마한, 삼국시대에는 백제, 고구려, 신라의 영토였고, 2014년 청주시에 통합되기 전 3읍 10면으로 구성되어 문의문화재단지, 대청댐 등의 주요 시설이 있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군 - 양주군
양주군은 1895년부터 2003년까지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양주시, 동두천시, 의정부시, 남양주시, 구리시 일부 지역을 포함하며, 1963년 의정부읍의 시 승격, 1980년 남양주군 분리, 1981년 동두천읍의 시 승격 이후 2003년 양주시 승격으로 폐지되었다.
고양군 | |
---|---|
지도 | |
![]() | |
개요 | |
소속 국가 | 대한제국 → 일본 제국 → 대한민국 |
위치 | 경기도 |
설치 | 1895년 5월 26일 |
폐지 | 1992년 2월 1일 |
현재 | 고양시 |
행정 구역 변천 | |
1895년 | 한성부 고양군 |
1896년 | 경기도 고양군 |
1949년 | 서울특별자유시 일부 편입 (은평구 지역) |
1992년 | 고양시로 승격 및 폐지 |
지리 | |
면적 | 118.39㎢ (1914년) |
인구 | |
1914년 | 27,904명 |
1930년 | 36,548명 |
1960년 | 102,398명 |
1980년 | 262,842명 |
교통 | |
철도 | 경의선 |
도로 | 국도 1호선, 국도 39호선 |
2. 연혁
백제·고구려 시대에 고양군 지역은 達乙省縣중국어(달을성현, 고봉), 介白縣중국어(개백현, 행주, 덕양)이었다. 신라는 이 지역을 고봉현(高峰縣)으로 고쳤다.
조선 초에는 고봉현(高峰縣)·덕양현(德陽縣)·부원현(富原縣)·황조향(荒調鄕)을 합쳤다. 1394년(조선 태조 8년) 감무를 두었고, 1413년(태종 13년) 고봉현과 덕양현을 고양현으로 통합하였다. 1471년(성종 2년) 경릉(敬陵)과 창릉(昌陵)이 있어 군(郡)으로 승격되었다. 연산군 10년(1504년) 폐지되어 유행(流行)하는 곳으로 되었다가 중종 1년(1506년) 군으로 복구되었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한성부 고양군으로 개편되었다가,[5] 1896년 8월 4일 경기도 고양군으로 개편되었다. 1906년 9월 24일에는 양주군 신혈면(神穴面)이 고양군으로 편입되었다.[5]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경성부의 8개 면과 양주군 고양주면(古楊州面)이 고양군으로 편입되고, 일부 면이 통폐합되어 12개 면으로 개편되었다.[2]
1936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8호에 따라 용강면, 한지면과 연희면 일부, 숭인면 일부, 은평면 일부가 경성부로 편입되었고, 경성부에 편입되지 않은 연희면의 나머지 7개 리는 은평면에 편입되었다.[6][7]
1949년 8월 13일 숭인면이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뚝도면이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은평면이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편입되었다.[4] 이들 지역에는 각각 숭인·뚝도·은평출장소가 설치되었다.[8] 이로써 1914년에 고양군으로 편입되었던 경성부 성저십리 지역이 모두 서울특별시로 다시 편입되었다.
1961년 8월 7일 고양군청이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6가에서 고양군 원당면 주교리로 이전하였다.[9] 1967년 3월 28일 신도면에 화전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73년 7월 1일 신도면 구파발리, 진관내리 및 진관외리가 서울시 서대문구에 편입되고, 신도면이 신도읍으로 승격하였다.[10] 1979년 5월 1일 원당면이 원당읍으로 승격하였다.[11] 1980년 12월 1일 벽제면이 벽제읍으로, 중면이 일산읍으로 각각 승격하였다.[12] 1985년 10월 1일 지도면이 지도읍으로 승격하였고, 신도읍 화전리·현천리·덕은리·향동리를 관할로 하여 화전출장소가 화전읍으로 승격하였다.[13] 1986년 11월 1일 일산읍에 백마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9년 6월 1일 고양군 일산읍, 송포면 지역에 일산신도시 건설이 추진되었다. 1992년 2월 1일 고양군이 고양시로 승격하였다.[1]
2. 1. 고대 ~ 조선 시대
백제·고구려 시대에 고양군 지역은 達乙省縣중국어(달을성현, 고봉), 介白縣중국어(개백현, 행주, 덕양)이었다. 신라는 이 지역을 고봉현(高峰縣)으로 고쳤다.조선 초에는 고봉현(高峰縣)·덕양현(德陽縣)·부원현(富原縣)·황조향(荒調鄕)을 합쳤다. 1394년(조선 태조 8년) 감무를 두었고, 1413년(태종 13년) 고봉현과 덕양현을 고양현으로 통합하였다. 1471년(성종 2년) 경릉(敬陵)과 창릉(昌陵)이 있어 군(郡)으로 승격되었다. 연산군 10년(1504년) 폐지되어 유행(流行)하는 곳으로 되었다가 중종 1년(1506년) 군으로 복구되었다.
2. 2. 대한제국 ~ 일제강점기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한성부 고양군으로 개편되었다가,[5] 1896년 8월 4일 경기도 고양군으로 개편되었다. 1906년 9월 24일에는 양주군 신혈면(神穴面)이 고양군으로 편입되었다.[5]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경성부의 8개 면과 양주군 고양주면(古楊州面)이 고양군으로 편입되고, 일부 면이 통폐합되어 12개 면으로 개편되었다.[2]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경성부 용산면(龍山面), 서강면(西江面) | 용강면 |
경성부 숭신면(崇信面), 인창면(仁昌面) | 숭인면 |
경성부 연희면(延禧面) | 연희면 |
경성부 한지면(漢芝面) | 한지면 |
경성부 두모면(豆毛面), 양주군 고양주면(古楊州面) | 뚝도면 |
경성부 은평면(恩平面) | 은평면, 신도면 |
고양군 하도면(下道面) | 신도면 |
고양군 신혈면(神穴面) | 벽제면, 신도면 |
고양군 사리대면(沙里大面) | 벽제면 |
고양군 구이면(九耳面), 원당면(元堂面) | 원당면 |
고양군 송산면(松山面), 사포면(巳浦面) | 송포면 |
고양군 구지도면(求知道面) | 지도면 |
고양군 중면(中面) | 중면 |
1936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8호에 따라 용강면, 한지면과 연희면 일부, 숭인면 일부, 은평면 일부가 경성부로 편입되었고, 경성부에 편입되지 않은 연희면의 나머지 7개 리는 은평면에 편입되었다.[6][7]
1949년 8월 13일에는 숭인면이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뚝도면이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은평면이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편입되었다.[4] 이들 지역에는 각각 숭인·뚝도·은평출장소가 설치되었다.[8] 이로써 1914년에 고양군으로 편입되었던 경성부 성저십리 지역이 모두 서울특별시로 다시 편입되었다.
2. 3. 해방 이후 ~ 현재
1949년 8월 13일 : 숭인면이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뚝도면이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은평면이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편입되었다.[4] 이들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각각 숭인·뚝도·은평출장소가 설치되었다.[8] 이로써 1914년에 고양군으로 편입되었던 경성부 성저십리 지역이 전부 서울특별시로 재편입되었다.
1914년 일제는 조선의 행정 구역을 통폐합하면서 기존의 고양군 지역과 경성부 지역을 합쳐 새로운 고양군을 만들었다.[14] 이때, 고양군의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이 크게 변화하였다.
1961년 8월 7일 : 고양군청이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6가에서 고양군 원당면 주교리로 이전하였다.[9]
1967년 3월 28일 : 신도면에 화전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73년 7월 1일 : 신도면 구파발리, 진관내리 및 진관외리가 서울시 서대문구에 편입되고, 신도면이 신도읍으로 승격하였다.[10]
1979년 5월 1일 : 원당면이 원당읍으로 승격하였다.[11]
1980년 12월 1일 : 벽제면이 벽제읍으로, 중면이 일산읍으로 각각 승격하였다.[12]
1985년 10월 1일 : 지도면이 지도읍으로 승격하였고, 신도읍 화전리·현천리·덕은리·향동리를 관할로 하여 화전출장소가 화전읍으로 승격하였다.[13]
1986년 11월 1일 : 일산읍에 백마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9년 6월 1일 : 고양군 일산읍, 송포면 지역에 일산신도시 건설이 추진되었다.
1992년 2월 1일 : 고양군이 고양시로 승격하였다.[1] 원당읍은 주교동·식사동·원신동·흥도동·성사동으로, 신도읍은 효자동·신도동·창릉동으로, 일산읍은 중동·일산동·풍산동·천청동·백마동·낙민동·장항동으로, 벽제읍은 고양동·관산동·고봉동으로, 지도읍은 능곡동·화정동·행주동·행신동으로, 화전읍은 화전동·대덕동으로, 송포면은 송포동·송산동으로 분동되었다.
3. 행정 구역 변천사
이러한 변화로 인해, 현재 서울특별시와 고양시의 일부 지역이 과거 고양군에 속하게 되었다.
하위 섹션인 "1914년 이후 행정구역 변화"에서 이미 자세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간략하게 요약된 내용만을 제시하여 중복을 피한다.
3. 1. 1914년 이후 행정구역 변화
1914년일본어의 행정구역[14]과 현재의 행정구역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1914년일본어 | 현재 | ||
---|---|---|---|
면 | 리 | 구 | 동 |
용강면 | 여율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여의도동 |
현석리, 신수철리, 구수철리, 창전리, 하중리, 신정리, 당인리, 아현리, 공덕리, 신공덕리, 염리, 동막상리, 동막하리, 토정리, 상수일리, 하수일리 | 서울특별시 마포구 | 현석동, 신수동, 구수동, 창전동, 하중동, 신정동, 당인동, 아현동, 공덕동, 신공덕동, 염리동, 용강동, 대흥동, 토정동, 상수동 일부, 상수동 일부 | |
연희면 | 노고산리, 서세교리, 동세교리, 합정리, 망원리, 성산리, 중리, 상암리, 연희리 일부 | 노고산동, 서교동, 동교동, 합정동, 망원동, 성산동, 중동, 상암동, 연남동 | |
아현북리, 대현리, 창천리, 신촌리, 봉원리, 남가좌리, 북가좌리, 연희리 일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북아현동, 대현동, 창천동, 신촌동, 봉원동, 남가좌동, 북가좌동, 연희동 | |
증산리, 수색리 | 서울특별시 은평구 | 증산동, 수색동 | |
은평면 | 녹번리, 응암리, 신사리, 구산리, 역촌리, 대조리, 갈현리, 불광리 | 녹번동, 응암동, 신사동, 구산동, 역촌동, 대조동, 갈현동, 불광동 | |
홍제내리, 홍제외리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홍제동, 홍은동 | |
부암리, 홍지리, 신영리, 구기리, 평창리 | 서울특별시 종로구 | 부암동, 홍지동, 신영동, 구기동, 평창동 | |
숭인면 | 성북리, 안암리, 종암리, 정릉리, 장위리, 석관리, 상월곡리, 하월곡리, 신설리 일부, 미아리 일부, 돈암리 일부, 돈암리 일부, 돈암리 일부, 돈암리 일부 | 서울특별시 성북구 | 성북동, 안암동, 종암동, 정릉동, 장위동, 석관동, 상월곡동, 하월곡동, 보문동, 길음동, 돈암동, 동소문동, 삼선동, 동선동 |
번리, 수유리, 우이리, 미아리 일부 | 서울특별시 강북구 | 번동, 수유동, 우이동, 미아동 | |
답십리 일부, 용두리 일부 | 서울특별시 성동구 | 용답동 | |
전농리, 청량리, 회기리, 휘경리, 이문리, 제기리, 신설리 일부, 답십리 일부, 용두리 일부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전농동, 청량리동, 회기동, 휘경동, 이문동, 제기동, 신설동, 답십리동, 용두동 | |
뚝도면 | 군자리 일부, 중곡리 일부 | 장안동 | |
화양리, 모진리, 능리, 자마장리, 구의리, 광장리, 군자리 일부, 중곡리 일부, 동뚝도리 일부 | 서울특별시 광진구 | 화양동 일부, 화양동 일부, 능동, 자양동 일부, 구의동, 광장동, 군자동, 중곡동, 자양동 일부 | |
면목리 | 서울특별시 중랑구 | 면목동 | |
신천리, 잠실리 | 서울특별시 송파구 | 신천동, 잠실동 | |
송정리, 서뚝도리, 동뚝도리 일부 | 서울특별시 성동구 | 송정동, 성수동1가, 성수동2가 | |
한지면 | 두모리, 수철리, 신촌리, 행당리, 상왕십리, 마장리, 사근리, 하왕십리 일부, 하왕십리 일부, 하왕십리 일부 | 옥수동, 금호동, 응봉동, 행당동, 상왕십리동, 마장동, 사근동, 하왕십리동, 홍익동, 도선동 | |
이태원리, 둔지리, 동빙고리, 서빙고리, 주성리, 보광리, 한강리 | 서울특별시 용산구 | 이태원동, 용산동, 동빙고동, 서빙고동, 주성동, 보광동, 한남동 | |
신당리 일부, 신당리 일부, 신당리 일부, 신당리 일부 | 서울특별시 중구 | 신당동, 흥인동, 황학동, 무학동 | |
신도면 | 구파발리, 진관외리, 진관내리 | 서울특별시 은평구 | 진관동 |
오금리, 지축리, 삼송리, 동산리, 용두리, 향동리, 덕은리, 화전리, 현천리, 북한리, 효자리 | 고양시 덕양구 | 오금동, 지축동, 삼송동, 동산동, 용두동, 향동동, 덕은동, 화전동, 현천동, 북한동, 효자동 | |
지도면 | 행주내리, 행주외리, 강매리, 토당리, 화정리, 대장리, 내곡리, 행신리, 신평리 | 행주내동, 행주외동, 강매동, 토당동, 화정동, 대장동, 내곡동, 행신동, 신평동 | |
원당면 | 신원리, 원흥리, 주교리, 성사리, 원당리, 도내리 | 신원동, 원흥동, 주교동, 성사동, 원당동, 도내동 | |
식사리 | 고양시 일산동구 | 식사동 | |
벽제면 | 고양리, 대자리, 관산리, 내유리, 벽제리, 선유리 | 고양시 덕양구 | 고양동, 대자동, 관산동, 내유동, 벽제동, 선유동 |
지영리, 설문리, 사리현리, 문봉리, 성석리 | 고양시 일산동구 | 지영동, 설문동, 사리현동, 문봉동, 성석동 | |
중면 | 장항리, 산황리, 풍리, 마두리, 백석리, 일산리 일부, 일산리 일부 | 장항동, 산황동, 풍동, 마두동, 백석동, 정발산동, 중산동 | |
일산리 일부, 주엽리 | 고양시 일산서구 | 일산동, 주엽동 | |
송포면 | 구산리, 가좌리, 대화리, 법곳리, 덕이리 일부, 덕이리 일부 | 구산동, 가좌동, 대화동, 법곳동, 덕이동, 탄현동 |
3. 2. 역대 군수
참조
[1]
법률
경기도고양시설치와강원도춘성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91-12-14
[2]
총독부령
조선총독부령
1913-12-29
[3]
설명
[4]
대통령령
시·도의관할구역및구·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의건
1949-08-13
[5]
칙령
대한제국 칙령 제49호
s:대한제국 1906년 칙령 제49호
1906-09-24
[6]
총독부령
조선총독부령
1936-02-14
[7]
고시
경기도 고시 제32호
s:조선총독부 경기도 고시 제32호
1936-03-23
[8]
대통령령
서울시구출장소설치에관한건
1949-08-13
[9]
각령
경기도고양군위치변경의건
1961-08-07
[10]
법률
서울특별시및경기도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73-03-12
[11]
법령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2]
법령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13]
법령
대통령령 제11772호 경기도양주군회천읍등읍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5-09-26
[14]
간행물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00-00 #년도만 제공
[15]
웹사이트
역대 고양군수
http://www.goyang.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