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골룸가물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골룸가물치는 가물치과에 속하는 어종으로, 몸의 아름다운 금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지하가물치'라고도 불리며, 인도 지하수와 동굴에 주로 서식하며 지상의 강에서도 발견된다. 2019년에 처음 발견되어 학계에 보고되었으며,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친척 어종들과 곤드와나 초대륙 시절에 함께 살다가 인도가 분리되면서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A. 골룸은 뱀장어와 같은 몸체, 긴 지느러미, 척주를 가지며, 2020년에는 드래곤 뱀머리과(Aenigmachannidae)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이름은 소설 호빗과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골룸에서 유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물치과 - 아프리카가물치속
    아프리카가물치속은 가물치과에 속하며 아프리카가물치와 콩고가물치, 총 2종으로 이루어진 어류 속이다.
  • 양서어류 - 가물치
    가물치는 농어목 가물치과의 민물고기로, 어두운 갈색 반점이 있는 원통형 몸체를 가지며, 공기 호흡을 통해 열악한 환경에서도 생존하고, 한국, 중국, 러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양식 및 낚시 대상 어종이지만, 최근에는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 양서어류 - 유럽뱀장어
    유럽뱀장어는 유럽 전역의 강과 하천에 서식하며, 사르가소 해에서 산란하고, 멸종 위기에 놓인 식용 어류이다.
골룸가물치
기본 정보
에니그마칸나 골룸
에니그마칸나 골룸
학명Aenigmachanna gollum
명명자Britz, Anoop, Dahanukar and Raghavan, 2019
보전 상태
IUCN취약 (VU)
IUCN 기준3.1
참고Aenigmachanna gollum"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에니그마칸나 골룸 분포도
분포도

2. 특징

골룸가물치는 다른 가물치과 어류들과 달리 몸 색깔이 아름다운 금색을 띄는 것이 특징이며, '''지하가물치'''라고도 불린다. 갈색베이지색이 적절히 섞여 있으며 과 같은 모습을 가졌다. 지느러미는 길고 투명하며 등지느러미는 몸길이의 3/4, 뒷지느러미는 몸길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가슴지느러미는 크지만, 배지느러미는 없다. 꼬리지느러미는 타원형이다. 머리 위쪽에는 여러 개의 큰 비늘이 덮여 있다. 다른 가물치과 어류들에 비해 부레와 공기 호흡 기관이 없어 수영 방광이 감소했고, 물속에서 부력을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몸이 가라앉는 것을 막기 위해 꾸준히 헤엄쳐야 한다. 또한 다른 지하수 서식 어류와 달리 눈이 퇴화되지 않고 정상이며, 색소 침착도 잘 발달되어 있다. 헤엄칠 때는 다른 가물치과 어류들처럼 공기를 호흡하며 뱀장어처럼 움직인다. 먹이로는 지하수에서 살아가는 다른 물고기들과 갑각류 등을 잡아먹는 육식성 물고기이다.[2][3][4]

2. 1. 외형

골룸가물치는 다른 가물치과 어류들과 달리 몸 색깔이 아름다운 금색을 띤다는 특징이 있다. '''지하가물치'''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갈색베이지색이 적절히 섞여 있으며 과 같은 모습을 가졌다. 지느러미는 길고 투명하며 등지느러미는 몸길이의 3/4, 뒷지느러미는 몸길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가슴지느러미는 크지만, 배지느러미는 없다. 꼬리지느러미는 타원형이다. 머리 위쪽에는 여러 개의 큰 비늘이 덮여 있다.[2][3]

다른 가물치과 어류들과 비교해 부레와 공기 호흡 기관이 없어 수영 방광이 감소했고, 물속에서 부력을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몸이 가라앉는 것을 막기 위해 꾸준히 헤엄쳐야 한다. 다른 지하수 서식 어류와 달리 눈이 퇴화되지 않고 정상이며, 색소 침착도 잘 발달되어 있다. 헤엄칠 때는 다른 가물치과 어류들처럼 공기를 호흡하며 뱀장어처럼 움직인다.[4]

2. 2. 생리적 특징

골룸가물치는 다른 가물치과 어류들과 달리 아름다운 금색을 띄는 것이 특징이며, '''지하가물치'''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몸에는 갈색베이지색이 적절히 섞여 있어 과 같은 모습을 보인다. 지느러미는 길고 투명하며, 등지느러미는 몸길이의 3/4, 뒷지느러미는 몸길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가슴지느러미는 크지만, 배지느러미는 없다. 꼬리지느러미는 타원형이다. 머리 위쪽에는 여러 개의 큰 비늘이 덮여 있다.[2][3]

다른 가물치과 어류들과 달리 부레와 공기 호흡 기관이 없어 수영 방광이 감소되었고, 물속에서 부력을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몸이 가라앉는 것을 막기 위해 꾸준히 헤엄쳐야 한다.[2] 다른 지하수에서 사는 어류들과는 달리 눈이 퇴화되지 않고 정상적인 모습을 가지며, 잘 발달된 색소를 가지고 있다. 헤엄칠 때는 다른 가물치과 어류들처럼 공기를 호흡하며 뱀장어처럼 움직인다.[4]

일반적으로 색이 옅고 시력이 좋지 않거나 없는 많은 동굴생물과 달리, 골룸가물치는 잘 발달된 색소와 정상 크기의 눈을 가지고 있다.[2][4]

3. 서식지 및 분포

골룸가물치는 인도지하수동굴에서 주로 서식하는 어종이다. 지상의 에서도 가끔 발견되며, 눈이 퇴화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019년에 최초로 발견되어 최근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다. 아프리카에 사는 친척들과 곤드와나 초대륙 시절에는 함께 서식하다가 인도가 분리되면서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3. 1. 생태적 위협

''A. 골룸''은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서부 고츠의 Oorakam 지역과 케랄라에 있는 논이 있는 지역에서만 발견된다. 다른 한 번의 발견은 기준지점에서 남쪽으로 250km 떨어진 우물에서 보고되었다.[2] 대수층의 지하 서식지는 이 지역의 약 6백만 개의 지하 우물로 인해 위협받고 있으며, 이는 지하수위를 낮춘다.[4]

4. 분류 및 계통

골룸가물치는 인도에서 주로 지하수동굴에서 서식하지만, 지상의 에서도 가끔 발견된다. 눈이 퇴화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지상 활동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9년에 최초로 발견되어 명명되었으며,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친척들과 곤드와나 초대륙 시절에는 함께 살았으나, 인도가 아프리카에서 분리되면서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가물치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기도, ''A. gollum''

4. 1. 진화적 특징

''A. gollum''은 ''Aenigmachanna'' 속에서 처음 발견된 종이다. 이 속은 처음에는 진짜 뱀머리과 어류인 가물치과에 속했다.[2]

''A. gollum''은 가물치과 내의 다른 속인 ''Parachanna''와 ''Channa''와 현저한 생리학적, 유전적 차이 때문에 별도의 속으로 분류되었다. ''A. gollum''은 ''Parachanna''와 ''Channa''에 비해 유난히 긴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그리고 척주를 가지고 있으며, 뱀장어와 같은 몸체를 가지고 있다. 다른 가물치류와 달리, 측선관을 운반하는 측선에 있는 작은 구멍 비늘이 없고, 갈비뼈가 없는 척추가 더 많다. 다른 가물치류는 또한 더 긴 부레를 가지고 있다.[2][3][4]

2020년에는 ''Aenigmachanna''가 자체 단형 과인 Aenigmachannidae, 즉 드래곤 뱀머리과에 속하게 되었다.[3][7]

4. 2. 분화

골룸가물치는 인도에서 주로 지하수동굴에서 서식하지만, 지상의 에서도 가끔 발견된다. 눈이 퇴화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지상 활동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9년에 최초로 발견되어 명명되었으며,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친척들과 곤드와나 초대륙 시절에는 함께 살았으나, 인도가 아프리카에서 분리되면서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A. gollum''은 ''Aenigmachanna'' 속의 첫 번째 종으로, 처음에는 가물치과로 분류되었다.[2]

''A. gollum''은 ''Parachanna''와 ''Channa''와 비교했을 때,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척주가 더 길고 뱀장어와 같은 몸체를 가졌다는 점에서 생리학적, 유전적 차이를 보인다. 또한, 측선관을 운반하는 측선에 작은 구멍 비늘이 없고, 갈비뼈가 없는 척추가 더 많으며, 더 짧은 부레를 가졌다.[2][3][4]

2020년에 ''Aenigmachanna''는 자체 단형 과인 Aenigmachannidae (드래곤 뱀머리과)로 분류되었다.[3][7]

5. 발견

골룸가물치는 인도에 주로 서식하며, 지하수동굴에서 주로 발견되는 어종이다. 지하수와 동굴 외에도 지상의 으로도 가끔씩 나와 활동하기 때문에 눈이 퇴화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019년에 최초로 발견되어 명명되었으며, 그 전까지는 세상에 잘 알려지지 않았다. 골룸가물치와 가까운 친척들은 아프리카에 많이 서식하는데, 이는 곤드와나 초대륙 시절에는 인도와 아프리카가 붙어있었고, 이후 분리되면서 서로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A. 골룸''은 2018년 케랄라 홍수 때 여러 개체가 지하수 서식지에서 휩쓸려 나와 이 있는 우라캄으로 흘러 들어가면서 발견되었다. 마을 주민이 이들을 발견하여 사진을 찍어 소셜 미디어에 게시했고, 이 사진이 케랄라 수산 해양 연구 대학교의 라지브 라가반의 눈에 띄어 연구가 시작되었다. 2019년에 학계에 보고되었으며, 케랄라 지하수에서 알려진 여덟 번째 어종이다. 이는 연구하기 어려운 서식지에 크고 숨겨진 생태계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6. 이름의 유래

''A. 골룸''은 J. R. R. 톨킨의 소설 ''호빗''과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동굴 거주 캐릭터 골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이는 ''A. 골룸''과 골룸이 모두 과거에는 지상에 살았지만, 그들이 살게 된 동굴에 적응하기 위해 진화했다는 점을 언급한 것이다.[2][5][6] 속명 ''Aenigmachanna''는 ''A. 골룸''이 처음 발견되었을 때 처음으로 만들어졌으며, 여기서 ''aenigma''는 라틴어로 "수수께끼"를 의미하고, ''Channa''는 아시아 뱀머리 물고기의 속명이다.[2]

참조

[1] 웹사이트 "Aenigmachanna gollum"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s://www.iucnredl[...]
[2] 간행물 The subterranean Aenigmachanna gollum, a new genus and species of snakehead (Teleostei: Channidae) from Kerala, South India https://biotaxa.org/[...] 2019-05-09
[3] 간행물 Aenigmachannidae, a new family of snakehead fishes (Teleostei: Channoidei) from subterranean waters of South India 2020-09-30
[4] 웹사이트 Dragon snakeheads—strange new underground fish—discovered in India https://www.national[...] 2020-10-19
[5] 웹사이트 New species of subterranean fish named after The Lord of the Rings character https://www.nhm.ac.u[...] 2019-05-09
[6] 웹사이트 'Precious' newly discovered subterranean fish named after The Lord of the Ring's Gollum https://www.nhm.ac.u[...] 2019-05-09
[7] FishBa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