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논은 물을 가두어 벼를 재배하는 농경지를 의미한다. 벼 재배는 중국 양쯔강 유역에서 시작되어 한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 아시아 각 지역으로 확산되었으며, 각 지역의 문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논은 벼농사, 물 관리, 토양 관리, 경작 방식 등 다양한 농업 기술과 환경적 요소를 포함하며,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메탄 배출의 주요 원인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지 -
    물을 대지 않고 농작물을 재배하는 경작지인 밭은 육전이라고도 불리며, 아시아 농업에서 벼농사만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밀, 보리, 콩 등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며,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는 '패독'이라는 용어가 밭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된다.
  • 농지 - 계단식 농업
    계단식 농업은 경사진 지형에 계단 모양 밭을 만들어 농작물을 경작하는 방식으로, 토지 이용 효율성을 높이고 토양 유실을 방지하며, 동아시아와 안데스 산맥 등지에서 식량 생산 기반으로 기능하고 일부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하안지대 - 제방
    제방은 홍수 방지와 수로 안정화를 목적으로 해안, 강가 등에 건설되는 구조물로, 홍수 방지 외에 항로 제공, 강의 흐름 제한 등의 기능도 수행하지만, 환경 문제도 야기할 수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 하안지대 - 수리권
    수리권은 물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며, 한국, 미국, 잉글랜드 및 웨일스에서 각기 다른 법적 체계로 규정된다.
  • 쌀 - 현미
    현미는 벼에서 겉껍질만 제거하고 쌀겨와 쌀눈을 남겨둔 쌀로, 백미보다 영양소가 풍부하여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아시아 등지에서 섭취되고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 쌀 -
    벼는 벼과에 속하는 중요한 식량 작물로, 자포니카, 인디카, 자바니카의 세 가지 아종으로 분류되며, 볍씨 선별, 비료 사용, 수확 등의 과정을 거쳐 재배된다.
지도
기본 정보
종류농지
용도벼농사
특징물을 가두어 사용하는 논
명칭
한국어
영어paddy field
일본어水田 (すいでん, suiden)
구조 및 관리
형태평평한 경작지
물 관리인위적으로 물을 채우고 배수하는 시설 필요
토양 조건찰흙 성분 높은 토양 적합
주요 작물
환경 영향
메탄 가스 배출토양 박테리아 작용으로 메탄 발생
온실 가스 영향메탄은 주요 온실 가스 중 하나
수질 정화수질 정화 역할 수행
역사 및 문화
농업 역사아시아 지역에서 오랫동안 농업에 이용
문화적 의미다양한 문화권에서 중요한 식량 생산 기반
기타
관련 용어논둑
수로
모내기
주요 생산 지역아시아 지역
생산량전 세계 쌀 생산량 대부분 차지

2. 역사

중국 신석기 시대 지도 (기원전 8500년~1500년)




논농사의 기원은 기원전 13,500년~8,200년 전 중국 양쯔강 유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곳에서 야생벼가 재배되기 시작하여 점차 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벼는 몬순 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는데, 이 지역은 중국 장강 유역, 동남아시아를 거쳐 일본 열도와 한반도, 갠지스강 유역에 이른다.

중국 이외 지역에서는 일본야요이 시대[64], 필리핀선사 시대[65], 베트남은 신석기 시대[66], 한반도는 무문토기 시대 중기[67]에 논농사가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한자 문화권에서는 『說文解字』의 기록과 같이 "田"을 "곡물을 재배하기 위해 구획된 농지"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현대 중국어에서도 "田"은 "水田"에 국한되지 않고 구획된 농지를 일반적으로 가리키며, 일본어의 "畑"도 포함한다. 일본에서는 "田" 또는 "水田"라고 하면 담수하여 벼를 재배하기 위해 수평으로 정비된 논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水田"은 "관개수를 대어 작물을 재배하는 경지"를 의미하므로,[71] 벼 이외의 곡물이나 고구마류, 근채류의 밭도 해당 형태로 재배된다면 "水田"이라고 할 수 있다. 기장은 밭과 논에서 모두 재배되었으며, 특히 냉수만 공급되는 논에서는 중요한 작물이었다. 연꽃, 마름, 토란 등 영양생식으로 증식되는 고구마류, 근채류도 중요한 논 작물이며, 아시아 대륙에서 벼농사의 기원을 이러한 고구마 재배 논에서 유래했다고 보는 가설도 있다. 산간부의 와사비밭에서는 수로나 샘물을 이용해 물 와사비를 재배하며, 지역에 따라 마름, 용채, 미나리, 물냉이, 등이 논에서 재배된다.

2. 1. 중국

유전적 증거에 따르면 인디카자포니카를 포함한 모든 벼의 형태는 현재 중국의 양쯔강 이남에서 기원전 13,500년~8,200년 전에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이전의 민족과 몬-크메르어족과 관련된 문화에 의한 야생벼 ''Oryza rufipogon''의 재배에서 비롯되었다.[5][6]

벼 재배와 논농사 기술 개발의 중심지는 양쯔강 하류와 중류 두 지역으로 추정된다. 양쯔강 하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이전의 민족과 크라이-다이어족의 고향으로 여겨지며, 쿠아후차오, 허머두, 마지방, 송저, 량저우, 마차오 문화와 관련이 있다.[7][11][8][9][10] 양쯔강 중류는 초기 몬-크메르어족의 고향으로 여겨지며 펑터우산, 난무위안, 리우린시, 다시, 취자링, 시자허 문화와 관련이 있다.[11][8][10] 이 두 지역은 인구 밀도가 높았고, 서쪽의 초기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및 남쪽의 초기 크라이-다이어족과 정기적인 무역 접촉을 통해 중국 남부 전역으로 벼 재배가 확산되었다.[11][8][10]

가장 오래된 논은 쿤산의 차오둔 유적에서 발견된 벼알과 토양 유기물의 탄소 연대 측정 결과 기원전 433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2][13] 신석기 시대부터 한나라까지 탈곡되지 않은 벼가 군사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사망자와 함께 매장된 고고학적 증거가 중국에서 발견되었다.[17]

후기 신석기 시대(기원전 3500년~2500년)에는 취자링-시자허와 량저우 문화를 중심으로 벼 재배 중심지의 인구가 급증했다. 말기 신석기 시대(기원전 2500년~2000년)에는 시자허 문화가 축소되고 량저우 문화는 완전히 사라졌는데, 이는 초기 티베트-버마어족 룽산 문화가 남쪽으로 확장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 시기에는 량저우 도시의 해자, 성벽과 같은 방어 시설이 일반적인 특징으로 나타나 광범위한 갈등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벼농사 문화가 링난과 푸젠 지역으로 남쪽으로 이동하고, 오스트로네시아어족, 크라이-다이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사용 민족이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로 이동한 시기와 일치한다.[19][20][21]

2. 2.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확산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확산 (기원전 3500년~서기 1200년)




자포니카 벼 재배와 논농사의 동남아시아 전파는 기원전 3500년에서 2000년 사이에 오스트로네시아계 다펀컹 문화가 타이완으로 이주하면서 시작되었다. 타이완의 난관리 유적지는 기원전 약 2800년 경의 것으로, 습지에서 벼와 기장의 탄화된 유물이 다수 발견되어 집약적인 습지 벼농사와 밭 기장 재배가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8]

9세기 보로부두르의 까르마위방가 부조는 쥐의 재앙으로 침입당한 와 미곡 창고를 묘사하고 있다. 벼농사는 인도네시아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기원전 2000년에서 1500년 사이에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확산이 시작되어, 타이완 출신의 이주민들이 남쪽으로 이동하여 필리핀의 루손으로 이주하면서 벼농사 기술을 가져왔다. 루손에서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빠르게 나머지 해양 동남아시아를 식민지화하여 서쪽으로는 보르네오, 말레이 반도, 수마트라로, 남쪽으로는 술라웨시와 자바로 이동했다. 기원전 500년까지 자바와 발리, 특히 매우 비옥한 화산섬 근처에 집약적인 습지 벼농사가 이미 확립되었다는 증거가 있다.[8]

벼는 오스트로네시아인의 미크로네시아폴리네시아 항해에서는 살아남지 못했다. 그러나 습지 농업은 다른 작물, 특히 타로 재배로 전환되었다. 오스트로네시아계 라피타 문화는 뉴기니의 비오스트로네시아계 (파푸아계) 초기 농업인들과 접촉하여 습지 농업 기술을 전파했다. 그들은 동쪽으로 멜라네시아폴리네시아로 더 퍼져나가기 전에 그들의 다양한 토착 재배 과일과 덩이줄기를 받아들였다.[8]

벼와 습지 농업은 서기 1000년경 대순다열도 출신의 오스트로네시아 정착민들에 의해 마다가스카르, 코모로, 동아프리카 해안에도 전파되었다.[22]

2. 3. 한국

한국의 논농사는 수천 년 전부터 이어져 왔다. 초기 무문토기 시대(기원전 1500년~300년경)에 해당하는 울산 옥현 유적과 야음동 유적에서 논의 흔적이 발견되었다.[23] 무문토기 시대의 논은 대개 자연 습지나 지역 하천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저지대의 좁은 골짜기에 위치했다. 평지에 있는 논은 높이 약 10cm의 둑으로 구분된 정사각형, 직사각형 모양이었고, 계단식 논은 여러 높이에 있는 땅의 자연적인 윤곽을 따라 길고 불규칙한 형태였다.[26][27]

무문토기 시대 사람들은 계단식 논, 둑, 수로, 소규모 저수지와 같이 오늘날 논에서 볼 수 있는 모든 요소들을 사용했다. 중기 무문토기 시대(기원전 850~550년경)의 논농사 기술은 마전리 유적에서 발굴된 잘 보존된 목제 농기구를 통해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 기원전 200년 이후에는 철기구가 도입되었으며, 삼국시대(서기 300/400~668년)에 철기구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논의 규모가 커지고 생산성이 향상되었다.

2. 4. 일본

일본에서 최초의 논은 야요이 시대 초기(기원전 300년~서기 250년)로 거슬러 올라간다.[28] 야요이 시대 초기의 연대는 재검토되었고,[29] 규슈 지역의 초기 일본 논 형성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일본의 논농사는 중국 동부 양쯔강 하류 유역에서 직접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

야요이 시대부터 고분 시대에 걸쳐 나타난 논의 형태는 길이 2~3미터의 둑으로 둘러싸인, 면적이 최소 5m2 정도인 「소구획 논」이 주류였으며, 이러한 소구획 논들이 수백~수천 단위로 모여 수만 평방미터의 논 지대를 형성하였다.[76]

세계적으로 논 벼농사가 이루어지는 곳은 대부분 열대·온대 지역이다. 일본에서는 한랭지에서도 벼농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많은 기술 개발이 이루어져, 홋카이도혼슈의 고원 지대에도 논이 개간되었다.[77] 홋카이도에서는 한랭지 식물인 자작나무 숲 사이에 논이 펼쳐지는 풍경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세계적으로 특이한 경관이다. 일본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논은 도호쿠의 엔베쓰정에 있다.[78]

3. 문화

안드라프라데시주 카르탈리팔렘 마을의 논


예전에는 인도네시아에서 물소를 이용해 진흙탕 논을 갈았지만, 최근에는 소형 동력 경운기와 같은 기계화된 방법이 훨씬 더 일반화되었다.


말레이시아 트렝가누 주의 논


마다가스카르 모론다바 근처의 바오밥나무와 논


미얀마의 논


네팔에서 벼를 심는 여성


이푸가오주 바나우에 위치한 바타드 계단식 논


삼만투라이(암파라 지구) 스리랑카의 논


난(Nan, 태국) 외곽의 논 사이에 있는 작은 오두막


베트남의 논


논은 몬순 아시아 지역에서 벼농사를 중심으로 발달했으며, 각 지역의 문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국가내용
인도농촌의 사회문화적 삶에서 벼농사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오남, 비후, 퐁갈, 마카르 삭란티, 나바나와 같이 수확을 기념하는 많은 지역 축제가 있다.[36]
인도네시아벼는 주요 식량이며, 특히 자바 섬과 발리 섬에서는 수박이라 불리는 복잡한 관개 시스템을 통해 벼농사를 짓는다.[37]
베트남홍하 유역과 메콩 삼각주에서 논농사가 활발하며, 서로 얽혀 있는 배수 및 관개 수로 시스템이 발달해 있다. 파종철의 시작으로 풍년을 기원하며 열리는 “lễ hạ điền|레 하 디엔vi”(예하전)과 같은 농업 관련 축제가 있다.
태국태국 경제의 상당 부분을 쌀 생산이 차지하며, 세계 최대 쌀 수출국이다.[46]
필리핀이푸가오주, 누에바에시하주, 이사벨라주, 카가얀주, 불라칸주, 케손주 등 여러 주에 광대한 논들이 있다. 바나우에 계단식 논은 필리핀 루손섬 북부 바나우에 위치해 있으며, 이푸가오족이 2,000년 전에 조성했다.[42]
마다가스카르1인당 연간 평균 쌀 소비량이 130kg으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미얀마이라와디 삼각주, 칼라단 강 유역 및 삼각주 지역, 만달레이 주변 중앙 평원에서 주로 쌀을 재배한다.[40]
네팔테라이와 구릉지대에서 벼(धान|Dhaanne)가 재배되며, 주로 네팔의 여름 우기에 재배된다.[41]
스리랑카논농사 역사는 2000년 이상 거슬러 올라가며,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스리랑카는 엄청난 양의 쌀을 생산했기 때문에 "동쪽의 쌀 창고"로 여겨졌다.[44]


3. 1. 한국

'논'은 한국 고유어이며, '들판'을 뜻하는 한자 '전'(田)은 지명, 특히 작은 농촌 마을에 많이 사용된다.[70]

한반도에서는 무문토기 시대 중기에 논농사가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67] 대한민국 농촌 지역의 대부분의 작은 충적 평야는 논농사에 할애된다. 농부들은 2월에 논에 필요한 수리를 평가한다. 논을 다시 만들거나, 둑이 무너진 곳을 수리할 수 있다. 이 작업은 3월 중순까지 진행되며, 따뜻한 봄 날씨에 농부들이 벼 모종을 구입하거나 기를 수 있게 된다. 5월에는 실내에서 기른 벼 모종을 (보통 이앙기를 사용하여) 갓 물을 댄 논에 이식한다. 농부들은 여름 내내 논을 관리하고 잡초를 제거하며, 음력 8월 15일 추석(양력 9월 중순경) 무렵까지 작업을 한다. 수확은 10월에 시작된다. 많은 한국 농부들이 마을 주변 여러 곳에 작은 논을 가지고 있고, 현대적인 수확 기계를 확대 가족 구성원들과 공유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확을 조율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농부들은 보통 수확한 곡물을 햇볕에 말린 후 시장에 내다 판다.

3. 2. 중국

쌀은 중국 리자춘(李家村)과 운찬얀(雲禪巖)의 초기 신석기 시대 주민들이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31] 기원전 약 11,500년경의 쌀 재배 흔적이 발견되었지만, 이 쌀이 실제로 재배되었는지, 아니면 야생 쌀을 채집했는지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32] 워싱턴 D.C.에 있는 스미스소니언 연구소의 고고학자인 브루스 스미스(Bruce Smith)는 농업의 기원에 대해 연구하면서 장강 유역이 최초의 쌀 재배지였을 가능성이 높다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한다.[33] 1998년 크로포드(Crawford)와 선(Shen)은 초기 및 중기 신석기 시대 유적 9곳 이상에서 발견된 쌀에 대한 14개의 AMS 또는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중 가장 오래된 것이 기원전 7000년 이전이 아니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그들은 험두(河姆渡)와 로자자오(羅家角) 유적지의 쌀은 기원전 5000년 이전에 쌀 재배가 시작되었음을 나타내지만, 쌀 유적이 발견된 중국의 대부분의 유적지는 기원전 5000년 이후의 것이라고 밝혔다.

춘추 시대(기원전 722년~기원전 481년)에는 농업 기술에 두 가지 혁신적인 발전이 있었다. 하나는 주철 도구와 짐승을 이용한 쟁기 사용이었고, 다른 하나는 대규모 하천 이용 및 물 관리 사업의 개발이었다. 기원전 6세기의 손숙오(孫叔敖)와 기원전 5세기의 심문보(西門豹)는 중국 최초의 수리 기술자 중 두 명이며, 그들의 업적은 관개 시스템 개선에 중점을 두었다.[34] 이러한 발전은 이어지는 전국 시대(기원전 403년~기원전 221년)에 널리 퍼져, 기원전 256년에 이병(李冰)이 고대 사천(四川)의 진(秦)나라를 위해 건설한 거대한 두강언(都江堰) 관개 시스템으로 절정에 달했다. 동진(東晉)(317년~420년)과 남북조 시대(420년~589년)에는 토지 이용이 더욱 집약적이고 효율적으로 되었고, 쌀은 일 년에 두 번 재배되었으며 소가 경작과 비료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약 750년경에는 중국 인구의 75%가 장강 이북에 살았지만, 1250년경에는 75%가 장강 이남에 살았다. 이러한 대규모 국내 이동은 베트남산의 빨리 자라는 쌀 품종의 도입으로 다작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가능했다.[35]

중국 유명 계단식 논으로는 롱성(龍勝) 계단식 논과 운남성(雲南省) 원양현(元陽縣)의 논이 있다.

운남성 원양현의 논


광서(廣西)의 롱성(龍勝) 계단식 논의 파노라마

3. 3. 일본

일본에서는 '타'(田)라는 한자를 사용하여 논을 표현하며, 이는 지명과 성씨에 자주 등장한다. 예를 들어, 강이 흐르는 마을 동쪽은 '히가시다'(東田, 동쪽 논)라 불리고, 새롭게 조성된 논은 '신덴'(新田, 새 논)이라고 불린다. 메이지 시대 초기, 모든 시민에게 성씨가 부여되면서 농민들은 '타'를 포함한 성씨를 많이 사용했는데, '다나카'(田中, 논 안), '나카타'(中田, 중간 논) 등이 그 예이다.[39]

일본에서 논농사는 화산 폭발로 인한 산성 토양 조건에서 가장 생산적인 농업 방식이었다. 마쓰사카의 고고학 유적지에서는 2세기 후반 토기에 새겨진 '타' 자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글자 표본 중 하나로 여겨진다.

최근 일본에서는 쌀 소비 감소와 농가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정부는 1970년대부터 쌀 생산을 보조하고 수입쌀에 대한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펼치고 있다.[39]

일본의 벼농사는 야요이 시대에 시작되었으며,[64] 초기 논 형태는 길이 2~3미터의 둑으로 둘러싸인 '소구획 논'이 주류였다.[76] 홋카이도혼슈 고원 지대에도 논이 개간되었으며,[77] 도호쿠의 엔베쓰정에는 일본 최북단 논이 있다.[78]

논과 관련된 신앙도 존재한다. 야요이 시대 농경 전래와 함께 농경과 수확, 논에 대한 신앙이 생겨났다. 각지 신사에서 거행되는 가을 례제는 논 수확을 축제하는 흔적이다. 헤이안 시대 중기에는 풍작을 기원하는 '논 놀이'에서 田楽(데가쿠)라는 연예가 생겨났고, 이는 猿楽(사루가쿠), 노가쿠 등으로 발전했다. 아이치현 고마키시의 田県神社(타가타 신사)는 풍년제라는 축제로 유명하다. 풍작을 기원하는 토지신(田の神)은 지역마다 농신, 산신, 토지신, 수신 등으로 불린다.

일본 논의 허수아비

3. 4. 기타 국가

인도,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필리핀, 마다가스카르, 미얀마, 네팔, 스리랑카 등 아시아 각국에서 논농사는 중요한 문화적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각 나라마다 벼농사와 관련된 독특한 전통과 축제가 존재한다.

국가내용
인도농촌의 사회문화적 삶에서 벼농사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오남, 비후, 퐁갈, 마카르 삭란티, 나바나와 같이 수확을 기념하는 많은 지역 축제가 있다.[36]
인도네시아벼는 주요 식량이며, 특히 자바 섬과 발리 섬에서는 수박이라 불리는 복잡한 관개 시스템을 통해 벼농사를 짓는다.[37]
베트남홍하 유역과 메콩 삼각주에서 논농사가 활발하며, 서로 얽혀 있는 배수 및 관개 수로 시스템이 발달해 있다. 파종철의 시작으로 풍년을 기원하며 열리는 “lễ hạ điền|레 하 디엔vi”()과 같은 농업 관련 축제가 있다.
태국태국 경제의 상당 부분을 쌀 생산이 차지하며, 세계 최대 쌀 수출국이다.[46]
필리핀주인 이푸가오주, 누에바에시하주, 이사벨라주, 카가얀주, 불라칸주, 케손주 등 여러 주에 광대한 논들이 있다. 바나우에 계단식 논은 필리핀 루손섬 북부 바나우에 위치해 있으며, 이푸가오족이 2,000년 전에 조성했다.[42]
마다가스카르1인당 연간 평균 쌀 소비량이 130kg으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미얀마이라와디 삼각주, 칼라단 강 유역 및 삼각주 지역, 만달레이 주변 중앙 평원에서 주로 쌀을 재배한다.[40]
네팔테라이와 구릉지대에서 벼(धान|Dhaanne)가 재배되며, 주로 네팔의 여름 우기에 재배된다.[41]
스리랑카논농사 역사는 2000년 이상 거슬러 올라가며,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스리랑카는 엄청난 양의 쌀을 생산했기 때문에 "동쪽의 쌀 창고"로 여겨졌다.[44]


4. 농업 형태

물을 채운 논을 '''논'''이라고 한다. 산간 지대에서 계단식으로 조성된 논은 '''논둑(계단식 논)'''이라고 한다. 농사를 짓지 않는 논은 '''휴경 논'''이라고 하며, 벼 이외의 작물을 일시적으로 재배하는 논은 '''전작 논'''이라고 부른다.

신사풍년제 등에 바칠 벼를 기르는 신전(신사의 논)과 같이 특수한 용도로 경작되는 논도 있다. 에도 시대 이전에는 세금이 면제되었기 때문에 농민들이 신사에 논을 기증하여 각지에 신전이 설치되었다. 도쿄의 "가이다"라는 지명은 여기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모내기 전 물을 채운 논은 '''대田'''(しろた), 모내기를 마친 논은 '''대만'''(しろみて)이라고 한다. 벼 이외의 곡물을 재배하는 밭을 물이 없는 논이라는 의미로 ""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원래 밭이었지만 현재는 밭두렁을 만들어 물을 담는 형태로 조성된 토지"를 가리킨다.

논은 논둑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웃 논과의 경계는 '''논둑''' 또는 '''논두렁''', 수로와의 경계는 '''도랑둑'''이라고 한다. 논둑은 고저차 확보와 방수 기능을 가진다.

농기계 출입을 위한 진입로가 설치되어 콤바인이나 트랙터가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중장비가 들어가는 경우 깊이 갈면 기계가 가라앉으므로 일정한 깊이까지만 간다.

부동산으로서 토지 지목은 "논"인 경우가 많으며, 일본에서는 거래에 농업위원회 허가가 필요하고 매입에 일정한 자격이 필요하다. 택지 등으로 전용하려면 농지법에 따른 절차가 필요하며, 휴경 논을 함부로 매립하여 전용해서는 안 된다.

일본에서는 감산정책과 택지화로 논 면적이 감소 추세이다. 농지에서 논이 차지하는 비율을 '''논 비율'''이라고 하며, 일본 전체에서는 약 54%이다. 도도부현별로는 도야마현이 약 96%로 가장 높다.

4. 1. 물 관리

논은 물을 가두어 벼를 재배하는 곳이므로, 물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관개를 위해 강이나 저수지에서 수로를 통해 물을 끌어들이기 위한 취수구와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수구)가 있으며,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각각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88]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판이나 밸브가 설치되어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 관리를 위해 물을 흘려보내거나 가두어 두는 방식으로 수온을 조절한다. 산간 지역의 용천이나 계곡물로 경작하는 경우 수온이 너무 낮은 것을 해소하기 위해 논 안에 작은 논둑을 쌓아 수로를 만들고 수온을 높인 후 경작 지역으로 끌어들이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4. 2. 토양 관리

논의 흙은 표면에서 100~200mm 정도의 부분을 '''경토''' 또는 '''표토'''라고 부르며, 지역에 따라 '''쓰쿠리'''라고도 한다. 그 아래에 펼쳐지는 부분을 '''심토'''라고 부른다.[79] 경토는 작물을 기르기 위한 영양가와 작물이 뿌리를 내리고 자립하기 위한 어느 정도의 점성 등이 최소한 필요하다. 논둑은 표토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79] 심토는 논의 기반이 되는 것으로, 방수성이 있고 연약하지 않은 것이 요구되지만, 지역이나 지형에 따라 자갈, 모래, 실트 또는 연약한 부식토나 함수율이 높은 점토인 경우가 있으며, 그 경우 경작은 매우 어렵다.[79] 따라서 방수성을 확보하기 위해 표토와 심토를 섞은 층을 만들거나, 연약한 토양의 경우 암거를 설치하여 배수하거나 벤토나이트 등을 사용하여 개량하거나, 객토하여 양호한 토양과 교체하기도 한다.[79]

4. 3. 경작 방식

과거에는 논에 긴 줄을 띄워놓고 그 줄에 맞춰 손으로 벼 모를 하나씩 심는 방식으로 모내기를 했다.[71] 이는 매우 힘든 작업이었기 때문에 에도 시대에는 이웃 사람들을 고용하여 모내기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모내기 기계가 보급되면서 모내기 작업은 거의 기계화되었다. 그러나 논 가장자리나 작은 논 등 기계로 모내기를 할 수 없는 곳은 여전히 손으로 모내기를 한다.

평지에서 넓은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도, 일정한 면적으로 구획하는 것이 관리상 효율적이다. 면적의 단위로서 "반(탄)"이 논 한 면적이었던 경우가 많았지만, 농기계의 보급과 대형화에 따라 작업 효율을 높이거나 관리의 수고를 줄이기 위해 논을 정비하는 경우에는 3000제곱미터에서 10000제곱미터의 구획이 주류를 이룬다. 조건에 따라 30000제곱미터를 넘는 논도 존재한다. 단, 논에서는 물을 고르게 보급하고 배수해야 하기 때문에, 넓은 구획에서는 고도의 경작 기술이 필요하다.

5. 환경

논은 다양한 생물에게 중요한 서식 환경을 제공하며, 과거에는 개구리, 미꾸라지 등 많은 생물이 살았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논 생태계는 크게 변화하여 많은 생물이 사라지거나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

논은 대기 메탄의 주요 배출원 중 하나로,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미친다. 연구에 따르면 논을 배수하여 토양 통기를 개선하면 메탄 배출량을 줄이고 수확량을 늘릴 수 있다.[51] 벼 논은 전 세계 메탄 배출량의 10%를 차지하는데, 이는 항공 산업 배출량과 비슷하다.[53] 네타핌(Netafim) 등이 개발한 점적 관개 시스템을 통해 메탄 배출량을 최대 85%까지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54]

논은 기온 상승 억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80] 논 경작으로 발생하는 메탄가스[81][82][83]는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특히 쌀을 주식으로 하는 동아시아에서 큰 문제이다.[84]

5. 1. 생태계

논은 얕은 물을 좋아하는 다양한 생물에게 중요한 서식 환경을 제공한다. 과거에는 얕고 영양분이 풍부한 넓은 수역이 펼쳐져 있어 개구리, 미꾸라지, 물벼룩 등의 개체 수가 매우 많았다. 이는 황새, 두루미, 재두루미와 같은 조류와 물장군과 같은 대형 육식 곤충의 서식을 유지하는 기반이 되었다. 그 외에도 논에는 소형 동물이 다수 서식하고 있었고, 그중에는 논에서만 볼 수 있는 종도 많았다. 예를 들어, 벼룩과 유사한 곤충인 장구애비옆새우는 겨울철 물이 마르는 논 환경에 적응하여, 물이 없는 기간 동안 내구란(휴면란) 형태로 생존한다. 또한, 강, 습지, 연못 등 다른 수역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수초들이 논에 다수 서식하는데, 이를 논잡초라고 부른다.[80]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여러 변화를 겪으며 논 생태계는 크게 바뀌었다. 황새두루미는 멸종되었고(이후 중국에서 같은 종을 도입하여 복원 노력이 진행 중이다), 송사리, 물장군, 물방개, 물자라, 논우렁이 등을 보기 어려워졌으며, 많은 논잡초들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 한편, 관동 이서 지역에서는 외래종인 갈색날개 달팽이(스크미린고가이)가 벼를 갉아먹는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81][82][83]

5. 2. 메탄 배출

논은 대기 메탄의 주요 배출원이며, 지구 온난화에 기여한다. 연간 5천만~1억 톤의 메탄 가스 배출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49][50] 연구에 따르면, 논을 배수하여 토양의 통기를 개선함으로써 메탄 생성을 방해하여 메탄 배출량을 크게 줄이고 동시에 수확량을 증진시킬 수 있다.[51] 또한 지역적, 국지적, 전 지구적 요인을 사용한 메탄 배출량 평가의 변동성이 크며, 미시적 수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더 나은 목록 작성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52]

벼 논은 전 세계 메탄 배출량의 10%를 차지하며, 이는 항공 산업의 배출량과 거의 비슷하다.[53] 네타핌(Netafim)과 N-Drip이 개발한 점적 관개 시스템은 여러 국가에 도입되었으며, 이스라엘 타임스에 따르면 최대 85%의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54]

논은 기온 상승 억제 효과를 지닌다고 여겨지지만[80], 논 경작과 함께 발생하는 메탄가스[81][82][83]는 지구 온난화를 현저히 가속화하는 요인이며, 전 세계적으로, 특히 쌀 식량 문화권인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큰 문제이다.[84] 2020년의 프로젝트 드로다운[85]에서도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실시해야 할 100가지 과제(식량 생산뿐만 아니라 에너지, 건설, 운송 등 모든 분야를 포함) 중 우선순위 28위로 평가되었다.[86] 농림수산성에서도 논에서의 메탄가스 배출 대책에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87]

6. 한국의 특수 상황

(주어진 원본 소스가 없어 내용을 생성할 수 없으므로, 이전 결과물 역시 출력할 수 없습니다.)

6. 1. 안전 문제

농번기에 벌레와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논두렁을 태우는 행위는 흙 속에 있는 벌레는 살아남기 때문에 방제 효과가 미미하며, 심각한 화상을 입을 경우 목숨이 위태로울 수 있다.[1] 농기계 사용 중에는 추락 사고 등으로 인해 부상을 입거나 사망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2]

참조

[1] 논문 Application of a Genetic-Fuzzy FMEA to Rainfed Lowland Rice Production in Sarawak: Environmental, Health, and Safety Perspectives
[2] 웹사이트 Riz de Camargue, Silo de Tourtoulen, Riz blanc de Camargue, Riz et céréales de Camargue http://www.riz-camar[...] Riz-camargue.com 2013-04-25
[3] 웹사이트 paddy http://www.m-w.com/c[...] Merriam Webster 2007-07-15
[4] 웹사이트 '*pajay*' — rice in the field; rice plant https://www.trussel2[...] 2019-06-29
[5] 논문 Molecular evidence for a single evolutionary origin of domesticated rice
[6] 논문 Archaeological and genetic insights into the origins of domesticated rice
[7] 논문 Early Mixed Farming of Millet and Rice 7800 Years Ago in the Middle Yellow River Region, China 2012-12-17
[8] 논문 The Checkered Prehistory of Rice Movement Southwards as a Domesticated Cereal—from the Yangzi to the Equator https://core.ac.uk/d[...] 2011-12-09
[9] 논문 Studies on Ancient Rice—Where Botanists, Agronomists, Archeologists, Linguists, and Ethnologists Meet 2011-12-24
[10] 논문 Y chromosomes of prehistoric people along the Yangtze River http://www.humpopgen[...]
[11] 논문 Prehistoric evolution of the dualistic structure mixed rice and millet farming in China https://www.research[...] 2017-06-07
[12] 논문 Origin and chronosequence of paddy soils in China. http://www.cabdirect[...] 2013-02-08
[13] 서적 Prehistory of the Indo-Malaysian Archipelago: Revised Edition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7
[14] 서적 Search for the Origin of Rice Cultivation: The Ancient Rice Cultivation in Paddy Fields at the Cao Xie Shan Site in China Society for Scientific Studies on Cultural Property
[15] 서적 Search for the Origin of Rice Cultivation: The Ancient Rice Cultivation in Paddy Fields at the Cao Xie Shan Site in China Society for Scientific Studies on Cultural Property
[16] 간행물 Yayoi Farmers Reconsidered: New Perspectives on Agricultural Development in East Asia
[17] 웹사이트 Expansion of Chinese Paddy Rice to the Yunnan-Guizhou Plateau http://http-server.c[...] 2007-08-06
[18] 서적 A Companion to Chinese Archaeology John Wiley & Sons
[19] 논문 The Neolithic of Southern China – Origin, Development, and Dispersal https://core.ac.uk/d[...] 2008
[20] 서적 The Archaeology of China: From the Late Paleolithic to the Early Bronze 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21] 서적 Ancient China: A History Taylor & Francis 2016
[22] 논문 The first migrants to Madagascar and their introduction of plants: linguistic and ethnological evidence https://halshs.archi[...] 2011-08
[23] 간행물 Agricultural Origins in the Korean Peninsula
[24] 간행물 Agricultural Origins in the Korean Peninsula
[25] 간행물 Archaeology of Early Agriculture in Korea: An Update on Recent Developments
[26] 간행물 Archaeology of Early Agriculture in Korea: An Update on Recent Developments
[27] 간행물 Urinara-eui Seonsa – Godae Non Bat Yugu [Dry- and Wet-field Agricultural Features of the Korean Prehistoric]
[28] 간행물 Paddy Soils Now and Then
[29] 논문 A Comment on the Yayoi Period Dating Controversy http://www.seaa-web.[...]
[30] 웹사이트 Countries by commodity (Rice, paddy) http://faostat.fao.o[...] fao.org (FAOSTAT) 2014-02-11
[31] 간행물
[32] 논문 Earliest Rice http://www.archaeolo[...]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1997-06-11
[33] 논문 Yangtze seen as earliest rice site
[34] 서적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ume 4, Physics and Physical Technology, Part 3, Civil Engineering and Nautics Caves Books Ltd
[35] 서적 The World Economy https://books.google[...] OECD 2006-09-21
[36] 웹사이트 Top 10 Rice Producing States of India, Indian States with Highest Rice Production http://www.mapsofind[...] Mapsofindia.com 2012-01-17
[37] 웹사이트 Lansing and Miller https://web.archive.[...] 2009-03-27
[38] 웹사이트 Channel 4 notes for schools http://www.channel4.[...] Channel4.com
[39] 뉴스 Economist.com http://www.economist[...] 2009-12-17
[40] 웹사이트 Increasing rice production in Myanmar https://web.archive.[...] 2015-09-25
[41] 웹사이트 New Agriculturist: Country profile - Nepal http://www.new-ag.in[...]
[42] 웹사이트 Rice Terraces of the Philippine Cordilleras –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https://whc.unesco.o[...] Whc.unesco.org
[43] 웹사이트 Error http://www.tourism.g[...]
[44] 웹사이트 Rice Knowledge for Sri Lanka - IRRI Rice Knowledge Bank http://www.knowledge[...]
[45] 웹사이트 Country Profile: Thailand http://lcweb2.loc.go[...] 2007-07-07
[46] 뉴스 Thailand backs away from rice cartel plan http://www.lexisnexi[...] 2008-05-07
[47] 뉴스 Rice strain is cause of comparatively low productivity http://www.lexisnexi[...] 2008-04-16
[48] 뉴스 Thailand to set aside more land for farming; It plans to increase rice production and stop conversion of agricultural land 2008-04-24
[49] 웹사이트 Methane Sources – Rice Paddies http://www.ghgonline[...]
[50] 웹사이트 Scientists blame global warming on rice http://www.sptimes.c[...] Sptimes.com 2007-05-02
[51] 웹사이트 Shifts in rice farming practices in China reduce greenhouse gas methane https://web.archive.[...] 2003-01-11
[52] 논문 Exploration of 'hot-spots' of methane and nitrous oxide emission from the agriculture fields of Assam, India http://www.agricultu[...] 2012
[53] 뉴스 Israel's drip irrigation pioneers aim to do away with flooded rice fields https://www.timesofi[...] 2021-05-10
[54] 뉴스 Agritech firm N-Drip raises $44 million in Liechtenstein-led funding round https://www.timesofi[...] 2023-06-21
[55] 서적 広辞苑 広辞苑
[56] 웹사이트 日本語、どうでしょう?「たんぼ」か?「田んぼ」か?「田圃」か? https://japanknowled[...] Japanknowledge
[57] 웹사이트 田圃・田畝 https://kotobank.jp/[...]
[58] 웹사이트 農業・農村の有する多面的機能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59] 서적 広辞苑 広辞苑
[60] 논문 Yayoi Farmers Reconsidered: New Perspectives on Agricultural Development in East Asia 2001
[61] 서적 Search for the Origin of Rice Cultivation: The Ancient Rice Cultivation in Paddy Fields at the Cao Xie Shan Site in China Society for Scientific Studies on Cultural Property 1996
[62] 논문 Search for the Origin of Rice Cultivation: The Ancient Rice Cultivation in Paddy Fields at the Cao Xie Shan Site in China Society for Scientific Studies on Cultural Property 1996
[63] 웹사이트 Expansion of Chinese Paddy Rice to the Yunnan-Guizhou Plateau http://http-server.c[...]
[64] 논문 Paddy Soils Now and Then 1990
[65] 서적 Pila in Ancient Times Pila Historical Society Foundation Inc.
[66] 웹사이트 Vietnam Embassy in USA information page http://www.vietnamem[...]
[67] 문서 検丹里遺跡、南山遺跡等
[68] 논문 Agricultural Origins in the Korean Peninsula 2003
[69] 논문 Agricultural Origins in the Korean Peninsula 2003
[70] 논문 Archaeology of Early Agriculture in Korea: An Update on Recent Developments 2001
[71] 웹사이트 水田(すいでん)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02-08
[72] 웹사이트 田(た)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DIGITALIO 2023-02-05
[73] 웹사이트 畑で作られる「陸稲」とは? 品種や栽培方法を紹介 https://agri.mynavi.[...] 株式会社マイナ 2023-02-05
[74] 간행물 日本考古学協会 1954
[75] 웹사이트 日高遺跡 高崎市 https://www.city.tak[...] 高崎市 2020-04-13
[76] 간행물 若狭 2013
[77] 웹사이트 石狩平野・米作りの歴史 http://www.tamagawa.[...] 2020-05-13
[78] 웹사이트 日本最北の水田 http://www.town.embe[...] 遠別町役場 2020-05-19
[79] 웹사이트 今に伝わる「病田」の怪 甲斐市玉川 田之神 https://web.archive.[...] 山日YBSグループ 2012-07-24
[80] 뉴스 (研究成果) 水田は、周辺地域の気温の上昇を緩和しているが、その効果は大気CO2の増加により低下する http://www.naro.affr[...] 農研機構/北海道大学 2021-03-16
[81] 웹사이트 日本人に伝えたい「稲作が温暖化促進」の衝撃事実 https://toyokeizai.n[...] 2024-10-09
[82] 웹사이트 農業で地球温暖化に立ち向かう ~水田からのメタン抑制と高温耐性のイネ育種~ https://scienceporta[...] 2024-10-09
[83] 웹사이트 お米は地球を苦しめている!?~水田からのメタンガス(CH4)量を衛星データで検証してみた~ https://sorabatake.j[...] 2024-10-09
[84] 웹사이트 【最近の研究成果】東アジアの水田が放出するメタン量を推定しました | 地球環境研究センターニュース https://cger.nies.go[...] 2024-10-09
[85] 서적 DRAWDOWNドローダウン― 地球温暖化を逆転させる100の方法 山と渓谷社
[86] 웹사이트 Improved Rice Production https://drawdown.org[...] 2024-10-09
[87] 웹사이트 水田で取り組む温室効果ガス削減 農業水産省 https://www.maff.go.[...] 2024-10-09
[88] 뉴스 「農の治水機能生かせ 豪雨禍受け福岡・熊本/田んぼダム、用水路の排水 住民参加で検討加速」 https://www.agrinews[...] 日本農業新聞 2021-03-28
[89] 웹인용 paddy http://www.m-w.com/c[...] 메리엄 웹스터 2007-07-15
[90] 웹인용 Methane gas generation from paddy fields Methane Sources - Rice Paddies http://www.ghgonline[...] 2007-07-15
[91] 웹인용 SHIFTS IN RICE FARMING PRACTICES IN CHINA REDUCE GREENHOUSE GAS METHANE http://www.gsfc.nasa[...] 2002-12-1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