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곰TV MSL Season 2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곰TV MSL Season 2는 2007년 5월 3일부터 7월 14일까지 진행된 곰TV가 후원하고 일간스포츠가 주최한 스타크래프트 개인리그이다. 모든 맵이 교체되었으며, MSL 최초로 공군 ACE 소속 프로게이머(임요환)가 출전했다. 김택용이 MSL 2연속 우승을 달성했으며, 김택용과 송병구의 결승전은 MSL 최초의 프로토스 종족전 결승으로 '택뱅록'으로 불리며 큰 화제를 모았다. 결승전은 서울어린이대공원 돔아트홀에서 개최되었으며, 우승 상금은 5000만원으로 확대되었다. 하부리그 2회 후 본선이 진행된 유일한 MSL이다.

2. 리그 정보


  • 리그 기간: 2007년 5월 3일 ~ 2007년 7월 14일
  • 2시즌 연속으로 곰TV의 지원으로 대회가 개막되게 되었다. (전 대회 후원사였던 곰TV가 장기 지원을 약속)
  • 리그 슬로건: The Live
  • 일간스포츠 주최
  • 주 2회 방송 (목요일, 토요일)
  • 역대 최초로 모든 맵이 교체된 MSL
  • 개인리그 최초로 공군 ACE 소속 프로게이머 출전 (임요환)
  • MSL 역대 최초로 경기 중 실시간으로 경기 시간 표시 시작
  • 이주영의 군입대로 와일드카드전 진행, 16강 패자 8명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하여 최종 승자(송병구)가 8강 진출
  • 최초로 본진 투가스와 자원 회전율을 높인 지상맵 등장 (Desperado)
  • 김택용 MSL 2연속 결승 진출
  • CYON MSL 2005 이후 4시즌만에 로고 변경
  • 결승전 장소: 서울어린이대공원 돔아트홀
  • 김택용 MSL 2연속 우승 (양대 리그 통틀어 최초)
  • 김택용 MSL 최초의 프프전 결승이자 최초의 2연속 프로토스 우승
  • 김택용-송병구 (택뱅록) 결승전
  • 오프닝: '2008 BDA 월드 골드 어워즈(2008 BDA World Gold Awards)'에서 스포츠-오픈 부분 동상 수상
  • 결승전 축하 공연: 가수 윤하 초빙
  • 우승 상금: 5000만으로 확대
  • 하부리그 주의 사항: 'MBCMovies SurvivorLeague 3rd' 대회와 '11st SurvivorTournament' 대회가 연속으로 치러진 다음에서야 'GomTV SeasonII' 대회가 열림. MSL 역사상 유일의 하부리그 2회 후 본선 돌입 (32강 개편으로 인한 16명의 선수 필요)
  • 사용 맵

맵 이름설명비고
GomTV-Loki2인용 난전형 맵. 앞마당 이후 대부분의 멀티가 연쇄 멀티 구조를 띄고 있다. 중앙은 소형 길목으로 중,대형 유닛들은 지나갈 수 없다. 난전형 맵이라는 이유로 북유럽 신화의 장난꾸러기 거인 Loki의 이름을 붙였다.
Desperado4인용 자원 중심형 힘싸움 맵. MSL 최초의 본진 2가스 맵이며, 본진의 미네랄 배치가 최적화되어 있다. 본진 자원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극단화시켜 무법자라는 뜻인 Desperado의 이름을 붙였다.
Python, Monty Hall프로리그 공통 맵으로 선정되었다.


3. 대회 진행 방식

곰TV MSL Season 2는 이전의 변형된 더블 엘리미네이션 형식을 개혁하여 32강 체제로 확대 개편하였다. 전 대회 8강 시드권자 8명과 예선 및 서바이버 토너먼트 진출자 24명을 합쳐 총 32명으로 대회를 진행하였다. 32강은 원데이 듀얼 방식으로, 16강부터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6강은 분리형 3전 2선승제, 8강부터 결승전까지는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다.

3. 1. 조지명식

MSL은 프링글스 MSL 시즌 1부터 적용되었던 스틸드래프트 방식으로 조지명식을 진행하였다. 17~32번째 시드 지명권자는 자신의 이름을 원하는 자리에 붙일 수 있었다. 9~16번 시드는 자신 혹은 옆자리 중 한 곳을 바꿀 수 있는 권한을 가졌다. 3~8번 시드는 대진표 어느 곳에서든 두 번 바꿀 수 있었고, 1, 2번 시드는 대진표 어느 곳에서든 세 번 바꿀 권한이 주어졌다.

3. 2. 32강전

32강은 원데이 듀얼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지난 시즌 16강의 원데이 듀얼 방식을 확대하여 32강으로 진행하며, 경기 방식은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이다.

순위 선정 및 16강 조 편성은 다음과 같다.

  • 승자전 승자는 16강에 진출하며 조 1위가 된다.
  • 최종전 승자는 16강에 진출하며 조 2위가 된다.
  • 최종전 패자는 서바이버 토너먼트로 강등되며 조 3위가 된다.
  • 패자전 패자는 서바이버 토너먼트로 강등되며 조 4위가 된다.
  • 16강은 별도 조 추첨 없이 자동 편성된다. (예: A조 1위 vs E조 2위, A조 2위 vs E조 1위)



3. 3. 16강전 ~ 결승전

16강전은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녹다운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6강은 분리형 3전 2선승제(1차전 후 2, 3차전 진행)로 치러졌으며, 8강부터 결승까지는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다.

{| class="wikitable"

|-

! 16강전 경기 결과

|-

|

승자패자
이주영2 : 0박성훈
서지훈0 : 2강구열
이성은2 : 1최연성
송병구0 : 2마재윤
박태민2 : 0염보성
강민1 : 2박성준
진영수2 : 1박정욱
이재호0 : 2김택용



|}

이주영의 군입대로 인해 16강 탈락자 8명을 대상으로 와일드카드전이 진행되었으며, 최종 승자인 송병구가 8강에 진출했다.

{| class="wikitable"

|-

! 와일드카드전 경기 결과

|-

|

8강전준결승전결승전
강민 (1 : 0) 박정욱
이재호 (0 : 1) 송병구송병구 (1 : 0) 강민
최연성 (0 : 1) 염보성송병구 (1 : 0) 서지훈
서지훈 (1 : 0) 박성훈서지훈 (1 : 0) 염보성



|}

{| class="wikitable"

|-

! 8강전 경기 결과

|-

|

승자패자
송병구3 : 0강구열
이성은3 : 2마재윤
박태민3 : 0박성준
진영수2 : 3김택용



|}

{| class="wikitable"

|-

! 4강전(준결승전) 경기 결과

|-

|

승자패자
송병구3 : 2이성은
박태민1 : 3김택용



|}

{| class="wikitable"

|-

! 결승전 경기 결과

|-

|

승자패자
송병구2 : 3김택용



|}

4. 대회 결과

김택용이 우승했으며, 송병구가 준우승을 차지했다. 박태민과 이성은은 3위를 기록했다.

5. 의의 및 평가

곰TV MSL Season 2는 여러 가지 새로운 시도를 통해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동시에 받았다. 긍정적인 평가로는 역대 최초로 모든 맵이 교체되었고, 주 2회(목요일, 토요일) 방송으로 변경되었으며, 일간스포츠가 주최사로 참여했다는 점 등이 있다. 공군 ACE 소속 프로게이머(임요환)가 개인리그 최초로 출전했고, MSL 최초로 경기 중 실시간 경기 시간을 표시했다.

김택용은 이 대회에서 MSL 2연속 우승을 달성하며, 양대 리그 통틀어 최초의 기록을 세웠다. 또한, MSL 최초의 프프전 결승 및 최초의 2연속 프로토스 우승이라는 기록도 세웠다. 김택용송병구의 결승전은 '택뱅록' 결승전으로 불린다.

하지만, 32강 개편으로 인해 하부 리그를 2회 연속 진행한 점은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5. 1. 긍정적 평가

다음은 곰TV MSL Season 2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받는 부분이다.

  • 모든 맵이 교체된 것은 역대 최초였다.
  • 주 2회(목요일, 토요일) 방송으로 변경되었다.
  • 일간스포츠가 주최사로 참여하였다.
  • 공군 ACE 소속 프로게이머(임요환)가 개인리그에 최초로 출전하였다.
  • MSL에서 경기 중 실시간으로 경기 시간을 표시하기 시작한 것은 역대 최초였다.
  • 이주영의 군 입대로 와일드카드전을 진행, 16강 패자 8명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고 최종 승자(송병구)가 8강에 진출하였다.
  • 본진 투가스와 자원 회전율을 높인 지상맵(Desperado)이 최초로 등장하였다.
  • 김택용이 MSL 2연속 결승에 진출하였다.
  • CYON MSL 2005 이후 4시즌 만에 로고가 변경되었다.
  • 결승전은 서울어린이대공원 돔아트홀에서 개최되었다.
  • 김택용은 MSL 최초이자 양대 리그를 통틀어 최초로 2연속 우승을 달성하였다.
  • 김택용은 MSL 최초의 프프전 결승 및 최초의 2연속 프로토스 우승을 기록하였다.
  • 김택용-송병구의 결승전은 흔히 택뱅록 결승전으로 불린다.
  • 오프닝은 '2008 BDA 월드 골드 어워즈(2008 BDA World Gold Awards)'에서 스포츠-오픈 부분 동상을 수상하였다.
  • 결승전 축하 공연으로 가수 윤하가 초빙되었다.
  • 우승 상금이 5000만 원으로 확대되었다.
  • 하부 리그 주의 사항: 'MBCMovies SurvivorLeague 3rd' 대회와 '11st SurvivorTournament' 대회가 연속으로 치러진 다음에야 'GomTV SeasonII' 대회가 열렸다. 이는 32강 개편으로 인해 16명의 선수가 필요했기 때문이며, MSL 역사상 유일하게 하부 리그를 2회 진행한 후 본선에 돌입한 사례이다.

5. 2. 부정적 평가

곰TV MSL Season 2는 여러 새로운 시도를 도입했지만, 긍정적인 평가만 받은 것은 아니었다. 특히 하부 리그 진행 방식과 관련하여 부정적인 평가가 있었다.

  • 하부 리그 진행 방식: MSL 역사상 유일하게 하부 리그를 2회 연속(MBCMovies SurvivorLeague 3rd, 11st SurvivorTournament) 진행한 후 본선에 돌입했다. 이는 32강 개편으로 16명의 선수가 추가로 필요했기 때문이었지만, 지나치게 복잡하고 긴 리그 진행 방식으로 시청자들의 불만을 야기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