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동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동파는 무협 소설에 등장하는 문파로, 광성자가 창시했다는 설과 콩통산에서 불사신을 만난 물령자가 창시했다는 설이 있다. 칠상권과 기사도로 유명하며, 소설 《의천도룡기》에서는 명교에 대항하는 정통 문파로 묘사된다. 무술은 도교에 기반하며, 신체 단련과 내공 수련을 중시한다. 독특한 무기를 사용하며, 칠상권, 비봉수, 음양마 등의 기술을 사용한다. 한국 무협 소설에서는 구파일방의 일원으로 등장하지만, 다른 문파에 비해 비중이 적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밀교 - 명교
    명교는 중국으로 전래된 마니교가 중국화된 형태로, 당나라의 탄압과 융합을 거쳐 중국 구원 종교에 영향을 주며 송, 원나라 시대까지 명맥을 유지했고 현재 중국 남부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으며 교리와 우주론 문헌이 전해진다.
  • 중국의 밀교 - 배상제회
    배상제회는 1840년대 펑윈산이 광시성에서 창립한 종교 결사로, 기독교 영향을 받아 상제 신앙을 중심으로 홍수전의 신앙을 전파하며 조직되었고, 1851년 금전 봉기를 통해 태평천국을 건국하고 태평천국의 난으로 이어졌다.
  • 무협 - 아미파
    김용의 무협 소설 《의천도룡기》에서 곽양이 창시한 아미파는 주로 여성으로 구성된 구파일방 중 하나로, 사천 지역을 근거지로 아미 검법과 점혈 등의 무술을 사용하며 다양한 외형으로 묘사된다.
  • 무협 - 화산파
    화산파는 중국 도교의 종파로, 당나라와 송나라 시대에 등장하여 화산에서 도교와 유가 사상에 영향을 미쳤으며, 전진파의 영향을 받아 무협 소설에서도 주요 문파로 등장한다.
  • 중국의 비밀결사 - 화흥회
    화흥회는 황흥이 1904년에 창립한 중국의 혁명 단체로, 만주족 축출과 중화 부흥을 목표로 반청 활동을 전개했으며, 이후 중국 동맹회와 합병하여 중국 혁명 운동에 기여했다.
  • 중국의 비밀결사 - 배상제회
    배상제회는 1840년대 펑윈산이 광시성에서 창립한 종교 결사로, 기독교 영향을 받아 상제 신앙을 중심으로 홍수전의 신앙을 전파하며 조직되었고, 1851년 금전 봉기를 통해 태평천국을 건국하고 태평천국의 난으로 이어졌다.
공동파
개요
명칭공동파(崆峒派)
영문 명칭Kongtong Sect
창시자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광성자(廣成子)
도교와의 관계도교와 관련 있다는 주장도 있으나, 역사적 근거는 희박함.
위치중국 간쑤성 핑량시 공동산
역사
기원2천년 이상 전으로 추정되나, 역사적 실체는 불분명함.
현대의 공동파무술 단체로서 존재하며, 관광업과 결합되어 운영됨.
무협 소설다양한 무협 소설에 등장하며, 신비로운 무술 문파로 묘사됨.
무술
주요 무공칠상권(七傷拳)
공동검법(崆峒劍法)
공동장법(崆峒掌法)
논란
역사적 진실성공동파의 기원과 역사에 대한 논란이 존재함.
상업화공동파의 무술이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비판이 있음.

2. 역사

도교의 주요 선인 중 하나인 광성자(廣成子)가 창설했다는 설이 한국과 중국에서 공동파의 역사적 기원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화산파무당파에 비해 별다른 특색이 없어 구파일방에서 존재감이 옅다.

전설에 따르면, 공동파(崆峒派)는 공동산에서 불사신을 만나 뛰어난 무술을 배운 물령자(木靈子)가 창시했다고 한다. 물령자는 무술에 뛰어난 경지에 도달하여 공동파를 소림파, 무당파 등과 함께 정통 무술 문파로 성장시켜 무림에서 두각을 나타내게 했다.

김용의 무협 소설 《의천도룡기》에서는 명교(明敎)에 대항하는 여섯 정통 문파 중 하나로 등장한다. 《의천도룡기》에서 공동파는 오로(五老)가 이끌며, 광명정 전투를 주도했다. 사손이 공동파의 칠상권(七傷拳) 비급을 훔쳐 익혔다는 설정이 있다. 장무기는 공동파 장로 종위하(宗維俠)를 치료해 줌으로써 명교와 공동파의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 이후 일부 공동파 구성원들은 소림사에서 사손을 구출하는 데 협력하기도 한다.

다른 설에 따르면, 공동파는 한때 소림사 승려였다가 나중에 공동산에서 은둔자가 된 비홍자(飛虹子)가 창시했다고 한다.

2. 1. 기원 설화

한국과 중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도교의 선인(仙人)인 광성자(廣成子)가 공동파를 창시했다는 설이 널리 알려져 있다.[1] 그러나 화산파무당파에 비해 별다른 특색이 없어 구파일방에서 존재감이 옅은 편이다.[1]

영어권에서는 공동산에서 불사신을 만나 무술을 배운 물령자(木靈子)가 공동파를 창시했다는 설이 전해진다.[2] 물령자는 뛰어난 무술 실력과 칠상권(七傷拳)이라는 강력한 기술, 그리고 의협심으로 유명하다.[2][3] 그는 악행을 혐오하여 젊은 시절에는 가난한 사람들을 돕고 악당을 처벌하기 위해 ''협객''으로 강호를 떠돌았으며, 만년에도 불같은 성격과 악에 대한 강한 혐오감을 유지했다.[3] 특히 자신의 제자들에게 엄격하여, 공동파의 일원이 부도덕한 행위를 하면 엄하게 처벌했다.[3]

또 다른 설로는, 소림사 승려였다가 공동산에서 은둔 생활을 한 비홍자(飛虹子)가 공동파를 창시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2. 2. 소설 속 역사

김용의 무협 소설 《의천도룡기》에서는 명교(明敎)에 대항하는 여섯 정통 문파 중 하나로 등장한다. 《의천도룡기》에서 공동파는 오로(五老)가 이끌며, 광명정 전투를 주도했다.[1] 사손이 공동파의 칠상권(七傷拳) 비급을 훔쳐 익혔다는 설정이 있다.[1] 장무기는 공동파 장로 종위하(宗維俠)를 치료해 줌으로써 명교와 공동파의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1] 이후 일부 공동파 구성원들은 소림사에서 사손을 구출하는 데 협력하기도 한다.[1]

3. 무공 및 특징

공동파는 감숙성의 패자이지만, 설정이 빈약하고 외지에 있어 비중이 적다.[2] 천마신교, 마교가 있는 천산산맥과 마주하고 있어 곤륜파 다음으로 자주 털린다.[3] 이러한 이유로 청정도량에 속해있는 문파임에도 절기가 독랄하고 살기가 넘치며 실전적이라는 표현이 잦다.

3. 1. 무공

공동파의 무술은 도교에 기원을 두고 있어 무당파, 곤륜파의 무술과 유사한 점이 있다. 신체 단련과 내공 수련을 중시한다. 검, 도, 곤과 같은 전통적인 무기 대신 자체적으로 제작한 다양한 형태의 무기를 사용하는데, 은폐가 용이하고 기습에 유리하다는 특징이 있다. 주요 무공으로는 칠상권(七傷拳|칠상권중국어), 비봉수(飛鳳手|비봉수중국어), 음양마(陰陽磨|음양마중국어) 등이 있다.[1]

3. 2. 특징

한국 무협 소설에서 공동파는 청정도량(淸淨道場)에 속하며, 절기(絶技)들이 독랄(毒辣)하고 살기(殺氣)가 넘치며 실전적이라는 설정이 자주 등장한다.[2] 천산산맥마교와 마주하고 있어 곤륜파 다음으로 자주 털린다.[3]

4. 한국 문화 속 공동파

한국 무협 소설에서 공동파는 구파일방의 일원으로 등장하지만, 다른 문파에 비해 비중이 낮은 편이다.[2] 화산파무당파에 비해 설정이 빈약하고, 중원에서 멀리 떨어진 감숙성에 위치한다는 설정이 많아 존재감이 옅은 경우가 많다.[2] 천마신교, 마교가 있는 천산산맥과 마주하고 있어 곤륜파 다음으로 자주 털린다고 묘사된다.[3] 그래서 청정도량에 속해있는 문파의 절기가 모두 독랄하고 살기가 넘치며 실전적이라는 표현이 잦다.

참조

[1] 서적 The Heaven Sword and Dragon Saber Ming Pao 1961
[2] 문서 비단길 관련 설명
[3] 문서 사천 관련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