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주 조선백자 요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 조선백자 요지는 경기도 광주시 일대에 위치한 조선 백자 생산 유적을 의미한다. 조선 왕실 도자기 생산, 민간 주도 도자기 생산, 일제강점기 및 현대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2009년 9월 30일 기준으로 광주시 일대에는 76개의 도요지가 지정되어 있으며, 해당 유적들은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보존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시의 문화유산 - 숭렬전
    숭렬전은 백제 시조 온조왕의 신위를 모신 사당으로, 조선시대 천안에 건립되었으나 소실 후 남한산성에 재건립되었고 1795년에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사당, 전사청, 내문, 강당 등으로 구성되어 매년 제향이 이루어지고, 남한산성 민속경관의 주요 요소이자 광주시 향토유적 제1호이다.
  • 광주시의 문화유산 - 현절사
    현절사는 병자호란 당시 순절한 삼학사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1688년 남한산성에 건립되었으며 소중화 의식과 송시열의 삼학사전이 건립 배경이고, 김상헌과 정온의 위패가 추가로 모셔졌으며, 서원 철폐에도 유일하게 존속된 사당으로, 현재 광주시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 경기도의 사적 - 연천 전곡리 유적
    연천 전곡리 유적은 1978년 발견된 구석기 시대 유적으로, 아슐리안 석기를 포함한 다양한 석기가 출토되었으며 전곡선사박물관이 건립되어 운영되고 구석기축제가 개최된다.
  • 경기도의 사적 - 서오릉
    서오릉은 조선 왕실의 왕릉군으로, 경릉, 창릉, 익릉, 명릉, 홍릉 등 5기의 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순창원, 수경원, 대빈묘도 포함되어 있다.
광주 조선백자 요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광주 조선백자 요지
광주 조선백자 요지
유형사적
지정 번호314
지정일1985년 11월 7일
시대조선시대
면적382,738m2
주소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광주읍, 초월면, 도척면, 실촌면, 남종면
문화재청 ID13,03140000,31

2. 역사

광주시 일대는 도자기를 굽는데 필요한 흙, 나무, 물이 풍부하고, 제품의 공급지인 서울과 가까우며 한강을 이용한 운반이 편리하여 조선 영조 28년(1752) 이전부터 도자기 생산이 활발했다. 영조 28년에 궁중음식을 담당하던 사옹원의 분원으로 지정된 후, 조선왕조가 끝날 때까지 130여 년 동안 285개소의 가마터가 이 일대에서 번창했다. 조선 후기에 국가 재정이 어려워지면서 분원리 가마터는 민간에 경영권이 넘어가 다양한 계층의 수요에 맞춰 청화백자를 중심으로 발전했다.

2. 1. 조선 왕실 도자기 생산

조선 영조 28년(1752) 궁중음식을 담당하던 사옹원의 분원으로 지정되기 전부터, 광주시 일대는 도자기를 굽는데 필요한 흙, 나무, 물이 풍부한 지역이었다. 또한, 서울과 가깝고 한강을 이용한 운반이 편리하여 도자기 생산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광주 지역은 조선 왕실에 도자기를 공급하는 사옹원의 분원으로 지정되었다. 이후 조선 왕조가 끝날 때까지 130여 년 동안 285개소의 가마터에서 왕실용 도자기를 생산했다.

조선 후기 국가 재정이 어려워지자, 분원리 가마터는 개인에게 경영권이 넘어가게 되었다. 그 후 여러 계층의 수요와 요구에 따라 자기의 모양과 무늬가 다양해졌으며, 청화백자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광주 조선백자 요지에서는 오름가마와 계단식가마가 확인되었으며, 여러 모양과 무늬를 새긴 자기들이 출토되었다. 글씨가 새겨진 도자기를 통해 제작 시기도 알 수 있다.

2. 2. 민간 주도 도자기 생산

조선 영조 28년(1752) 궁중음식을 담당하던 사옹원의 분원으로 지정된 후, 조선왕조가 끝날 때까지 130여 년 동안 285개소의 가마터가 남종면, 중부면, 퇴촌면광주시 일대에서 번창했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 국가 사정이 어려워지자, 분원리 가마터는 개인에게 경영권을 주게 되었다. 그 후 여러 계층의 수요와 요구에 따라 자기의 모양과 무늬가 다양해졌으며, 청화백자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3. 도요지의 구조 및 특징

광주 조선백자 요지에서 발견되는 가마터의 구조는 오름가마이며, 계단식 가마도 확인되었다.[1] 출토된 유물 중에는 여러 모양과 무늬를 새긴 자기가 있으며, 글씨가 새겨진 도자기를 통해 제작 시기를 알 수 있다.[1]

4. 도요지 목록

2009년 9월 30일 현재 광주시 일대 도요지 목록은 다음과 같다.[1]

연번지정번호소재지지번
1목현동 1호목현동121-1전, 산25임
2오향리 1호실촌읍 오향리321전
3열미리 1호실촌읍 열미리119-1전, 119-2전, 121전, 133-1전, 133-2전, 133-3전
4열미리 2호실촌읍 열미리25-1전, 48전
5열미리 3호실촌읍 열미리61-1전, 61-2전
6열미리 4호실촌읍 열미리64잡
7대쌍령리 1호초월읍 대쌍령리산99-4임
8무갑리 1호초월읍 무갑리492-1전, 492-2전, 492전, 산129-6임
9무갑리 2호초월읍 무갑리산50임
10무갑리 3호초월읍 무갑리30-3전
11무갑리 4호초월읍 무갑리26-3전, 29-1답, 29-2답, 29-3답, 29-4답, 29-5답, 29-6답
12무갑리 5호초월읍 무갑리25임, 26-1임, 26-4임, 산63임
13상림리 1호도척면 상림리51-3전, 51-47전, 51-4전
14상림리 2호도척면 상림리4답, 5-1전
15궁평리 1호도척면 궁평리337-2전, 340전, 산2-1임
16궁평리 2호도척면 궁평리284묘
17곤지암리 1호실촌읍 곤지암리471-1전
18곤지암리 2호실촌읍 곤지암리509-8전, 산47-1임
19금사리 1호남종면 금사리71-1전, 72-1전, 73전, 74전, 75전, 22전
20금사리 2호남종면 금사리11전, 13-1전, 13전, 25답
21분원리 1호남종면 분원리117-3대, 117-5대, 99-1대
22분원리 2호남종면 분원리산5임
23정지리 1호퇴촌면 정지리61-1묘, 61-2임, 67전, 68-1전, 68-2전, 69전
24정지리 2호퇴촌면 정지리11-2전
25지월리 1호초월읍 지월리638-18도, 638-19임, 산69-1임
26지월리 2호초월읍 지월리632임, 654전
27유사리 1호실촌읍 유사리산65-2임, 산65-6임
28유사리 2호실촌읍 유사리365-3전, 366대, 367대, 368-3대
29유사리 3호실촌읍 유사리464전
30도수리 1호퇴촌면 도수리127전
31도수리 2호퇴촌면 도수리124-1전
32도수리 3호퇴촌면 도수리82-1전, 82-2대, 82-4전, 82-6전, 83전, 85전, 산11임
33도마리 1호퇴촌면 도마리70전
34도마리 2호퇴촌면 도마리산16-1임
35도마리 3호퇴촌면 도마리250-14전
36탄벌동 1호탄벌동572답
37탄벌동 2호탄벌동570-2전, 산76임
38탄벌동 3호탄벌동551-3전
39송정동 1호송정동산63-36임
40송정동 2호송정동367-6전, 371임, 372-5전
41송정동 3호송정동386-1임, 386-2임, 386-6임, 386-7임
42오전리 1호중부면 오전리291-2전, 291대, 304전, 305-3임
43오전리 2호중부면 오전리268-5묘, 269임, 270-3전
44오전리 3호중부면 오전리27답
45선동 학동리 1호초월읍 선동리산1-5임
46선동 학동리 2호초월읍 선동리산1-1목, 326-9전, 356-19전
47선동 학동리 3호초월읍 선동리302-6전, 302-1대
48선동 학동리 4호초월읍 학동리199전, 산116임
49선동 학동리 5호초월읍 학동리121-10전, 121-11전, 121-12전, 121-13전, 121-14전, 121-15전
50신대리 1호실촌읍 신대리151-1전, 152-2묘, 151-3전, 151-4전, 152-1전, 153-1전, 154-3전,
149-1전, 산7임, 산8-6임
51신대리 2호실촌읍 신대리145-10전, 145-11전, 145-12전, 산9-12임, 146전, 145-1전,
145-2전, 145-5전
52신대리 3호실촌읍 신대리98전
53신대리 4호실촌읍 신대리93-11전, 93-12전, 93-1전, 93-2전, 93-6전, 95-1묘, 95-3묘,
95묘, 91-1전, 91-2전, 91-6전, 91-7전, 91-8전, 91-9전
54신대리 5호실촌읍 신대리20-1답
55상번천리 1호중부면 상번천리681-3전, 681-5전
56상번천리 2호중부면 상번천리522-12도, 522-2사, 522-6도
57상번천리 3호중부면 상번천리산113-1임
58상번천리 4호중부면 상번천리188-11전, 188-1전, 188-2전, 188-3대, 188-7전, 188-8전, 188-9전
59상번천리 5호중부면 상번천리186-1대, 186-7전, 186-8도, 186-9전, 산86임, 산87임
60상번천리 6호중부면 상번천리108전
61상번천리 7호중부면 상번천리산73임, 114전, 115전
62우산리 1호퇴촌면 우산리71-2전
63우산리 2호퇴촌면 우산리산320임
64우산리 3호퇴촌면 우산리68전
65우산리 4호퇴촌면 우산리272-2전
66우산리 5호퇴촌면 우산리262-1답, 262-2전
67우산리 6호퇴촌면 우산리368전
68우산리 7호퇴촌면 우산리370-1임, 370전
69관음리 1호퇴촌면 관음리548-1전, 548-2대, 548-4도, 548-8전
70관음리 2호퇴촌면 관음리518전, 519대
71관음리 3호퇴촌면 관음리327전, 산18대, 388전, 331-1대
72관음리 4호퇴촌면 관음리산160-1임, 산160-3임
73관음리 5호퇴촌면 관음리194-1전, 194-3전
74관음리 6호퇴촌면 관음리176-12전, 176-17전, 176-19전, 176-22전, 176-2전
75관음리 7호퇴촌면 관음리136-2답
76관음리 8호퇴촌면 관음리134답


5. 문화적 가치와 보존

광주 조선백자 요지는 조선 전기부터 후기까지 질 좋은 도자기를 생산하던 중심지였기 때문에 조선 도자사 연구에 기반이 되는 매우 가치있는 곳이다.[1]

도자기를 굽는 데 필요한 흙, 나무, 물이 풍부하고, 제품의 주요 공급지였던 서울과 가까우며, 한강을 이용해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다는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었다.[1] 이러한 조건들 덕분에 조선 영조 28년(1752) 궁중음식을 담당하던 사옹원의 분원으로 지정되었다.[1] 이후 조선왕조가 끝날 때까지 130여 년 동안 285개소의 가마터가 이 일대에서 번성했다.[1]

조선 후기에 국가 재정이 어려워지면서 분원리 가마터는 개인에게 경영권이 넘어갔다.[1] 이후 여러 계층의 수요와 요구에 따라 자기의 모양과 무늬가 다양해졌으며, 청화백자의 중심지로 발전했다.[1]

가마터의 구조는 오름가마이며, 계단식 가마도 확인되었다.[1] 여러 모양과 무늬를 새긴 자기들이 출토되었고, 글씨가 새겨진 도자기를 통해 제작 시기도 알 수 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